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811B1 -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811B1
KR102098811B1 KR1020180029396A KR20180029396A KR102098811B1 KR 102098811 B1 KR102098811 B1 KR 102098811B1 KR 1020180029396 A KR1020180029396 A KR 1020180029396A KR 20180029396 A KR20180029396 A KR 20180029396A KR 102098811 B1 KR102098811 B1 KR 102098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bars
carrier
transport
crane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992A (ko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102018002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8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B65G49/04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the workpieces being immersed and withdrawn by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5D13/22Servicing or operating apparatus or multistep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Abstract

복수의 캐리어바들에 안착된 금속제품을 복수의 피막처리조에서 처리하여 산화방지막을 형성하는 피막처리공정이 완료된 후, 금속제품이 탈거된 복수의 캐리어바들을 반송시키는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은 피막처리공정의 완료지점에서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캐리어바들을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며, 캐리어바들을 들어올리기 위한 후크가 장착된 지브크레인, 회전이동된 캐리어바들을 반송크레인에 안착시키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송체인, 캐리어바들을 안착하여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피막처리조의 일 측면에 이루어진 반송 가이드레일을 따라 반송하는 반송크레인, 및 반송된 캐리어바들을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장착되며, 공정진행방향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캐리어바들을 반송크레인으로부터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렛킹이송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및 그 방법{CARRIER BAR TRANSPORT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MOUNTING A FILM-COATED OBJECT}
본 발명은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프레임의 표면에 산화방지막을 피막하는 피막처리공정이 완료된 후, 알루미늄프레임들이 탈거된 빈 캐리어바들을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위치로 반송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알루미늄프레임의 표면에 산화방지막을 피막하는 피막처리공정에 있어서, 캐리어바에 거치된 복수의 알루미늄프레임들을 복수의 피막처리조에서 처리하여 알루미늄프레임의 피막처리공정이 완료된다. 통상적으로 한 번의 이송에 있어서, 캐리어들 2개를 한 세트로 하여 한 캐리어당 약 20개 정도의 알루미늄프레임을 거치하게 된다. 피막처리공정은 예를 들어, 산탈지조, 에칭조, 중화조, 전해조, 탕세조, 순수조, 전착조 등에 차례대로 알루미늄프레임을 투입하여 진행되며, 각각의 조에 수 분 이상의 상당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러한 피막처리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캐리어바에서 알루미늄프레임들이 탈거되고, 알루미늄프레임들이 탈거된 빈 캐리어바들은 피막처리공정을 반복하기 위하여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위치로 다시 반송된다.
피막처리공정을 위해서는 각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피막과정에서 알루미늄프레임들이 서로 붙지 않도록 하나씩 분리하여 엮어 캐리어바에 거치하는 등의 수작업을 위한 인력도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반송되는 빈 캐리어바들이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위치로 완전히 되돌아온 후에야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거치한 캐리어바들에 의한 새로운 피막처리공정이 시작될 수 있다. 즉,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거치한 캐리어바들의 한 번의 이송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뿐만 아니라 반송에 소요되는 시간까지 또 다른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거치한 캐리어바에 의한 새로운 피막처리공정이 시작될 수 없으므로 피막처리공정의 공정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대기 시간동안 상당한 물적, 인적 낭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피막처리공정이 완료되는 알루미늄프레임의 수가 한정될 수밖에 없어 생산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송 캐리어바 및 반송 캐리어바를 동시에 운반하기 위한 이층구조의 레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층 구조의 레일을 사용하는 경우, 메인처리공정에 이용되는 승강크레인보다 높은 위치에 빈캐리어바 반송용 크레인을 설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반송되는 캐리어바를 더 높이 올릴 수 있는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송되는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거치한 캐리어바는 여러 피막처리공정 절차들을 거치게 되므로 레일을 이동하는 속도가 빠르지 않다. 