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554B1 -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 Google Patents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554B1
KR102170554B1 KR1020200098400A KR20200098400A KR102170554B1 KR 102170554 B1 KR102170554 B1 KR 102170554B1 KR 1020200098400 A KR1020200098400 A KR 1020200098400A KR 20200098400 A KR20200098400 A KR 20200098400A KR 102170554 B1 KR102170554 B1 KR 102170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unit
inner cylinder
unit
ring
out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씨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씨엔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씨엔에이
Priority to KR102020009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01F5/0057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댁내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서로 상이한 이격 거리를 나타내는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 사이에서 그 각 체결부재 간의 상이한 이격 거리에도 불구하고 간편하게 그 각 체결부재 사이를 연결시키는 기술로서, 각 체결부재와 직접 연결되는 각 구성을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별개의 구성으로 채택하여 각 체결부재 사이의 이격 거리가 짧은 경우에도 간편하게 그 연결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내통 유닛의 내측에 배치된 스파이럴 회전유닛의 동작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제자리 회전하도록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magnetization active water device of shortness type equipping union as one body}
본 발명은 댁내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서로 상이한 이격 거리를 나타내는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 사이에서 그 각 체결부재 간의 상이한 이격 거리에도 불구하고 간편하게 그 각 체결부재 사이를 연결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각 체결부재와 직접 연결되는 각 구성을 사이즈 변경이 가능한 별개의 구성으로 채택하여 각 체결부재 사이의 이격 거리가 짧은 경우에도 간편하게 그 연결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댁내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댁내로 진입하는 배관이 설치되고 그 배관으로 진입하는 물의 양을 계량하기 위하여 물이 지나가는 배관에 별도의 수도계량기를 집집마다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도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은 외부의 공동 배관이 설치된 후 그 공동 배관으로부터 집집마다 물을 분류하는 분배 배관이 각 댁내의 진입 부분에 설치된 후 그 분배 배관의 최종 단부에 개별의 수도계량기가 설치된다.
즉, 수도계량기는 외부로부터 댁내로 진입하는 배관의 끝부분에 설치됨으로써 댁내로 진입하는 물의 양을 계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댁내의 배관을 설치하는 업자가 그 수도계량기가 설치된 분배 배관과 자신들이 설치하는 댁내의 배관을 연결함으로써 수도물을 댁내에 공급하기 위한 배관공사를 마칠 수 있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 사이에 장착되는데, 애초 댁내의 배관을 설치하는 업자의 설치 환경에 따라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 사이를 잇는 연결 배관은 그 길이와 전체적인 규격이 제각각일 수 밖에 없다.
그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 간의 이격 거리(예: 대략 5cm 내지 20cm)는 다양하기 때문에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 사이에 별도의 연결 수단(예: 본 발명)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그 길이 조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하지만, 자화 활성수 장치와 같이 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자체적으로 규격화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여야 하는 장치를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 간의 이격 거리(예: 대략 5cm 내지 20cm)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에 장착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일이 아니라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에 따라, 자화 활성수를 위한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환경(예: 다양한 규격의 이격 거리)에 적용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 설치된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와 기 설치된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 간의 다양한 이격 거리에도 불구하고 간편하게 연결이 가능한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공간과 길이의 배관을 따라 흐르는 물에 대해 자기력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신의 일단부와 자신의 타단부가 물 배관에 연통 연결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로서, 속이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물 배관의 볼트형 니플에 연결되는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유니언 암나사 부재에 끼워진 상태로 자신의 일단부가 유니언 암나사 부재에 걸쳐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자신의 타단부는 외표면에 외향내통 나사산(121)이 구비된 내통 유닛(120);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내경이 내통 유닛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자신의 내측에 내통 유닛을 삽입시킨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외통 유닛(130, 130'); 내통 유닛을 지나가는 물에 대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화 활성수 유닛(140); 내통 유닛의 내측에 내통 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내통 유닛을 지나가는 물의 흐름을 스파이럴 형태로 변화시키는 스파이럴 회전유닛(150); 속이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일단부 내표면에 형성된 내향 암나사산(161)을 구비함에 따라 외향내통 나사산과 나사결합되고 내향 암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외표면에 외향 돌출된 플랜지 부재(162)를 구비함에 따라 유니언 암나사 부재와 협동으로 외통 유닛과 자화 활성수 유닛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며 자신의 타단부 외표면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외향 수나사산(163)이 형성된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는, 볼트형 니플과 연결되는 자신의 일단부 내표면에 형성되어 볼트형 니플과 나사결합되는 니플 암나사산(111); 내통 유닛의 일단부가 걸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니플 암나사산에 인접한 자신의 내표면에 내향 돌출되는 내향플랜지 부재(112);를 구비할 수 있고, 내통 유닛(120)은, 내향플랜지 부재에 걸쳐짐에 따라 유니언 암나사 부재에 자신을 고정시키기 위해 자신의 일단부 외표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 제 1 외향플랜지 