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176B1 - 지관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지관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176B1
KR102096176B1 KR1020180118142A KR20180118142A KR102096176B1 KR 102096176 B1 KR102096176 B1 KR 102096176B1 KR 1020180118142 A KR1020180118142 A KR 1020180118142A KR 20180118142 A KR20180118142 A KR 20180118142A KR 102096176 B1 KR102096176 B1 KR 10209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transfer unit
support
axis
axis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윤기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청우코아
에이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청우코아, 에이티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청우코아
Priority to KR102018011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18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elongated, e.g. sticks, rods, bars
    • B65G57/186Cylindrical articles, e.g. tubes, rods,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9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longside
    • B65G57/1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longside by devices, e.g. reciprocating, acting directly on articles for horizontal transport to the top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관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재하는 과정에서 지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적은 공간 내 설치되어 지관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지관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재함에 적층되도록 적재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유닛은 수평하게 일렬로 상호 측면이 맞닿도록 놓인 다수의 지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지관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지관 일단을 밀어 지관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적재함으로 지관을 적재하는 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관 적재 장치{Apparatus for loading paper pipe}
본 발명은 지관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관을 자동으로 적재 및 적층할 수 있는 지관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관은 종이류나 수지 필름 등과 같은 권취물을 롤 상태로 감아 이동 및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의 코어 표면에 용도에 맞는 겉지를 접착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형태를 이루는 지관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직경과 두께, 그리고 다양한 길이를 가지게 되며, 작업이 완료된 지관은 여러 개를 적재함에 적층하는 방식으로 적재된 후 보관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지관을 적재함에 있어, 종래에는 작업자가 지관을 들고 이동하여 적재함에 적층하였으나, 지관이 상당한 무게를 가지므로 작업자가 근골격계 통증을 호소하고 적어도 2~3명 이상의 여러 작업자가 함께 들어야 하여 적재하는데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자칫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5334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는 지관을 자동으로 적재하고 다단으로 적재 가능한 지관 적재 장치 및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관 공급부(100), 지관 이송부(200) 및 높이 조절부(300)를 포함하며, 지관 공급부(100)에 의해 지관이 높은 위치로 올려진 다음,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지관 이송부(200)를 따라 지관이 내려와 적재함에 적재된다. 적재되는 과정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300)에 의해 제2 이송부(220)의 높이가 조절되고 제1 이송부(210)의 경사각이 조절되며 다단 적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지관 이송부(200)의 경사를 따라 지관이 회전하며 낙하하게 되는바, 지관 간의 충돌은 물론 지관과 지관 이송부(200) 간의 마찰이 발생될 수밖에 없어 제조된 지관이 적재하는 과정에서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관을 적재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설비의 크기가 상당하므로 이를 갖추기 위해서는 작업장 내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5334호 '지관 적재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재하는 과정에서 지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적은 공간 내 설치되어 지관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적재할 수 있는 지관 적재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는 지관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재함에 적층되도록 적재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유닛은 수평하게 일렬로 상호 측면이 맞닿도록 놓인 다수의 지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지관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지관 일단을 밀어 지관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적재함으로 지관을 적재하는 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의 전방에 다수의 지관이 수평하게 일렬로 상호 측면이 맞닿도록 놓이는 지관받이가 위치하되, 상기 이송유닛은 지관받이를 향하는 전방과 그 반대편인 후방을 향해 지지대를 이동시키는 x축이송유닛과, 상기 지지대 및 밀대가 구비되어 지지대에 놓인 지관을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y축이송유닛과, 상기 지관이 적재함에 놓이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y축이송유닛은 지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형성된 지지대와 밀대가 구비되며, 상기 z축이송유닛은 전면(前面)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z축이동판에 y축이송유닛의 중앙부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x축이송유닛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홀이 형성된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홀을 따라 이동하는 x축이동판에 z축이송유닛의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x축이송유닛과 대응되는 바닥에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z축이송유닛의 하단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x축이송유닛과 z축이송유닛에 의해 지관받이에 놓인 다수의 지관의 하방에 위치된 후, z축이송유닛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지관을 들어올리고, x축이송유닛과 z축이송유닛에 의해 적재함에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관받이는 