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198B1 -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 Google Patents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198B1
KR102199198B1 KR1020190143873A KR20190143873A KR102199198B1 KR 102199198 B1 KR102199198 B1 KR 102199198B1 KR 1020190143873 A KR1020190143873 A KR 1020190143873A KR 20190143873 A KR20190143873 A KR 20190143873A KR 102199198 B1 KR102199198 B1 KR 102199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unit
inner cylinder
ring
water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씨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씨엔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씨엔에이
Priority to KR102019014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01F5/005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을 지나가는 물에 대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수처리 기술로서, 물이 지나가는 배관의 제한된 유로 영역을 확보하면서도 그 배관을 지나가는 물이 자기장에 효과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물이 지나가는 유로를 감싸는 링 형태의 마그넷을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함에 따라 그 물을 자기장에 노출시키면서도 그 물이 흐르는 유로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통 유닛의 외표면에 구비된 복수의 링 마그넷과 더불어 내통 유닛의 내측에 스파이럴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내통 유닛 내의 물의 흐름을 회전시킴으로써 내통 유닛을 지나가는 물줄기가 균일하게 자기장의 영향에 노출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magnetization active water device of vortex type}
본 발명은 배관을 지나가는 물에 대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수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물이 지나가는 배관의 제한된 유로 영역을 확보하면서도 그 배관을 지나가는 물이 자기장에 효과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물이 지나가는 유로를 감싸는 링 형태의 마그넷을 유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함에 따라 그 물을 자기장에 노출시키면서도 그 물이 흐르는 유로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98886호 "자화수 제조장치"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81266호 "자석모듈이 구비된 유니버설 어댑터" (이하, '종래기술 2'라 함)를 참조하면, 보통 물이 지나가는 배관 내에 자석을 배치하면 그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자화수 또는 이온수가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자화수나 이온수를 효과적으로 생성하기 위해서는 그 물이 자기장의 영역에 골고루 노출되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위의 종래기술 1과 종래기술 2에서는 물이 지나가는 배관 내에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능한 길고 큰 타입의 자석봉이나 자석모듈을 배치함으로써 물이 자석 주변을 지나갈 때 좁은 유로를 지나가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그 자석봉이나 자석모듈의 배치로 인해 물이 흐르는 유로의 영역을 제한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본래 물이 흐르는 배관의 내경보다 충분히 큰 유로를 확보하여야 하지만 충분히 큰 유로를 확보한다는 것은 그 자석모듈 주변을 흐르는 물이 자기장의 영향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지나치는 확률이 높아진다는 또 다른 단점도 있다.
그에 따라, 물이 흐르는 본래 배관의 내경과 유사한 규격의 유로를 통해서도 그 물이 흐르는 유로 영역을 유지하고 아울러 그 물이 자기력에 효과적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흐르는 본래 배관의 규격을 유지하면서도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 물의 흐름 영역을 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흐르는 내통 유닛의 외부에 링 타입으로 마그넷을 설치하면서도 그 내통 유닛 내의 물에 대해 효과적으로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신의 일단부와 자신의 타단부가 물 배관에 연통 연결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로서,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하나의 물 배관(이하, '제 1 물 배관'이라 함)에 나사 결합되는 외통 유닛(110);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경이 외통 유닛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통 유닛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제 1 물 배관과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물 배관(이하, '제 2 물 배관'이라 함)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외통 유닛과 협동으로 제 1 물 배관과 제 2 물 배관 사이를 수밀유지하는 상태로 상호 연통시키는 내통 유닛(120); 내통 유닛의 외벽과 외통 유닛의 내벽 사이에 대응하는 내통 유닛의 외표면을 링 형태로 감싸되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자기력의 척력을 나타내도록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링 마그넷(130); 내통 유닛의 외벽과 외통 유닛의 내벽 사이에 대응하는 내통 유닛의 외표면을 링 형태로 감싸되 복수 개의 링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이상의 링 스페이서(140); 내통 유닛의 내측 중심에서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중심축 부재(151)와 중심축 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외향 돌출하되 중심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파이럴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내통 유닛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소용돌이 형태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하나이상의 스파이럴 날개부재(152)를 구비하는 스파이럴 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중심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축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는 자화성 금속바(160); 중심축 부재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스파이럴 날개부재의 외곽을 