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003B1 -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 Google Patents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003B1
KR102097003B1 KR1020180101850A KR20180101850A KR102097003B1 KR 102097003 B1 KR102097003 B1 KR 102097003B1 KR 1020180101850 A KR1020180101850 A KR 1020180101850A KR 20180101850 A KR20180101850 A KR 20180101850A KR 102097003 B1 KR102097003 B1 KR 102097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nce
tire
temperature change
respond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058A (ko
Inventor
이창호
김대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팔
Priority to KR1020180101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0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에 관한 것으로, 외주면에 림부가 구비되는 휠과 상면에 공명홀이 구비되어 상기 림부를 감싸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명통 및 상기 공명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림부 공동의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하는 주름관이 구비되어 중공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소통관과 상기의 각각의 공명통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링 형상의 적어도 1개 이상인 와이어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휠과 타이어의 결합 상태에서 주행 시 발생되는 공동의 온도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음속 값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주름관과 체적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을 통해 공명 주파수를 유지하여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하여 안정적인 승차감과 탑승자의 불쾌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Resonance Wheel adapted to tire inner temperature change}
본 발명은 차량용 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휠을 감싸는 공명통과 이와 결합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하여 소통관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공명음을 저감하여 노이즈 차단 효과를 갖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차량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 기능, 차량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노면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기능, 차량이 불규칙적인 노면 상태를 갖는 노면을 주행하는 때 불규칙적인 노면 상태를 갖는 노면에 의해 발생하여 차량으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 완화 기능 및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진행 방향 전환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타이어 내주면이 휠에 구성된 림의 내부에 부착되어 사용되고, 림에 부착된 타이어의 내부에는 압축 공기가 주입되어 차체를 지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렇게 타이어 내부에는 음파가 공명할 수 있는 공동이 마련되어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지속적인 마찰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한 림의 진동과 타이어 구조로 타이어 내부에서는 공명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하는 노이즈로 인하여 차량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자동차 외부에는 소음 공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고속 주행 시 노이즈는 더욱 커져 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휠의 림과 타이어 사이에 흡음재를 구비하거나 림에 패턴 등을 추가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타이어 공기실 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하여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05819340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로워 성형(Blower Molding)을 통하여 제작되는 에어 챔버를 휠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고 상기의 에어 챔버 측면에 통공을 구비하는 차량용 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타이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음속으로 인해 가감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05819340호(2015.10.09)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에서는 휠과 타이어 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공동에서 발생되는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 수축되는 소통관과 공명통의 체적 조절을 통하여 타이어 공동으로 전달되는 공명 소음 저감 효과를 갖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외주면에 림부가 구비되는 휠과 상면에 공명홀이 구비되어 상기 림부를 감싸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명통 및 상기 공명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림부 공동의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하는 주름관이 구비되어 중공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소통관으로 구성되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공명통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링 형상의 적어도 1개 이상인 와이어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공명홀과 소통관은 억지끼움 또는 융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고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공명홀 외주부에는 함몰부가 구비되어 상기 소통관이 공명통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공명통 외주부에 구성된 돌출부가 구비되되, 상기 소통관 하측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하고, 상기 공명통과 소통관 하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체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체적 조절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공명통에 상측에 구비되는 체적 조절 부재 결합 홀에 결합하며, 상기 체적 조절 부재는 상기 공명통 내부로 나사결합하여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공명통의 체적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은 휠과 타이어의 결합 상태에서 주행 시 발생되는 공동의 온도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음속 값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소통관과 체적 조절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을 통해 공명 주파수를 유지하여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하여 안정적인 승차감과 탑승자의 불쾌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차량용 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의 사시도로 이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의 공명통과 소통관 결합 제 1실시 예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의 공명통과 소통관 결합 제 2실시 예의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의 공명통과 소통관 결합 제 3실시 예의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의 공명통과 소통관 결합 제 4실시 예의 단면도.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의 공명통의 체적을 조절하는 실시 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의 주름관에 결합되는 가중체 결합 실시 예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의 구성에 적용되는 기본 원리로는 헬름홀츠의 공명이론(Helmholtz Resonance Theory)이 활용되고 아래 참고도를 참조하여 헬름홀츠 공식에 따르면 공명 주파수(Fresonance)는 속도(v)에 비례하고, 휠의 지름에 반비례하며, 개구부의 단면적(A)과 비례하고 공명통의 체적(V) 및 개구부의 길이(L)에 반비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8085697266-pat00001
상기의 헬름홀츠 공명이론 참고도를 바탕으로 본원발명의 공명음 저감 원리를 설명하자면, 휠(10)과 타이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공동에서 발생되는 특별한 정상파가 개구부인 소통관(30)을 통해 공명통(20) 안으로 들어오게 되고 그 정상파의 파형에 대한 새로운 역상 형태의 진동으로 변하여 공명통(20) 밖으로 산출되어 나오게 되어 특정한 주파수에 대한 위상변이가 발생하면서 공동 내에서의 특정 정상파가 소멸하게 되는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Figure 112018085697266-pat00002
보다 세부적으로, 상기 수식에서 v는 음속 값으로 이는 온도변화에 따라 음속 값이 변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공명 주파수(Fresonance)를 결정짓는 변수가 된다.
