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902A - 이랑용 피복체 - Google Patents

이랑용 피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902A
KR20150009902A KR1020130085363A KR20130085363A KR20150009902A KR 20150009902 A KR20150009902 A KR 20150009902A KR 1020130085363 A KR1020130085363 A KR 1020130085363A KR 20130085363 A KR20130085363 A KR 20130085363A KR 20150009902 A KR20150009902 A KR 20150009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idge
plate
plate member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
김윤석
Original Assignee
김윤
김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김윤석 filed Critical 김윤
Priority to KR102013008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9902A/ko
Publication of KR2015000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의 생육촉진과 수확량 증대를 위하여 농작물이 자라는 이랑을 피복(被服)시켜 수분증발과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 상승으로 뿌리 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랑에 덮어지는 이랑용 피복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크기로 구성되어 연속적인 연결과 함께 가벼워 이송이 간단하고 유연한 휨성으로 이랑의 크기에 대응되게 덮어지고 쉽게 파열 손상되지 않아 다년간의 재활용성 및 폐수지재등의 재활용으로 자원낭비방지와 환경오염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피복체(100)는 작업자가 쉽게 견인과함께 이송설치 및 수거이송이 용이하도록 한 크기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판재(10)로 이랑(200)에 덮혀지고 양끝단이 연장되어 고랑(210)에 위치되는 복토부(11)가 함께 형성되는 피복체(100),
상기 피복체(1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연결 판재(10)는 이랑(200)의 굽은 면을 따라 덮혀지도록 접힘가능한 접힘수단(20),
그리고 이랑(200) 상부에 위치되는 하나의 판재(10) 또는 복수개의 판재(10)에는 농작물(220)이 모종되는 모종공(12)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용 피복체를 제공함으로서 폐비닐 및 멀칭비닐 또는 폐수지를 재활용하는 자원화와 이랑과 밀착되어 농작물의 성장촉진 및 잡초방지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랑용 피복체{Ridge cover}
본 발명은 농작물의 생육촉진과 수확량 증대를 위하여 농작물이 자라는 이랑을 피복(被服)시켜 수분증발과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 상승으로 뿌리 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랑에 덮어지는 이랑용 피복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크기로 구성되어 연속적인 연결과 함께 가벼워 이송이 간단하고 유연한 휨성으로 이랑의 크기에 대응되게 덮어지고 쉽게 파열 손상되지 않아 다년간의 재활용성 및 폐수지재등의 재활용으로 자원낭비방지와 환경오염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농작물의 재배에서 농작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생육시키고 열매에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토질의 보호 및 관리와 잡초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갈아 놓은 밭에 농작물이 생육되는 두둑과 고랑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농작물이 심어진 이랑이 노출됨으로서 빗물등에 의해 이랑이 소실되고 영양분이 소실되는 문제 및 고랑과 이랑에 까지 침범하는 잡초로 인하여 재배 농작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례함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랑에 잡초의 번식을 막아 타 식물로부터 영양분이 뺏기지 않게 하기 위한 비닐을 씌우고 있다.
즉, 상기 이랑에 멀칭비닐을 씌우고 일정한 간격마다 농작물이 모종(某種)되는 생식구멍을 뚫어 농작물이 심어지며 양측에는 바람으로 부터 날림되는 멀칭비닐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랑의 흙으로 덮어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는 기다란 밭고랑에 농부가 일일이 작업하는 번잡성으로 많은 인력의 소모가 발생되고 정교한 고정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를 개선한 선행기술 등록실용신안 제 20-0400589호에서는 두루마리로 감긴 긴 멀칭비닐을 아랑에 씌우고, 씌워진 멀칭비닐이 바람 등에 날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종래 흙으로 덮던 수작업 방지의 목적으로 상기 주멀칭부의 길이방향 좌우양측에 연속된 다수의 물주머니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물주머니 상부로 빗물 또는 인위적으로 공급되는 물이 흘러가는 수로와 이 수로를 통해 물주머니로 연결된 주입구를 구비하여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흙으로 덮지 않더라도 모종시에 공급되는 물 또는 우기로 인한 자연적인 중량부를 형성시켜 멀칭비닐이 날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바 있다.
