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486B1 - 수소환경 모사장치 - Google Patents

수소환경 모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486B1
KR102098486B1 KR1020180093463A KR20180093463A KR102098486B1 KR 102098486 B1 KR102098486 B1 KR 102098486B1 KR 1020180093463 A KR1020180093463 A KR 1020180093463A KR 20180093463 A KR20180093463 A KR 20180093463A KR 102098486 B1 KR102098486 B1 KR 102098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hydrogen environment
simulation apparatus
coupled
environment s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909A (ko
Inventor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9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4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밴딩유닛은 복수의 시편이 안착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측벽인 외측벽부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시편을 가압하여 밴딩시키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는 내부에 산용액이 구비되는 하우징유닛 및 상기 하우징유닛의 내부에 안착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시편 밴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소환경 모사장치{Hydrogen environment simul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소환경 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가급 스틸소재를 이용한 성형제품에서 일정시간 경과후 크랙등의 결함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기가급 소재의 성형가공 과정에서 성형부 결함원인 분석목적으로 다양한 실험이 진행된다.
성형부 결함 원인 분석 실험의 하나는 시편을 다양한 형태로 가공 일정각도의 밴딩과 유지 상태에서 일정시간 염산용액에 침전시켜, 밴딩부 즉 소재가공부의 잔류수소로 인한 결함 영향 등을 분석하고 있다.
잔류수소 측정목적의 시편 제작은 시편을 일정한 크기로 가공하여 실험목적의 각도로 밴딩하며 밴딩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볼트 등을 이용하여 밴딩된 상태의 시편을 고정한다.
즉, 시편을 볼트 등으로 밴딩 상태의 각도를 유지하게 하고, 이를 일정시간 염산용액에 침전시킨 후에 분리를 통해 밴딩부의 가공 분석으로 수소유입(잔류수소)에 의한 소재 가공부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그런데, 각 시편에 밴딩조건의 변화에 따라 순차적 개별적으로 실험을 진행하기 때문에, 실험의 진행에 많은 공정과 시간이 반복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험 중에 동일한 밴딩 부분의 형성 및 밴딩 각도의 정확한 형성이 어려워 신뢰성에도 문제가 있다.
즉, 시편을 이용한 저각도 밴딩과 밴딩 유지 상태에서 시편에 작용하는 가공힘의 위치가 시편마다 달라 실험을 통한 재현성확보가 어려우며, 저각도 밴딩 시편의 지지고정이 불안정하여 염산용액 침전상태에서 각도변형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가공부의 수소영향 분석편차로 성형가공 과정에서의 잔류수소로 인한 정확한 가공방법의 도출이 불가능하다.
특히 기가급 소재의 시편은 저각도 밴딩 유지를 위한 홀가공 및 볼트 결합에 의한 변형으로 실험의 신뢰도가 저하되며, 또한 홀가공 없이 저각도 밴딩 유지가 어렵고 불안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소환경 모사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출원번호 제10-2010-0022053호
본 발명은 시편의 밴딩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수소환경 모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 시편의 밴딩 상태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소환경 모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는, 내부에 산용액이 구비되는 하우징유닛 및 상기 하우징유닛의 내부에 안착되는 시편 밴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시편 밴딩유닛은, 복수의 시편이 안착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측벽인 외측벽부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시편을 가압하여 밴딩시키는 내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의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부지지부, 상기 내부지지부에 복수 개가 연계되며, 상기 외측벽부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복수의 상기 시편을 각각 밴딩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내부지지부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유로홈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가압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중앙유로홈으로 공급하는 유압공급부 및 상기 중앙유로홈에 연통되며 상기 내부지지부의 측면으로 개구된 측면홈에 삽입되며, 상기 유압공급부에서 공급하는 가압유체의 유압에 의해서 상기 시편을 가압하는 자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의 상기 자키부는, 상기 측면홈에 삽입되는 삽입봉, 상기 삽입봉의 외측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편을 가압하는 가압판 및 상기 삽입봉의 내측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측면홈을 실링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오링이 구비되고, 상기 유압공급부에서 공급하는 가압유체에 의해서 가압력을 전달받는 밀폐판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측면홈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측면홈의 외측 일단부에 형성된 스토퍼탭과 상기 밀폐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귀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봉이 결합되는 상기 가압판의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에 결합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시편과 접촉되는 내부접촉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의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외측벽부가 둘레 방향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산유입홀이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의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외측벽부에 인접하여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끼워지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시편과 