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120B1 -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120B1
KR102098120B1 KR1020190122490A KR20190122490A KR102098120B1 KR 102098120 B1 KR102098120 B1 KR 102098120B1 KR 1020190122490 A KR1020190122490 A KR 1020190122490A KR 20190122490 A KR20190122490 A KR 20190122490A KR 102098120 B1 KR102098120 B1 KR 102098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screen door
projector
sensor
displa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Priority to KR102019012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operated by the opening or closing of doors, e.g. shop do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1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on tunnel walls for underground 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스마트 글라스가 프런트화될 수 있게 스마트 글라스의 PLDLC필름에 반사필름이 부착되고, 프로젝터가 승강장 측에 배치되어 스마트 글라스에 영상을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SCREEN DOOR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고는, 잠재적인 소비자에게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구입 방법을 알리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활동이다. 최근에는,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해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와 같은 새로운 매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 네트워크 등 다양한 IT 기술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정지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와 광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의미한다.
한편, 지하철 등의 전동차 역사의 승강장은 승객들의 진입금지를 나타내는 진입금지선(안전선)이 주로 노란색으로 표시되는데, 승객들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입금지선만으로는, 실수, 과음 또는 장난 등으로 인하여 승강장에서 승객들이 선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전동차 승강장과 전동차 주행선로 사이를 구획하는 승강장 스크린 도어(Platform Screen Door)가 보편화되고 있다.
이 스크린 도어는, 스크린부와 자동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동도어의 양측에는, 자동도어의 고장 등과 같은 비상시 개폐될 수 있는 안전지대로서 비상구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 도어의 스크린부는, 유휴공간으로서 광고시설물을 부착하기에 적합한 공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부를 이용한 광고방식으로, 간단하게는 필름과 같은 인쇄시트를 부착한 라이트보드를 스크린부에 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보드 또는 보드에 구비되는 필름의 탈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빈번한 교체를 요하는 광고매체의 특성상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미지나 영상의 교체가 용이한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철의 탑승 및 하차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스마트 글라스가 프런트화될 수 있게 스마트 글라스의 PLDLC필름에 반사필름이 부착되고, 프로젝터가 승강장 측에 배치되어 스마트 글라스에 영상을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열차의 주행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스마트 글라스가 배치되고, 열차의 위치에 따라 스마트 글라스의 상태가 투명 상태에서 불투명 상태로, 불투명 상태에서 투명 상태로 순차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지하철의 탑승 및 하차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역사의 선로와 승강장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에 적용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투명 상태 또는 불투명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태가 변화될 수 있게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에 설치되는 스마트 글라스와; 상기 승강장 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영상을 주사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에서 주사된 영상이 상기 승강장과 마주보는 스마트 글라스의 전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부착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글라스는, 투명 재질의 글라스; 및 상기 글라스에 부착되는 PDLC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DLC필름은, 전압 미인가시 불투명 상태이고 전압 인가시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 도어보다 상기 선로에서 더 먼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부재는, 광 반사율이 광투과율 이상인 반사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PDLC필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모듈; 및 상기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열차의 위치에 따라 상기 PDLC필름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차의 주행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열차가 도달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투명 상태가 되도록 상기 PDLC필름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DLC필름은, 전압 미인가시 불투명 상태이고 전압 인가시 투명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어부는, 열차가 도달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구비된 상기 PDLC필름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레이저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라이다 센서, 레이더 센서 및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열차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열차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이저센서, 및 상기 선로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열차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센서의 감지 결과와 상기 근접 센서의 감지 결과를 비교하여 열차의 위치 감지 결과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역사의 입구에 배치되어 역사로 진입하는 열차의 속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열차의 속도가 설정된 최고속도 이상 또는 설정된 최저속도이면,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PDLC필름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 도어보다 상기 선로에서 더 먼 위치이면서 상기 스마트 글라스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 도어 개방시 열차 내부의 바닥면에 영상을 주사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 도어 상부에 설치되어 열차 내부에서의 출입문 주변의 사람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투명 상태일 때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젝터의 영상 주사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프로젝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PIR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불투명 