부재에 인접하는 자신의 외표면에 제 1 외향플랜지 부재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외향 돌출되되 외통 유닛의 일단부 내벽에 맞닿는 제 2 외향플랜지 부재(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내통 유닛(120)은, 제 1 외향플랜지 부재와 제 2 외향플랜지 부재에 대응하는 자신의 내경이 인접하는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외향 단턱부(124); 외향 단턱부에 대응하는 자신의 내벽에 나사결합을 위해 형성된 내향 암나사산(125);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은, 내통 유닛의 내측 중심에서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중심축 부재(151); 중심축 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외향 돌출하되 중심축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파이럴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내통 유닛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소용돌이 형태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하나이상의 스파이럴 날개부재(152); 중심축 부재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스파이럴 날개부재의 외곽을 연결하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되 외향 단턱부에 걸치는 규격으로 형성되는 스파이럴 고정링(15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중공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외향 단턱부에 나사결합되며 내통 유닛의 외부로부터 외향 단턱부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내통 유닛의 내측으로 출입하는 정도에 따라 외향 단턱부에 걸쳐진 상태의 스파이럴 고정링을 고정시키는 정도를 조정하는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내통 유닛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외통 유닛의 내측에 복수 개가 끼워지며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자기력의 척력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링 마그넷(141); 복수 개의 링 마그넷 사이에 링 형태로 배치되는 하나이상의 링 스페이서(142); 내통 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하나이상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링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링 스페이서에 의해 자신의 좌우면이 링 마그넷과 구획되며 링 마그넷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을 내통 유닛의 내측 중심부로 가이드하는 자화성 금속링(143); 중심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축 부재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복수 개의 링 마그넷을 통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화성 금속바(14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경이 외통 유닛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복수의 링 마그넷을 감싸는 형태로 외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링 마그넷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외통 유닛의 바깥쪽으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자력차폐 유닛(1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바 형태의 마그넷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축 부재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주변에 자력을 형성하는 마그넷 바(145');를 구비할 수 있고, 외통 유닛(130)은 마그넷 바에 의한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화성 금속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니언 암나사 부재와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를 외통 유닛의 양단부에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기 설치된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와 기 설치된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 간의 다양한 이격 거리에도 불구하고 간편하게 연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내통 유닛의 내측에 배치된 스파이럴 회전유닛의 동작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제자리 회전하도록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자화성 금속링과 자화성 금속바를 구비함에 따라 링 마그넷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을 해당 구간의 내통 유닛 내부를 향해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마그넷 바를 구비하고 외통 유닛을 자화성 금속체로 구성함에 따라 마그넷 바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이 해당 구간의 내통 유닛 내에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내통 유닛, 외통 유닛, 마그넷 바를 구비하는 제 2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기 설치된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와 기 설치된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 간의 이격 거리가 매우 짧은 경우에도 해당 구간에서 효과적으로 자기력을 발생시키면서도 그 장착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좌측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우측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좌측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우측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도 3]의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도 7]의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는 수도계량기로부터 댁내로 진입하는 배관과의 사이에 장착되어 그 수도계량기로부터 댁내로 진입하는 물이 자기장 영역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 사이에 배치되며, 본 발명이 그 각각의 체결부재(210, 220) 사이에서 연결될 때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 간의 연결 거리가 환경에 따라 상이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지 아래의 [도 2] 내지 [도 9]를 통해 살펴 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좌측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우측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자신의 일단부와 자신의 타단부가 각각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 사이를 연결시키는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100)로서,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 내통 유닛(120), 외통 유닛(130), 자화 활성수 유닛(140), 스파이럴 회전유닛(150),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 자력차폐 유닛(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속이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물 배관의 볼트형 니플(미도시)인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니플 암나사산(111)과 내향플랜지 부재(112)를 구비할 수 있다.
