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251B1 -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251B1
KR102099251B1 KR1020180098072A KR20180098072A KR102099251B1 KR 102099251 B1 KR102099251 B1 KR 102099251B1 KR 1020180098072 A KR1020180098072 A KR 1020180098072A KR 20180098072 A KR20180098072 A KR 20180098072A KR 102099251 B1 KR102099251 B1 KR 102099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powder
water
mixture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212A (ko
Inventor
이충우
김현아
이미수
전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8009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2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7Rhodophycota or Rhodophyta [red algae], e.g. Porphy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시마와 불등풀가사리를 함유하는 해조혼합 발효물과 이 해조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다시마 분말과 불등풀가사리 분말을 동량 혼합한 해조혼합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함으로써, 항산화 기능과 피부보습 기능 및 노화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시마와 불등풀가사리를 함유하는 해조혼합 발효물은 다시마와 불등풀가사리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CTC3603)를 이용하여 발효하여 수득된다. 이러한 해조혼합 발효물은 DPPH 라디컬 소거능이 우수함은 물론,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및 GABA(gama-amino butyric acid)) 같은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하는 경우 항산화, 보습 효능 및 안티에이징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Manufacturing algae fermented complex using lactatobacillus sakei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시마와 불등풀가사리를 함유하는 해조혼합 발효물과 이 해조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시마 분말과 불등풀가사리 분말을 동량 혼합한 해조혼합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함으로써, 항산화 기능과 피부보습 기능 및 노화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해조혼합 발효물을 수득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조직은 표피층, 진피층, 피하지방층으로 나뉘며, 표피는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가시층, 기저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진피는 표피 아래에 있는 결합조직으로 유두층과 세망층(망상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표피층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세균의 침입과 견인력, 장력, 기계적 자극으로부터 보호해줌과 더불어, 수분의 증발을 막아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해 준다.
진피층은 많은 모세혈관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혈관은 수축과 확장을 통해 열손실을 조절하고 에크린땀샘을 통해 체온을 조절하며 피지샘에 분비되는 지방으로 피부를 윤활하게 유지해 준다. 또한, 진피 조직 내의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은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섬유 조직이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표피층의 수분함량이 10% 이하로 줄어들게 되면 피부가 갈라지는 건조피부가 발생한다.
건조 피부의 병인은 아직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피부 및 전신 질환이나 위생, 환경 및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표피지질 성분의 조성 변화와 경피수분손실 증가, 유해한 성분 흡수에 대한 저지력 감소를 통한 피부 장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각질층에 변화 등이 건조 피부의 발생 조건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국은 가장 빠른 고령사회 진입 예정국으로서 노령 인구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른 노화 관련 시장 및 다양한 산업의 증대가 예상되며, 노화 관련 시장이 20~30대의 젊은 세대부터 중장년층까지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피부노화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내인성 노화 (intrinsic aging)로서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피할 수 없는 노화 현상을 말한다. 두 번째는 광노화 (photoaging)로서 오랫동안 햇빛에 노출된 얼굴, 손, 등, 목뒤 등의 피부에서 관찰되는 노화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내인성 노화 현상과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합쳐진 결과로 발생한다.
한편, 해조는 바다에 사는 조류로써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 남조류 등으로 분류되며 한국의 경우 약 500 여종이 밝혀져 있고 이 중 50 종만이 식용으로 사용된다.
해조는 광합성에 필요한 광선에 따라 해조의 서식하는 수심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적색광은 얕은 곳에서 소멸되고 청록색은 깊은 곳까지 들어갈 수 있어, 녹조류는 비교적 얕고 밝은 장소에서 서식하며 갈조류 및 홍조류는 차례대로 점차 깊고 어두운 곳에서 서식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해조는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낮고 탄수화물은 소화율이 낮아서 영양가는 적지만, 칼륨·아이오딘·칼슘 등 각종 무기염류와 비타민 A, C 등의 함량이 높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함량 저하, 혈압강하, 동맥경화 예방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있다.