반면에, 반송되는 빈 캐리어바는 빠르게 시작 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필요한 속도에 맞추어 이송 및 반송 캐리어바가 각기 다른 레일을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레일을 사용하게 되면, 반송되는 캐리어바는 반송에 필요한 빠른 속도를 쉽게 구현하기 어려우므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프레임들이 탈거된 후의 반송되는 빈 캐리어바들이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위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의 연속적인 피막처리공정 및 속도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반송되는 빈 캐리어바를 회전시켜 빈 캐리어바의 방향을 이송되는 알루미늄프레임들이 거치된 캐리어바와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한정된 공간 하에서도 이송 및 반송 캐리어바가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캐리어바들에 안착된 금속제품을 복수의 피막처리조에서 처리하여 산화방지막을 형성하는 피막처리공정이 완료된 후, 금속제품이 탈거된 복수의 캐리어바들을 반송시키는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은 피막처리공정의 완료지점에서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캐리어바들을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며, 캐리어바들을 들어올리기 위한 후크가 장착된 지브크레인, 회전이동된 캐리어바들을 반송크레인에 안착시키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송체인, 캐리어바들을 안착하여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피막처리조의 일 측면에 이루어진 반송 가이드레일을 따라 반송하는 반송크레인, 및 반송된 캐리어바들을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장착되며, 공정진행방향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캐리어바들을 반송크레인으로부터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렛킹이송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은 후크는 하강하여 2개의 캐리어바들 사이를 통과한 후에 회전하여 캐리어바들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은 지브크레인은 한번에 4개의 캐리어바들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후크의 간격은 4개의 캐리어바들 중 양 끝의 2개의 캐리어바들과 중앙의 2개의 캐리어바들 사이를 통과한 후에 회전하여 캐리어바들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은 렛킹이송크레인의 회전수단은 렛킹이송크레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반송크레인으로부터 안착된 캐리어바들을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캐리어바들, 이송체인, 지브크레인, 반송크레인, 렛킹이송크레인 및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방법은 지브크레인이 캐리어바들을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단계, 지브크레인에 의해 회전된 캐리어바들을 이송체인으로 안착시키고, 이송체인이 캐리어바들을 반송크레인에 안착시키는 단계, 반송크레인에 안착된 캐리어바들을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피막처리조의 일 측면에 이루어진 반송가이드레일을 따라 반송하는 단계, 및 상기 렛킹이송크레인에 장착된 회전수단이 상기 캐리어바들을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방법은 캐리어바들을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단계는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에서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수단이 렛킹이송크레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단계, 반송된 반송크레인에 안착된 캐리어바들을 안착시켜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까지 되돌아오는 단계,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에서 캐리어바들을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루미늄프레임을 거치한 캐리어바가 피막처리공정을 수행하며 이송되는 동안에도, 이미 피막처리가 끝난 알루미늄프레임들이 탈거된 캐리어바가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위치까지 반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반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도, 연속적인 이송 및 반송 작업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이송 가이드레일과 반송 가이드레일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캐리어바의 이송 및 반송에 필요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반송되는 빈 캐리어바를 회전시켜 빈 캐리어바의 방향을 이송되는 알루미늄프레임들이 거치된 캐리어바와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제한된 피막처리공장의 공간 안에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피막처리공정에서의 물적, 인적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에서 지브크레인이 캐리어바를 거치하기 위하여 하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브크레인이 하강하며 후크가 회전하여 캐리어바를 거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브크레인이 도 3에서 회전된 캐리어바를 이송체인에 안착시키기 위해 하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캐리어바가 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되어 반송크레인에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캐리어바가 반송크레인에 안착된 후 지브크레인이 원위치로 돌아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반송크레인에 안착된 캐리어바를 이송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바와 이격되도록 위치한 반송 가이드레일을 따라 반송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반송된 캐리어바를 제2 이송체인이 반송크레인에서 렛킹이송크레인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렛킹이송크레인에 안착된 캐리어바를 렛킹이송크레인이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회전수단이 캐리어바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출원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에는 복수의 캐리어바들(10)에 안착된 금속제품을 복수의 피막처리조에서 처리하여 산화방지막을 형성하는 피막처리공정이 완료된 후, 금속제품이 탈거된 복수의 캐리어바들(10)을 반송시키는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캐리어바들(10)에 안착된 금속제품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프레임들로 이루어지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금속제품의 일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은 캐리어바(10), 이송 가이드레일(20), 반송 가이드레일(30), 지브크레인(100) 및 반송크레인(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바들(10)은 4개의 캐리어바들을 한 세트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알루미늄프레임들을 캐리어바들(10)에 거치하는 작업영역(A1)에서 각각의 캐리어바(10)는 약 20개의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거치할 수 있다. 