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380B1 -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380B1
KR102098380B1 KR1020190034004A KR20190034004A KR102098380B1 KR 102098380 B1 KR102098380 B1 KR 102098380B1 KR 1020190034004 A KR1020190034004 A KR 1020190034004A KR 20190034004 A KR20190034004 A KR 20190034004A KR 102098380 B1 KR102098380 B1 KR 102098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blocking
cross
sealing
block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숙
Original Assignee
이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숙 filed Critical 이정숙
Priority to KR102019003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25Wind breakers, i.e. devices providing lateral protection of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A01G2013/00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 대상지역의 경계에 직립되게 배치되고, 복수 개가 연속되게 배치되며, 재활용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단패널; 상기 차단패널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도록 상기 차단패널에 일체로 구비되고, 재활용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링연장부; 상기 차단패널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직립되게 시공되는 기둥부재;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를 연결하도록 착탈부에 의해 기둥부재와 연결합되는 가로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실링연장부를 서로 결합시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차단패널을 일체로 연결하는 실링결합부; 및 상기 차단패널 또는 상기 실링연장부를 거치하여 상기 가로대에 결합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PREFABRICATED FEN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단과 같이 보호 대상지역에 설치되어 염화칼슘, 염수 등의 오염물질이 보호 대상지역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재생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펜스를 제작할 수 있고, 펜스의 조립 및 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모양 및 색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자동차가 주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인도가 경계석으로 구분되며, 인도에는 도시 미관 및 공기 정화 등의 환경 개선용으로 가로수가 심어진다.
동절기에는 눈이 쌓이면 교통 정체 및 사고를 유발하기 때문에 눈이 내리면 제설제를 도로에 뿌려 눈을 제거하고 있고, 이러한 제설제는 주로 염화 칼슘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눈의 어는점을 영하로 낮게 해 얼음 상태의 눈을 빠르게 녹게 하는 것으로 제설효과는 크지만 도로에 뿌려질 때 주변 가로수에 비산되면 가로수의 광합성 작용을 막아 가로수를 말라 죽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985947호가 제안된 바 있고, 이는 가로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로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 기둥부재; 상기 복수의 베이스 기둥부재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양 측면에 상측이 개방된 패널 삽입 홈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패널 장착 기둥부재; 및 복수의 패널 장착 기둥부재 중 어느 하나의 패널 장착 기둥부재의 패널 삽입 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어느 하나의 패널 장착 기둥부재에 인접하는 또 다른 패널 장착 기둥부재의 패널 삽입 홈에 타단이 삽입되며, 패널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는 동절기에 사용되는 제설제로부터 가로수를 보호하여 가로수의 수명 및 도로의 미관을 증대시키고, 선택적으로 설치 분해가 가능하여 도로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등록특허는 패널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복수의 패널 장착 기둥부재가 형성되는 복수의 베이스 기둥부재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베이스 기둥부재를 패널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재의 폭에 비해 멀리 설치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의 양단부를 패널 장착 기둥부재의 패널 삽입 홈에 끼울 수 없고, 베이스 기둥부재의 설치간격이 너무 좁거나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의 폭을 베이스 기둥부재의 설치간격에 맞추어야 하므로 그 설치가 매우 까다롭다.
따라서 등록특허에서 지시한 가로수 보호 장치는 그 설치 시 기둥부재의 설치간격을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면서 설치해야만 할 뿐만 아니라, 커버부재의 해체 시에도 커버부재를 기둥부재의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서 패널장착 기둥부재에서 분리해야하므로 설치 및 해체시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등록 특허는 커버부재가 판재 형상으로 되어 있어 교차로 등의 곡선형 화단이나 중앙분리용 화단의 양단 곡선부에 설치시에는 만곡되는 구조의 커버부재를 사용해야 하므로 설치환경이 극히 제한적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로화단 보호용 펜스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펜스는, 가로화단의 보호용으로 설치되며 몸체 외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졸대 지지홈 및 개구부이 형성되는 다수의 펜스용 지주와, 다수의 펜스용 지주에 일면이 밀착되는 차단막과, 차단막을 펜스용 지주에 고정되도록 차단막과 함께 개구부를 통해 졸대 지지홈에 밀착삽입되는 고정용 졸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9743호(2012년 08월 09일 공고, 발명의 명칭 : 가로화단 보호용 펜스)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펜스는, 차단막의 단부가 슬라이딩되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졸대 지지홈부가 펜스용 지주에 구비되기 때문에 지주의 형상이 복잡하여 지주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렵고, 각각의 지주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차단막 단부를 슬라이딩시키면서 결합시키기 때문에 차단막 설치가 복잡하여 펜스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화단과 같이 보호 대상지역에 설치되어 염화칼슘, 염수 등의 오염물질이 보호 대상지역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재생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펜스를 제작할 수 있고, 펜스의 조립 및 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모양 및 색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보호 대상지역의 경계에 직립되게 배치되고, 복수 개가 연속되게 배치되며, 재활용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단패널; 상기 차단패널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도록 상기 차단패널에 일체로 구비되고, 재활용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링연장부; 