니플 암나사산(111)은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볼트형 니플인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과 연결되는 자신의 일단부 내표면에 형성되어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내향플랜지 부재(112)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의 일단부가 걸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니플 암나사산(111)에 인접한 자신의 내표면에 내향 돌출될 수 있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이 [도 3] 상의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의 좌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끼워지는 경우 내통 유닛(120)에 형성된 제 1 외형플랜지 부재(122)가 내향플랜지 부재(11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내통 유닛(120)의 다른 쪽 단부는 [도 5]에서와 같이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내통 유닛(120)은 자신의 양단부가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와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에 의해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는 그 길이가 다양한 사이즈로 구비됨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가 이루는 다양한 사이즈의 이격 거리에 대해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의 길이 규격은 외향 수나사산(163)의 길이를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함으로써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내통 유닛(120)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끼워진 상태로 자신의 일단부가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걸쳐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통 유닛(120)은 자신의 타단부 외표면에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외향내통 나사산(121)을 구비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외향내통 나사산(121)이 [도 3]과 [도 5] 상의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에 구비되는 외향 수나사산(16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통 유닛(120)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 제 2 외향플랜지 부재(123), 외향 단턱부(124), 내향 암나사산(12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내향플랜지 부재(112)에 걸쳐짐에 따라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자신을 고정시키기 위해 자신의 일단부 외표면에 외향 돌출될 수 있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이 [도 4] 상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는 경우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가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의 내향플랜지 부재(112)에 걸림에 따라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대응하는 내통 유닛(120)의 일단부가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 외향플랜지 부재(123)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에 인접하는 자신의 외표면에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외향 돌출되되 외통 유닛(130)의 일단부 내벽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외통 유닛(130)은 그 양단부가 제 2 외향플랜지 부재(123)와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의 플랜지 부재(162)에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외향 단턱부(124)는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와 제 2 외향플랜지 부재(123)에 대응하는 자신의 내경이 인접하는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의 내측에서 [도 3]과 [도 4] 상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는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의 스파이럴 고정링(153)이 외향 단턱부(124)에 안착된 상태로 그 내통 유닛(120)의 내벽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내통 유닛(120)의 내측으로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물이 흐르면 스파이럴 고정링(153)이 외향 단턱부(124)에 안착된 상태로 스파이럴 날개부재(152)의 방향성에 따라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은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내통 유닛(120)의 내측을 지나가는 물의 흐름이 멈추거나 느린 경우에는 그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이 [도 3] 상의 왼쪽 방향으로 빠져나올 수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외향 단턱부(124)에는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이 나사결합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내향 암나사산(125)이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외향 단턱부(124)에 대응하는 자신의 내벽에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과의 나사결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이 내향 암나사산(125)과의 나사결합시 끝까지 회전하여 자신의 측벽이 스파이럴 고정링(153)의 측벽을 밀착하는 경우에는 스파이럴 고정링(153)이 내통 유닛(120)의 내벽에 밀착되어 제자리 움직임도 제한된다.
이 경우에는 댁내의 물 사용량이 매우 많은 경우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이 제자리 회전할 필요없이 스파이럴 날개부재(152)의 형상에 따라 물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적합할 것이다.
하지만, 댁내의 물 사용량이 그리 많지 않거나 물의 흐름이 약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이 내통 유닛(120)의 내측에서 물의 흐름에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구간을 지나가는 물에 대해 자기력의 노출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을 내향 암나사산(125)에 대해 끝까지 나사결합시키지 않고 내향 암나사산(125)의 초입 부분이나 중간 부분까지만 나사결합시켜 스파이럴 고정링(153)을 고립시키지 않음으로써 내통 유닛(120) 내의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이 물의 흐름에 따라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외통 유닛(130)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내경이 내통 유닛(1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자신의 내측에 내통 유닛(120)을 삽입시킨 상태로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외통 유닛(130)은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외통부재(131)와 제 2 외통부재(132)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외통부재(131)와 제 2 외통부재(132)는 각각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이중관이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절개된 각각의 이중관인 제 1 외통부재(131)와 제 2 외통부재(132)의 각 단부가 맞닿도록 연결함에 따라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에 링 마그넷(141), 링 스페이서(142), 자화성 금속링(143)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외통부재(131)와 제 2 외통부재(132) 간의 연결은 [도 3]과 [도 5]에서와 같이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외통 유닛(130), 링 마그넷(141), 링 스페이서(142), 자화성 금속링(143)은 [도 3]에서와 같이 하나의 모듈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통 유닛(130)의 내측에 삽입되는 링 마그넷(141), 링 스페이서(142), 자화성 금속링(143)의 개수를 적게하는 경우라면 외통 유닛(130)의 길이를 작게 제작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라면 외통 유닛(13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외통 유닛(130)에 [도 3]에서와 같이 배치되는 최소한의 링 마그넷(141), 링 스페이서(142), 자화성 금속링(143)이 구비된 경우를 가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화 활성수 장치(100)를 최대한으로 작게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규격으로의 제작이 용이한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의 구성이 중요하다.