접촉되는 외부접촉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의 상기 외부접촉탭은, 상기 내부접촉탭보다 상기 시편의 외측부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의 상기 바닥부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레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수소환경 모사장치는 시편의 밴딩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수소환경 모사장치는 시편의 밴딩 상태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소환경 모사장치는 복수의 시편에 대한 밴딩 상태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성형부 결함원인 분석목적의 잔류수소 측정 실험의 진행 과정을 줄일 수 있고, 실험 시간을 단축하고, 실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편 밴딩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편 밴딩유닛에서 내부프레임의 가압부가 시편을 가압하여 밴딩 상태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편 밴딩유닛의 외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편 밴딩유닛의 내부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시편 밴딩유닛의 내부프레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수소환경 모사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편 밴딩유닛(1)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편(S)의 밴딩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서는 시편(S)의 밴딩 상태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형부 결함원인 분석목적의 잔류수소 측정 실험의 진행 과정을 줄일 수 있고, 실험 시간을 단축하고, 실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시편 밴딩유닛(1)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시편 밴딩유닛(1)에서 내부프레임(200)의 가압부(220)가 시편(S)을 가압하여 밴딩 상태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밴딩유닛(1)은 복수의 시편(S)이 안착되는 외부프레임(100) 및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측벽인 외측벽부(110)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시편(S)을 가압하여 밴딩시키는 내부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상기 외부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되는 시편(S)에 대하여,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밴딩 상태의 재현성을 확보하면서 상기 시편(S)에 대한 밴딩 상태를 형성하여 밴딩 상태 형성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복수의 시편(S)에 대한 밴딩 상태를 형성할 수 있어, 반복적 밴딩 상태 형성을 일시 또는 횟수를 경감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프레임(100)은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협력하여 시편(S)의 밴딩상태를 형성하게 되며, 또한 수소환경 모사장치에 설치되어 산용액의 유입에 의한 밴딩 상태의 시편(S)에 대한 수소환경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외부프레임(100)은 외측벽부(110)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외측벽부(110)는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협력하여 상기 시편(S)에 대한 밴딩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100)은 바닥부(120), 외부접촉탭(130)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더하여, 상기 외부프레임(100)은, 상기 외측벽부(110)에 결합되며, 상기 시편(S)을 상기 외측벽부(110)의 중앙부에 배치되게 유도하는 센터링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센터링부(140)는 시편(S)이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상기 외측벽부(110) 사이에 안착시에 상기 외측벽부(110)의 중앙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편(S)의 밴딩 위치를 일정하게 형성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센터링부(140)는, 각형 형태로 형성된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둘레 방향으로 결합되는 상기 외측벽부(110)의 각도 변형 부분인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는 조정스프링(142) 및 상기 조정스프링(142)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형의 접촉구(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접촉구(141)에는 상기 시편(S)의 일단부가 접촉되면, 상기 접촉구(141)는 상기 시편(S)의 일단부를 상기 외측벽부(110)의 어느 하나의 면부의 중앙부로 밀어주게 되어 상기 시편(S)을 상기 외측벽부(110)의 어느 하나의 면부의 중앙부에 배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시편(S)의 양단부는 상기 외측벽부(110)의 어느 하나의 면부의 양측 모서리에 결합된 접촉구(141)가 각각 밀어주게 되어 상기 시편(S)을 상기 외측벽부(110)의 어느 하나의 면부의 중앙부로 센터링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부프레임(200)은 상기 시편(S)을 상기 외측벽부(110)로 밀어주어 상기 시편(S)을 밴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내부프레임(200)은 내부지지부(210), 가압부(2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편 밴딩유닛(1)의 외부프레임(10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밴딩유닛(1)의 상기 외부프레임(100)은, 상기 외측벽부(110)가 둘레 방향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산유입홀(121)이 형성된 바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프레임(100)은 수소환경 모사장치에 설치되어 산용액의 유입에 의한 밴딩 상태의 시편(S)에 대한 수소환경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산유입홀(121)이 형성된 바닥부(12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부(120)에는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협력하여 상기 시편(S)을 밴딩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외부접촉탭(130)이 결합되는 안착홈(122)도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밴딩유닛(1)의 상기 외부프레임(100)은, 상기 외측벽부(110)에 인접하여 상기 바닥부(120)에 형성된 안착홈(122)에 끼워지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부(110)에서 돌출되어 상기 시편(S)과 접촉되는 