피막처리공정이 시작되기 전에는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각각의 캐리어바(10)에 일반적으로는 수작업으로 하나씩 분리하여 엮어서 거치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그 후, 이러한 알루미늄프레임들이 거치된 캐리어바들(10)은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까지 이동하여 공정을 준비하게 된다. 한편, 반송되는 캐리어바들(10)은 4개가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각각의 캐리어바(10)가 방향이 달라지거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캐리어바(10)는 스페이서(60)를 통해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60)의 길이는 각각의 캐리어바(10)의 하부에 캐리어바(10)보다 스페이서(60)의 길이방향으로 더 길게 이루어져 부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가이드레일(20)은 알루미늄프레임들이 거치된 캐리어바들(10)이 피막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정진행방향(A2)을 따라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 가이드레일(20)을 따라 호이스트 또는 후크와 같이 캐리어바들(10)을 거치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승강크레인이 이동할 수 있으며, 캐리어바들(10)을 운반하는 승강크레인은 이송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송되면서, 피막처리공정을 거치게 된다. 승강크레인의 양 단부가 이에 대응하는 양쪽의 이송 가이드레일(20)에 놓여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피막처리공정은 산탈지조, 에칭조, 중화조, 전해조, 탕세조, 순수조, 전착조 등에 차례대로 알루미늄프레임을 투입하여 진행되며, 투입될 때에는 승강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캐리어바들(10)이 멈춤과 동시에 피막처리조를 향하여 하강하게 된다. 각각의 조에 알루미늄프레임이 투입되어 수 초 내지 수 분 이상의 상당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렇게 각 조에 캐리어바들(10)이 하강하여 투입되고, 상승하여 인출되며, 이송 가이드레일(20)을 따라 다음 조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방식으로 피막처리공정이 진행된다. 피막처리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캐리어바들(10)에 거치된 알루미늄프레임들이 탈거된다.
한편, 반송 가이드레일(30)은 피막처리공정이 완료되어 알루미늄프레임들이 탈거된 캐리어바들(10)을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으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반송한다. 이에 의해,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으로 되돌아온 캐리어바들(10)은 다시 피막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거치하고 이송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송되면서 피막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반송 가이드레일(30)은 이송 가이드레일(2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송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바들(10)과 이격되도록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피막처리조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피막처리조들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등 공장의 상황에 맞게 설치될 수 있는 어느 공간이든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이송되는 캐리어바들(10)이 이송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공간과, 반송되는 캐리어바들(10)이 반송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공간이 겹치지 않도록 이송 가이드레일(20)과 반송 가이드레일(30)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이송되는 캐리어바들(10)과 반송되는 캐리어바들(10)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거치한 캐리어바들(10)이 피막처리공정을 수행하며 이송되는 동안에도, 이미 피막처리가 끝난 알루미늄프레임들이 탈거된 캐리어바들(10)이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위치까지 반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반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도, 연속적인 이송 및 반송 작업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이송 가이드레일(20)과 반송 가이드레일(30)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캐리어바들(10)의 이송 및 반송에 필요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송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송되는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거치한 캐리어바들(10)은 각각의 피막처리조에 알루미늄프레임들을 투입하는 등 여러 피막처리공정 절차들을 거치게 되므로, 이송 가이드레일(20)에는 멈춤장치 및 하강장치 등이 적용되어 레일을 이동하는 속도가 빠르지 않게 조절된다. 이와 달리, 반송 가이드레일(30)을 따라 반송되는 빈 캐리어바들(10)은 빠르게 시작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함으로써, 피막처리공정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반송 가이드레일(30)은 레일의 구조와 마찰 정도 또는 레일에 부착되는 호이스트의 종류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반송에 필요한 빠른 속도를 쉽게 구현할 수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브크레인(100)은 캐리어바들(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크레인(300)은 지브크레인(100)에 의해 회전된 캐리어바들(10)을 안착하여 반송 가이드레일(30)을 따라 반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지브크레인(100)은 피막처리공정의 완료지점에서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며, 상기 캐리어바들(10)을 들어올리기 위한 후크(6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브크레인(100)은 캐리어바들(10)을 거치하기 위하여 하강하며, 알루미늄프레임들이 탈거된 캐리어바들(10)을 후크(60)에 의해 들어올린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브크레인(100)에 장착된 후크(60)는 하강하여 2개의 캐리어바들(10) 사이를 통과한 후에 회전하여 캐리어바들(1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후크(60)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의 두께는 2개의 캐리어바들(10)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후크(60)가 