한편,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을 지나가는 물에 대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링 마그넷(141), 링 스페이서(142), 자화성 금속링(143), 자화성 금속바(144)를 구비할 수 있다.
링 마그넷(141)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외통 유닛(130)의 내측에 복수 개가 끼워지며 내통 유닛(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링 마그넷(141)은 복수 개가 서로 자기력의 척력을 나타내도록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링 마그넷(141)이 서로 척력을 나타내도록 이격 배치됨에 따라 각 링 마그넷(141)이 인접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이 넓게 퍼지게 되고 그렇게 넓게 퍼진 자기력이 내통 유닛(120)의 중심부까지 깊게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자화성 금속링(143)이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이상 배치될 수 있는데, 자화성 금속링(143)은 복수의 링 마그넷(14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링 스페이서(142)에 의해 자신의 좌우면이 링 마그넷(141)과 구획될 수 있으며 링 마그넷(141)에 의해 내통 유닛(120)의 측방으로 발생되는 자력을 내통 유닛(120)의 내측 중심부로 가이드한다.
그리고, 링 스페이서(142)는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링 마그넷(141) 사이에 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링 스페이서(142)는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외통 유닛(130)의 내부에 링 형태로 배치되되 복수 개의 링 마그넷(141) 사이마다 하나이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링 스페이서(142)의 너비에 따라 복수 개의 링 마그넷(141) 간에 상호 작용으로 형성되는 척력이나 인력의 힘을 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각각의 링 마그넷(141) 상호 간에 척력을 나타내도록 설치된 경우 링 스페이서(142)의 너비가 작으면 작을수록 각 링 마그넷(141)의 간의 이격 거리가 넓어짐에 따라 해당 링 마그넷(141) 간의 척력도 강해질 것이다.
자화성 금속바(144)는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중심축 부재(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축 부재(151)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복수 개의 링 마그넷(141)을 통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자화된다.
자화성 금속바(144)는 중심축 부재(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축 부재(151)의 내측에 길게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심축 부재(151)는 자화성 금속바(144)가 끼워질 수 있도록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속이 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중심축 부재(151)에 자화성 금속바(144)가 끼워짐에 따라 복수의 링 마그넷(141)을 통해 형성되는 자기력은 자화성 금속바(144)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쉽게 퍼질 수 있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의 내부를 흐르는 물의 물줄기에 대해 그 물줄기의 중심부까지 최대한 균일하게 자기력의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자화성 금속바(144)는 자화(磁化)가 가능한 금속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영구자석을 바 형태로 활용할 수도 있다.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의 내측에 내통 유닛(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내통 유닛(120)을 지나가는 물의 흐름을 스파이럴 형태로 변화시킨다.
이를 위해,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은 바람직하게는 비자성체인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의 내측 중심에서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다.
스파이럴 날개부재(152)는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중심축 부재(151)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외향 돌출하되 중심축 부재(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파이럴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내통 유닛(12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소용돌이 형태로 흐르도록 가이드한다.