지관의 길이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y축이송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가 지관받이에 놓인 지관의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는 지관받이의 일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는 지관받이의 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관받이는 지관의 길이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개방된 유도홀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y축이송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가 지관받이에 놓인 지관의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는 지관받이의 일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는 유도홀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는 지관받이의 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함은 마주하는 두 측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두 측면이 밀폐된 사각통 형태를 이루어, 개방된 측면을 통해 상기 지관이 적재되되, 상기 이송유닛은 지지대에 놓인 다수의 지관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관이 적재함의 밀폐된 일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진입을 유도한 다음, 적재함에 지관의 타단이 진입된 후 지관이 적재함의 밀폐된 일 측면에 맞닿으며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지관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안착구가 다수 개 구비되되, 상기 안착구는 지관의 하부 양측이 맞닿는 지점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롤러가 'v'자 형태로 배치되어 밀대에 의해 이동시 지관이 용이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에 적층하는 방식으로 지관을 적재할 수 있도록 지지대의 위치를 이동시킨 다음, 지지대에 놓인 다수의 지관의 일단을 밀어 적재함에 적재하게 되므로, 적재하는 과정에서 지관의 굴림과 지관 간의 충돌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지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은 공간 내에서도 설치가능한바 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 지관 적재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에 적용되는 이송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에 적용되는 y축이송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에 적용되는 지지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에 적용되는 z축이송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에 적용되는 x축이송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에 적용되는 레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에 의해 지관이 지관받이로부터 이송유닛을 거쳐 적재함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에 적용되는 적재함에 지관이 적층적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에 의해 지관이 적재함에 적층적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에서는 적재하는 과정에서 지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적은 공간 내 설치되어 지관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지관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재함에 적층되도록 적재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유닛은 수평하게 일렬로 상호 측면이 맞닿도록 놓인 다수의 지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지관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지관 일단을 밀어 지관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적재함으로 지관을 적재하는 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적재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는 지관(1)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재함(10)에 적층되도록 적재하는 이송유닛(A)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의해 견고히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관(1)을 이송함에 간섭받지 않도록 이송유닛(A)을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이송유닛(A)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지관(1)을 이송함에 있어 지관(1)에 이물질 등이 묻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에 판부재가 결합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놓여진 지관(1)을 지지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에 놓여진 지관(1)을 적재함(10)을 향해 미는 밀대(22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210)는 수평하게 일렬로 놓인 지관(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관(1)의 하방을 지지하는데, 상기 지지대(210)에 의해 지지되는 지관(1)은 하나일 수 있으나, 적재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다수의 지관(1)을 한꺼번에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수의 지관(1)은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가진 상태로 지지대(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나, 적재의 효율성 측면에서 상호 측면이 맞닿도록 놓인 상태로 지지대(210)에 의해 지지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2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되는 지관(1)과 최소한으로 접할 수 있도록 바(bar)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지관(1)의 적어도 두 지점을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관(1)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는 안착구(211)가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구(211)는 지지대(210)와 맞닿는 지관(1)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관(1)의 하부 양측이 맞닿도록 'v'자 형태로 배치된 롤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212)는 측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바, 밀대(220)에 의한 밀림에 의해 지관(1)의 이동시 용이하게 지관(1)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A)은 지지대(210)에 의해 지지된 다수의 지관(1)은 적재함(10)에 적재되기 위한 지점으로 x축, y축, z축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에 대하여 지지대(210)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밀대(2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10) 일측, 즉 지지대(210)에 놓인 지관(1)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지대(210)에 의해 지지되어 적재되기 위한 지점으로 이동된 다수의 지관(1) 일단을 밀어 지관(1)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적재함(10)으로 지관(1)을 적재한다.
