KR102099456B1 -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 Google Patents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456B1
KR102099456B1 KR1020180040223A KR20180040223A KR102099456B1 KR 102099456 B1 KR102099456 B1 KR 102099456B1 KR 1020180040223 A KR1020180040223 A KR 1020180040223A KR 20180040223 A KR20180040223 A KR 20180040223A KR 102099456 B1 KR102099456 B1 KR 102099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er
fastened
main body
wat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116A (ko
Inventor
박동수
이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보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보일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보일러
Priority to KR102018004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45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8Combined units with different devices; Arrangement of different devic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둘레를 따라가며 복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관통공과 일치되게 체결공을 구비하여 복수 개의 영구자석을 서로 동일한 극으로 마주하도록 삽입한 자석 체결구가 연결관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연결관을 대신하여 수도미터기의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한된 수도계량기 함의 공간 내에서도 별 어려움 없이 체결할 수 있으며, 연결관의 본체 내부로 영구자석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하여 반발하는 자력선의 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MAGNETIZED WATER GENERATING DEVICE WITH WATER-METER COMPONENT TYPE}
본 발명은 자화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미터기(수도계량기)에 체결되는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에 관한 것이다.
자화수는 자석에 의한 자계로 처리된 물을 말하는데, 자화육각수를 포함한다. 자화수의 유용성이 밝혀지면서 수돗물에서 얻는 방법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 중에 한국 등록특허 제10-0472614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0931호 등이 있다. 전자는 수도관 끝 부분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후자는 수도미터기 외측케이싱의 유입구에 링 형태로 삽입 결합한다. 전자는 수돗물이 흐르는 길이 방향으로 자석을 배열하여 자력선은 물의 흐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자화수 생성에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후자도 수돗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자력선이 생기는 동일한 문제가 있고, 외측케이싱 두께에 따라 자력선 약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수도미터기(1)는 일반적으로 양측에 규격화된 좌, 우측 연결관(2, 3)이 체결되고, 좌측 연결관(3)에는 개폐밸브(4)를 거쳐 좌측 배관 연결구(5a)가, 우측 연결관(2)은 바로 우측 배관 연결구(5b)에 각각 연결된다. 도 2는 도 1에서 수도미터기(1)의 우측에 체결되는 부품들(10)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우측 연결관의 본체(2a)의 전방 플랜지(2b)를 수도미터기(1)의 우측 나사산(1a)이 형성된 체결부에 대고 고무패킹(7d)과 내측 나사산(2f)이 형성된 본체 체결 너트(2e)를 끼워 본체 체결 너트(2e)의 내측 나사산(2f)이 수도미터기(1)의 우측 나사산(1a)과 치합되며 고무패킹(7d)을 사이에 두고 수밀하게 체결된다. 이어, 우측 배관 연결구(5b)를 우측 연결관의 본체(2a)의 후방 나사산에 체결함으로써, 수도미터기(1)의 우측 연결을 마치게 된다.
그런데, 도 2와 같이, 체결되는 수도미터기(1)에 종래 자화수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우측 연결관(2)과 우측 배관 연결구(5b) 사이에 전, 후방 안내 주름관(6, 9)을 통해 자화수기(8)를 연결하고, 좌우연결구(9a), 중개관(9b)과 함께 다수 고무패킹(7a, 7b, 7c, 7d)과 테프론 테이프(7e)로 수밀처리를 하며 체결되어, 체결에 다수 부품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제한된 수도계량기 함의 공간 안에서 자화수기(8)를 연결하여야 하므로, 작업 등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도미터기의 부품으로 사용되던 종래 연결관을 개량하여, 상기 연결관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자석이 서로 마주보며 관통하여 구비되어, 반발하는 자력선의 수를 높여 자화수가 효과적으로 생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하나의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는 수도미터기의 일측에 체결되고 본체의 둘레를 따라가며 2개 이상 짝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본체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관통공의 개수에 맞추어 형성된 체결공에 2개 이상의 영구자석이 서로 동일한 극으로 마주하도록 삽입되되, 상기 2개 이상의 영구자석이 상기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을 지나 상기 본체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체결한 자석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본체의 전방 플랜지와 상기 전방 플랜지의 단턱에 고무패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도미터기의 일측 나사산에 체결되는 본체 체결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후방에 일정 길이로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 체결구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 나사산과의 치합으로 체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 이상의 영구자석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깊이조절 캡으로 마주보는 영구자석의 자계 반발력을 가압한 상태로 체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 이상의 영구자석에서 서로 마주보는 자석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 곡률반경에 따라 곡면으로 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 체결구는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박스형이나 원판형이고, 상기 사각 박스형이나 상기 원판형의 측면에 2개 또는 4개의 체결공이 일정 각도로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의 둘레를 따라가며 복수 개의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관통공과 일치되게 체결공을 구비하여 복수 개의 영구자석을 서로 동일한 극으로 마주하도록 삽입한 자석 체결구가 