최근에는 많은 연구들을 통해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해조와 같은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산화효과, 피부보습 및 피부노화방지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한국등록특허 제10-1571792호 (명칭: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천연 해조류를 이용하여 생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산화 기능과 피부보습 기능 및 노화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해조혼합 발효물과, 이 해조혼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시마 분말과 불등풀가사리 분말 및 감자 분말을 동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해조혼합 분말을 제조하고, 해조혼합 분말과 물을 3:9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해조혼합분말 수용액을 제조하며, 해조혼합분말 수용액에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109 내지 1010 cfu/ml 농도가 되도록 접종한 후, 20℃ 내지 40℃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다시마 분말과 불등풀가사리 분말 및 감자 분말을 동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해조혼합 분말을 제조하고, 해조혼합 분말과 물을 3:9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해조혼합분말 수용액을 제조하며, 해조혼합분말 수용액에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109 내지 1010 cfu/ml 농도가 되도록 접종한 후, 20℃ 내지 40℃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켜 수득되는 해조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해조혼합 발효물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01 내지 8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삭제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유연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수중유(O/W) 또는 유중수(W/O)형의 에멀젼, 페이스크성 또는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 분산물,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형태의 지질 소포체의 형태,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보디오일,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치크칼라, 아이브로우펜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시마 분말 또는 미역 분말과 불등풀가사리 분말을 동량 혼합한 해조혼합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함으로써, 항산화 기능과 피부보습 기능 및 노화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해조혼합 발효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해조혼합 발효물은 해조혼합물과 비교하여 개선된 항산화 기능과 피부보습 기능 및 노화 방지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기능성 화장료 조성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여러 천연물들에서 항산화 효과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품 원료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에서 도출된 것으로, 다시마 분말과 불등풀가사리 분말을 동량 혼합한 해조혼합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함으로써, 항산화 기능과 피부보습 기능 및 노화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해조혼합 발효물을 생성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 제조 방법은 해조혼합분말 생성단계(ST100)와, 유산균 접종단계(ST200) 및, 발효 단계(ST300)를 포함한다.
1. 해조혼합분말 생성단계(ST100)
해조혼합분말 생성단계(ST100)는 다시마와 불등풀가사리를 수세 및 탈염한 후, 이를 건조시키고 이를 분말화하여 동량 즉, 1:1 중량비로 혼합함으로써, 해조혼합분말을 생성한다.
이때, 해조혼합분말에는 감자분말이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감자분말은 다시마 분말 또는 불등풀가사리 분말과 동량으로 혼합된다. 즉, 다시마분말과 불등풀가사리 분말 및 감자분말은 1:1:1 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다시마는 갈조강 다시마목에 속한 바닷말이다. 겉으로 볼 때 줄기, 잎, 뿌리가 구분이 뚜렷하며 길이는 1.5~3.5 미터, 너비는 25~40 센티미터 정도 된다. 다시마속 식물에 들어 있는 라마닌 성분은 혈압을 낮춰 주는 데 효과가 있다.
아이오딘, 칼륨, 칼슘과 같은 성분도 많이 있으므로 우리 몸에 필요한 무기염류를 섭취할 수 있다. '바다의 야채'로 불리는 다시마는 식이섬유, 요오드, 칼슘, 셀레늄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지니고 있어 다이어트, 각종 성인병과 대장암 그리고 갑상선 등 질환을 사전에 예방, 수명을 연장시키는 묘약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1986년 소련(현재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방사능 유출사고 때 영향권에 든 유럽 각국에서 요오드 성분이 든 다시마 등의 해조류가 품귀현상을 빚은 바 있다. 이는 방사선 누출이나 농작물을 통한 간접오염에 가장 민감한 인체의 부위가 갑상선으로 이 오염을 예방하고 해독하는데 요오드 성분이 다량 들어 있는 다시마가 탁월하기 때문이다.
