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173B1 -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173B1
KR102099173B1 KR1020190011245A KR20190011245A KR102099173B1 KR 102099173 B1 KR102099173 B1 KR 102099173B1 KR 1020190011245 A KR1020190011245 A KR 1020190011245A KR 20190011245 A KR20190011245 A KR 20190011245A KR 102099173 B1 KR102099173 B1 KR 102099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evaporation
delaying
present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권
Original Assignee
유성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권 filed Critical 유성권
Priority to KR102019001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025/003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with an impermeable layer in the gr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은, 중앙 부분이 양쪽 가장자리보다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보디(32); 상기 보디(32)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수 홀(34); 및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투수 홀(34)의 아래쪽 위치에서 아래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디(32)에 형성된 절곡부(36);를 포함한다.
구조물은 토양 속 또는 토양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땅윗물 또는 빗물이 상기 보디(32)의 표면과 상기 투수 홀(34)을 통하여 흐르고, 토양 속에 수분은 상기 보디(32)와 상기 절곡부(36) 때문에 증발 현상이 지연될 수 있다.

Description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Structures for delaying the evaporation of soil moisture}
본 발명은 어떤 목적에 의하여 식물이 심어진 토양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어떤 목적을 갖고 토양에 심어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물은 가로수, 정원수, 화초 등이 있을 수 있다.
토양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고, 식물은 토양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생장할 수 있다.
땅속에는 지하수가 흐르고 그러한 지하수 일부가 토양에 흡수될 수 있다. 인공 시설물, 예를 들면 인도, 정원 등이 있을 수 있고, 가로수 또는 정원수가 심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인공 시설물의 땅속에는 지하수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수분이 없이 메마른 땅이 될 가능성이 크다.
한편으로, 빗물은 토양에 흡수되어 수분이 공급될 수 있지만, 인공 시설물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토양과 다르게 수분이 쉽게 증발하거나 유실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하면 가로수, 정원수, 화초 등이 정상적으로 생육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폭우가 쏟아질 때 빗물이 신속하게 투수 되지 않으면, 상기 인공 시설물이 침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로를 포장할 때 투수성 아스팔트를 시공하거나, 인도를 포장할 때 투수성 보도블록을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투수성 아스팔트 또는 투수성 보도블록은 빗물이 지표면으로 빠르게 침투할 수 있으나 그만큼 쉽게 증발할 수 있고, 특히 지표면에 가까울수록 증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가로수의 주변에는 토양이 표면으로 노출될 수가 있는데, 이러하면 잡초가 자라나 미관을 해치거나, 비 오는 날엔 흙탕물이 튀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로수 주변으로 보호 덮개를 설치하거나 포장을 할 수 있지만, 여전히 투수성을 고려할 뿐, 수분 증발을 지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빗물이 쉽게 투수됨과 아울러 토양에 수분이 오랫동안 포함되어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R 10-0806073 B1 KR 10-0737908 B1 KR 10-0905972 B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땅윗물, 빗물 등이 토양에 투수할 수 있도록 하고, 토양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할 때 증발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되어 잡초가 자라지 않고, 빗물로 흙탕물이 생성되거나 주변이 지저분해지지 않도록 하면서 토양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할 때 증발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은, 중앙 부분이 양쪽 가장자리보다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보디(32); 상기 보디(32)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수 홀(34); 및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투수 홀(34)의 아래쪽 위치에서 아래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디(32)에 형성된 절곡부(36);를 포함하고,
토양 속 또는 토양의 표면에 배치되어 땅윗물 또는 빗물이 상기 보디(32)의 표면과 상기 투수 홀(34)을 통하여 흐르고, 토양 속에 수분은 상기 보디(32)와 상기 절곡부(36) 때문에 증발 현상이 지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은, 보디(32)에서 옆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페이스(38); 및 상기 스페이스(38)의 끝부분에 계단 형상이 형성된 스텝(39);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이 복수로 제공되어 어느 하나의 구조물과 다른 하나의 구조물이 상기 스텝(39)으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은, 상기 보디(32)는 올록볼록하게 형성된 요철 주름(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은, 상기 구조물이 토양의 표면에 포장되어 잡초의 자생을 억제하도록 하는 포장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은, 땅윗물 또는 빗물이 토양에 스며들 때 투수 작용에 방해하지 않고, 토양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할 때 물리적으로 억제하여 증발 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고, 이로써 토양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식물은 토양에 포함된 수분으로 성장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은, 토양의 표면에 포장할 때 그 포장된 층에 배치됨으로써 구조물이 임의로 이동되거나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포장된 층에 의하여 잡초가 자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의 시공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면 및 단면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면 및 단면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의 다른 시공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의 시공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면 및 단면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3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32)에 투수 홀(34)과 절곡부(36)를 형성할 수 있다.