상기 차단패널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직립되게 시공되는 기둥부재;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를 연결하도록 연결부에 의해 기둥부재와 연결합되는 가로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실링연장부를 서로 결합시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차단패널을 일체로 연결하는 실링결합부; 및 상기 차단패널 또는 상기 실링연장부를 거치하여 상기 가로대에 결합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로대는,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가로대; 및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가로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로대 및 상기 제2가로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둥부재와 상기 가로대에 동시에 결선되는 와이어부재 또는 케이블타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링결합부는, 상기 실링연장부에 구비되는 체결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에 압입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실링연장부에 구비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차단패널에 구비되는 고정홀부; 및 상기 고정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차단패널을 거치하고, 상기 가로대에 안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차단패널을 거치하는 거치홈부; 상기 가로대에 안착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거치홈부 및 상기 결합홈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홈부, 상기 결합홈부 및 상기 지지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보호 대상지역의 경계에 복수 개의 기둥부재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시공하는 단계; (b)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도록 가로대를 상기 기둥부재와 동시에 연결부로 결선하는 단계; (c) 차단패널에 구비되는 실링연결부를 서로 연결하여 복수 개의 상기 차단패널을 연속되게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차단패널을 고정지지부에 거치시켜 상기 고정지지부를 상기 가로대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차단패널을 상기 가로대 및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c)단계는, 상기 실링연장부에 구비되는 체결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에 압입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실링연장부에 구비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실링결합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은, 기둥부재와 차단패널을 원터치 방식으로 연결하는 고정지지부가 구비되므로 차단패널을 설치하여 펜스를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차단패널들 사이의 가격을 마감하는 실링연장부가 구비되므로 차단패널 사이의 간격으로 염화칼슘, 염수 또는 이물질이 보호 대상지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는 실링연장부를 결합하여 실링연장부 사이의 간격으로 유체로 이루어지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실링연장부는 재활용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차단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차단패널 및 실링연장부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가 도시된 정면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가 도시된 배면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차단패널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고정지지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가 도시된 정면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가 도시된 배면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가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차단패널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고정지지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보호 대상지역의 경계에 직립되게 배치되고, 복수 개가 연속되게 배치되며, 재활용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단패널(10)과, 차단패널(10)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도록 차단패널(10)에 일체로 구비되고, 재활용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링연장부(30)와, 차단패널(10)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직립되게 시공되는 기둥부재(50)와, 복수 개의 기둥부재(50)를 연결하도록 연결부(56)에 의해 기둥부재(50)와 연결합되는 가로대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실링연장부(30)를 서로 결합시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단패널(10)을 일체로 연결하는 실링결합부(70)와, 차단패널(10) 또는 실링연장부(30)를 거치하여 가로대에 결합되는 고정지지부(80)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단과 같이 염화칼슘, 염수 또는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 보호 대상지역의 경계에 펜스를 설치할 때에 기둥부재(50)를 지면에 직립되게 일정한 가격을 유지시키며 다수 개를 시공하고, 다수 개의 기둥부재(50)를 연결하도록 다수 개의 가로대를 설치한 후에, 차단패널(10)을 고정지지부(80)에 거치시킨 후에 고정지지부(80)를 가로대에 안착시키며 결합하여 다수 개의 차단패널(10)이 보호 대상지역을 감싸도록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차단패널(10) 사이의 간격에는 실링연장부(30)가 개재되므로 차단패널(10) 사이의 간격으로 염화칼슘, 염수 등의 오염물질이 보호 대상지역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다수 개의 차단패널(10)이 실링결합부(70)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차단패널(10)이 고정지지부(80)에 의해 가로대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보호 대상지역의 경계를 따라 다수 개의 차단패널(10) 및 실링연장부(30)를 직립되게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가로대는,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5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가로대(52)와,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50)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가로대(54)를 포함하고, 제1가로대(52) 및 제2가로대(54)는, 연결부(56)에 의해 상기 기둥부재(50)에 결합되고, 연결부(56)는, 기둥부재(50)와 가로대에 동시에 결선되는 와이어부재 또는 케이블타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수 개의 기둥부재(50)를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시공한 후에 다수 개의 기둥부재(50) 상부를 연결하도록 제1가로대(52)를 와이어부재 또는 케이블타이로 연결한 후에 다수 개의 기둥부재(50) 하부를 연결하도록 제2가로대(54)를 와이어부재 또는 케이블타이로 연결하여 펜스의 지지프레임을 설치한다.