또한, 불등풀가사리는 불등가사리라고도 하며, 홍조류 풀가사릿과의 해조(海藻)로서, 길이는 6~10cm이며, 몸은 나뭇가지 모양이다. 줄기의 속은 비어 있고 겉은 미끄럽고 끈끈하며 광택이 난다. 식용하며 이것을 삶은 물로는 명주, 비단 따위의 옷감에 풀을 먹인다. 썰물의 경계선에 있는 바위에 붙어 번식한다. 불등가사리는 홍조식품 풀가사리과의 바닷말로 바위해안의 상부에서 군락을 이루어 서식하는데 3월말에서 4월이 되면 포자가 나타나며 초여름까지 1차로 번성한다. 직물에 풀먹임 원료로 사용하거나 비빔밥 ,무침 등 으로 인기이다. 최근 각종 연구에 의해 항암효과가 뛰어난 것이 밝혀져 크게 각광받고 있으며 남해안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4권 제6호에 실린 보고에 의하면 “불등가사리 분획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에 의하면, 홍조해조류의 하나인 불등가사리를 추출 후 각 용매 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와 QR 유로활성 효과 등 생리활성을 연구한 결과, 불등가사리를 이용하여 4종의 인체 암세포류 Hep G2 , Hela, McF-7 및 HT-29 와 정상간 세포에 대한 암세포 증식 실험 결과에서 사용한 4종의 암세포주에서 모두 시료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식 저지 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불등가사리의 methanol 분획층인 GFMM에서는 매우 낮은 농도의 시료첨가에도 불구하고 괄목할만한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2. 유산균 접종단계(ST200)
유산균 접종단계(ST200)는 상기 ST100 단계에서 생성된 해조혼합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해조혼합분말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 수용액을 일정 온도에서 가열하여 살균함과 더불어 방랭한 후 유산균을 접종한다. 이때, 해조혼합 분말 수용액은 해조혼합 분말 2%중량비, 감자 분말 1%중량비, 물 97% 중량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해조혼합 분말 수용액은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살균처리할 수 있다.
유산균은 보통 젖산균이라고도 칭하며, 포도당 또는 유당과 같은 탄수화물을 분해 및 이용하여 최종 대사산물로 젖산을 상당량 생산하는 박테리아로, 지금까지 밝혀진 유산균은 300 내지 400여 종류로 알려지고 있다. 유산균은 사람이나 동물의 소화관, 우유, 요쿠르트, 치즈, 김치, 식물 및 토양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 유산균은 인류의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유익한 공생체이다.
최근에는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일반식품뿐만 아니라 건강식품 및 의약품으로써 이용되는 등 그 응용범위가 넓어지고 있으며 여기에 속하는 세균들로는 스트렙토코코스(Streptococcus)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스포로락토바실러스(Sporolactobacilus)속과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등이 있다.
상기균들은 그람 양성균으로써 혐기성이거나 편혐기성인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동물의 장내에 서식하면서 동물이 섭취한 영양분 및 섬유소 등을 분해시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젖산 및 항생물질을 생산하여 장내 유해균의 발육을 억제함으로써 장내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멸균 배양액 즉, 해조혼합분말 수용액에 상기한 발효 유산균들 중 특히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CTC3603)를 109~1010 cfu/ml 농도가 되도록 접종한다.
3. 발효단계(ST300)
발효단계(ST300)는 상기 ST200 단계에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CTC3603)가 접종된 배양액을 최적의 온도와 시간의 발효조건에 따라 발효시킨다. 발효조건은 20℃ 내지 40℃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1은 본 발명자가 실시한 발효조건 실험 결과이다. 표1은 시간에 따라 흡광도(O.D)와 균이 생성하는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여 최적의 발효조건을 설정한 결과로서, 배양 시간을 72시간으로 한 경우의 발효조건으로 효소활성으로 α-amylase(U/ml)이 사용된 결과이다.
72hr
25℃
28℃
30℃
35℃
O.D
효소활성
O.D
효소활성
O.D
효소활성
O.D
효소활성
해조혼합
발효물
0.92
14.3
2.6
26.2
1.8
15.63
0.93
11.1
이때, 상기한 표1는 다시마와 불등풀가사리 분말을 동량으로 혼합한 해조류혼합 분말 2%중량비와 감자분말을 1%중량비로 이루어지는 해조류혼합분말 수용액을 80℃에서 2시간동안 살균 후, 발효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CTC3603)를 109 ~ 1010 cfu/ml 접종한 배양액에 대한 실험 결과로서, 동량의 다시마와 불등풀가사리 혼합물을 온도에 따라 배양시 28℃, 72시간에서 발효조건이 최적임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효공정을 거쳐 수득한 해조혼합 발효물을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용하기 위해 해조혼합 발효물이 항산화 기능과 피부보습 기능 및 노화방지 기능을 제공하는지를 본 발명자가 실시한 실험 결과를 통해 설명한다.