외부접촉탭(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접촉탭(130)은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내부접촉탭(224)과 협력하여 상기 시편(S)을 밴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외부접촉탭(130)은 상기 내부접촉탭(224)보다 상기 시편(S)의 외측에 지지하도록 구비됨에 의하여, 상기 내부접촉탭(224)이 상기 시편(S)의 중앙부를 밀어서 밴딩 상태를 형성하게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밴딩유닛(1)의 상기 외부접촉탭(130)은, 상기 내부접촉탭(224)보다 상기 시편(S)의 외측부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접촉탭(130)은 상기 안착홈(122)에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안착홈(122)에 접착제를 부가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밴딩유닛(1)의 상기 바닥부(120)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레그(1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레그(123)가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외부프레임(100)이 상기 수소환경 모사장치에 안착시에 상기 수소환경 모사장치 내부의 산용액이 상기 레그(123)들 사이의 공간을 경유하여 상기 산유입홀(121)로 이동되고, 상기 산유입홀(121)을 통과한 산용액이 상기 시편(S)이 구비된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편 밴딩유닛(1)의 내부프레임(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시편 밴딩유닛(1)의 내부프레임(200)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밴딩유닛(1)의 상기 내부프레임(200)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부지지부(210), 상기 내부지지부(210)에 복수 개가 연계되며, 상기 외측벽부(110)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복수의 상기 시편(S)을 각각 밴딩시키는 가압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부(210)는 상기 가압부(220)가 상기 외측벽부(1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2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내부지지부(210)는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바닥부(120)의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지지부(210)는 상기 가압부(220)를 유압에 의해서 상기 외측벽부(110) 방향으로 가압하기 가압유체를 전달하는 중앙유로홈(211)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가압부(220)가 상기 외측벽부(1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측면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유로홈(211)과 측면홈(212)은 서로 연동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유로홈(211)은 상기 내부지지부(210)의 중앙부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홈(212)은 상기 내부지지부(210)의 측벽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220)는 유압에 의해서 상기 시편(S)이 배치되는 상기 외측벽부(110)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압부(220)는 유압공급부(221), 자키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밴딩유닛(1)의 상기 가압부(220)는, 상기 내부지지부(21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유로홈(211)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가압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중앙유로홈(211)으로 공급하는 유압공급부(221) 및 상기 중앙유로홈(211)에 연통되며 상기 내부지지부(210)의 측면으로 개구된 측면홈(212)에 삽입되며, 상기 유압공급부(221)에서 공급하는 가압유체의 유압에 의해서 상기 시편(S)을 가압하는 자키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압공급부(221)는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유체공급부(E)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유체공급부(E)에서 가압유체를 전달받으며, 이렇게 전달받은 가압유체는 상기 중앙유로홈(211)을 통하여 상기 자키부(222)로 전달되어 상기 자키부(222)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자키부(222)는 상기 유압공급부(221)에서 공급하는 가압유체에 의해서 상기 외측벽부(110)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자키부(222)는 삽입봉(222a), 가압판(222b), 밀폐판(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밴딩유닛(1)의 상기 자키부(222)는, 상기 측면홈(212)에 삽입되는 삽입봉(222a), 상기 삽입봉(222a)의 외측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편(S)을 가압하는 가압판(222b) 및 상기 삽입봉(222a)의 내측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측면홈(212)을 실링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오링(222d)이 구비되고, 상기 유압공급부(221)에서 공급하는 가압유체에 의해서 가압력을 전달받는 밀폐판(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봉(222a)은 상기 내부지지부(210)의 측면홈(212)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유체에 의한 가압력으로 상기 외측벽부(110)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삽입봉(222a)은 상기 측면홈(212)에 삽입되어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판(222b)은 상기 삽입봉(222a)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봉(222a)이 상기 외측벽부(110) 방향으로 이동시에 함께 이동되어 상기 외측벽부(110)에 인접하여 배치된 시편(S)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가압판(222b)에는 상기 시편(S)과 접촉되도록 돌출된 내부접촉탭(224)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밴딩유닛(1)의 상기 가압부(220)는, 상기 삽입봉(222a)이 결합되는 상기 가압판(222b)의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에 결합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222b)에서 돌출되어 상기 시편(S)과 접촉되는 내부접촉탭(2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부접촉탭(224)은 상기 외부접촉탭(130)과 협력하여 상기 시편(S)을 밴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내부접촉탭(224)은 상기 외부접촉탭(130)보다 상기 시편(S)의 내측에 지지하도록 구비됨에 의하여, 상기 시편(S)의 내측부를 밀어서 상기 시편(S)의 밴딩 상태를 형성하게 한다.