이러한 본 발명인 지관 적재 장치는 적재짐(10)에 적층하는 방식으로 지관(1)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적재하는 과정에서 지관(1)의 굴림과 지관(1) 간의 충돌이 발생되지 않는바, 지관(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은 공간 내에서도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10)에 의해 지지되는 지관(1)을 x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x축이송유닛(100)과, 지지대(210)에 의해 지지되는 지관(1)을 y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y축이송유닛(200)과, 지지대(210)에 의해 지지되는 지관(1)을 z축 방향으로 이송하는 z축이송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x축이송유닛(100), y축이송유닛(200), z축이송유닛(300) 각각에는 지관(1)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구동력을 감소시키는 감속기, 상기 모터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볼스크류를 비롯하여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는 포토센서, 지관감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A)의 전방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관(1)이 수평하게 일렬로 상호 측면이 맞닿도록 놓이는 지관받이(20)가 위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x축 방향이란 상기 지관받이(20)를 향하는 전방과 그 반대편인 후방을 의미하고, y축 방향이란 밀대(220)에 의해 지관(1)이 이동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z축 방향이란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지관받이(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바, 일 예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상면이 지관(1)이 놓이도록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관받이(20)의 상면은 이송유닛(A)과 최대한 가까운 지점에서 다수의 지관(1)이 상호 측면이 맞닿도록 놓이도록 이송유닛(A)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향경사진 상면으로 인해 지관(1)이 바닥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지관받이(20)의 후측, 즉 이송받이(A)를 향하는 측에는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걸림턱(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A)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y축이송유닛(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관(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긴 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방을 향해 지지대(210)와 밀대(2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z축이송유닛(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前面)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z축이동판(3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z축이동판(310)에는 y축이송유닛(200)의 중앙부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x축이송유닛(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이동홀(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홀(110)을 따라 이동하는 x축이동판(1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축이동판(120)에는 z축이송유닛(300)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다. 즉, x축이동판(12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z축이송유닛(300)이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z축이송유닛(300)에 결합된 y축이송유닛(200) 또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y축이송유닛(200)에 구비된 지지대(2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z축이송유닛(300)이 x축이동판(12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에 있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x축이송유닛(100)과 대응되는 바닥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일(4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400)에 z축이송유닛(300)의 하단이 결합 또는 안착되어 z축이송유닛(100)의 전체가 x축 방향으로 어긋남없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210)는 x축이송유닛(100)과 z축이송유닛(300)에 의해 지관받이(20)에 놓인 다수의 지관(1)의 하방에 위치된 다음, z축이송유닛(30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지관(1)을 들어올리고, z축이송유닛(100)과 z축이송유닛(300)에 의해 적재함(10)에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도록 조절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y축이송유닛(200)은 z축이송유닛(200)에 의해 지관받이(20)에 놓인 다수의 지관(1)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높이가 조절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축이송유닛(100)에 의해 지관받이(20)를 향해 이동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10)가 지관받이(20)에 놓인 다수의 지관(1)의 인접한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y축이송유닛(2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이송유닛(20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지지대(210)에 의해 다수의 지관(1)이 들어올려지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축이송유닛(200)에 의해 지관받이(200)의 반대편인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y축이송유닛(200)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있어, 적재함(10)에서 적재하고자 하는 지점과 근접한 지점으로 이동하며, z축이송유닛(300)에 의해 적재함(10)에 놓이는 높이로 조절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y축이송유닛(2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10)에 놓인 지관(1)의 일단을 밀대(220)로 밀어 지관(1)을 타단으로 이동시켜 적재함(10)에 적재한다.