보디(32)는 중앙 부분이 양쪽 가장자리보다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디(3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을 볼 때, 반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보디(32)는 중간 부분이 솟아오른 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수 홀(34)은 상기 보디(32)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투수 홀(34)은 여러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투수 홀(34)과 인접한 다른 투수 홀(34) 간의 거리는 투수 홀(34)의 너비와 비슷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투수 홀(34) 때문에 증발할 여지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절곡부(3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투수 홀(34)의 아래쪽 위치에서 아래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디(3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절곡부(36)는 수분이 수증기 형태로 증발하여 상승할 때 경로를 가로막는 작용을 하여 수분 증발을 더욱 강력하게 지연시킬 수 있다.
구조물(30)은 토양 속 또는 토양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땅윗물 또는 빗물이 상기 보디(32)의 표면과 상기 투수 홀(34)을 통하여 흐를 수 있으며, 이로써 토양은 수분을 머금을 수 있다.
한편, 땅윗물이 유입되지 않거나 빗물이 없을 때, 토양 속의 수분이 증발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양 속에 수분은 상기 보디(32)와 상기 절곡부(36) 때문에 증발 현상이 지연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30)은,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달아 배치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면 및 단면 도면이다.
구조물(30)은 보디(32)에서 옆쪽으로 스페이스(38)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스페이스(38)는 여러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38)는 끝부분에 계단 형상의 스텝(39)이 형성될 수 있다. 스텝(39)은 다른 구조물(30)의 모서리가 얹힐 수 있고, 이로써 어느 하나의 구조물(30)과 인접한 다른 구조물(30) 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조물(30)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30)은 가로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구조물(30)과 다른 하나의 구조물(30)이 상기 스텝(39)으로 적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스(38)는 구조물(30) 때문에 땅윗물 또는 빗물이 토양으로 스며드는 것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38)는 구조물(30)을 시공할 때 구조물(30) 간의 간격을 규칙적으로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3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철 주름(4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 도면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구조물(30)의 보디(32)는 요철 주름(40)이 올록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구조물(30)의 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구조물(30)에 포장층이 형성될 때, 구조물(30) 자체가 임의로 찌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철 주름(40)은 나선형 주름이 형성된 파이프를 절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로써 구조물(30)에 요철 주름(40)을 형성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구현하지 않더라도 구조물(30)에 요철 주름(40)을 쉽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30)은, 포장층(22, 24 참조)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포장층(22, 24 참조)은 토양의 표면에 포장되어 잡초의 자생을 억제하도록 할 수 있고, 입자 간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땅윗물 또는 빗물의 유통이 원활할 수 있다.
포장층은 도 1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포장층(22)과 제2 포장층(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포장층(22)을 구성하는 제1 입자가 제2 포장층(24)을 구성하는 제2 입자보다 굵은 것일 수 있고, 이로써 포장층 내부에서 수분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 제1 입자는 백반석 등의 광물과 고무 칩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제2 포장층(24)은 제2 입자는 코르크 가공 부산물로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색채로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포장층(24)이 표면으로 드러나는 것으로 도시 미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다. 또한, 제2 포장층(24)은 입자를 작게 형성함으로써 구두 굽이 빠지거나, 잡초가 잘라는 것을 더욱 강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30)은, 토양(10) 바로 위에 배치할 수 있고,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의 다른 시공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30)을 토양(10)의 바로 위에 배치하고, 토양(10)의 위쪽과 구조물(30)의 주변에 제1 포장층(22)을 덮을 수 있으며, 제1 포장층(22)의 위쪽에 제2 포장층(24)을 덮을 수 있다.
이로써, 구조물(30)의 바로 아래쪽 부분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그 공간에 물이 채워져 머무를 수 있다.
구조물(30)의 바로 아래 공간에 채워진 물의 일부가 토양(10)에 흡수될 수 있지만, 토양(10)의 표면이 젖으면 그 자체로 수분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서 물을 좀 더 오랫동안 보유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은, 식물이 심어진 토양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토양
22, 24: 제1, 2 포장층
30: 구조물
32: 보디
34: 투수 홀
36: 절곡부
38: 스페이스
39: 스텝
40: 요철 주름

Claims (4)