상태일 때 상기 프로젝터에서 주사되는 영상의 상하비와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투명 상태일 때의 상기 프로젝터에서 주사되는 영상의 상하비가 상이하도록 상기 프로젝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에 영상을 주사하는 방식으로 미디어 아트나 광고 등의 영상이 스크린 도어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미지나 영상의 교체가 용이한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의 위치에 따라 미디어 아트나 광고 등의 영상의 출력 여부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열차의 탑승 및 하차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 미디어 아트를 통해 제공되는 즐거움 또는 광고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가 아닌 승강장에 프로젝터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도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상태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들 및 '~부'들은 디 바이 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도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스마트 글라스(100) 및 프로젝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글라스(100)는, 스크린 도어(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도어(10)가 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10)는, 지하철이 주행하는 선로(R)와 승객이 오가는 승강장(P)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 도어(10)는, 자동도어(11) 및 고정벽(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자동도어(11)는, 열차가 역사에 정차했을 때 열차의 출입문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자동도어(11)와 자동도어(11) 사이에는, 고정벽(15)이 배치되어 자동도어(11)와 자동도어(11)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승강장(P)에서 승객들이 선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마트 글라스(100)는, 고정벽(15)과 자동도어(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글라스(100)가 자동도어(11)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자동도어(11)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프레임(12), 및 도어프레임(12)에 설치되는 스크린(S)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자동도어(11)의 대부분의 영역은 스크린(S)에 의해 차지되며, 도어프레임(12)은 자동도어(11)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고정벽(15)도 프레임(16)과 스크린(S)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벽(15)의 대부분의 영역은 스크린(S)에 의해 차지되며, 도어프레임(12)은 자동도어(11)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스마트 글라스(100)는, 투명 상태 또는 불투명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태가 변화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스마트 글라스(100)는, 글라스(110)와 PDLC필름(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프로젝터(200)는, 스마트 글라스(100)에 영상을 주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프로젝터(200)는, 승강장(P) 측에 설치되되, 스크린 도어(10)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승강장(P)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마트 글라스(100)에 영상을 주사할 수 있다.
일례로서, 프로젝터(200)는 승강장(P) 상부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만약 프로젝터(200)가 설치되는 역사가 지하가 아닌 실외일 경우, 프로젝터(200)는 승강장에 설치된 기둥이나 지붕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젝터(200)는 스크린 도어(10)의 상부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젝터(200)는, 프로젝터(200)의 위치를 높이거나 프로젝터(200)를 스크린 도어(10)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영상 주사 가능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브라켓을 통해 스크린 도어(10)에 설치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프로젝터(200)는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된 영상이 승강장에 있는 사람과 간섭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감지모듈(300) 및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모듈(300)은, 선로(R)를 주행하는 열차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감지모듈(300)은, 역사로 진입하는 열차, 또는 역사를 떠나는 열차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정보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감지모듈(300)은 무선통신(또는 통신망)으로 상기 정보를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무선통신은 당업자가 적용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감지모듈(300)은, 레이저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라이다 센서, 레이더 센서 및 카메라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모듈(300)이 레이저센서(31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어부(400)는, 감지모듈(300)에서 감지된 열차의 위치에 따라 스마트 글라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PDLC필름(1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글라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의 제어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스마트 글라스의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라스(100)는, 투명 상태 또는 불투명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태가 변화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글라스(110)와 PDLC필름(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글라스(110)는, 스마트 글라스(100)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스마트 글라스(100)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글라스(110)는,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PDLC필름(120)은, 글라스(110)에 부착된다. PDLC필름(120)은, 고분자 분산형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으로써, 한 쌍의 기판 사이에 고분자 분산 액정을 주입하여 고분자 매트릭스 내의 미세한 액정(Liquid crystal, LC)이 분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PDLC필름(120)은, 고분자 물질의 매트릭스 안에 미세한 액정분자들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반응한다. PDLC필름(120)에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이 인가되는 전계 방향에 따라 정렬되어 투과되는 빛의 방향과 일치하게 되므로 빛을 투과시키게 된다.
그러나 PDLC필름(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액정이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투과하는 빛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열되어 빛을 산란시키게 된다. PDLC의 종류에 따라,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 빛이 투과될 수도 있다.