스파이럴 고정링(153)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중심축 부재(151)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스파이럴 날개부재(152)의 외곽을 연결하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되 [도 4]에서와 같이 외향 단턱부(124)에 걸치는 규격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내통 유닛(120)의 내측에서 [도 3]과 [도 4] 상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이 끼워지면 스파이럴 고정링(153)이 외향 단턱부(124)에 안착된 상태로 그 내통 유닛(120)의 내벽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내통 유닛(120)의 내측으로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물이 흐르면 스파이럴 고정링(153)이 외향 단턱부(124)에 안착된 상태로 스파이럴 날개부재(152)의 방향성에 따라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은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내통 유닛(120)의 내측을 지나가는 물의 흐름이 멈추거나 느린 경우에는 그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이 [도 3] 상의 왼쪽 방향으로 빠져나올 수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외향 단턱부(124)에는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이 나사결합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내향 암나사산(125)이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과의 나사결합을 위해 외향 단턱부(124)에 대응하는 자신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이 내향 암나사산(125)과의 나사결합시 끝까지 나선상으로 회전하여 자신의 측벽이 스파이럴 고정링(153)의 측벽을 밀착하는 경우에는 스파이럴 고정링(153)이 내통 유닛(120)의 내벽에 밀착되어 제자리 움직임도 제한될 것이다.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는 [도 3]과 [도 5]에서와 같이 속이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일단부 내표면에 형성된 내향 암나사산(161)을 구비함에 따라 외향내통 나사산(121)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는 내향 암나사산(125)이 형성된 부분의 외표면에 외향 돌출된 플랜지 부재(162)를 구비함에 따라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와 협동으로 자화 활성수 유닛(140)을 탑재한 외통 유닛(130)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는 자신의 타단부 외표면에 [도 3]과 [도 5]에서와 같이 나사결합을 위한 외향 수나사산(16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향 수나사산(163)에는 외부 배관과의 연결을 위한 [도 1] 상의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중공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외향 단턱부(124)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은 내통 유닛(120)의 외부로부터 외향 단턱부(124)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의 내측으로 출입하는 정도에 따라 외향 단턱부(124)에 걸쳐진 상태의 스파이럴 고정링(153)을 고정시키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이 내향 암나사산(125)과의 나사결합에 따라 외향 단턱부(124)의 내측으로 진입하면 할수록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의 측벽이 자신과 마주하는 스파이럴 고정링(153)의 측벽을 밀착하여 그 스파이럴 고정링(153)을 외향 단턱부(124)에 고립시킴에 따라 결과적으로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은 내통 유닛(120)의 내측에서 제자리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자력차폐 유닛(180)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경이 외통 유닛(13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복수의 링 마그넷(141)을 감싸는 형태로 외통 유닛(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자력차폐 유닛(180)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외통부재(131)와 제 2 외통부재(132)가 형성하는 공간에 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자력차폐 유닛(180)은 링 마그넷(141), 링 스페이서(142), 자화성 금속링(143)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자력차폐 유닛(180)은 링 마그넷(141), 링 스페이서(142), 자화성 금속링(143)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자력차폐 유닛(180)은 복수의 링 마그넷(141)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외통 유닛(130)의 바깥쪽으로 전달됨을 차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좌측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우측 일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자신의 일단부와 자신의 타단부가 각각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 사이를 연결시키는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100)로서,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 내통 유닛(120), 외통 유닛(130'), 자화 활성수 유닛(140), 스파이럴 회전유닛(150),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는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속이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물 배관의 볼트형 니플(미도시)인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는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니플 암나사산(111)과 내향플랜지 부재(112)를 구비할 수 있다.
니플 암나사산(111)은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볼트형 니플인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과 연결되는 자신의 일단부 내표면에 형성되어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내향플랜지 부재(112)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내통 유닛(120)의 일단부가 걸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니플 암나사산(111)에 인접한 자신의 내표면에 내향 돌출될 수 있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이 [도 7] 상의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의 좌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끼워지는 경우 내통 유닛(120)에 형성된 제 1 외형플랜지 부재(122)가 내향플랜지 부재(11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내통 유닛(120)의 다른 쪽 단부는 [도 9]에서와 같이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내통 유닛(120)은 자신의 양단부가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와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에 의해 [도 6]와 [도 7]에서와 같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는 그 길이가 다양한 사이즈로 구비됨에 따라 [도 1]에서와 같이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210)와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220)가 이루는 다양한 크기의 이격 거리에 대해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의 길이 규격은 외향 수나사산(163)의 길이를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함으로써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내통 유닛(120)은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끼워진 상태로 자신의 일단부가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걸쳐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통 유닛(120)은 자신의 타단부 외표면에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외향내통 나사산(121)을 구비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외향내통 나사산(121)이 [도 7]과 [도 9] 상의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에 구비되는 외향 수나사산(16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통 유닛(120)은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 제 2 외향플랜지 부재(123), 외향 단턱부(124), 내향 암나사산(12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내향플랜지 부재(112)에 걸쳐짐에 따라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자신을 고정시키기 위해 자신의 일단부 외표면에 외향 돌출될 수 있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이 [도 8] 상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는 경우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가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의 내향플랜지 부재(112)에 걸림에 따라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대응하는 내통 유닛(120)의 일단부가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 외향플랜지 부재(123)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에 인접하는 자신의 외표면에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외향 돌출되되 외통 유닛(130')의 일단부 내벽에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외통 유닛(130)은 그 양단부가 제 2 외향플랜지 부재(123)와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의 플랜지 부재(162)에 맞물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외향 단턱부(124)는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와 제 2 외향플랜지 부재(123)에 대응하는 자신의 내경이 인접하는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내통 유닛(120)의 내측에서 [도 7]과 [도 8] 상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는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의 스파이럴 고정링(153)이 외향 단턱부(124)에 안착된 상태로 그 내통 유닛(120)의 내벽에 걸려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내통 유닛(120)의 내측으로 [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물이 흐르면 스파이럴 고정링(153)이 외향 단턱부(124)에 안착된 상태로 스파이럴 날개부재(152)의 방향성에 따라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은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내통 유닛(120)의 내측을 지나가는 물의 흐름이 멈추거나 느린 경우에는 그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이 [도 7] 상의 왼쪽 방향으로 빠져나올 수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외향 단턱부(124)에는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이 나사결합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내향 암나사산(125)이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외향 단턱부(124)에 대응하는 자신의 내벽에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과의 나사결합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이 내향 암나사산(125)과의 나사결합시 끝까지 회전하여 자신의 측벽이 스파이럴 고정링(153)의 측벽을 밀착하는 경우에는 스파이럴 고정링(153)이 내통 유닛(120)의 내벽에 밀착되어 제자리 움직임도 제한된다.