이후에, 다수 개의 차단패널(10)을 연속되게 연결하는데, 차단패널(10)의 양단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패널 모양의 실링연장부(30)를 실링결합부(70)에 의해 연결하여 다수 개의 차단패널(10)을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의 패널로 연결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실링결합부(70)는, 실링연장부(30)에 구비되는 체결홀부(72)와, 체결홀부(72)에 압입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실링연장부(30)에 구비되는 삽입돌기(74)를 포함하므로 차단패널(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홀부(7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차단패널(10)의 타측에 구비되는 삽입돌기(74)를 압입시켜 인접하게 배치되는 차단패널(10)을 연결하고, 같은 연결방법으로 다수 개의 차단패널(10)을 연속되게 연결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패널 모양으로 연결되는 다수 개의 차단패널(10)을 고정지지부(80)에 거치시키고, 고정지지부(80)를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에 거치시켜 차단패널(10)을 원터치 방식으로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에 결합시켜 펜스를 완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지지부(80)는, 차단패널(10)에 구비되는 고정홀부(82)와, 고정홀부(82)에 삽입되어 차단패널(10)을 거치하고, 가로대에 안착되는 고정부재(84)를 포함하는데, 차단패널(10) 중앙부에 형성되는 체결홀부(72)에 고정부재(84)를 삽입하여 거치시키고, 고정부재(84)를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에 안착시켜 다수 개의 차단패널(10)을 동시에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에 결합시키게 된다.
고정부재(84)는, 고정홀부(82)에 삽입되고, 차단패널(10)을 거치하는 거치홈부(87)와, 가로대에 안착되는 결합홈부(88)와, 거치홈부(87) 및 결합홈부(88)를 일체로 연결하는 지지대(86)를 포함하고, 거치홈부(87), 결합홈부(88) 및 지지대(86)는 일체로 형성된다.
거치홈부(87)는, 상부가 개방되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결합홈부(88)는 하부가 개방되는 '∩'모양으로 형성되며, 지지대(86)는 거치홈부(87)의 하단부와 결합홈부(88)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직선모양으로 형성되어 거치홈부(87), 결합홈부(88) 및 지지대(86)는 일체로 연결되는 하나의 부품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거치홈부(87)를 고정홀부(82)에 삽입하여 고정홀부(82)를 거치홈부(87)에 안착시키고, 결합홈부(88)를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에 안착시키면 차단패널(10)이 기둥부재(5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에 거치되어 다수 개의 기둥부재(50)에 의해 지지되는 차단패널(10)이 연속되게 배치되면서 보호 대상지역의 경계를 차단하는 펜스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 시공방법은, 보호 대상지역의 경계에 복수 개의 기둥부재(50)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시공하는 단계와, 복수 개의 기둥부재(50)를 동시에 연결하도록 가로대를 기둥부재(50)와 동시에 연결부(56)로 결선하는 단계와, 차단패널(10)에 구비되는 연결부(56)를 서로 연결하여 복수 개의 차단패널(10)을 연속되게 연결하는 단계와, 차단패널(10)을 고정지지부(80)에 거치시켜 고정지지부(80)를 가로대에 안착시키면서 차단패널(10)을 가로대 및 기둥부재(50)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보호 대상지역의 경계에 다수 개의 기둥부재(50)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시공한 후에 와이어부재 또는 케이블타이를 사용하여 다수 개의 기둥부재(50)를 연결하도록 제1가로대(52) 및 제2가로대(54)를 설치한다.