  1. 중앙 부분이 양쪽 가장자리보다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보디(32);
    상기 보디(32)에 관통되어 형성된 투수 홀(34); 및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투수 홀(34)의 아래쪽 위치에서 아래 방향을 향하여 상기 보디(32)에 형성된 절곡부(36);를 포함하고,
    토양 속 또는 토양의 표면에 배치되어 땅윗물 또는 빗물이 상기 보디(32)의 표면과 상기 투수 홀(34)을 통하여 흐르고, 토양 속에 수분은 상기 보디(32)와 상기 절곡부(36) 때문에 증발 현상이 지연되는 것;
    을 포함하는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보디(32)에서 옆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페이스(38); 및
    상기 스페이스(38)의 끝부분에 계단 형상이 형성된 스텝(39);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이 복수로 제공되어 어느 하나의 구조물과 다른 하나의 구조물이 상기 스텝(39)으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32)는 올록볼록하게 형성된 요철 주름(40);
    을 포함하는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이 토양의 표면에 포장되어 잡초의 자생을 억제하도록 하는 포장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
    을 포함하는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KR1020190011245A 2019-01-29 2019-01-29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KR102099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245A KR102099173B1 (ko) 2019-01-29 2019-01-29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245A KR102099173B1 (ko) 2019-01-29 2019-01-29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173B1 true KR102099173B1 (ko) 2020-04-09

Family

ID=7027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245A KR102099173B1 (ko) 2019-01-29 2019-01-29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1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669A (ja) * 1992-11-09 1994-05-24 Saikou:Kk 埋設シートによる緑化基礎工法
JP2006174792A (ja) * 2004-12-24 2006-07-06 Yanmar Co Ltd 屋上緑化構造
KR100737908B1 (ko) 2006-12-21 2007-07-10 송재우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수 보호덮개
KR100806073B1 (ko) 2006-07-20 2008-02-21 김동현 친환경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투수성 가로수 보호구조체
KR20090013494A (ko)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재활용한 수지를 이용한 농업용 골판지
KR100905972B1 (ko) 2007-04-12 2009-07-06 송재우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수 보호덮개의 시공방법
KR20150009902A (ko) * 2013-07-17 2015-01-27 김윤 이랑용 피복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1669A (ja) * 1992-11-09 1994-05-24 Saikou:Kk 埋設シートによる緑化基礎工法
JP2006174792A (ja) * 2004-12-24 2006-07-06 Yanmar Co Ltd 屋上緑化構造
KR100806073B1 (ko) 2006-07-20 2008-02-21 김동현 친환경 저수공간을 구비하는 투수성 가로수 보호구조체
KR100737908B1 (ko) 2006-12-21 2007-07-10 송재우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수 보호덮개
KR100905972B1 (ko) 2007-04-12 2009-07-06 송재우 합성수지 재질의 가로수 보호덮개의 시공방법
KR20090013494A (ko) * 2007-08-02 2009-02-05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재활용한 수지를 이용한 농업용 골판지
KR20150009902A (ko) * 2013-07-17 2015-01-27 김윤 이랑용 피복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4110131A1 (ja) 緑化装置
JP2009077665A (ja) 土壌構造
KR102099173B1 (ko)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US201702454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in an urban environment
CN106087641B (zh) 防鞋跟踩踏和水土流失的生态停车场
KR100986930B1 (ko) 조경수 식재가 가능한 경계석
JP4041525B1 (ja) 防草施工方法
US20210029901A1 (en) Plant System with Water Storage Chambers
KR101127630B1 (ko) 도로분리대 겸용 입체 조경 식생 상자
CN105672366A (zh) 植被型散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450576Y1 (ko) 보도블록
CN104272993B (zh) 一种花坛壁防水结构
Rodrigues Some practices of gully rehabilitation in Central Brazil
CN209276924U (zh) 一种道路转角结构
CN114568202A (zh) 一种干旱地区的植树构造
JPH06319368A (ja) 乾燥砂地地帯での植生化方法
JP6186123B2 (ja) 緑化構造
CN202073103U (zh) 植草砖
JP2546563Y2 (ja) 人工植物栽培床
CN113853865B (zh) 利用坡地地形及植物消解氮磷的排水系统及其构建方法
JP2012120462A (ja) 緑化地盤ユニット
CN214430430U (zh) 一种改善城市树木根系生境的生态树池
KR100855427B1 (ko) 조경시설물의 조성방법 및 이에 따른 조경시설물
KR100367884B1 (ko) 보행자도로의 시공방법
JP2004236669A (ja) 植物栽培領域のボーダー部処理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