아울러 스마트 글라스(100)는, 반사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130)는, 후술할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된 영상이 승강장(P)과 마주보는 스마트 글라스(100)의 전면(이하, "스마트 글라스의 전면"이라 한다)에 출력되도록, 스마트 글라스(100)에 부착되어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130)가 PDLC필름(120)에 부착되면, PDLC필름(120)의 프런트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프로젝터(200)에서 영상이 주사되는 면에서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PDLC필름(120)의 프런트화가 이루어지게 되면, 영상이 주사되는 프로젝터(200)를 향한 PDLC필름(120)의 전면에서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상기 반사부재(130)는, 반사율이 투과율 이상인 필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부재(130)는 투과율이 18% 내지 21%이고, 반사율이 53% 내지 55%인 필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재(130)가 PDLC필름(120)에 부착되면, PDLC필름(120)이 불투명 상태일 때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되는 영상은 PDLC필름(120) 상에 선명하게 출력될 수 있으면서도, PDLC필름(120)이 투명 상태일 때에는 스마트 글라스(100)의 투명도가 우수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일례로서, 반사부재(130)는 백색 PET(Whi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Ag 필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 글라스의 구성과 프로젝터의 배치 구조 간의 관계]
본 실시예에서 주목할 점은, 프로젝터(200)가 승강장(P) 측에 설치된다는 것이다. 즉 프로젝터(200)는, 스크린 도어(10)보다 선로(R)에서 먼 위치에 배치되도록 승강장(P)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PDLC필름(120)의 프런트화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가능하게 된 것이다.
만약 PDLC필름(120)의 프런트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프로젝터(200)는 승강장(P) 측이 아니라 선로(R) 측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처럼 프로젝터(200)가 선로(R) 측에 설치된다면, 프로젝터(200)의 유지보수 작업이 번거로워지게 될 뿐 아니라, 선로(R)를 주행하는 열차의 영향을 받아 프로젝터(200)가 오염되거나 설치 위치가 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PDLC필름(120)의 프런트화가 이루어지게 따라 프로젝터(200)가 승강장(P) 측에 설치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즉 프로젝터(200)가 승강장(P) 측에 설치됨으로써, 프로젝터(200)의 유지보수 작업에 승강장(P)에서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프로젝터(200)가 주행하는 열차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되어 프로젝터(200)의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데 유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PDLC필름(120)의 프런트화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프로젝터(200)를 통해 주사되는 영상이 스마트 글라스(100)의 어느 한 면(승강장과 마주보는 스마트 글라스의 전면)으로만 시인되지 않고, 그 반대면(선로와 마주보는 스마트 글라스의 배면)에서 시인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200)가 배치된 승강장(P) 측뿐 아니라, 맞은편의 승강장 및 그 주변 선로에 정차한 열차 내부에서도 상기 스마트 글라스(1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명확하게 시인될 수 있게 된다.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제어]
제어부(400)는, 감지모듈(300)에서 감지된 열차의 위치에 따라 PDLC필름(1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스마트 글라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어부(400)는 위치추적부(410)와 전압제어부(420) 및 영상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추적부(410)는, 감지모듈(3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위치추적부(410)에서 파악된 열차의 위치 정보는 후술할 전압제어부(420) 및 영상제어부(43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압제어부(420)는, 위치추적부(41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PDLC필름(1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제어부(420)는 열차가 역사로 진입하지 않았을 때에는 PDLC필름(120)에 전압을 인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PDLC필름(120)을 불투명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압제어부(420)는, 열차가 역사로 진입했을 때에는, 역사로 진입한 열차가 도달한 위치에 배치된 스마트 글라스(100)에 구비된 PDLC필름(120)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PDLC필름(120)을 불투명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전압제어부(420)는 열차가 역사로 진입하지 않았을 때에는 PDLC필름(120)에 전압을 인가되도록 하여 PDLC필름(120)을 투명하게 제어하고, 열차가 도달한 위치에 배치된 스마트 글라스(100)에 구비된 PDLC필름(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PDLC필름(120)을 투명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영상제어부(430)는, 위치추적부(410)로부터 열차의 위치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전송받은 열차 위치 관련 정보에 따라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되는 영상의 화면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감지모듈(300)은, 레이저센서(310)와 근접 센서(320)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레이저센서(310)는, 레이저센서(310)와 열차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형태로 열차의 위치를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센서(310)는, 스크린 도어(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벽(15)에 설치될 수도 있고, 선로(R)에 설치된 구조물(2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역사의 입구,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선로(R) 입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역사의 선로(R)가 직선 레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하나의 레이저센서만으로도 레이저센서와 열차 간의 거리를 감지하여 