이러한 구성은 멀칭비닐을 고정하는 수단에 지나지 않아 멀칭비닐의 설치와 설치후 재거 및 자연에 의한 파손으로 인한 환경오염등을 완전히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공개특허 제 10-2004-0026451호에서는 밭이랑 피복 커버라하고 그 특징으로 폐타이어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된 작물자립구멍을 갖는 호형의 이랑 덮개부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이랑 덮개부는 경질(硬質)로 구성되어 이랑에 씌워지고 양단에 절곡된 복토덮개부가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이랑덮개가 폐타이어등의 재활용에 따른 환경오염방지 및 재활용이라는 특징이 있으나 성형된 덮개크기와 흙이 복토된 이랑의 크기와 달리함으로서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은 잡초가 쉽게 생식되는 단점 및 이 덮개를 고정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형성된 복토덮개부에 복토하여야 하는 이중작업에 따른 문제를 개선하고 있지 못하다.
등록실용신안 제 20-0400589호 공개특허 제 10-2004-0026451호
본 발명은 농작물(220)의 생육촉진과 수확량 증대를 위하여 농작물(220)이 자라는 이랑(200)을 피복(被服)시켜 수분증발과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 상승으로 뿌리 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랑(200)에 덮어지는 이랑용 피복체로서 멀칭비닐 및 선행기술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볍고 다년간의 재활용 및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송과 설치 그리고 수거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이랑과 밀착되어 잡초를 방지하고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피복체(100)는 작업자가 쉽게 견인과 이송설치 및 수거이송이 용이하도록 한크기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판재(10)로 이랑(200)에 덮혀지고 양끝단이 연장되어 고랑(210)에 위치되는 복토부(11)가 함께 형성되는 피복체(100),
상기 피복체(1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연결 판재(10)는 이랑(200)의 굽은 면을 따라 덮혀지도록 접힘가능한 접힘수단(20),
그리고 이랑(200) 상부에 위치되는 하나의 판재(10) 또는 복수개의 판재(10)에는 농작물(220)이 모종되는 모종공(12)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용 피복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농작물(220)의 생육촉진과 수확량 증대를 위하여 농작물(220)이 자라는 이랑(200)을 피복(被服)시켜 수분증발과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 상승으로 뿌리 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랑(200)에 덮어지는 이랑용 피복체에 있어서,
상기 피복체(100)는 작업자가 쉽게 견인과 함께 이송설치 및 수거이송이 용이하도록 한 크기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판재(10)로 이랑(200)에 덮혀지고 양끝단이 연장되어 고랑(210)에 위치되는 복토부(11)가 함께 형성되는 피복체(100),
상기 피복체(1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연결 판재(10)는 이랑(200)의 굽은 면을 따라 덮혀지도록 접힘가능한 접힘수단(20),
그리고 이랑(200) 상부에 위치되는 하나의 판재(10) 또는 복수개의 판재(10)에는 농작물(220)이 모종되는 모종공(12)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용 피복체를 제공함으로 폐비닐 및 멀칭비닐 또는 폐수지를 재활용하는 자원화와 이랑과 밀착되어 농작물의 성장촉진 및 잡초방지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농어촌의 비닐하우스용 폐비닐, 농업용 폐 멀칭비닐 등과 함께 각종 폐비닐, 폐수지 등의 수지재의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성형 또는 발포 및 골판지 형태로 구성시켜 가볍고 견고하며 태양광선이나 자연에 의해 쉽게 삭거나 파열되지 않아 다년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자원의 재생산성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밭고랑에 설치와 수거가 용이하도록 한 효과,
가볍고 설치가 용이하여 1인의 작업자가 쉽게 이송과 설치 그리고 수거할 수 있는 편리성과,
쉽게 삭거나 파열되지 않아 다년간의 재사용으로 자원낭비를 방지하고 이랑과 밀착으로 농작물의 빠른 뿌리내림이 용이하여 생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발휘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도 1의 단면도.
(b)는 본 발명 도 1의 사용상태의 실시예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피복체가 펼쳐진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사시도.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도 4의 단면도.