연결관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연결관을 대신하여 수도미터기의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한된 수도계량기 함의 공간 내에서도 별 어려움 없이 체결할 수 있으며, 연결관의 본체 내부로 영구자석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하여 반발하는 자력선의 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수도미터기(1)에 전, 후방 안내 주름관(6, 9)을 통해 자화수기(8)를 연결하는 종래기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수도미터기(1)의 우측에 체결되는 부품들(10)의 전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100)가 수도미터기(1)의 일측에 체결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100)가 체결된 부분의 AA'선을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전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CC'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a)의 실시 예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는 서로 동일한 극으로 마주하는 원기둥형 영구자석을, 도 7(b)는 사각기둥형 영구자석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의 연결관의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자력선 분포를 도시한 개념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석 체결구가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박스형, 도 11은 원판형으로 각각 구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100)가 수도미터기(1)의 일측에 체결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100)가 체결된 부분의 AA'선을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전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CC'선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a)의 실시 예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100)는, 도 3 내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도미터기(1)의 일측에 체결되고 본체(12a)의 둘레를 따라가며 2개 이상 짝수 개의 관통공(12g)이 형성된 연결관(12); 및 상기 연결관의 본체(12a)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관통공(12g)의 개수에 맞추어 형성된 체결공(24, 26)에 2개 이상의 영구자석(30)이 서로 동일한 극으로 마주하도록 삽입되되, 상기 2개 이상의 영구자석(30)이 상기 체결공(24, 26)과 상기 관통공(12g)을 지나 상기 본체(12a)의 내부(12h)에 노출되도록 체결한 자석 체결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12)에 본체(12a)의 둘레를 따라가며 복수 개의 관통공(12g)을 형성시키고, 상기 관통공(12g)과 일치되게 체결공(24, 26)을 구비하여 복수 개의 영구자석(30)을 서로 동일한 극(도 6에서는 N극)으로 마주하도록 삽입한 자석 체결구(20)가 연결관(12)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연결관을 대신하여 수도미터기의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한된 수도계량기 함의 공간 내에서도 별 어려움 없이 체결할 수 있으며, 연결관의 본체 내부(12h)로 영구자석의 일단이 노출되도록 하여 반발하는 자력선의 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6에서는 원기둥형 영구자석(30)이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7(b)와 같이, 사각기둥형 영구자석(32)도 사용될 수 있다. 도 7(a)는 서로 동일한 극(N극)으로 마주하는 원기둥형 영구자석(30)을, 도 7(b)는 사각기둥형 영구자석(32)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영구자석(30, 32)에서 서로 마주보는 자석의 일단은 도 9와 같이, 평면형일 수 있으나, 도 4(b) 및 도 8과 같이, 상기 본체(12a)의 내부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곡면(30a, 30b)으로 함이 연결관의 본체 내부(12h)로 자력선을 집중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8과 도 9는 서로 같은 극(N극)으로 마주보는 자석(30, 30')의 각 일단이 곡면으로 된 경우와 평면으로 된 경우에 연결관 본체(12a)의 내부(12h)로 반발하는 자력선 분포의 차이를 보여준다. 도 8과 같이, 마주보는 자석(30)의 각 일단이 곡면으로 된 경우가 연결관의 본체 내부(12h)로 자력선을 더 집중시킬 수 있어, 자력선에 수직으로 지나가는 물을 더 잘 자화시킬 수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상기 연결관(12)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본체(12a)의 전방 플랜지(12b)와 상기 전방 플랜지의 단턱에 고무패킹(12d)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도미터기(1)의 일측 나사산(1a)에 체결되는 본체 체결 너트(12e)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2a)의 후방에 일정 길이로 외측 나사산(12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 체결구(20)는 내측에 나사산(22)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2a)의 외측 나사산(12c)과의 치합(나사 결합)으로 체결하게 된다.
상기 자석 체결구(20)가 어느 정도 두께(내측 나사산이 체결공 양측에 3~4개 형성될 정도의 두께)를 가질 경우에는 수밀하게 체결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테프론 테이프을 이용하거나 고무패킹을 자석 체결구(20)의 양측에 놓고 체결하여 수밀 처리하면 된다.
상기 자석 체결구(20)에는, 도 5와 같이, 직경이 서로 다른 체결공(24, 26)이 단턱지게 형성된다. 직경이 작은 체결공(24)은 영구자석(30)이 삽입되고, 단턱진 곳에는 영구자석(30)을 감싸며 탄성재질인 오링 형상의 고무패킹(40)이 위치하게 된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체결공(26)에 깊이조절 캡(50)이 나사 체결되어, 자계 반발력으로 밀려나는 영구자석(30)의 후방을 밀어주며 체결공(24)에 삽입된 영구자석(30)의 깊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깊이조절 캡(50)이 영구자석(30)의 후방을 감싸도록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면, 깊이조절 캡(50)을 전진시키며 탄성재질의 고무패킹(40)을 압박해 수밀의 효과도 낼 수 있다. 깊이조절 캡(50)의 상단 면에는 돌림 수단을 끼울 수 있는 슬릿(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일측 체결공(26)에 깊이조절 캡(50) 체결만으로, 같은 극을 마주하여 자계 반발력으로 밀려나는 영구자석(30)을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깊이조절 캡(50)으로 체결공(24)에 삽입된 영구자석(30)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연결관(12)의 본체 내부(12h)로의 자석 돌출 정도에 따라 자력선 형성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 자석 체결구(20)는, 도 10과 같이, 상기 체결공(26)을 형성할 정도의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박스형(20a)이거나, 도 11과 같이, 원판형(20b)일 수 있다.