2개의 캐리어바들(1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2개의 캐리어바들(10) 사이를 통과한 후크(60)는 캐리어바들(1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다시 지브크레인(100)에 의해 상승하여 캐리어바들(10)을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지브크레인(100)은 한번에 4개의 캐리어바들(1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후크(60)의 간격은 4개의 캐리어바들(10) 중 양 끝의 2개의 캐리어바들과 중앙의 2개의 캐리어바들 사이를 통과한 후에 회전하여 캐리어바들(1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브크레인(100)의 양쪽에 부착된 2개씩의 후크(60)가 4개의 캐리어바들(10)을 양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브크레인(100)은 피막처리공정의 완료지점에서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캐리어바들(10)을 대략 90도 회전시키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가이드레일(30)을 이송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바들(10)과 이격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반송되는 빈 캐리어바들(10)과 이송되는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거치한 캐리어바들(10)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한된 피막처리공장의 공간 안에서 효율적으로 공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피막처리공정에서의 물적, 인적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바들(10)을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위치로 반송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비를 최소화하여, 과도한 장비의 운용에 따른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다만, 지브크레인(100)이 캐리어바들(10)을 반송된 위치에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는 반송크레인(300)으로 캐리어바들(10)을 안착시킬 수 없으므로, 이송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바들(10)과 이격되도록 위치한 반송 가이드레일(30)의 위치로 반송된 캐리어바들(10)을 운반하는 다양한 이송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은 이송체인(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송체인(40)은 캐리어바들(10)을 반송크레인(300)에 안착시키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브크레인(100)은 캐리어바들(10)을 회전시켜, 회전된 캐리어바들을 이송체인(40)에 안착시키기 위해 하강하여 이송체인(40)으로 안착시키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40)은 캐리어바들(10)을 반송크레인(30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이송체인(40)은 일부가 접었다 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송체인(40)의 일부가 반송크레인(300)의 후크(70)가 있는 위치까지 펴지며, 캐리어바들(10)이 지브크레인(100)으로부터 반송크레인(300)의 후크(70)까지 이송되어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지브크레인(100)에 의해 회전된 캐리어바들(10)의 일단부가 이송체인(40)의 일부에 안착되며, 캐리어바들(10)은 이송 가이드레일(20)과 상당 거리 이격되어 있는 반송크레인(300)의 반송 가이드레일(30)까지 이송체인(40)의 다른 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이송체인(40)의 다른 일부는 다시 접혀지게 되며, 캐리어바들(10)은 반송 가이드레일(30)을 따라 공정진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반송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바들(10)이 반송크레인(300)에 안착된 후에는, 지브크레인(100)은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가이드레일(20)과 반송 가이드레일(30)의 이격된 거리는 이송되는 알루미늄프레임들과 반송되는 알루미늄프레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알루미늄프레임의 길이의 절반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방법은 지브크레인(100)이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단계(S10), 지브크레인(100)에 의해 회전된 캐리어바들(10)을 이송체인(40)으로 안착시키고, 이송체인(40)이 캐리어바들(10)을 반송크레인(300)에 안착시키는 단계(S20), 및 반송크레인(300)에 안착된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피막처리조의 일 측면에 이루어진 반송가이드레일(30)을 따라 반송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은 반송된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210)이 장착되며, 공정진행방향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캐리어바들(10)을 반송크레인(300)으로부터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렛킹이송크레인(200)을 포함할 수 있다.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에서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수단(210)이 렛킹이송크레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된 반송크레인(300)의 후크(70)에 안착된 캐리어바들(10)을 렛킹이송크레인(200)의 후크(80)로 이송체인(50)을 통해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체인(50)은 이송체인(40)과 마찬가지로 일부가 접혔다 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술한 이송체인(40)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회전수단(210)이 렛킹이송크레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공정진행방향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회전수단(210)이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까지 되돌아오게 된다. 그 다음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단(210)이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캐리어바들(10)은 피막처리공정이 시작하기 전의 처음 상태로 초기화될 수 있다. 즉, 회전수단(210)은 캐리어바들(10)을 캐리어바들(10)의 길이방향이 이송 가이드레일(20)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캐리어바들(10)은 렛킹이송크레인(200)으로부터 렛킹장 이송체인에 안착되며, 렛킹장 이송체인이 캐리어바들(10)을 일정 간격으로 정렬하여 모아놓는다.