(b)는 본 발명 도 4의 사용상태의 실시예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도 6의 사용상태의 실시예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정면도.
도 11의 (a)(b)(c)(d)는 본 발명의 접힘수단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 피복체를 구성하는 판재를 중공부로 한 실시예 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농어촌의 비닐하우스용 폐비닐, 농업용 폐 멀칭비닐 등과 함께 각종 폐비닐, 폐수지 등의 수지재의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성형 또는 발포 및 골판지 형태로 구성시켜 가볍고 견고하며 태양광선이나 자연에 의해 쉽게 삭거나 파열되지 않아 다년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원의 재생산성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밭고랑에 설치와 수거가 용이하도록 한 피복체(10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1과 도 4 및 도 6,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농작물(220)의 생육촉진과 수확량 증대를 위하여 농작물(220)이 자라는 이랑(200)을 피복(被服)시켜 수분증발과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 상승으로 뿌리 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농작물(220)이 성장하는 이랑(200)에 덮어지는 이랑용 피복체(100)로 구성된다.
상기 피복체(100)는 소정크기(대략 1∼2mm)의 길이로 구성시켜 1인의 작업자가 쉽게 견인과 이송설치 및 수거이송이 용이하도록 함과 함께 각각의 피복체(100)는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이랑(200)을 길이로 덮을 수 있도록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구성의 길이는 상기 제시한 길이로 한정하지 않고 압출성형으로 필요한 크기의 길이로 절단하여 구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피복체(100)는 복수개로 연결되는 판재(10)로 구성되어 이랑(200)에 덮혀지고 양끝단에 일정한 폭이 연장되어 고랑(210)에 위치되는 복토부(11)가 함께 형성되는 피복체(100)로 구성됨과 함께 상기 판재(10)는 중량을 가볍게 구성하기 위한 속이 빈 중공부(3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피복체(100)는 복수개의 연결 판재(10)가 이랑(200)의 굽은 면을 따라 덮혀지도록 접힘가능한 접힘수단(20)과, 그리고 이랑(200) 상부에 위치되는 하나의 판재(10) 또는 복수개의 판재(10)에는 농작물(220)이 모종되는 모종공(12)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되되, 모종공(12)은 일열 또는 복수의 열로 천공되며, 모종공(12)은 원형, 사각형상 등의 구멍으로 선택되어 형성된다.
상기 모종공(12)은 개별적인 모종공(12)과 함께 각각의 모종공(12)에 모종공(12)이 뚫린 개폐판(13)을 더 구성하여 이 개폐판(13)의 개방으로 모종 작업의 편리성과 함께 모종의 크기에 따른 모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판(13)은 모종 후 모종공(12)에 결합시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피복체(100)에는 복수개의 전후 피복체(100)를 길이로 연결시켜 고정하기 위한 체결봉(14)이 하향되고 내측으로 상기 체결봉(14)이 결합되는 핀공(15)이 전후로 구성된다.
상기 피복체(100)의 전후로 뚫린 핀공(15)은 상기한 체결봉(14)을 결합하는 작용과 함께 피복체(100)를 고랑(210)의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공으로도 이용되며 이러한 체결봉(14) 및 핀공(15)은 피복체(100)의 양단부의 적정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랑(210)에 위치하는 복토부(11)에 구성되어 복토와 함께 피복체(100)를 고정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핀공(15)은 피복체(100)의 고정과 함께 농작물 추수 후에 상기 피복체(100)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용 걸이(미도시함)를 체결시켜 수거할 수 있는 수거용 걸이공으로도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수거작업을 간편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힘수단(20)은 도 11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10)가 일체로 성형되되, 일정한 간격 마다 "∨"형상의 접힘홈(21)을 구성시켜 이 접힘홈(21)으로 연결된 각각의 판재(10)가 용이하게 접힘되는 구성 및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힘홈(21)과 판재(10)의 전후면 또는 어느 한면으로 신축성이 양호한 비닐 등의 수지필름(22)을 접착시켜 각각의 판재(10)가 연결됨과 함께 수지필름(22)에 의한 접힘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 또는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0)의 한쪽에 힌지홈(23)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의 판재(10)에는 