참고로, 음속은 0℃ 1기압에서 매질인 공기에서는 331m/s의 속도를 가진다. 공기 속에서 T℃일 때의 음속은 다음과 같다.
v=(331.5 + 0.61T)
즉, 온도가 1℃ 높아지면 0.61m/s씩 빨라지며 실온에서는 음속은 약 340m/s로 구할 수 있다. 이같이 온도변화에 따른 음속 값의 변화를 상쇄할 수 있는 물리적인 변수는 헬름홀츠 공식에서 보듯이 공명통의 체적(V) 및 개구부의 길이(L)가 있고, 이를 본원발명에 대비 시 소통관(30)에 구성된 주름관(31)을 온도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도록 제작하여 개구부의 길이(L)의 신축 정도가 조정될 수 있고 체적 조절 부재(41)를 통해 공명통(20)의 체적(V)을 변화시켜 음속 값(v)의 변화로 인한 공명 주파수 값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공명통과 소통관의 결합을 나타내는 실시 예로써, 이를 참고하여 본원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에 있어서, 외주면에 림부(11)가 구비되는 휠(10)과; 상면에 공명홀(21)이 구비되어 상기 림부(11)를 감싸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명통(20); 및 상기 공명홀(21)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림부(11) 공동의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하는 주름관(31)이 구비되어 중공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소통관(30);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공명통(2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링 형상의 적어도 1개 이상인 와이어(51)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이다.
도 3에서는 상기 공명홀(21)과 소통관(30)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게 하는 실시 예를 확인할 수 있고, 도 4a를 통해서는 상기 공명홀(21)과 소통관(30)은 융착에 의한 결합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b는 상기 공명홀(21) 외주부에는 함몰부(21a)가 구비되어 상기 소통관(30)이 공명통(20)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구성을 통해 결합되며, 도 4c는 상기 공명통(20) 외주부에 구성된 돌출부(21b)가 구비되되, 상기 소통관(30) 하측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하고, 상기 공명통(20)과 소통관(30) 하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수단(32)이 구비되는 실시 예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도 4d에서는 체적 조절 부재(41)가 구비되어 상기 공명통(20)에 상측에 구비되는 체적 조절 부재 결합 홀(21c)에 결합하며, 상기 체적 조절 부재(41)는 상기 공명통(20)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공명통(20)의 체적이 조정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통해서는 상기의 헬름홀츠 공식에서 보듯이 공명통의 체적(V)에 대비되는 체적 조절 부재(41)와 개구부의 길이(L)에 대비되는 소통관(30)을 함께 구비하여 온도에 따라 변화되는 음속 값(v)에 대응 가능한 변수의 구성요소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의 주름관에 결합되는 가중체 결합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주름관(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중체(51)가 결합되고 이는 상기 휠(10)의 회전 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는 타이어 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주름관(31)이 수축 팽창되면서 소통관(30)의 길이가 변화될 시 원심력과 함께 신축 정도를 보다 확대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가중체(51)의 재료는 금속과 같이 일정 무게가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알루미늄, 구리, 금, 은, 철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주름관(31)과는 와이어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한 결합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주름에 억지끼움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주름관(31)은 신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고, 이는 선팽창계수를 바탕으로 휠(10)과 타이어 결합 시 발생되는 공동에서 발생되는 온도 변화 값을 예측하여 특정 공명주파수가 유지될 수 있도록 소통관(30)의 개구부 길이(L)가 조정되는 범위가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선팽창계수는 온도가 변함에 따라 물체의 길이가 늘어나는 현상으로 이 늘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로써, 일반적인 금속의 선팽창 계수는 5*
Figure 112018085697266-pat00003
~25*
Figure 112018085697266-pat00004
[1/℃] 이고, 합성 수지의 고분자 재료의 선팽창 계수는 50*
Figure 112018085697266-pat00005
~ 400*
Figure 112018085697266-pat00006
[1/℃] 의 범위를 가지고 있어 이에 따라 주름관(31) 재료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서, 휠(10)과 타이어의 결합 상태에서 주행 시 발생되는 공동의 온도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음속 값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소통관(30)과 체적 조절 부재(41)를 구비하는 구성을 통해 공명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며, 이를 통해 공명 주파수에 대한 위상변이를 발생시켜 공동 내에서의 특정 정상파를 소멸시킴으로써 주행 간 발생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저감하여 안정적인 승차감과 탑승자의 불쾌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 및 적용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휠 11. 림부
20. 공명통 21. 공명홀
21a. 함몰부 21b. 돌출부
21c. 체적 조절 부재 결합 홀 30. 소통관
31. 주름관 32. 탄성수단
41. 체적 조절 부재 51. 가중체
L. 개구부의 길이

Claims (9)

  1.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에 있어서,
    외주면에 림부(11)가 구비되는 휠(10)과;
    상면에 공명홀(21)이 구비되어 상기 림부(11)를 감싸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명통(20); 및