열차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역사의 선로(R)가 곡선 레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2개 이상의 레이저센서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열차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근접 센서(320)는, 선로(R)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열차의 근접 여부를 감지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320)는, 선로(R)와 승강장(P) 사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피난처(25)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근접 센서(320)는 피난처(25)에 설치되되, 열차의 주행방향을 따라 2개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개 정도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근접 센서(320)는, 열차가 실제로 역사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근접 센서(320)는 스마트 글라스(100)의 개수 또는 프로젝터(2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어 각 스마트 글라스(100) 또는 각 프로젝터(200)마다 하나씩 대응할 수 있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열차의 위치 정보가 더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센서(310)에 의해 측정된 열차 위치 정보와 근접 센서(320)에 의해 측정된 열차 위치 정보는, 모두 위치추적부(410)로 전송될 수 있다. 위치추적부(410)는, 근접 센서(32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레이저센서(310)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나 기타 장애물 등으로 인해 레이저센서(310)의 동작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레이저센서(310)에 의해 측정되는 열차 거리 정보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제로는 열차가 역사에 진입하지 않았지만, 레이저센서(310)에 의해서는 열차가 역사에 진입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는 실제로는 열차가 역사에 진입하였지만, 레이저센서(310)에 의해서는 열차가 역사에 진입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
판별 결과, 레이저센서(310)를 통해 전송받은 열차 위치 정보가 정확하지 않다고 판단될 때에는, 근접 센서(32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위치추적부(410)는 열차의 위치 감지 결과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센서(31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에서는 열차가 역사에 진입한 것으로 감지되지만 근접 센서(320)에서는 열차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위치추적부(410)는 레이저센서(310)의 동작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열차 위치 정보의 신뢰도가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정확성도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속도감지센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도감지센서(330)는, 역사로 진입하는 열차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역사의 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속도감지센서(330)에 의해 감지된 열차의 속도가 설정된 최고속도 이상 또는 설정된 최저속도이면, 스마트 글라스(100)가 미디어 아트나 광고 등과 같은 영상을 출력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마트 글라스(100) 및 프로젝터(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속도감지센서(330)에 의해 감지된 열차의 속도에 관한 정보는, 위치추적부(410)로 전송될 수 있다. 위치추적부(410)는, 이를 기초로 역사로 진입하는 열차의 속도가 설정된 최고속도 이상 또는 설정된 최저속도인지 판별한다.
이때 최고속도는, 해당 역사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는 급행 열차의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최저속도는, 수리 차량 등과 같이 역사를 느린 속도로 통과하지만 승객 탑승용이 아니어서 스크린 도어(10)의 개방이 필요치 않은 열차의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
역사로 진입하는 열차의 속도가 설정된 최고속도 이상 또는 설정된 최저속도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전압제어부(420)는 스마트 글라스(100)가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도록 PDLC필름(12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이와 함께 영상제어부(430)도 프로젝터(200)에 의해 이루어지는 영상 주사 상태가 유지되도록 프로젝터(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급행 열차나 수리 차량 등과 같이 해당 역사에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거나 승객 탑승용이 아닌 열차가 역사에 진입할 때에는 스마트 글라스(100)를 통한 영상 출력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통한 역사 환경 향상 효과와 광고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스마트 글라스의 동작의 제1예]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상태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열차의 주행방향을 따라, 바꾸어 말하면 선로(R)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스크린(S)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스크린(S)에 스마트 글라스(100)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열차의 주행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스마트 글라스(1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스마트 글라스(100)마다 하나씩의 프로젝터(200)가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프로젝터(2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나의 스마트 글라스(100)마다 복수개의 프로젝터(200)가 대응되도록 프로젝터(200)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스마트 글라스(100)에 대응되는 각각의 프로젝터(200)는, 스마트 글라스(100)의 상, 상중하 등 영역을 나누어 영상을 주사할 수도 있다. 또는 복수개의 프로젝터(200)가 동일한 영역을 2중으로 주사하여 스마트 글라스(100)를 통한 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하나의 프로젝터(200)가 둘 이상의 스마트 글라스(100)에 영상을 주사할 수 있게 프로젝터(200)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글라스(110)가 하나의 영상을 좌우방향 여러 영역으로 나누어 출력할 수 있다.