상기 힌지홈(23)에 끼워져 슬립되는 회전축봉(24)으로 구성시켜 상기 힌지홈(23)에 회전축봉(24)이 끼워지는 힌지결합으로 구성함으로서 접힘이 발휘되도록 함과 함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각기 구성된 판재(100)에 일정한 거리로 링구멍(25)을 천공하고 각각의 판재(10)에 뚫린 링구멍(25)에 오링(26)을 끼워 결합함으로서 상기 피복체(100)는 복수개로 연결된 각각의 판재(10)가 일정한 폭으로 연결구성되고 각각의 판재(10)들이 상기 오링(26)에 의해 쉽게 접힘됨으로서 피복체(100)는 이랑(200)의 만곡된 곡면을 따라 굽힘으로 밀착되게 덮혀지고 끝단은 고랑(210)에 밀착되게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판재(10)와 판재(10)가 대응하여 밀착되는 좌우측면은 곡면 또는 삼각꼴 형상으로 구성시켜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복체(100)는 중량을 가볍고 적은 자원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판재(10)에 다공(30)을 천공하거나 판재(10)내에 속이 빈 중공상태 또는 골판지등의 중공부(31)로 형성되는 구성 또는 상기 판재(10)를 망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도 1 내지 3에서 도시한 피복체(100)는 이랑(200)에 덮혀지도록 복수개의 피복체(100)를 접힘수단(20)으로 연결시켜 곡면형성이 가능하고, 상기 접힘수단(20)에 의해 고랑(210)에 위치되며 지면과 고정하기 위한 핀공(15)이 뚫린 복토부(11), 그리고 상기 이랑(200)상부에 위치되는 피복체(100)의 상부측 판재(10)에 농작물(220)이 식모되는 식모공(12)을 뚫은 제 1실시예의 피복체(100)와,
본 발명의 제 2실시에는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재(10)로 구성된 피복체(100)로서 상기 식모공(12)을 개폐시키는 개폐판(13)과 이 개폐판(13)에 "∪"자형의 식모공(12)을 구성한 제 2실시예의 피복체(100),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재(10)로 구성된 피복체(100)로서 이랑(200)이 넓게 구성되어 야채류 또는 모종 등을 조밀히 식모하기 위한 피복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넓은 면적의 이랑(200)에 씌워지는 복수개의 판재(10) 각각에 모종공(12)을 뚫어 구성되는 피복체(100),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재(10)로 구성된 피복체(100)로서 모종공(12)이 형성되고 이랑(200)의 상부면에 덮혀지는 상부판재(10a)와 이랑(200) 양측면에 위치되는 양측면판재(10b) 그리고 고랑(210)에 위치되는 복토부(11)로 구성됨과 함께 상기 피복체(100)의 전후측에는 서로 교합되는 삽입부(18)와 삽입부(18)에 결합되는 끼움부(19)가 구비되는 피복체(100)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복체(100)의 접힘수단(20)은 도 11의 (a)(b)(c)(d)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힘수단(20)은 판재(10)가 일체로 성형되되, 일정한 간격 마다 "∨"형상의 접힘홈(21)을 구성시켜 이 접힘홈(21)으로 연결된 각각의 판재(10)가 용이하게 접힘되는 구성 및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힘홈(21)과 판재(10)의 전후면 또는 어느 한면으로 신축성이 양호한 비닐 등의 수지필름(22)을 접착시켜 각각의 판재(10)가 연결됨과 함께 수지필름(22)에 의한 접힘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
또는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0)의 한쪽에 힌지홈(23)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의 판재(10)에는 상기 힌지홈(23)에 끼워져 슬립되는 회전축봉(24)으로 구성시켜 상기 힌지홈(23)에 회전축봉(24)이 끼워지는 힌지결합 하는 구성,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각기 구성된 판재(100)에 일정한 거리로 링구멍(25)을 천공하고 각각의 판재(10)에 뚫린 링구멍(25)에 오링(26)을 끼워 결합함으로서 상기 피복체(100)는 복수개로 연결된 각각의 판재(10)가 일정한 폭으로 연결구성되고 각각의 판재(10)들이 상기 오링(26)에 의해 쉽게 접힘됨으로서 피복체(100)는 이랑(200)의 만곡된 곡면을 따라 굽힘으로 밀착되게 덮혀지고 끝단은 고랑(210)에 밀착되게 설치되게 되는 실시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실시에에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피복체(100)는 중량을 가볍고 적은 자원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판재(10)에 다공(30)을 천공하거나, 판재(10)내에 속이 빈 중공상태 또는 골판지등의 중공부(31)로 형성되는 구성과 함께 상기 판재(10)를 망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1의 단면도, (b)는 본 발명 도 1의 사용상태의 실시예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피복체(100)는 공지와 같이 농작물(220)을 키우기 위하여 논 또는 밭등에 농작물(220)이 성장하는 이랑(200)이 지면보다 높게 복토되어 구성되고 이랑(200)가 이랑(200)의 간격 및 물 등이 배수되는 고랑(21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랑(200)에 