먼저, 해조혼합 발효물은 유산균의 기능상실을 유도하여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28℃ 에서 72시간의 최적 발효 조건을 만족하는 때에, 80℃에서 15분간의 가열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채취하거나, 여과된 상등액을 해조혼합 발효물로 사용한다.
그리고, 대조군으로 사용된 다시마와 불등풀가사리 혼합물(이하 해조혼합물)은 발효 공정 없이 80℃ 물에 동량의 다시마 분말과 불등풀가사리 분말로 이루어지는 해조혼합분말 2%를 첨가하여 8시간 후 추출하는 공정을 통해 수득하였고, 이를 상온까지 자연 냉각시킨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채취하거나, 여과된 상등액을 대조군인 해조혼합물로 사용한다.
<해조혼합 발효물의 발효 전·후 항산화 활성 비교(DPPH assay)>
본 발명에 따른 해조혼합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assay를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다. 해조혼합 발효물에 발효 전·후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다.
DPPH assay 방법으로는 시료를 60 ㎕를 취하여 0.2 mM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240 ㎕와 혼합한 다음 약 37℃에서 30분 방치한 후 microplate reader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Blank는 시료의 용매를 사용하고, control로는 시료 대신 시료의 희석 용매에 DPPH시약을 넣어 사용하며, 양성대조군은 L-ascorbic acid를 사용한다. DPPH radical은 보라색을 띄고 있는데 항산화제와 반응을 하게 되면 항산화제에 의해 환원이 되어 옅은 노란색을 띄게 된다. 이러한 색의 변화를 통해 항산화능을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하기 표2에서와 같이 400 ㎍/㎖의 해조혼합 발효물에서 발효 전에는 73%의 소거능이 있었으나 발효 후에는 90%로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이는 항산화력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비타민 씨(Vit.C)와 거의 유사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DPPH 라디컬 소거능이 발효 전 보다 발효 후에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발효 전
발효 후
해조혼합 발효물
73%
90%
Vit. C
91%
<해조혼합 발효물의 발효 전·후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량 비교>
본 발명에 따른 해조혼합 발효물이 피부보습기능을 제공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히알루론산량을 확인한다. 히알루론산은 화장품에서 피부보습기능을 제공하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HaCat 세포를 2 x 105 cells/㎖ 농도로 6 well plate에 seeding 한다. 그리고, 24시간 후에 serum-free DMEM으로 2번 washing 해 준 후에 serum-free DMEM 교체하고 해조혼합 발효물을 처리해준다. 이어, 24시간 후에 15,000 rpm 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걷어내어 ELISA 할 때까지 -20℃에서 보관하며, 히알루론산 안티바디가 코팅된 plate에 상등액을 넣고 반응 시킨 후 검량선을 그려 측정한다.
즉, 히알루론산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HaCat 세포를 배양한 후 해조혼합 발효물을 처리하고 배양액을 활용하여 측정한다.
그 결과, 해조혼합물에서는 144 ng/ml의 히알루론산이 측정이 되었고, 해조혼합 발효물의 경우는 발효전에는 100 ㎍/㎖ 처리 하였을 경우 200 ng/ml이었는데 발효 후에는 243 ng/ml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효소 Gabase를 이용한 GABA 함량 확인>
GABA는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어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고, 주름의 미세라인을 감소 시켜 늘어진 피부를 탄탄하게 만드는데 도움을 주며, 피부 활성화에 기여하여 피부 노화방지 개선에 도움을 주고, 피부에 침착된 색소가 연해지는 브라이트닝 효과로 화사한 피부를 만들어 줌과 더불어, 피부의 탄력 증가로 더욱 매끄럽고 부드러운 피부결을 가꾸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GABA는 식품에 극 미량으로 존재하나 발아현미 또는 김치, 치즈, 요구르트 등 발효 식품 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GABA는 비단백질구성 아미노산으로서, 사람에게는 대부분 뇌의 골수에 존재하며 신경전달물질인 acetylcholine을 증가시키고, 뇌기능을 촉진시키는 등의 생리작용을 한다(Kook MC 2012). 또한 혈압강하,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억제, 뇌의 혈류개선, 항산화작용, 이뇨작용, 불면, 우울, 불안 등에 대한 신경안정 효과 및 통증 완화 등의 생리활성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Dhakal R 등 2012). GABA는 Lactobacillus속 등의 유산균이 만들어내는데 쌀(Ohtsubo S 등 2000) 및 콩발효 식품(Aoki H 등 2003), 김치(Kim MJ와 Kim KS 2012) 및 치즈(Park KB와 Oh SH 2006) 등에서 분리한 다양한 유산균들이 GABA를 고농도로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보통 체내에서는 GABA 요구량을 자체적으로 생성하지만, 노화가 진행되면서 GABA 생성 억제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과 식품 첨가물의 과잉섭취, 저단백 식단, 아연과 vitamin B6 부족이 GABA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보충제로서 섭취해야 한다(Kang TJ와 Oh SH 2007).