이 경우에는 댁내의 물 사용량이 매우 많은 경우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이 제자리 회전할 필요없이 스파이럴 날개부재(152)의 형상에 따라 물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적합할 것이다.
하지만, 댁내의 물 사용량이 그리 많지 않거나 물의 흐름이 약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이 내통 유닛(120)의 내측에서 물의 흐름에 연동하여 제자리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구간을 지나가는 물에 대해 자기력의 노출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을 내향 암나사산(125)에 대해 끝까지 나사결합시키지 않고 내향 암나사산(125)의 초입 부분이나 중간 부분까지만 나사결합시켜 스파이럴 고정링(153)을 고립시키지 않음으로써 내통 유닛(120) 내의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이 물의 흐름에 따라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외통 유닛(130')은 [도 6]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내경이 내통 유닛(12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자신의 내측에 내통 유닛(120)을 삽입시킨 상태로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외통 유닛(130')은 바람직하게는 마그넷 바(145')에 의한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화성 금속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마그넷 바(145')로부터 발생하는 자기력이 내통 유닛(120)의 해당 구간에서 전범위로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게 된다.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내통 유닛(120)을 지나가는 물에 대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며, 이를 위해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마그넷 바(145')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마그넷 바(145')는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바 형태의 마그넷으로 이루어지고 중심축 부재(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심축 부재(151)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주변에 자력을 형성한다.
한편, 외통 유닛(130')은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단일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외통 유닛(130)이 자신의 내측에 최소한의 자화 활성수 유닛(140)인 링 마그넷(141), 링 스페이서(142), 자화성 금속링(143)을 구비함에 따라 최소한의 규격을 유지하여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외통 유닛(13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외통 유닛(130)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은 길이의 유닛을 구현하기가 수월하다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도 3]의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도 3]에서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화 활성수 유닛(140)의 구성 중에서 자화성 금속바(144)를 대신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중심축 부재(151)의 내측에 하나이상의 마그넷(146), 하나이상의 스페이서(147), 하나이상의 자성체(14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축 부재(151)의 출입구 부분에는 그 중심축 부재(151)의 내외부를 차단하여 수밀유지하는 마개가 [도 10]에서와 같이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도 10]에서와 같이 중심축 부재(151)의 외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단면이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에 의해 도넛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그 물의 중심부와 외표면에 동시에 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를 [도 7]의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도 7]에서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화 활성수 유닛(140)의 구성 중에서 마그넷 바(145')를 대신하여 [도 11]에서와 같이 중심축 부재(151)의 내측에 하나이상의 마그넷(146'), 하나이상의 스페이서(147'), 하나이상의 자성체(14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도, 중심축 부재(151)의 출입구 부분에는 그 중심축 부재(151)의 내외부를 차단하여 수밀유지하는 마개가 [도 11]에서와 같이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는 [도 11]에서와 같이 중심축 부재(151)의 외표면을 따라 흐르는 물의 단면이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에 의해 도넛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제 4 실시예에 따른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상대적으로 자화되기 어려운 그 물의 중심부로부터 외향하여 자기력을 형성할 수도 있다.