본 발명의 피복체(100)를 길이방향으로 이랑(200)이 덮혀지게 상부로 설치하게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복체(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판재(10)들이 판재(10)와 판재(10)의 연결부에 구성된 접힘수단(20)에 의해 굽힘되면서 상기 피복체(100)는 판상의 형상에서 상기 이랑(200)의 곡면을 따라 굽힘되어 이랑(200)에 밀착되면서 덮혀지고 양 끝단에 형성된 복토부(11)은 고랑(210)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제 1피복체(100)를 이랑(200)에 피복함과 함께 제 2피복체(1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에서 설치된 제 1피복체(100)와 전후 중 어느 한쪽의 끝단이 겹쳐지게 제 2피복체(100)를 설치하되 상기 제 1피복체(100) 또는 복토부(11)에 뚫린 핀공(15)에 제 2피복체(100)에서 하향돌출된 체결봉(14)이 결합되도록 겹쳐지게 설치함으로서 연속된 피복체(100)를 설치할 수 있고 제 1,2피복체(100)는 핀공(15)에 체결봉(14)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서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피복체(100)에는 다시 제 3, 그리고 제 4....를 연속하여 연결시켜 이랑(200) 전체로 실시됨으로 이랑(200)이 피복되고 이러한 작업은 밭전체의 이랑(200)에 실시된다.
또는 상기 피복체(100)의 전후에 뚫린 핀공(15)에 피복체(100)의 연결 고정 또는 바람등에 의한 날림등을 방지하고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일정한 크기의 미도시한 핀을 상기 핀공(15)을 관통시켜 고랑(210)의 지면에 박아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실시는 상기 체결봉(14)에 의한 연결과 함께 또는 별도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치된 피복체(100)에 뚫린 모종공(12)에 농작물(220)의 모종을 식모하므로서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에는 도 4의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사시도와 도 5의 (a)로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4의 단면도 및 (b)의 본 발명 도 4의 사용상태의 실시예 설명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랑(200)에 접힘가능하게 구성된 피복체(100)를 덮어 씌우고 제 2, 제 3...을 연속하여 이랑(200)에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치된 피복체(100)에 농작물(220)을 모종할때, 상부측에 뚫린 모종공(12)에 접힘 여닫이로 구비된 개폐판(13)을 상부로 개방하여 넓은 면적의 모종공(12)에서 농작물(220)을 모종하도록함으로서 작업이 편리하고 큰 모종을 간편히 식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모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된 개폐판(13)을 다시 모종공(12)에 억지 끼워 결합하되, 개폐판(13)에 뚫린 모종공(12)에 농작물(220)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농작물(220)이 안전하게 식모된다.
상기 모종공(12)은 상기 실시예와 달리 "∪"자형으로 구성함으로서 농작물(220)을 식모 후 결합이 용이하고 또한 상기 개폐판(13)은 모종공(12) 주면과 접이가능한 판막으로 일체구성되어 접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는 도 6의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사시도와 도 7의 본 발명 도 6의 사용상태의 실시예 설명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야채류 등이 조밀하게 식모되는 농작물(220)에 적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경우 이랑(200)이 넓은 면적으로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랑(200)에본 발명의 피복체(100)를 덮어 쒸우면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넓은 면적의 상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피복체(100)의 복수 판재(10)들이 넓게 펼쳐져 상부면으로 형성되면서 각각의 판재(10)에는 각기 모종공(12)이 뚫려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모종공(12)에 제 1실시예와 같이 농작물(220)을 식모하게 되고 또한 상기 피복체(100)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피복체(100)는 대개 농작물의 모종, 또는 야채등의 농작물(220)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도 8의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사시도와 도 9의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 8의 단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는 이랑(200)의 상부면과 양측면 그리고 고랑(210)에 위치되는 복토부(11)로 구분하여 접힘수단(20)에 의한 분할된 각각의 판재(10)로 구별하여 구성된 것이다.