상기 밀폐판(222c)은 상기 중앙유로홈(211)으로 가압유체가 유입되면 이를 전달받아 상기 가압유체가 가하는 유압에 의해서 상기 삽입봉(222a)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밀폐판(222c)은 상기 삽입봉(222a)의 내측 타단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측면홈(212)을 밀폐하도록 결합됨에 의해서, 상기 측면홈(212)과 연통된 중앙유로홈(211)으로 전달되는 가압유체는 상기 밀폐판(222c)을 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폐판(222c)은 상기 측면홈(212)의 밀폐를 위해서 외측 둘레 방향에 오링(222d)이 결합된다. 이러한 오링(222d)은 산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편 밴딩유닛(1)의 상기 가압부(220)는, 상기 측면홈(212)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측면홈(212)의 외측 일단부에 형성된 스토퍼탭(213)과 상기 밀폐판(222c) 사이에 배치되는 복귀스프링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귀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유압공급부(221)에서 가압유체를 회수하는 경우에, 상기 자키부(222)를 원래 위치로 원상 복귀시키게 된다.
즉, 상기 복귀스프링은 상기 측면홈(212)의 외측 일단부에 형성된 스토퍼탭(213)에 의해서 일단부가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압판(222b)의 일면부에 의해서 지지되는데, 상기 가압판(222b)의 타면부를 가압하던 가압유체가 회수되면 상기 가압판(222b)은 상기 복귀스프링에서 가하는 탄성력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자키부(222)를 원상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시편 밴딩유닛(1)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소환경 모사장치는 내부에 산용액이 구비되는 하우징유닛(2) 및 상기 하우징유닛(2)의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시편 밴딩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산용액이 구비되는 하우징유닛(2)에 상기 시편 밴딩유닛(1)이 안착되면,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바닥부(120)에 형성된 산유입홀(121)을 통하여 상기 외부프레임(100) 내부로 산용액이 유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프레임(100)과 내부프레임(200) 사이에 밴딩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시편(S)은 산용액에 노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성형부 결함원인 분석목적의 잔류수소 측정 실험의 진행을 위한 시편(S)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시편 밴딩유닛 2: 하우징유닛
100: 외부프레임 110: 외측벽부
120: 바닥부 121: 산유입홀
122: 안착홈 123: 레그
130: 외부접촉탭 140: 센터링부
141: 접촉구 142: 조정스프링
200: 내부프레임 210: 내부지지부
211: 중앙유로홈 212: 측면홈
213: 스토퍼탭 220: 가압부
221: 유압공급부 222: 자키부
223: 복귀스프링부 224: 내부접촉탭

Claims (11)

  1. 내부에 산용액이 구비되는 하우징유닛; 및
    상기 하우징유닛의 내부에 안착되는 시편 밴딩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시편 밴딩유닛은,
    복수의 시편이 안착되는 외부프레임;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프레임의 측벽인 외측벽부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시편을 가압하여 밴딩시키는 내부프레임;
    을 포함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은,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되는 내부지지부;
    상기 내부지지부에 복수 개가 연계되며, 상기 측벽부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복수의 상기 시편을 각각 밴딩시키는 가압부;
    를 포함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내부지지부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유로홈에 연결되며, 외부에서 가압유체를 전달받아 상기 중앙유로홈으로 공급하는 유압공급부; 및
    상기 중앙유로홈에 연통되며 상기 내부지지부의 측면으로 개구된 측면홈에 삽입되며, 상기 유압공급부에서 공급하는 가압유체의 유압에 의해서 상기 시편을 가압하는 자키부;
    를 포함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키부는,
    상기 측면홈에 삽입되는 삽입봉;
    상기 삽입봉의 외측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시편을 가압하는 가압판; 및
    상기 삽입봉의 내측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측면홈을 실링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오링이 구비되고, 상기 유압공급부에서 공급하는 가압유체에 의해서 가압력을 전달받는 밀폐판;
    을 포함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측면홈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측면홈의 외측 일단부에 형성된 스토퍼탭과 상기 밀폐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귀스프링부;
    를 포함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삽입봉이 결합되는 상기 가압판의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에 결합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시편과 접촉되는 내부접촉탭;
    을 포함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외측벽부가 둘레 방향으로 결합되며, 복수의 산유입홀이 형성된 바닥부;
    를 포함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은,
    상기 외측벽부에 인접하여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끼워지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시편과 접촉되는 외부접촉탭;
    을 포함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접촉탭은, 상기 내부접촉탭보다 상기 시편의 외측부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레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환경 모사장치.