한편, 정렬된 캐리어바들(10)은 건조영역(A3)에서 건조작업이 이루어진 후, 탈거영역(A4)에서 캐리어바들(10)에 거치된 알루미늄프레임들을 탈거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결과적으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캐리어바들(10)은 피막처리공정의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게 되며, 다시 알루미늄프레임들을 거치하여 피막처리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방법은 렛킹이송크레인(200)에 장착된 회전수단(210)이 캐리어바들(10)을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단계(S40)는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에서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수단(210)이 렛킹이송크레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단계(S41), 반송된 반송크레인(300)에 안착된 캐리어바들(10)을 안착시켜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까지 되돌아오는 단계(S42), 및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에서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캐리어바들(10)에 거치된 알루미늄프레임을 반송 레일과 연장선상에서 외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렛킹이송크레인(200)을 공장 외부로 적절하게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렛킹이송크레인(200)으로 이송되는 캐리어바들(10)은 캐리어바들(10)의 길이방향이 렛킹이송크레인(200)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캐리어바들(10)은 한정된 면적을 갖는 공장의 출입문을 용이하게 통과하여 자동으로 외부로 운반될 수 있다.
한편, 지브크레인(100), 렛킹이송크레인(200) 및/또는 반송크레인(300)에는 캐리어바들(10)을 들어올리기 위한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후크(60, 70, 80)가 장착될 수 있다. 지브크레인(100), 렛킹이송크레인(200) 및/또는 반송크레인(300)에는 호이스트 또는 후크가 하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장착되는 위치는 캐리어바들(10)을 들어올리기 위한 어느 위치이든 가능하다. 또한, 후크는 유압실린더 후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호이스트 또는 후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브크레인(100)에 장착되는 후크(60)는 예를 들어, 약 4개의 캐리어바들(10) 중 각각 2개의 캐리어바들(10)의 한쪽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후크(6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후크는 2개의 캐리어바들(10) 사이로 들어간 후에 회전하여 캐리어바들(10) 아래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캐리어바들(10)을 들어올릴 수 있다. 한편, 반송크레인(300) 및 렛킹이송크레인(200)에 장착되는 후크(70, 80)는 예를 들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캐리어바들(10)을 수납하여 지지하면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경 및/또는 변경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에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캐리어바 20: 이송 가이드레일
30: 반송 가이드레일 40: 이송체인
60, 70, 80: 후크 100: 지브크레인
200: 렛킹이송크레인 210: 회전수단
300: 반송크레인

Claims (6)

  1. 삭제
  2. 복수의 캐리어바들(10)에 안착된 금속제품을 복수의 피막처리조에서 처리하여 산화방지막을 형성하는 피막처리공정이 완료된 후, 금속제품이 탈거된 복수의 캐리어바들(10)을 반송시키는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에 있어서,
    피막처리공정의 완료지점에서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며, 상기 캐리어바들(10)을 들어올리기 위한 후크(60)가 장착된 지브크레인(100);
    상기 회전이동된 캐리어바들(10)을 반송크레인(300)에 안착시키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이송체인(40);
    상기 캐리어바들(10)을 안착하여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피막처리조의 일 측면에 이루어진 반송 가이드레일(30)을 따라 반송하는 반송크레인(300); 및
    상기 반송된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210)이 장착되며, 공정진행방향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상기 캐리어바들(10)을 반송크레인(300)으로부터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렛킹이송크레인(200)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60)는 하강하여 2개의 캐리어바들(10) 사이를 통과한 후에 회전하여 상기 캐리어바들(1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브크레인(100)은 한번에 4개의 캐리어바들(1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후크(60)의 간격은 상기 4개의 캐리어바들(10) 중 양 끝의 2개의 캐리어바들과 중앙의 2개의 캐리어바들 사이를 통과한 후에 회전하여 상기 캐리어바들(10)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렛킹이송크레인(200)의 회전수단(210)은 상기 렛킹이송크레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반송크레인(300)으로부터 안착된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5. 복수의 캐리어바들(10), 이송체인(40), 지브크레인(100), 반송크레인(300), 렛킹이송크레인(200) 및 회전수단(210)을 포함하는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브크레인(100)에 장착된 후크(60)가 하강하여 2개의 캐리어바들(10) 사이를 통과한 후에 회전하여 상기 캐리어바들(10)을 들어올리며, 상기 지브크레인(100)이 상기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단계(S10);