연결하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내통 유닛의 일단부에 고정됨에 따라 스파이럴 유닛을 내통 유닛에 고정시키는 스파이럴 고정링(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경이 외통 유닛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복수의 링 마그넷을 감싸는 형태로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링 마그넷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외통 유닛의 바깥쪽으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자력차폐 유닛(1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경이 외통 유닛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복수의 링 마그넷을 감싸는 형태로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링 마그넷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외통 유닛의 바깥쪽으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자력차폐 유닛(1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외통 유닛(110)은, 제 1 물 배관에 나사결합되는 자신의 일단부 내벽이 제 1 물 배관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탭핑된 암나사산 부재(111); 암나사산 부재와 인접하는 자신의 내벽에서 내통 유닛의 일단부가 끼워져 연결되도록 내향 돌출되는 중공형의 원반 리브(112);를 구비하고, 내통 유닛(120)은, 원반 리브에 대향하는 자신의 일단부가 외통 유닛의 내벽에 맞닿도록 외향하여 돌출되는 외향 플랜지(121);를 구비하며, 원반 리브에 대향하는 외통 유닛의 단부 내벽에 고정된 상태로 자력차폐 유닛의 외벽과 맞닿아 연결되는 중공형의 내통고정 플랜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내통고정 플랜지(180)는, 자신 몸체로부터 속이 빈 형태로 외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제 2 물 배관에 나사결합되는 자신의 외표면에 제 2 물 배관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수나사산이 탭핑된 나사결합 부재(181);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내통 유닛의 외벽과 외통 유닛의 내벽 사이에 대응하는 내통 유닛의 외표면을 링 형태로 감싸되 복수 개의 링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링 스페이서에 의해 자신의 좌우면이 링 마그넷과 구획되는 하나이상의 자화성 금속링(13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축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는 자화성 금속바(160)를 배제하고 원형바 마그넷(160')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때, 원형바 마그넷(160')은 중심축 부재(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축 부재(151)의 내측에 하나이상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이 흐르는 내통 유닛의 외표면에 대해 링 타입의 마그넷을 설치함에 따라 제한된 규격의 내통 유닛 내에서도 유로 영역을 제대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에 물의 흐름을 유지하는 내통 유닛의 외표면에 상호 자기력의 척력을 나타내는 복수의 링 마그넷을 배치함으로써 물이 흐르는 본래 배관의 규격을 유지하면서도 양호한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 물의 흐름 영역을 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내통 유닛의 외표면에 구비된 복수의 링 마그넷과 더불어 내통 유닛의 내측에 스파이럴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내통 유닛 내의 물의 흐름을 회전시킴으로써 내통 유닛을 지나가는 물줄기가 균일하게 자기장의 영향에 노출되도로 하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분리사시도 1,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분리사시도 2,
[도 4]는 [도 2]에서 내통 유닛, 링 마그넷, 링 스페이서를 발췌하여 분리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 내통 유닛, 링 마그넷, 링 스페이서를 발췌하여 분리한 도면,
[도 6]은 [도 2]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3]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도 6]의 각도에서 재구성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도 7]의 각도에서 재구성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는 물이 지나가는 배관에 장착되어 그 배관 내의 물이 자기장의 영역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배관의 이음부인 제 1 물 배관(210)과 제 2 물 배관(22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 1 물 배관(210)과 제 2 물 배관(220)을 잇는 패턴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가 [도 1]에서와 같이 [도 1]에서와 같이 제 1 물 배관(210)과 제 2 물 배관(220)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 1 물 배관(210)과 제 2 물 배관(220)을 경유하는 물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자기력에 노출될 수 있는지 아래에서의 [도 2]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 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분리사시도 1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분리사시도 2이고, [도 4]는 [도 2]에서 내통 유닛, 링 마그넷, 링 스페이서를 발췌하여 분리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서 내통 유닛, 링 마그넷, 링 스페이서를 발췌하여 분리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구성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자신의 일단부와 자신의 타단부가 물 배관에 연통 연결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로서, 외통 유닛(110), 내통 유닛(120), 링 마그넷(130), 링 스페이서(140), 스파이럴 유닛(150), 자화성 금속바(160), 스파이럴 고정링(170), 자력차폐 유닛(190), 내통고정 플랜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통 유닛(110)은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일단부가 [도 1]의 도시된 하나의 제 1 물 배관(210)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통 유닛(110)은 자신의 외경이 [도 1]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제 1 물 배관(210) 및 제 2 물 배관(220)의 외경과 유사하게 구성됨에 따라 기존 물 배관의 외형에 따른 설치 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외통 유닛(110)은 [도 2]와 [도 3],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암나사산 부재(111)와 원반 리브(112)를 구비할 수 있다.