GABA는 L-glutamic acid decarboxylase(GAD)에 의해 glutamic acid가 비가역적으로 탈탄산화되어 생성 전환되며(Li H와 Cao Y 2010) 식물체내에서 외부 스트레스로 인해 세포질에 있는 GAD로 인해 빠르게 생성될 수 있다(Breitkreuz KE와 Shelp BJ 1995). 김치 내의 GABA는 Lactobacillus 등의 유산균으로부터 생성되며 이러한 GABA 생성 균주를 분리 동정하여 특성을 밝히는 연구(Kim MJ와 Kim KS 2012)와 김치에 함유되어 있는 GABA 생성을 강화하기 위한 유산균에 대한 특성연구(Seok JH 등 2008) 등 GABA 생성 젖산균과 이와 관련된 김치 제조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우수한 발효식품으로 널리 소비되는 김치의 영양학적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GABA와 같은 영양성분과 유기 아미노산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GABA양을 측정하기 위한 정량법은 Zhang과 Bown(30)의 enzymatic GABase assay를 이용한다. 시료의 전처리는 1.5 mL Eppendorf microcentrifuge tube(Hamburg, Germany)에 시료 100 μL와 메탄올 400 μL를 넣고 잘 섞은 다음 70°C로 예열된 항온수조(BW-20G, JEIO TECH, Daejeon, Korea)에서 30분 동안 완전 건조시킨 후 70 mM LaCl31 mL를 가하여 200 rpm, 25°C에서 교반시키고, 이를 원심분리(10,000 rpm, 4°C, 5분)한 후, 상등액 700 μL와 0.1 M KOH 160 μL를 1.5 mL Eppendorf tube에 취하여 5~10분간 교반시키고 이를 다시 원심분리(10,000 rpm, 4°C, 5분) 한 후 상등액 110 μL를 0.5 M K4P2O7 220 μL와 섞어 희석한다. GABA 정량 및 표준곡선 작성은 1 mM GABA, 0.5 M K4P2O7, 4 mM NADP, 2.0 units gabase/mL를 혼합하여 96-well plate에 넣어준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initial A)하고, α-ketoglutarate를 가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spectrophotometer로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final A)하며 그 차이(initial A-final A) 값을 이용하여 GABA를 정량화하고 표준곡선을 작성한다.
그 결과 하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GABA양은 본 발명에 따른 해조혼합 발효물에서 발효전에는 분비가 없던 것에 비해 발효 후에는 0.5%의 양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해조혼합 발효물
발효 전
발효 후
GABA 양 0%
0.5%
이는 본 발명자가 여러 천연물들에서 항산화 효과 및 피부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화장품 원료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로서, 다시마와 불등풀가사리를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CTC3603)를 이용하여 발효함으로써, DPPH 라디컬 소거능이 양호하고,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및 GABA(gama-amino butyric acid)) 등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항산화, 피부보습 효능 및 안티에이징 효능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해조혼합 발효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하여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해조혼합 발효물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01중량% 내지 8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제형으로는 유연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수중유(O/W) 또는 유중수(W/O)형의 에멀젼, 페이스크성 또는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 분산물,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형태의 지질 소포체의 형태,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보디오일,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치크칼라, 아이브로우펜슬 등이 될 수 있다.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혼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중 에멀전 베이스(표4)와, 밀크 로션(표5), 에센스 제조시(표6)의 중량비가 각각 예시되어 있다.