역사에 열차가 진입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전압제어부(420)는 모든 스마트 글라스(100)의 PDLC필름(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모든 스마트 글라스(100)의 PDLC필름(120)을 불투명한 상태로 제어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4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영상제어부(430)는 프로젝터(200)가 스마트 글라스(100)를 향해 영상을 주사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글라스에는 영상이 출력되며, 이때 상기 영상은 미디어 아트 영상일 수도 있고, 광고 영상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 글라스(1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프로젝터(200)가 배치된 승강장(P) 측뿐 아니라, 맞은편의 승강장 및 그 주변 선로에 정차한 열차 내부에서도 상기 스마트 글라스(1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명확하게 시인될 수 있다. 이로써 스마트 글라스(100)를 통해 제공하고자 하는 영상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더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영상을 통해 의도된 광고 효과 등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역사로 열차가 진입하는 경우, 선로(R)를 따라 이동하는 열차는 감지모듈(300)에 의해 감지된다. 감지모듈(300)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400)의 위치추적부(410)로 전송되고, 위치추적부(410)는 감지모듈(3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열차가 이동하는 동안, 열차의 위치는 감지모듈(300) 및 위치추적부(410)에 의해 계속해서 추적될 수 있다. 열차가 이동하여 복수개의 스마트 글라스(100)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전압제어부(420)는 해당 스마트 글라스(100)PDLC필름(120)에 전압을 인가되도록 하여 PDLC필름(120)을 투명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차가 역사로 진입하게 되면, 열차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스마트 글라스(100)는 이동하는 열차와 함께 순차적으로 투명화될 수 있다. 이로써 열차에 탑승한 승객들이 스마트 글라스(100)로 인해 시야를 방해받지 않고, 역사에서 대기중인 승객들도 열차의 진입 상황과 열차 내부 상태를 제대로 살펴볼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제어부(430)는, 프로젝터(200)가 투명화된 PDLC필름(120)이 구비된 스마트 글라스(100)를 향해 영상을 주사하지 않도록 프로젝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영상제어부(430)는 PDLC필름(120)의 투명화 여부와 관계 없이 계속해서 영상을 주사하도록 프로젝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열차가 역사 밖으로 진출하기 위해 이동하게 되면, 열차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스마트 글라스(100)는 이동하는 열차와 함께 순차적으로 불투명화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영상제어부(430)는, 프로젝터(200)가 불투명화된 PDLC필름(120)이 구비된 스마트 글라스(100)를 향해 영상을 주사하도록 프로젝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차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스마트 글라스(100)에는, 역사 밖으로 진출하는 열차와 함께 순차적으로 영상이 다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스마트 글라스의 동작의 제2예]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인체감지센서(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340)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예를 들어 적외선 인체감지센서(PIR센서, Passive Infrared Sensor)를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인체감지센서(340)는, 스크린 도어(1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인체감지센서(340)는, 열차 내부에서의 출입문 주변의 사람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젝터(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도어(10) 개방시 열차 내부의 바닥면(B)에 영상을 주사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터(200)는 스마트 글라스(100)에 영상을 주사할 수 있으면서도 열차 내부의 바닥면(B)에도 영상을 주사할 수 있는 위치와 각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체감지센서(340)에 의해 감지된 사람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400)로 전송될 수 있다. 스마트 글라스(100)가 투명 상태일 때, 즉 PDLC필름(120)에 인체감지센서(34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400)는 프로젝터(200)의 영상 주사 상태가 유지되도록 프로젝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체감지센서(340)에 의해 감지된 사람 존재 유무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400)의 영상제어부(4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인체감지센서(340)의 동작은 스마트 글라스(100)가 투명 상태일 때에만 작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인체감지센서(340)에 의해 사람이 감지된 경우, 영상제어부(430)는 프로젝터(200)가 열차의 바닥면(B)을 향해 영상을 주사하도록 프로젝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열차가 역사에 정차하여 스마트 글라스(100)가 투명 상태로 전환된 후 스크린 도어(10) 및 열차의 출입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프로젝터(200)에 의해 주사된 영상이 열차의 바닥면(B)에 출력될 수 있게 된다.