암나사산 부재(111)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물 배관(210)에 나사결합되는 외통 유닛(110)의 일단부 내벽이 [도 1] 상의 제 1 물 배관(210)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탭핑될 수 있다.
원반 리브(112)는 [도 3],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암나사산 부재(111)와 인접하는 외통 유닛(110)의 내벽에서 내통 유닛(120)의 일단부가 끼워져 연결되도록 [도 3], [도 6], [도 7]에서와 같이 내향 돌출되고 이를 통해 중공형의 외통 유닛(110) 패턴을 그대로 유지한다.
내통 유닛(120)은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경이 외통 유닛(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통 유닛(110)의 내측에 삽입되되 [도 1] 상의 제 1 물 배관(210)과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물 배관인 [도 1] 상의 제 2 물 배관(220)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외통 유닛(110)과 협동으로 제 1 물 배관(210)과 제 2 물 배관(220) 사이를 수밀유지하는 상태로 상호 연통시킨다.
그리고, 내통 유닛(120)은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외향 플랜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외향 플랜지(121)는 원반 리브(112)에 대향하는 자신의 일단부가 외통 유닛(110)의 내벽에 맞닿도록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외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링 마그넷(130)은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의 외벽과 외통 유닛(110)의 내벽 사이에 대응하는 내통 유닛(120)의 외표면을 링 형태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링 마그넷(130)은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자기력의 척력을 나타내도록 복수 개가 상호 이격 배치된다.
이처럼, 복수의 링 마그넷(130)이 상호 척력을 나타내도록 이격 배치됨에 따라 각 링 마그넷(130)이 인접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이 넓게 퍼지게 되고 그렇게 넓게 퍼진 자기력이 내통 유닛(120)의 중심부까지 깊게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물줄기에 대해 그 물줄기의 중심부까지 최대한 균일하게 자기력의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링 스페이서(140)는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의 외벽과 외통 유닛(110)의 내벽 사이에 대응하는 내통 유닛(120)의 외표면을 링 형태로 감싸도록 구성되되 복수 개의 링 마그넷(130) 사이마다 하나이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링 스페이서(140)의 너비에 따라 복수 개의 링 마그넷(140) 간에 상호 작용으로 형성되는 척력이나 인력의 힘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각각의 링 마그넷(130) 상호 간에 척력을 나타내도록 설치된 경우 링 스페이서(140)의 너비가 작으면 작을수록 각 링 마그넷(130)의 간의 이격 거리가 넓어짐에 따라 해당 링 마그넷(130) 간의 척력도 강해질 것이다.
스파이럴 유닛(150)은 [도 2], [도 3],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중심축 부재(151)와 스파이럴 날개부재(15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축 부재(151)는 내통 유닛(120)의 내측 중심에서 내통 유닛(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 2], [도 3], [도 6], [도 7]에서와 같이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축 부재(151)는 내통 유닛(120) 내 유체 흐름 영역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도 2], [도 3], [도 6], [도 7]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의 내경보다 충분히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럴 날개부재(152)는 중심축 부재(151)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외향 돌출하되 [도 2], [도 3],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중심축 부재(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파이럴 형태로 하나이상 배치됨에 따라 내통 유닛(12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소용돌이 형태로 흐르도록 가이드한다.