즉, 모종공(12)이 형성되고 이랑(200)의 상부면에 덮혀지는 상부판재(10a)와 이랑(200) 양측면에 위치되는 양측면판재(10b) 그리고 고랑(210)에 위치되는 복토부(11)로 구성되어 이랑(200)에 씌워진다.
그리고 상기 피복체(100)의 전후측에는 서로 교합되는 삽입부(18)와 삽입부(18)에 결합되는 끼움부(19)가 구비되어 전후의 피복체(1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전후로 연속한 연결이 용이한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 4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랑(200)에 본 발명의 피복체(10)를 덮어 씌운다.
그리고 상기 제 1피복체(100)의 한쪽에 형성된 끼움부(19)에 제 2피복체(100)의 삽입부(18)를 결합시키는 결합을 이랑(200) 전체에 연속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복토부(11) 양끝단에 뚫린 핀공(15)을 관통하여 미도시한 고정핀을 고랑(210)에 박아 고정한다.
이와 같이 연속작업으로 이랑(200)에 씌운 후 상기와 같이 상부판재(10a)에 뚫린 모종공(12)에 농작물(220)을 식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정한 크기로 구성되는 각각의 판재(10)로 인하여 이랑(200)의 크기에 밀착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이때, 이랑(200)을 크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상부판재(10a)가 이랑(200)의 상면부를 가압시켜 이랑(200) 상부가 평면으로 유지됨으로써 식모되는 농작물(220)의 생육촉진 및 초기 발육의 뿌리내림이 용이하여 생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발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피복체(100)에서의 접힘수단(20)은 도 11의 (a)(b)(c)(d)로 도시한 절곡수단에 의해 실시된다.
즉,접힘수단(20)은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10)가 일체로 성형되되, 일정한 간격 마다 "∨"형상의 접힘홈(21)을 구성시켜 이 접힘홈(21)으로 연결된 각각의 판재(10)가 용이하게 접힘되는 구성 및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힘홈(21)가 판재(10)의 전후면 또는 어느 한면으로 신축성이 양호한 비닐 등의 수지필름(22)을 접착시켜 각각의 판재(10)가 연결됨과 함께 수지필름(22)에 의한 접힘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 또는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0)의 한쪽에 힌지홈(23)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의 판재(10)에는 상기 힌지홈(23)에 끼워져 슬립되는 회전축봉(24)으로 구성시켜 상기 힌지홈(23)에 회전축봉(24)이 끼워지는 힌지결합으로 구성함으로서 접힘이 발휘되도록 함과 함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각기 구성된 판재(100)에 일정한 거리로 링구멍(25)을 천공하고 각각의 판재(10)에 뚫린 링구멍(25)에 오링(26)을 끼워 결합함으로서 상기 피복체(100)는 복수개로 연결된 각각의 판재(10)가 일정한 폭으로 연결구성되고 각각의 판재(10)들이 상기 오링(26)에 의해 쉽게 접힘됨으로서 피복체(100)는 이랑(200)의 만곡된 곡면을 따라 굽힘으로 밀착되게 덮혀지고 끝단은 고랑(210)에 밀착되게 설치되게 되는 실시예 중 어느하나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판재(10)와 판재(10)가 대응하여 밀착되는 좌우측면은 곡면 또는 삼각꼴형상으로 구성시켜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편 본 발명의 상기 피복체(100)는 중량을 가볍고 적은 자원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판재(10)에 다공(30)을 천공하거나 판재(10)내에 속이 빈 중공상태 또는 골판지등의 중공부(31)로 형성되는 구성 또는 상기 판재(10)를 망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 멀칭비닐의 피복작업이 어려운 문제와 사용 후 가을에 설치된 멀칭비닐을 제거하는 작업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특히 종래의 멀칭비닐은 여름을 지나면서 태양광등에 의해 찢어지고 작은크기로 분할되는 변질로 수거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피복체(100)는 일정한 두께로 구성되고 성형됨으로서 다년간 이용할 수 있고 쉽게 분할 파손되지 않아 용이한 수거로 다음해에 재사용할 수 있어 자원낭비 방지와 토양오염이 없으며 멀칭비닐을 씌우기 위한 고가의 장비 없이 작업자가 용이하게 설치 및 수거할 수 있는 특징이 발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피복체(100)는 다공으로 뚫어 구성하거나 중공부로 형성시켜 적은 무게로 작업자 1인이 간단히 이동할 수 있는 중량감을 가지고 결합고정이 용이한 특징이 발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모종공(12)은 대량 농작물(220)의 성장크기에 따라 조절되나 대량 지름 3∼10cm 정도가 적당하며 이러한 크기는 농작물(220)이 생육하는데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에서 그 크기가 결정될 수 있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농작물은 콩, 포도, 감자, 고추, 배추, 고구마, 양파, 당근, 양배추, 수박, 참외, 인삼, 상추 등등의 밭작물을 가리킨다.