    상기 지브크레인(100)에 의해 회전된 상기 캐리어바들(10)을 상기 이송체인(40)으로 안착시키고, 상기 이송체인(40)이 상기 캐리어바들(10)을 상기 반송크레인(300)에 안착시키는 단계(S20);
    상기 반송크레인(300)에 안착된 상기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피막처리조의 일 측면에 이루어진 반송가이드레일(30)을 따라 반송하는 단계(S30); 및
    상기 렛킹이송크레인(200)에 장착된 회전수단(210)이 상기 캐리어바들(10)을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바들(10)을 피막처리공정의 시작지점까지 이동시키는 단계(S40)는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에서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수단(210)이 상기 렛킹이송크레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단계(S41), 반송된 상기 반송크레인(300)에 안착된 캐리어바들(10)을 안착시켜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까지 되돌아오는 단계(S42), 및 피막처리공정의 시작 지점에서 상기 캐리어바들(10)을 공정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43)를 더 포함하는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방법.
KR1020180029396A 2018-03-13 2018-03-13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8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396A KR102098811B1 (ko) 2018-03-13 2018-03-13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396A KR102098811B1 (ko) 2018-03-13 2018-03-13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92A KR20190107992A (ko) 2019-09-23
KR102098811B1 true KR102098811B1 (ko) 2020-04-08

Family

ID=6806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396A KR102098811B1 (ko) 2018-03-13 2018-03-13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8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749B2 (ja) * 1989-11-21 1998-05-20 株式会社アルメックス アルミ型材の縦吊り表面処理設備
JPH06128797A (ja) * 1992-10-20 1994-05-10 Katsukawa Kogyo Kk 浸漬処理装置
JP2875796B2 (ja) * 1997-03-21 1999-03-31 東芝ケミカル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の表面処理用保持治具
KR20130052327A (ko) * 2011-11-11 2013-05-22 박경이 도금용 바스켓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992A (ko) 201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MI20110703A1 (it) Stazione per il trattamento ad immersione di scocche
US20140314963A1 (en) Plant and method for immersion of bodyworks
EP0303699B1 (en) Apparatus for conveying untreated materials
KR102098811B1 (ko) 피막처리물을 거치하기 위한 캐리어바의 반송시스템 및 그 방법
JPH01172596A (ja) 揺動機構を備えた処理設備
JP2008156736A (ja) 表面処理装置の被処理物搬送装置
JPH0657878B2 (ja) 電着塗装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123316B1 (ko) 알루미늄프레임의 피막처리공정 시스템 및 그 이송방법
JP3853093B2 (ja) 自動洗浄装置の搬送機構
US2935989A (en) Processing apparatus
JPS59124620A (ja) 自動メツキ装置
JP2007077477A (ja) 前処理電着塗装装置及び前処理電着塗装装置の被処理物搬送方法
JPS60213622A (ja) アルミニウム押出形材搬送装置
US11072501B2 (en) Finish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JP4849255B2 (ja) 作業設備
US2532849A (en) Apparatus for moving articles
JP4174828B2 (ja) 表面処理装置
JPH04145976A (ja) 表面処理装置
JPH05311496A (ja) 自動表面処理装置における移し換え移送機構
US3247948A (en) Conveying apparatus for plating equipment
DE3402151C2 (ko)
KR100197955B1 (ko) 전착도장창치
CA3084166A1 (en) Finish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JPH0217639B2 (ko)
TW201514348A (zh) 連續式工件表面處理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