자화성 금속바(160)는 중심축 부재(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축 부재(151)의 내측에 길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심축 부재(151)는 자화성 금속바(16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도 2], [도 3],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속이 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중심축 부재(151)에 자화성 금속바(160)가 끼워짐에 따라 복수의 링 마그넷(130)을 통해 형성되는 자기력은 자화성 금속바(160)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쉽게 퍼질 수 있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물줄기에 대해 그 물줄기의 중심부까지 최대한 균일하게 자기력의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자화성 금속바(160)은 자화(磁化)가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영구자석을 바 형태로 활용할 수도 있다.
스파이럴 고정링(170)은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중심축 부재(151)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스파이럴 날개부재(152)의 외곽을 연결하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내통 유닛(120)의 일단부 내측에 구비되는 원반 리브(112)에 고정됨에 따라 스파이럴 유닛(150)을 내통 유닛(12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자력차폐 유닛(190)은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경이 외통 유닛(1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복수의 링 마그넷(130)을 감싸는 형태로 내통 유닛(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자력차폐 유닛(190)은 복수의 링 마그넷(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외통 유닛(110)의 바깥쪽으로 전달됨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내통 유닛(120)의 일단부와 협동으로 스파이럴 고정링(170)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내통고정 플랜지(180)를 [도 2], [도 3], [도 6], [도 7]에서와 같이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내통고정 플랜지(180)는 [도 2], [도 3],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원반 리브(112)에 대향하는 외통 유닛(110)의 단부 내벽에 고정된 상태로 자력차폐 유닛(190)의 외벽과 맞닿아 연결되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내통고정 플랜지(180)는 나사결합 부재(181)를 구비하는데, 이 나사결합 부재(181)는 내통고정 플랜지(180)의 몸체로부터 속이 빈 형태로 외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도 1] 상의 제 2 물 배관(220)에 나사결합되는 자신의 외표면에 제 2 물 배관(220)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도 2], [도 3], [도 6], [도 7]에서와 같이 수나사산이 탭핑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자화성 금속링(13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화성 금속링(131)은 [도 2]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의 외벽과 외통 유닛(110)의 내벽 사이에 대응하는 내통 유닛(120)의 외표면을 링 형태로 감싸되 복수 개의 링 마그넷(13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링 스페이서(140)에 의해 자신의 좌우면이 링 마그넷(130)과 구획 배치된다.
자화성 금속링(131)은 바람직하게는 자화(磁化)가 가능한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인접하는 복수의 링 마그넷(130)의 자력에 의해 자화된다. 그 결과, 자화성 금속링(131)은 링 마그넷(130)에 의해 발생된 자력이 내통 유닛(120)의 내측 중심부로 향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자화성 금속링(131)은 일반적인 자화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면 되므로 영구자석인 링 마그넷(130)에 비해 단가는 저렴하지만 그 링 마그넷(130)이 담당하는 기능(예: 극성에 따른 자력 전달)과 동일한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때, 자화성 금속링(131)은 바 형태의 영구자석을 채택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도 6]의 각도에서 재구성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도 7]의 각도에서 재구성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서 [도 1] 상의 제 1 물 배관(210)과 연결되는 암나사산 부재(111)가 위치하는 부분의 외통 부재(110)가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외통 부재(110)의 일부분은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그 외표면에 나사산이 탭핑된 수나사산 부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나사산 부재(113)가 구현된 외통 유닛(110)은 [도 1] 상의 제 1 물 배관(210) 단부가 [도 1] 상의 제 2 물 배관(220) 단부와 같이 암사산으로 탭핑된 경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살펴 본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화성 금속바(160) 대신에 영구자석으로서의 원형바 마그넷(160')을 채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원형바 마그넷(160')은 중심축 부재(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축 부재(151)의 내측에 복수 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원형바 마그넷(160') 간의 사이에는 바 형태로 이루어진 별도의 원형바 스페이서(미도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중심축 부재(151)에 원형바 마그넷(160')이 복수 개 끼워짐에 따라 복수의 링 마그넷(130)을 통해 형성되는 자기력은 복수의 원형바 마그넷(160')이 위치하는 부분까지 쉽게 퍼질 수 있다.