10 : 판재 10a : 상부판재 10b : 양측면판재
11 : 복토부 12 : 모종공 13 : 개폐판
14 : 체결봉 15 : 핀공 18 : 삽입부
19 : 끼움부 20 : 접힘수단 21 : 접힘홈
22 : 수지필름 23 : 힌지홈 24 : 회전축봉
25 : 링구멍 26 : 오링 30 : 다공
31 : 중공부 100 : 피복체 200 : 이랑
210 : 고랑 220 : 농작물

Claims (7)

  1. 농작물(220)의 생육촉진과 수확량 증대를 위하여 농작물(220)이 자라는 이랑(200)을 피복(被服)시켜 수분증발과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고 온도 상승으로 뿌리 활동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랑(200)에 덮어지는 이랑용 피복체에 있어서,
    상기 피복체(100)는 작업자가 쉽게 견인과 함께 이송설치 및 수거이송이 용이하도록 한크기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판재(10)로 이랑(200)에 덮혀지고 양끝단이 연장되어 고랑(210)에 위치되는 복토부(11)가 함께 형성되는 피복체(100),
    상기 피복체(10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연결 판재(10)는 이랑(200)의 굽은 면을 따라 덮혀지도록 접힘가능한 접힘수단(20),
    그리고 이랑(200) 상부에 위치되는 하나의 판재(10) 또는 복수개의 판재(10)에는 농작물(220)이 모종되는 모종공(12)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용 피복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체(100)는 복수개의 전후 피복체(100)를 길이로 연결시켜 고정하기 위한 체결봉(14)과 체결봉(14)의 결합 또는 추수 후에 피복체(100)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용 걸이핀이 끼워지는 핀공(15)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용 피복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체(100)가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재(10)에 구성된 식모공(12)을 개폐시키는 개폐판(13)과 이 개폐판(13)에 "∪"자형의 식모공(12)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용 피복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재(10)로 구성된 피복체(100)로서 넓은 이랑(200)이 덮혀진 복수개의 판재(10) 각각에 모종공(12)을 뚫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용 피복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재(10)로 구성된 피복체(100)로서 모종공(12)이 형성되고 이랑(200)의 상부면에 덮혀지는 상부판재(10a)와 이랑(200) 양측면에 위치되는 양측면판재(10b) 그리고 고랑(210)에 위치되는 복토부(11)가 접힘수단(20)으로 연결과 접힘되는 구성 및 상기 피복체(100)의 전후측에는 서로 교합되는 삽입부(18)와 삽입부(18)에 결합되는 끼움부(19)가 구비되는 피복체(1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용 피복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체(100)의 접힘수단(20)은 일체로 성형된 판재(10)에 일정한 간격마다 "∨"형상의 접힘홈(21),
    상기 복수개로 구성되는 판재(10)의 전후면 또는 어느 한면으로 접착된 수지필름(22),
    상기 판재(10)의 한쪽에 힌지홈(23)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 판재(10)에 상기 힌지홈(23)에 끼워져 슬립되는 회전축봉(24)으로 구성시켜 힌지결합된 구성 또는 상기 복수개로 각기 구성된 판재(100)에 일정한 거리로 링구멍(25)을 천공하고 각각의 판재(10)에 뚫린 링구멍(25)에 오링(26)을 끼워 결합한 접힘 구성 중 어느 하나로 실시되는 피복체(1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용 피복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체(100)는 중량을 가볍고, 적은 자원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폐비닐의 재활용된 판재(10) 또는 판재(10)가 다공(30) 속이 빈 중공상태, 및 골판지등의 중공부(31)와 망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용 피복체.