즉 열차가 역사에 정차하여 스크린 도어(10) 및 열차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라 하더라도, 열차의 출입문 주변에 사람이 없다면, 프로젝터(200)에 의해 주사된 영상이 스마트 글라스 대신 열차의 바닥면(B)에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터(200)에 의해 주사된 영상이 승강장에 있는 사람뿐 아니라 열차에 탑승한 사람들에게도 식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게 되므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열차 내에 탑승한 승객의 즐거움을 더해줄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열차의 출입문 주변에 사람이 없을 때에만 상기 영상이 제공되므로, 승객에게 불쾌함을 주지 않으면서 온전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마트 글라스(100)에 최적화되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되는 영상의 상하비와 열차의 바닥면(B)에 최적화되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되는 영상의 상하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라스(100)에 최적화되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되는 영상의 상하비는, 출력되는 영상의 상부가 프로젝터(200)와 가깝고 그 영상의 하부는 그보다 프로젝터(200)에서 먼 것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열차의 바닥면(B)에 최적화된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되는 영상의 상하비는, 출력되는 영상의 상부가 프로젝터(200)에서 멀고 그 영상의 하부는 그보다 프로젝터(200)보다 가까운 것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400)는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된 영상이 스마트 글라스(100)와 열차의 바닥면(B) 중 어느 것에서 출력되느냐에 따라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되는 영상의 상하비가 달라지도록 프로젝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영상제어부(430)는, 스마트 글라스(100)가 불투명 상태일 때에는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된 영상이 스마트 글라스(100)에 출력되는 것임을 고려하여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되는 영상(L1)의 상하비가 스마트 글라스(100)에 최적화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되도록 프로젝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제어부(430)는, 스마트 글라스(100)가 투명 상태일 때에는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된 영상이 열차의 바닥면(B)에 출력되는 것임을 고려하여 프로젝터(200)에서 주사되는 영상의 상하비가 열차의 바닥면(B)에 최적화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되도록 프로젝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미디어 아트나 광고 등이 승강장에 있는 사람뿐 아니라 열차에 탑승한 사람들에게도 식별 가능하게 제공됨은 물론, 이러한 영상이 상황에 맞게 높은 품질로 제공될 수 있게 되므로, 미디어 아트를 통해 제공되는 즐거움과 광고를 통해 제공되는 광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 : 스크린 도어
11 : 자동도어
12 : 도어프레임
15 : 고정벽
16 : 프레임
20 : 구조물
25 : 피난처
100 : 스마트 글라스
110 : 글라스
120 : PDLC필름
130 : 반사부재
200 : 프로젝터
300 : 감지모듈
310 : 레이저센서
320 : 근접 센서
330 : 속도감지센서
340 : 인체감지센서
400 : 제어부
410 : 위치추적부
420 : 전압제어부
430 : 영상제어부
P : 승강장
R : 선로
S : 스크린

Claims (14)

  1. 역사의 선로와 승강장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에 적용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투명 상태 또는 불투명 상태로 선택적으로 상태가 변화될 수 있게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에 설치되는 스마트 글라스;
    상기 승강장 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영상을 주사하는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에서 주사된 영상이 상기 승강장과 마주보는 스마트 글라스의 전면에 출력되도록,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부착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글라스는,
    투명 재질의 글라스; 및 상기 글라스에 부착되는 PDLC필름;을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며,
    상기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모듈; 및 상기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열차의 위치에 따라 상기 PDLC필름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모듈은, 열차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열차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이저센서, 및 상기 선로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열차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저센서의 감지 결과와 상기 근접 센서의 감지 결과를 비교하여 열차의 위치 감지 결과를 보정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DLC필름은, 전압 미인가시 불투명 상태이고 전압 인가시 투명 상태로 전환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 도어보다 상기 선로에서 더 먼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부재는, 광 반사율이 광투과율 이상인 반사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PDLC필름에 부착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열차의 주행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열차가 도달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투명 상태가 되도록 상기 PDLC필름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DLC필름은, 전압 미인가시 불투명 상태이고 전압 인가시 투명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어부는, 열차가 