  11. 삭제
KR1020180093463A 2018-08-10 2018-08-10 수소환경 모사장치 KR102098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463A KR102098486B1 (ko) 2018-08-10 2018-08-10 수소환경 모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463A KR102098486B1 (ko) 2018-08-10 2018-08-10 수소환경 모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09A KR20200017909A (ko) 2020-02-19
KR102098486B1 true KR102098486B1 (ko) 2020-04-07

Family

ID=6966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463A KR102098486B1 (ko) 2018-08-10 2018-08-10 수소환경 모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5634A4 (en) * 2020-03-10 2023-04-19 Ningde Amperex Technology Limited BATTERY FLEX TEST SYSTEM AND BATTERY FLEX TEST PROCED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753B1 (ko) 2016-06-23 2017-11-10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신뢰성 측정장치
KR101927526B1 (ko) 2017-07-21 2018-12-11 주식회사 포스코 강재 수소지연파괴 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866U (ko) * 1994-03-23 1995-10-16 김재우 유압식 철근 밴딩기
JPH1130577A (ja) * 1997-07-10 1999-02-02 Nissan Motor Co Ltd 鋼材の遅れ破壊性評価方法、評価装置及び侵入水素量の測定方法
KR100551798B1 (ko) * 2004-03-15 2006-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 프레임 밴딩 및 토션 내구성 시험방법
EP2159709B1 (en) 2007-06-15 2013-01-02 Fujitsu Limited Error correcting method and computing element
KR101952942B1 (ko) * 2017-06-27 2019-05-1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 모사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753B1 (ko) 2016-06-23 2017-11-10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편 신뢰성 측정장치
KR101927526B1 (ko) 2017-07-21 2018-12-11 주식회사 포스코 강재 수소지연파괴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09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486B1 (ko) 수소환경 모사장치
CN102047121B (zh) 反应容器和操作该反应容器的方法
JP5967217B2 (ja) 配管連結継手およびその連結方法
KR102013175B1 (ko) 교체 가능한 더블타입 프로브 핀
KR102218871B1 (ko) 제품 테스트 소켓
Thipprakmas et al. Comparison of spring-back characteristics in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U-bending processes
KR20170049690A (ko) 테스트 핸들러의 반도체 소자 접속 장치
KR101748300B1 (ko) 구멍 확장 시험용 펀칭 장치
US20060230815A1 (en) Leak-testing technique for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array
KR101507284B1 (ko) 구조 개선된 플라스틱 관 이음부 연결용 클램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0386161C (zh) 管子的弯曲加工方法以及弯曲加工装置
US7338088B2 (en) Connector
US10598693B2 (en) Test socket for a chip
KR20130045457A (ko) 압축시험장치
US20050280180A1 (en) Method for making holder
US6038915A (en) Automated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especially for flexible walled containers
KR20170001299U (ko) 반도체 테스트핸들러용 매치플레이트 컨텍푸셔 제조방법
CN105073346A (zh) 管夹安装装置
CN105823612A (zh) 一种阀门检测设备
WO2008063643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te processing
CN103962417B (zh) 一种冲压件翘曲检测装置
KR100815739B1 (ko) 스프링백 측정장치
KR102051341B1 (ko) 두 평면 사이의 밀착상태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998954B1 (ko) 소재 조립 및 분리 장치
JP6686539B2 (ja)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