KR1020130085363A 2013-07-17 2013-07-17 이랑용 피복체 KR20150009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363A KR20150009902A (ko) 2013-07-17 2013-07-17 이랑용 피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363A KR20150009902A (ko) 2013-07-17 2013-07-17 이랑용 피복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902A true KR20150009902A (ko) 2015-01-27

Family

ID=5248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363A KR20150009902A (ko) 2013-07-17 2013-07-17 이랑용 피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990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94207A (zh) * 2018-08-24 2018-11-13 东北林业大学 一种种子球及其制备方法
KR102021238B1 (ko) * 2018-05-10 2019-09-11 이경진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KR20200009509A (ko) 2018-07-19 2020-01-30 효성정공 주식회사 작물 재배용 커버
KR102099173B1 (ko) * 2019-01-29 2020-04-09 유성권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CN111480501A (zh) * 2020-04-17 2020-08-04 江西威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农业果园种植用适用于各种株距的防草布及其生产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238B1 (ko) * 2018-05-10 2019-09-11 이경진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KR20200009509A (ko) 2018-07-19 2020-01-30 효성정공 주식회사 작물 재배용 커버
CN108794207A (zh) * 2018-08-24 2018-11-13 东北林业大学 一种种子球及其制备方法
KR102099173B1 (ko) * 2019-01-29 2020-04-09 유성권 토양 수분의 증발 지연을 위한 구조물
CN111480501A (zh) * 2020-04-17 2020-08-04 江西威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农业果园种植用适用于各种株距的防草布及其生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9902A (ko) 이랑용 피복체
Anitha et al. Comparison of the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SRI), recommended practices, and farmers’ methods of rice (Oryza sativa L.) production in the humid tropics of Kerala, India
CN211185171U (zh) 生态可回收反复利用超强地膜
Maughan et al. Use of plastic mulch for vegetable production
KR101178837B1 (ko) 잡초제거장치
KR101090154B1 (ko) 직파용 멀칭지
US20130340330A1 (en) Collapsible Shade for Lawn Cultivation
KR102097756B1 (ko) 땅속 농작물의 재배 및 수확 방법
DE112012005254T5 (de) Wandelbare Pflanzbehälter
US20030150157A1 (en) Growth barrier
KR102137565B1 (ko)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GB2558545B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Hsieh Geotextiles in agriculture and aquaculture
KR20180119784A (ko) 수동식 이중 비닐피복장치
KR20120005424U (ko) 농작물 재배용 조립식 덮개
KR101168837B1 (ko) 농작물 순잡이용 베일 네트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40373439A1 (en) Manually installed agricultural mulch, drip irrigation and row cover assembly
KR101838502B1 (ko) 저설형 수경재배용 재배조
JP2007175040A (ja) 特定の天然植物の栽培方法およびその栽培に使用する育生保持体
JP3121897U (ja) 作物育成枠
KR102169932B1 (ko)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CN211090980U (zh) 一种用食用塑料材质制成的农作物种植板
KR20160144092A (ko) 친환경 농작물 재배를 위한 잡초성장차단용 포대
Miles et al. Research and extension priorities to ensure adaptation of high tunnels and biodegradable plastic mulch in the United States
Strader et al. Plastic, Fabric, and Marsh Hay Mulch with No-Till Organic Tomat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