<에멀전 베이스 제조>
원료명
중량%
해조혼합 발효물
5.0
글리세린
3.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0.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7.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 C13-14이소파라핀 & 라우레스-7
0.6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밀크로션 제조 (영양화장수)
원료명
중량%
해조혼합 발효물
1.0
스쿠알란
5.0
밀납
3.8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폴리솔베이트 60
1.5
부틸렌글리콜
3.2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프로필렌글리콜
3.0
글리세린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에센스 제조
원료명
중량%
해조혼합 발효물
5.0
부틸렌글리콜
3.0
글리세린
3.0
알란토인
0.7
판테놀
0.2
EDTA-2Na
0.05
에탄올
5.0
트리에탄올아민
1.5
스쿠알란
2.0
밀납
2.0
폴리솔베이트60
3.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8
방부제, 색소, 향
적량
정제수
to 100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불등풀가사리 분말과 다시마 분말을 혼합한 해조 분말을 이용하여 해조혼합 발효물을 생성하도록 실시하였으나, 다시마 분말 대신 미역 분말을 다시마 분말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1)

  1. 다시마 분말과 불등풀가사리 분말 및 감자 분말을 동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해조혼합 분말을 제조하고, 해조혼합 분말과 물을 3:9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해조혼합분말 수용액을 제조하며, 해조혼합분말 수용액에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109 내지 1010 cfu/ml 농도가 되도록 접종한 후, 20℃ 내지 40℃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다시마 분말과 불등풀가사리 분말 및 감자 분말을 동량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해조혼합 분말을 제조하고, 해조혼합 분말과 물을 3:9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해조혼합분말 수용액을 제조하며, 해조혼합분말 수용액에 유산균으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109 내지 1010 cfu/ml 농도가 되도록 접종한 후, 20℃ 내지 40℃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72시간 발효시켜 수득되는 해조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혼합 발효물은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01중량% 내지 8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유연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수중유(O/W) 또는 유중수(W/O)형의 에멀젼, 페이스크성 또는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 분산물,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형태의 지질 소포체의 형태,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보디오일,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치크칼라, 아이브로우펜슬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혼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98072A 2018-08-22 2018-08-22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99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72A KR102099251B1 (ko) 2018-08-22 2018-08-22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72A KR102099251B1 (ko) 2018-08-22 2018-08-22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12A KR20200022212A (ko) 2020-03-03
KR102099251B1 true KR102099251B1 (ko) 2020-04-08

Family

ID=6993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072A KR102099251B1 (ko) 2018-08-22 2018-08-22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514A (ko) 2021-12-31 2023-07-10 이주운 항염증 활성을 갖는 불등풀가사리 다당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792B1 (ko) 2013-12-27 2015-11-25 주식회사 에코마인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1024B1 (ko) * 2015-12-24 2018-01-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4514A (ko) 2021-12-31 2023-07-10 이주운 항염증 활성을 갖는 불등풀가사리 다당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12A (ko)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018B1 (ko) 발효 푸코잔틴 제조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5310B1 (ko) 유산균 발효 커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28674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JP2010138147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抗酸化剤、抗炎症剤、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CN106606452A (zh) 一种调整水油平衡和美白的精华液
KR20190016253A (ko) 베리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CN107334726A (zh) 一种祛痘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40016461A (ko) 해삼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CN109897799A (zh) 一株产γ-氨基丁酸乳酸菌菌株及其筛选方法和富含γ-氨基丁酸仙草酸奶的制备方法
KR101336804B1 (ko) 버섯을 이용한 전복 버섯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JP7458660B2 (ja) プロフィラグリンmRNA発現促進剤、セリンパルミトイ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mRNA発現促進剤、及びヒアルロン酸合成酵素3mRNA発現促進剤
KR101360760B1 (ko) 전복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090111719A (ko) 대추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130010250A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99251B1 (ko) 불등풀가사리를 포함하는 해조혼합 발효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47757A (ko) 5색 컬러푸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3662A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019192A (ko) 유자, 매실, 석류, 현미를 발효하여 만든 초효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 화장료 조성물
CN115813774A (zh) 具有美白效果的水油双层精粹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90081333A (ko) 아로니아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0310A (ko) 바실러스 사펜시스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20110099667A (ko) 베리 칵테일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