도달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마트 글라스에 구비된 상기 PDLC필름에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레이저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라이다 센서, 레이더 센서 및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역사의 입구에 배치되어 역사로 진입하는 열차의 속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열차의 속도가 설정된 최고속도 이상 또는 설정된 최저속도이면,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불투명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PDLC필름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스크린 도어보다 상기 선로에서 더 먼 위치이면서 상기 스마트 글라스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장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스크린 도어 개방시 열차 내부의 바닥면에 영상을 주사할 수 있게 설치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도어 상부에 설치되어 열차 내부에서의 출입문 주변의 사람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투명 상태일 때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프로젝터의 영상 주사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프로젝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PIR 센서인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불투명 상태일 때 상기 프로젝터에서 주사되는 영상의 상하비와 상기 스마트 글라스가 투명 상태일 때의 상기 프로젝터에서 주사되는 영상의 상하비가 상이하도록 상기 프로젝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90122490A 2019-10-02 2019-10-02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98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90A KR102098120B1 (ko) 2019-10-02 2019-10-02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490A KR102098120B1 (ko) 2019-10-02 2019-10-02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796A Division KR102235033B1 (ko) 2020-02-05 2020-02-05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120B1 true KR102098120B1 (ko) 2020-04-07

Family

ID=7029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490A KR102098120B1 (ko) 2019-10-02 2019-10-02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243B1 (ko) 2020-07-16 2021-03-18 강성구 개량형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20104649A (ko) 2021-01-18 2022-07-26 (주)크레스코글로벌 개량형 스크린도어 시어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166A (ko) * 2010-06-04 2011-12-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49813A (ko) *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스위스 스마트 거울
KR101741001B1 (ko) * 2015-02-02 2017-05-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166A (ko) * 2010-06-04 2011-12-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KR101741001B1 (ko) * 2015-02-02 2017-05-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KR20170049813A (ko) *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스위스 스마트 거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243B1 (ko) 2020-07-16 2021-03-18 강성구 개량형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20104649A (ko) 2021-01-18 2022-07-26 (주)크레스코글로벌 개량형 스크린도어 시어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120B1 (ko)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7924656B (zh) 显示系统和闸口装置
US20200156533A1 (en) Control system of autonomous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67709B1 (ko) 지하철 스크린도어용 광고시스템 및 그의 작동방법
US7338176B2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information representation on a shaft door
CA2273230C (en) Mass transportation passenger guidance system
WO2020110832A1 (ja) 車両用表示装置
JP4971874B2 (ja) 位置検出装置
CN113148788B (zh) 基于乘客的定位在电梯轿厢中显示轿厢操作面板的系统和方法
KR102235033B1 (ko) 스크린 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57734B1 (ko) 엘리베이터 디스플레이 시스템
JPH08501398A (ja) 画像表示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手段
JP2010095361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乗客コンベア
KR20200142718A (ko)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주차 차단기
JP2013003998A (ja) ゲート装置
KR102229660B1 (ko) 엘리베이터 디스플레이 시스템
JPH047700A (ja) 駐車場の案内及び誘導システム
JP6934799B2 (ja) 戸袋移動型ホーム柵システム
KR102229243B1 (ko) 개량형 스크린도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JPH0475995A (ja) マンコンベアの情報表示装置
KR102640833B1 (ko) 개량형 스크린도어 시어터 시스템
US20100122890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Passenger Conveying Device
CN211857540U (zh) 一种基于地面投影引导的自动检票设备
WO2020021699A1 (ja) 表示装置
JP2020086141A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