100 : 본 발명에 따른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110 : 유니언 암나사 부재
111 : 니플 암나사산
112 : 내향플랜지 부재
120 : 내통 유닛
121 : 외향내통 나사산
122 : 제 1 외향플랜지 부재
123 : 제 2 외향플랜지 부재
124 : 외향 단턱부
125 : 내향 암나사산
130, 130' : 외통 유닛
131 : 제 1 외통부재
132 : 제 2 외통부재
140 : 자화 활성수 유닛
141 : 링 마그넷
142 : 링 스페이서
143 : 자화성 금속링
144 : 자화성 금속바
145' : 마그넷 바
146, 146' : 마그넷
147, 147' : 스페이서
148, 148' : 자성체
150 : 스파이럴 회전유닛
151 : 중심축 부재
152 : 스파이럴 날개부재
153 : 스파이럴 고정링
160 :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
161 : 내향 암나사산
162 : 플랜지 부재
163 : 외향 수나사산
170 :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
180 : 자력차폐 유닛
210 : 수도계량기 방향 배관 체결부재
220 : 댁내 방향 배관 체결부재

Claims (6)

  1. 자신의 일단부와 자신의 타단부가 물 배관에 연통 연결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로서,
    속이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물 배관의 볼트형 니플에 연결되는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니언 암나사 부재에 끼워진 상태로 자신의 일단부가 상기 유니언 암나사 부재에 걸쳐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자신의 타단부는 외표면에 외향내통 나사산(121)이 구비된 내통 유닛(120);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내경이 상기 내통 유닛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자신의 내측에 상기 내통 유닛을 삽입시킨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외통 유닛(130, 130');
    상기 내통 유닛을 지나가는 물에 대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화 활성수 유닛(140);
    상기 내통 유닛의 내측에 상기 내통 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상기 내통 유닛을 지나가는 물의 흐름을 스파이럴 형태로 변화시키는 스파이럴 회전유닛(150);
    속이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일단부 내표면에 형성된 내향 암나사산(161)을 구비함에 따라 상기 외향내통 나사산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내향 암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외표면에 외향 돌출된 플랜지 부재(162)를 구비함에 따라 상기 유니언 암나사 부재와 협동으로 상기 외통 유닛과 상기 자화 활성수 유닛의 현재 위치를 고정시키며 자신의 타단부 외표면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외향 수나사산(163)이 형성된 플랜지형 수나사 부재(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니언 암나사 부재(110)는,
    상기 볼트형 니플과 연결되는 자신의 일단부 내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형 니플과 나사결합되는 니플 암나사산(111);
    상기 내통 유닛의 일단부가 걸쳐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니플 암나사산에 인접한 자신의 내표면에 내향 돌출되는 내향플랜지 부재(112);
    를 구비하고,
    상기 내통 유닛(120)은,
    상기 내향플랜지 부재에 걸쳐짐에 따라 상기 유니언 암나사 부재에 자신을 고정시키기 위해 자신의 일단부 외표면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외향플랜지 부재(122);
    상기 제 1 외향플랜지 부재에 인접하는 자신의 외표면에 상기 제 1 외향플랜지 부재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외향 돌출되되 상기 외통 유닛의 일단부 내벽에 맞닿는 제 2 외향플랜지 부재(123);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통 유닛(120)은,
    상기 제 1 외향플랜지 부재와 상기 제 2 외향플랜지 부재에 대응하는 자신의 내경이 인접하는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외향 단턱부(124);
    상기 외향 단턱부에 대응하는 자신의 내벽에 나사결합을 위해 형성된 내향 암나사산(125);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파이럴 회전유닛(150)은,
    상기 내통 유닛의 내측 중심에서 상기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중심축 부재(151);
    상기 중심축 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외향 돌출하되 상기 중심축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파이럴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내통 유닛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소용돌이 형태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하나이상의 스파이럴 날개부재(152);
    상기 중심축 부재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스파이럴 날개부재의 외곽을 연결하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향 단턱부에 걸치는 규격으로 형성되는 스파이럴 고정링(153);
    을 구비하며,
    중공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외향 단턱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내통 유닛의 외부로부터 상기 외향 단턱부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내통 유닛의 내측으로 출입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외향 단턱부에 걸쳐진 상태의 상기 스파이럴 고정링을 고정시키는 정도를 조정하는 스파이럴 고정나사 유닛(17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상기 내통 유닛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상기 외통 유닛의 내측에 복수 개가 끼워지며 상기 내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자기력의 척력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링 마그넷(141);
    상기 복수 개의 링 마그넷 사이에 링 형태로 배치되는 하나이상의 링 스페이서(142);