이후에, 다수 개의 차단패널(10)을 연결하여 좌우방향을 긴 패널 모양으로 이루게 하는데, 본 실시예의 차단패널(10)을 연속되게 연결하는 단계는, 실링연장부(30)에 구비되는 체결홀부(72)와, 체결홀부(72)에 압입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실링연장부(30)에 구비되는 삽입돌기(74)를 포함하는 실링결합부(70)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링연장부(30)를 일체로 구비하는 차단패널(10)을 측 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치시켜 체결홀부(72)에 삽입돌기(74)를 압입하며 다수 개의 차단패널(10)을 연속되게 연결하고, 고정부재(84)의 일단에 형성되는 거치홈부(87)를 고정홀부(82)에 삽입하여 차단패널(10)을 지지대(86)에 거치시키고, 고정부재(84)의 타단에 형성되는 결합홈부(88)를 제1가로대(52)에 안착시켜 차단패널(10)을 기둥부재(50) 및 제1가로대(52)에 결합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의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펜스는,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를 기둥부재(50)에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90)를 더 포함하므로 별도의 와이어부재 또는 케이블타이 없이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를 기둥부재(50)에 한 번의 작업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부(90)는, 기둥부재(50) 내부에 구비되는 작동공간부(92)와, 작동공간부(92)로부터 기둥부재(50)의 양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후크부재(94)와, 후크부재(94)와 작동공간부(92)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후크부재(94)를 기둥부재(50)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96)와,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에 형성되는 관통홀부(52a) 내벽에 구비되고, 후크부재(94)가 걸림결합되는 걸림홈부(98)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둥부재(50)를 관통홀부(52a)에 삽입하면 관통홀부(52a)의 단부가 후크부재(94)의 경사면을 가압하면서 후크부재(94)를 작동공간부(92) 내측으로 삽입시키고, 기둥부재(50)가 관통홀부(52a)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탄성부재(96)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부재(94)가 기둥부재(5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면서 걸림홈부(98)에 삽입되어 기둥부재(50)에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가 걸림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착탈부(90)는, 후크부재(94)를 작동공간부(92) 내측으로 삽입시켜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의 걸림결합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부(100)를 더 포함하므로 제2가로대(54)를 먼저 기둥부재(50)에 결합시킬 때에 기둥부재(50)의 상부에 구비되는 착탈부(90)를 해제 상태로 변환시켜 기둥부재(50) 상부에 구비되는 착탈부(90)를 제2가로대(54)가 통과되도록 하고, 기둥부재(50)의 하부에 구비되는 착탈부(90)에 제2가로대(54)가 걸림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2가로대(54)를 먼저 기둥부재(50)에 삽입하고, 이후에 기둥부재(50)에 제2 로대를 삽입하여 기둥부재(50)의 하부에는 제2가로대(54)를 걸림결합시키고, 기둥부재(50)의 상부에는 제1가로대(52)를 걸림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해제부(100)는, 후크부재(94)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기둥부재(5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통로를 따라 기둥부재(50) 상면 외측으로 연장되는 해제와이어(102)와, 해제와이어(102)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레버부재(104)와, 해제와이어(102)가 통로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굴곡될 때에 해제와이어(102)를 굴곡시키면서 상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06)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부재(104)를 잡고 상측으로 당기면 해제와이어(102)가 통로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탄성부재(96)를 압축시키고, 후크부재(94)를 작동공간부(92) 내측으로 삽입시키면서 후크부재(94)와 걸림홈부(98)의 걸림결합 상태를 해제시켜 제1가로대(52) 또는 제2가로대(54)를 기둥부재(5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이로써, 화단과 같이 보호 대상지역에 설치되어 염화칼슘, 염수 등의 오염물질이 보호 대상지역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재생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펜스를 제작할 수 있고, 펜스의 조립 및 시공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모양 및 색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단패널 30 : 실링연장부
50 : 기둥부재 52 : 제1가로대
54 : 제2가로대 56 : 연결부
70 : 실링결합부 72 : 체결홀부
74 : 삽입돌기 80 : 고정지지부
82 : 고정홀부 84 : 고정부재
86 : 지지대 87 : 거치홈부
88 : 결합홈부

Claims (7)

  1. 보호 대상지역의 경계에 직립되게 배치되고, 복수 개가 연속되게 배치되며, 재활용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단패널;
    상기 차단패널 사이의 간격을 마감하도록 상기 차단패널에 일체로 구비되고, 재활용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링연장부;
    상기 차단패널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직립되게 시공되는 기둥부재;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를 연결하도록 착탈부에 의해 기둥부재와 연결합되는 가로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실링연장부를 서로 결합시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차단패널을 일체로 연결하는 실링결합부; 및
    상기 차단패널 또는 상기 실링연장부를 거치하여 상기 가로대에 결합되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대는,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가로대; 및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가로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로대 및 상기 제2가로대는, 상기 착탈부에 의해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기둥부재(50) 내부에 구비되는 작동공간부(92);
    상기 작동공간부(92)로부터 상기 기둥부재(50)의 양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후크부재(94);