    상기 공명홀(21)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림부(11) 공동의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 팽창하는 주름관(31)이 구비되어 중공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소통관(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명홀(21) 외주부에는 함몰부(21a)가 구비되어 상기 소통관(30)이 공명통(20)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홀(21)과 소통관(30)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홀(21)과 소통관(30)은 융착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통(20) 외주부에 구성된 돌출부(21b)가 구비되되,
    상기 소통관(30) 하측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하고, 상기 공명통(20)과 소통관(30) 하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수단(3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중체(5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7.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적 조절 부재(41)가 구비되어 상기 공명통(20)에 상측에 구비되는 체적 조절 부재 결합 홀(21c)에 결합하며, 상기 체적 조절 부재(41)는 상기 공명통(20)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공명통(20)의 체적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공명통(2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링 형상의 적어도 1개 이상인 와이어(51)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 조절 부재(41)와 상기 체적 조절 부재 결합 홀(21c)은 나사 결합하여 상기 체적 조절 부재(41)의 회전에 의하여 공명통(20)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KR1020180101850A 2018-08-29 2018-08-29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KR102097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50A KR102097003B1 (ko) 2018-08-29 2018-08-29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50A KR102097003B1 (ko) 2018-08-29 2018-08-29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58A KR20200025058A (ko) 2020-03-10
KR102097003B1 true KR102097003B1 (ko) 2020-04-03

Family

ID=6980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850A KR102097003B1 (ko) 2018-08-29 2018-08-29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0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65672A1 (en) * 2019-08-30 2021-03-04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wheel resonator system for a vehicle
KR102632331B1 (ko) 2023-01-11 2024-02-07 (주)시스트로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6653A (ja) * 2003-04-02 2004-11-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車輪
JP2008143289A (ja) 2006-12-07 2008-06-26 Asahi Tec Corp 車両用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2014196011A (ja) 2013-03-29 2014-10-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315B1 (ko) * 2016-04-29 2018-02-12 주식회사 팔 차량용 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6653A (ja) * 2003-04-02 2004-11-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車輪
JP2008143289A (ja) 2006-12-07 2008-06-26 Asahi Tec Corp 車両用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2014196011A (ja) 2013-03-29 2014-10-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65672A1 (en) * 2019-08-30 2021-03-04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wheel resonator system for a vehicle
US11657792B2 (en) * 2019-08-30 2023-05-23 Hyundai Motor Company Variable wheel resonator system for a vehicle
KR102632331B1 (ko) 2023-01-11 2024-02-07 (주)시스트로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58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003B1 (ko) 타이어 내부 온도변화에 대응 가능한 공명 휠
JP4052705B2 (ja) 液体封入ブッシュ
EP1336770B1 (en) Dynamic damper and propeller shaft
KR20080038312A (ko) 타이어 및 휠 노이즈 감소 장치 및 시스템
JP2000118207A (ja) 吸音特性を有する空気タイヤ
JPH0569715A (ja) 自動車の懸架装置
JP2004524215A (ja) タイヤ/ホイールの空洞ノイズを減衰させる装置
US4809959A (en) Hydraulic antivibratory supports
JP2019514791A (ja) 車両用ホイール
JP4360468B2 (ja) タイヤ空洞共鳴抑制装置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S63291709A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8233030A (ja) 連結ロッド
KR20190081494A (ko) 타이어소음 저감장치 체결구조
KR102080393B1 (ko) 공기입타이어
JP304377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4368203A (ja) 液封タイヤ
CN207809048U (zh) 一种汽车排气管吊耳
KR101092365B1 (ko) 수분 유입에 의한 이음을 방지하는 현가계 부쉬 구조
JP2001227582A (ja) 自動車用制振装置
KR102504922B1 (ko) 파장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파장관 휠
KR100826766B1 (ko) 공기입 타이어
KR0128421Y1 (ko) 타이어 발생 소음을 감소시킨 공기입 타이어
KR100457210B1 (ko)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JPH11210808A (ja) マウント装置
CN211567647U (zh) 减震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