이때, 링 마그넷(130) 표면에서의 자석세기는 대략 3000~5000 가우스가 되도록 복수의 링 스페이서(140)를 통한 링 마그넷(130)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와 함께 복수의 원형바 스페이서(미도시)를 통한 원형바 마그넷(160')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원형바 마그넷(160') 표면에서의 자석세기는 대략 2000 가우스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물줄기에 대해 그 물줄기의 중심부까지 최대한 균일하게 자기력의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100 : 본 발명에 따른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110 : 외통 유닛
111 : 암나사산 부재
112, 112' : 원반 리브
113 : 수나사산 부재
120 : 내통 유닛
121 : 외향 플랜지
130, 130' : 링 마그넷
131, 131' : 자화성 금속링
140, 140' : 링 스페이서
150 : 스파이럴 유닛
151 : 중심축 부재
152 : 스파이럴 날개부재
160, 160' : 자화성 금속바
170 : 스파이럴 고정링
171 : 고정 와샤
180 : 내통고정 플랜지
181 : 나사결합 부재
190 : 자력차폐 유닛
210 : 제 1 물 배관
220 : 제 2 물 배관

Claims (7)

  1. 자신의 일단부와 자신의 타단부가 물 배관에 연통 연결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로서,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하나의 물 배관(이하, '제 1 물 배관'이라 함)에 나사 결합되는 외통 유닛(110);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경이 상기 외통 유닛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외통 유닛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 1 물 배관과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물 배관(이하, '제 2 물 배관'이라 함)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외통 유닛과 협동으로 상기 제 1 물 배관과 상기 제 2 물 배관 사이를 수밀유지하는 상태로 상호 연통시키는 내통 유닛(120);
    상기 내통 유닛의 외벽과 상기 외통 유닛의 내벽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내통 유닛의 외표면을 링 형태로 감싸되 상기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자기력의 척력을 나타내도록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링 마그넷(130);
    상기 내통 유닛의 외벽과 상기 외통 유닛의 내벽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내통 유닛의 외표면을 링 형태로 감싸되 상기 복수 개의 링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며 자신의 양측방향에 위치하는 해당 링 마그넷 사이에서 자신 몸체의 너비에 따라 해당 링 마그넷 간의 척력에 대응하는 자기장 세기가 결정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링 스페이서(140);
    상기 내통 유닛의 외벽과 상기 외통 유닛의 내벽 사이에 대응하는 상기 내통 유닛의 외표면을 링 형태로 감싸되 상기 내통 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이상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링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링 스페이서에 의해 자신의 좌우면이 상기 링 마그넷과 구획 배치되며 상기 링 마그넷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을 상기 내통 유닛의 내측 중심부로 가이드하는 자화성 금속링(131);
    상기 내통 유닛의 내측 중심에서 상기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중심축 부재(151)와 상기 중심축 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외향 돌출하되 상기 중심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파이럴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내통 유닛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소용돌이 형태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하나이상의 스파이럴 날개부재(152)를 구비하는 스파이럴 유닛(150);
    상기 중심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심축 부재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링 마그넷을 통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화성 금속바(160);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경이 상기 외통 유닛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링 마그넷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링 마그넷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상기 외통 유닛의 바깥쪽으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자력차폐 유닛(19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 부재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스파이럴 날개부재의 외곽을 연결하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내통 유닛의 일단부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스파이럴 유닛을 상기 내통 유닛에 고정시키는 스파이럴 고정링(17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통 유닛(110)은,