상기 사각 박스형(20a)이나 상기 원판형(20b)의 둘레 측면에는 2개 또는 4개의 체결공(26)이 일정 각도로 형성될 수 있고, 각 체결공(26)에는 깊이조절 캡(50)이 체결하게 된다.
상기 자석 체결구(20)이 연결관(12)의 본체(12a)에 삽입 체결된 이후에는, 도 4(a)와 같이, 배관 연결구(5b)가 본체(12a)의 외측 나사산(12c) 끝 부분에 삽입 체결하게 된다.
도 10와 도 11은 자석 체결구(20)가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박스형(20a)과 원판형(20b)으로 구현된 실시 예(110, 120)를 각각 보여준다.
상기 연결관(12)은 영구자석(30)에서 나온 자력선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므로, 녹 방지용으로 일반 수도관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나 비 자성체 물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12: 연결관
20: 자석 체결구
30: 영구자석
40: 고무패킹
50: 깊이조절 캡

Claims (5)

  1. 수도미터기의 일측에 체결되고 본체의 둘레를 따라가며 2개 이상 짝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본체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관통공의 개수에 맞추어 형성된 체결공에 2개 이상의 영구자석이 서로 동일한 극으로 마주하도록 삽입되되, 상기 2개 이상의 영구자석이 상기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을 지나 상기 본체의 내부에 노출되도록 체결한 자석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본체의 전방 플랜지와 상기 전방 플랜지의 단턱에 고무패킹을 사이에 두고 상기 수도미터기의 일측 나사산에 체결되는 본체 체결 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후방에 일정 길이로 외측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 체결구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 나사산과의 치합으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영구자석은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깊이조절 캡으로 마주보는 영구자석의 자계 반발력을 가압한 상태로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영구자석에서 서로 마주보는 자석의 일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 곡률반경에 따라 곡면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체결구는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 박스형이나 원판형이고,
    상기 사각 박스형이나 상기 원판형의 측면에 2개 또는 4개의 체결공이 일정 각도로 형성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KR1020180040223A 2018-04-06 2018-04-06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KR102099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223A KR102099456B1 (ko) 2018-04-06 2018-04-06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223A KR102099456B1 (ko) 2018-04-06 2018-04-06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116A KR20190117116A (ko) 2019-10-16
KR102099456B1 true KR102099456B1 (ko) 2020-04-09

Family

ID=6842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223A KR102099456B1 (ko) 2018-04-06 2018-04-06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4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291Y1 (ko) * 2003-08-21 2003-11-05 영동금속(주) 역류방지용 커넥터
JP2005169358A (ja) * 2003-12-15 2005-06-30 Aaku Quest:Kk 磁化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524U (ko) * 1997-03-13 1998-11-05 조영식 자화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291Y1 (ko) * 2003-08-21 2003-11-05 영동금속(주) 역류방지용 커넥터
JP2005169358A (ja) * 2003-12-15 2005-06-30 Aaku Quest:Kk 磁化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116A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8757A (en) Magnetic, fluid-conditioning tools
KR102099456B1 (ko)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CN109847934A (zh) 磁性过滤器及其磁性过滤芯组装方法
GB2256091A (en) A magnetic device for treating fuel
KR102226829B1 (ko) 수관 관통형 자화수기
JPS6344151Y2 (ko)
KR20100012693U (ko) 자화수 제조장치
KR20200015205A (ko) 수관 관통형 자화수기
JP3106416U (ja) 磁気流体活性化装置
KR20080013277A (ko) 자화 육각수 생성장치
JPS5925473Y2 (ja) 液体処理装置
KR102199198B1 (ko)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JP3514382B2 (ja) 液体磁気処理装置
IES80900B2 (en) An apparatus for conditioning a fluid
JP2010179229A (ja) 磁気処理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266328Y1 (ko) 자화수 제조장치
JP2003053348A (ja) 液体磁気処理装置
CN110462271A (zh) 管连接用接头
JP2001179263A (ja) 水処理具
US11952296B2 (en) Water purifier
WO1992010430A1 (en) Magnetic fluid conditioner
JPS6329013Y2 (ko)
KR20180047498A (ko) 이온화 장치
KR900001371B1 (ko) 자화(磁化)수 처리장치
KR20070075095A (ko) 자화육각수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