    상기 내통 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하나이상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상기 링 마그넷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링 스페이서에 의해 자신의 좌우면이 상기 링 마그넷과 구획되며 상기 링 마그넷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을 상기 내통 유닛의 내측 중심부로 가이드하는 자화성 금속링(143);
    상기 중심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심축 부재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링 마그넷을 통해 형성되는 자기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화성 금속바(144);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자신의 외경이 상기 외통 유닛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링 마그넷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통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링 마그넷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이 상기 외통 유닛의 바깥쪽으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자력차폐 유닛(18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화 활성수 유닛(140)은,
    바 형태의 마그넷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축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중심축 부재의 내측에 삽입됨에 따라 주변에 자력을 형성하는 마그넷 바(145');
    를 구비하고,
    상기 외통 유닛(130')은 상기 마그넷 바에 의한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자화성 금속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KR1020200098400A 2020-08-06 2020-08-06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KR102170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400A KR102170554B1 (ko) 2020-08-06 2020-08-06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400A KR102170554B1 (ko) 2020-08-06 2020-08-06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554B1 true KR102170554B1 (ko) 2020-10-27

Family

ID=7313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400A KR102170554B1 (ko) 2020-08-06 2020-08-06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608B1 (ko) * 2021-02-04 2021-09-13 주식회사 에코씨엔에이 듀얼 트위스트 타입의 회전체를 구비한 자화 활성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402Y1 (ko) * 1994-07-20 1998-12-01 김석규 자화수 샤워기 헤드
US6752923B1 (en) * 1998-03-10 2004-06-22 Manfred Ernst Jans Permanent magnetic liquid treating device
KR101969911B1 (ko) * 2017-11-21 2019-04-17 주식회사 큐브 자화수 생성장치
KR102002936B1 (ko) * 2018-12-13 2019-10-01 더블유워터주식회사 자화활수기
KR102132634B1 (ko) * 2019-05-17 2020-07-10 비앤비코포레이션 주식회사 버블 자화수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402Y1 (ko) * 1994-07-20 1998-12-01 김석규 자화수 샤워기 헤드
US6752923B1 (en) * 1998-03-10 2004-06-22 Manfred Ernst Jans Permanent magnetic liquid treating device
KR101969911B1 (ko) * 2017-11-21 2019-04-17 주식회사 큐브 자화수 생성장치
KR102002936B1 (ko) * 2018-12-13 2019-10-01 더블유워터주식회사 자화활수기
KR102132634B1 (ko) * 2019-05-17 2020-07-10 비앤비코포레이션 주식회사 버블 자화수 생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608B1 (ko) * 2021-02-04 2021-09-13 주식회사 에코씨엔에이 듀얼 트위스트 타입의 회전체를 구비한 자화 활성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6092A (en) Coaxial hydromagnetic device for hydraulic circuits containing calcium and magnesium ions
KR102170554B1 (ko) 유니언 일체 방식의 쇼트형 자화 활성수 장치
US3951807A (en) Water conditioning apparatus
US5122277A (en) Magnetic conditioner for fluid flow line
US6752923B1 (en) Permanent magnetic liquid treating device
KR101624297B1 (ko) 자화수 생성장치
US5094742A (en) Magnetic water conditioning shower arm
GB2257932A (en) Magnetic water conditioning device
KR102199198B1 (ko) 와선형 자화 활성수 장치
US5221471A (en) Tool for magnetic treatment of water
KR101969911B1 (ko) 자화수 생성장치
KR101914975B1 (ko) 전자기장을 이용한 강관 내부 부식 방지장치
KR0129402Y1 (ko) 자화수 샤워기 헤드
KR950004166B1 (ko) 유동 액체의 자기처리장치
CN207778814U (zh) 磁化水热水器及供水设备
JP3178662B2 (ja) 磁気水処理装置
KR102099456B1 (ko) 수도미터기 부품형 자화수기
US20060231474A1 (en) Fluid-magnetizing device
US20220055925A1 (en) Water purifier
RU213078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магничивания лекарственной жидкости, помещенной в сосуд
CN218494435U (zh) 一种能同时连接两条管道的接头装置
JPS59189990A (ja) 水処理装置
KR102138658B1 (ko) 자화수 생성장치
TWI667204B (zh) 磁化流體生成方法
KR102301608B1 (ko) 듀얼 트위스트 타입의 회전체를 구비한 자화 활성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