    상기 제 1 물 배관에 나사결합되는 자신의 일단부 내벽이 상기 제 1 물 배관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탭핑된 암나사산 부재(111);
    상기 암나사산 부재와 인접하는 자신의 내벽에서 상기 내통 유닛의 일단부가 끼워져 연결되도록 내향 돌출되는 중공형의 원반 리브(112);
    를 구비하고,
    상기 내통 유닛(120)은,
    상기 원반 리브에 대향하는 자신의 일단부가 상기 외통 유닛의 내벽에 맞닿도록 외향하여 돌출되는 외향 플랜지(121);
    를 구비하며,
    상기 원반 리브에 대향하는 상기 외통 유닛의 단부 내벽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자력차폐 유닛의 외벽과 맞닿아 연결되는 중공형의 내통고정 플랜지(1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통고정 플랜지(180)는,
    자신 몸체로부터 속이 빈 형태로 외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물 배관에 나사결합되는 자신의 외표면에 상기 제 2 물 배관의 나사산에 대응하여 수나사산이 탭핑된 나사결합 부재(181);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KR1020190143873A 2019-11-11 2019-11-11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KR102199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73A KR102199198B1 (ko) 2019-11-11 2019-11-11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73A KR102199198B1 (ko) 2019-11-11 2019-11-11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198B1 true KR102199198B1 (ko) 2021-01-06

Family

ID=7412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73A KR102199198B1 (ko) 2019-11-11 2019-11-11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1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784U (ko) * 1993-04-08 1994-11-17 오환중 개량형 자화수기
KR0129402Y1 (ko) * 1994-07-20 1998-12-01 김석규 자화수 샤워기 헤드
US6752923B1 (en) * 1998-03-10 2004-06-22 Manfred Ernst Jans Permanent magnetic liquid treating device
KR20120136049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전원 자기 처리장치가 일체로 형성되는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KR102002936B1 (ko) * 2018-12-13 2019-10-01 더블유워터주식회사 자화활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784U (ko) * 1993-04-08 1994-11-17 오환중 개량형 자화수기
KR0129402Y1 (ko) * 1994-07-20 1998-12-01 김석규 자화수 샤워기 헤드
US6752923B1 (en) * 1998-03-10 2004-06-22 Manfred Ernst Jans Permanent magnetic liquid treating device
KR20120136049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전원 자기 처리장치가 일체로 형성되는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KR102002936B1 (ko) * 2018-12-13 2019-10-01 더블유워터주식회사 자화활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2852A (en) Magnetic device for treating hydrocarbon fuels
CN108028497B (zh) 电插头和插座组件
US5122277A (en) Magnetic conditioner for fluid flow line
KR830007114A (ko) 물처리 장치
KR102199198B1 (ko)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KR102170554B1 (ko)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KR101241310B1 (ko) 다기능성 자화육각수 공급장치
GB2128414A (en) Device for magnetic treatment of a fluid, particularly for water decalcification
KR102135697B1 (ko) 이온화 장치
US3889046A (en) Strain relief and grounding device for shielded electrical cables
KR101183765B1 (ko) 자석을 이용한 계량기 일체형 용수 처리장치
US20160129458A1 (en) Cleaning nozzle with eddy current brake system
KR101969911B1 (ko) 자화수 생성장치
GB1055134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agnetic filters
KR102301608B1 (ko) 듀얼 트위스트 타입의 회전체를 구비한 자화 활성수 장치
KR102099456B1 (ko)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JPH07809A (ja) 流体改質磁気処理装置
JP2003205292A (ja) 一般水道蛇口の吐水パイプの間に狭窄部のある磁気活性化装置
US20150008999A1 (en) Magnetic assembly
KR102226829B1 (ko) 수관 관통형 자화수기
US20060231474A1 (en) Fluid-magnetizing device
KR20200015205A (ko) 수관 관통형 자화수기
KR101709462B1 (ko) 자화수 제조장치
TW201533342A (zh) 轉動向阻力器
RU219884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гнитной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