    상기 후크부재(94)와 상기 작동공간부(92)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크부재(94)를 상기 기둥부재(50)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96); 및
    상기 제1가로대(52) 또는 상기 제2가로대(54)에 형성되는 관통홀부(52a) 내벽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부재(94)가 걸림결합되는 걸림홈부(9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결합부는,
    상기 실링연장부에 구비되는 체결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에 압입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실링연장부에 구비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차단패널에 구비되는 고정홀부; 및
    상기 고정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차단패널을 거치하고, 상기 가로대에 안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차단패널을 거치하는 거치홈부;
    상기 가로대에 안착되는 결합홈부; 및
    상기 거치홈부 및 상기 결합홈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홈부, 상기 결합홈부 및 상기 지지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6. (a) 보호 대상지역의 경계에 복수 개의 기둥부재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시공하는 단계;
    (b)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를 동시에 연결하도록 가로대를 상기 기둥부재와 동시에 착탈부로 연결하는 단계;
    (c) 차단패널에 구비되는 실링연장부를 서로 연결하여 복수 개의 상기 차단패널을 연속되게 연결하는 단계; 및
    (d) 상기 차단패널을 고정지지부에 거치시켜 상기 고정지지부를 상기 가로대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차단패널을 상기 가로대 및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가로대; 및
    복수 개의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가로대를 포함하는 상기 가로대가, 상기 착탈부에 의해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기둥부재(50) 내부에 구비되는 작동공간부(92);
    상기 작동공간부(92)로부터 상기 기둥부재(50)의 양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후크부재(94);
    상기 후크부재(94)와 상기 작동공간부(92) 내벽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크부재(94)를 상기 기둥부재(50)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96); 및
    상기 제1가로대(52) 또는 상기 제2가로대(54)에 형성되는 관통홀부(52a) 내벽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부재(94)가 걸림결합되는 걸림홈부(98)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실링연장부에 구비되는 체결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에 압입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기 실링연장부에 구비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실링결합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펜스 시공방법.
  7. 삭제
KR1020190034004A 2019-03-26 2019-03-26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98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04A KR102098380B1 (ko) 2019-03-26 2019-03-26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004A KR102098380B1 (ko) 2019-03-26 2019-03-26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380B1 true KR102098380B1 (ko) 2020-04-07

Family

ID=70290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004A KR102098380B1 (ko) 2019-03-26 2019-03-26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3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559B1 (ko) * 2011-12-26 2013-02-15 김세흥 녹지보호를 위한 다목적 보호 펜스
KR200473018Y1 (ko) * 2013-09-16 2014-06-10 (주)아시아젠트라 도로변에 설치되는 직물시트 펜스
KR20180065900A (ko) * 2016-12-07 2018-06-18 박재호 가로 화단의 수목 보호용 펜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559B1 (ko) * 2011-12-26 2013-02-15 김세흥 녹지보호를 위한 다목적 보호 펜스
KR200473018Y1 (ko) * 2013-09-16 2014-06-10 (주)아시아젠트라 도로변에 설치되는 직물시트 펜스
KR20180065900A (ko) * 2016-12-07 2018-06-18 박재호 가로 화단의 수목 보호용 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167B1 (ko) 가로 화단의 수목 보호용 펜스
KR101002514B1 (ko) 옥외용 차양
KR100850799B1 (ko) 교통 표지판의 지주 설치구조
KR100669922B1 (ko) 연결고정이 용이한 측구용 덮개
KR102098380B1 (ko) 조립식 펜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74956B1 (ko) 야생동물 보호 겸용 잡초 방지 펜스
KR100964817B1 (ko) 조립형 보차도 경계 펜스
DE102007059873B4 (de) Schutzwandelement und Schutzwand zur Sicherung von Verkehrswegen
KR10147580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주
KR101298689B1 (ko) 난간울타리 가로바 연결구조
KR101818932B1 (ko) 높이 조절과 도로 사정에 따른 시공이 가능한 압출식 차선분리대
KR100435048B1 (ko) 난간의 일체형 합성수지 연결구
KR100961525B1 (ko) 도로용 안전 펜스
AT500510B1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leitpflöcken, leitschienen und dergleichen
KR102347891B1 (ko) 가드레일 결합용 조립 블록 구조체 및 그 조립방법
KR102360406B1 (ko)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펜스
KR101203953B1 (ko) 조립형 휀스
GB2373806A (en) Safety barrier with interchangeable upper portion
DE10158720C2 (de) Fahrbahnplatte für Gleisanlagen
KR20180101017A (ko) 방초블록
EP2894257B1 (en) Protection system for avoiding obstacles in roadside trenches
JPH08140494A (ja) 樹木保護板
KR200307781Y1 (ko) 보행자 안전 휀스
KR200277426Y1 (ko) 조립식 콘크리트를 이용한 조경 녹화 도로 중앙분리대
CN214463170U (zh) 一种便于安装的铝型材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