한편, 상기 지관받이(20)는 상면이 지관(1)의 길이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어 지관받이(20)에 놓인 지관(1)의 양단이 지관받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지지대(210)에 의해 지관(1)이 들어올려질 시, 지관받이(20)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10)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y축이송유닛(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210)가 위에서 설명한 지관받이(20)에 놓인 지관(1)을 들어올리기 위해 지관(1)의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지관받이(2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지관받이(20)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대(210)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지관(1)을 이송하는데 적합한 형태이며,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지관(1)의 일단측을 지지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지관(1)의 타단측을 지지하면서 지관(1)을 이송하게 된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지관(1)을 이송하고자 하거나, 지관(1)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하고자 할 경우, 다수의 지지대(210)가 지관(1)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물론 중간 부분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로, 상기 지관받이(20)는 상면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 즉 이송유닛(A)을 향해 개방된 유도홀(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210)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y축이송유닛(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210)가 지관받이(20)에 놓인 지관(1)의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지관받이(2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유도홀(21)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지관받이(20)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지지대(210)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함(10)은 모든 측면이 개방되도록 측면이 프레임만으로 형성된 통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이 경우 상기 지관(1)이 적재함(10)으로 진입함에 있어 조금만 각도가 어긋나도 지관(1)이 프레임에 부딪힐 우려가 있으므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하는 두 측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두 측면이 밀폐된 사각통 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관(1)은 개방된 측면을 통해 적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유닛(A)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10)에 놓인 다수의 지관(1)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관(1)이 적재함(10)의 밀폐된 일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진입을 유도한 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에 지관(1)의 타단이 진입된 후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관(1)이 적재함(10)의 밀폐된 일 측면에 맞닿으며 이동되도록 한다. 이는 적재함(10)에 진입하는 시점에 지관(1)이 적재함(10)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관(1)이 고르게 적층적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지관 적재 장치에 의해 지관(1)이 적재함(10)에 적층적재되는 일 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지지대(210)에 의해 3개의 지관(1)이 이송되고 적재함(10)에 한 개의 층에 놓이는 지관(1)이 6개인 경우, 상기 적재함(10)은 폭은 지관(1) 6개의 직경보다 조금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관(1) 6.5개의 직경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A)은 새로운 한 개의 층을 형성하는 3개의 지관(1)을 이동시키고 적재함에 있어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관(1)이 적재함(10)의 밀폐된 일 측면에 맞닿도록 한다. 다음 3개의 지관(1)은 적재함(10)에 놓여진 지관(1) 중 적재함(10)의 측면과 가장 멀리 놓여진 지관(1)과 하나의 지관(1)이 측면을 상호 맞닿도록 놓여진다.
이후, 다음 3개의 지관(1)은 6개의 지관(1)이 형성한 층의 상측에 놓이게 되며, 이때 상기 이송유닛(A)은 새로운 한 개의 층을 형성하는 3개의 지관(1)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관(1)이 적재함(10)의 밀폐된 일 측면에 맞닿도록 하는데, 이때 지관(1)이 맞닿는 적재함(10)의 일 측면은 앞서 적재함(10)에 놓여진 지관(1)이 맞닿고 있는 측면과는 반대편 측면을 의미한다. 그 다음 3개의 지관(1)은 새로운 층 형성을 위해 적재함(10)에 놓여진 지관(1) 중 적재함(10)의 측면과 가장 멀리 놓여진 지관(1)과 하나의 지관(1)이 측면을 상호 맞닿도록 놓여진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지관(1)이 적층적재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지관(1)이 하나의 층을 형성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상호 엇갈린 형태를 이루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적층구조를 이룰 수 있다.
A : 이송유닛
1 : 지관
10 : 적재함 20 : 지관받이
21 : 유도홀 22 : 걸림턱
100 : x축이송유닛 110 : 이동홀
120 : x축이동판
200 : y축이송유닛 210 : 지지대
211 : 안착구 212 : 롤러
220 : 밀대
300 : z축이송유닛 310 : z축이동판
400 : 레일 500 : 프레임

Claims (8)

  1. 지관(1)을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재함(10)에 적층되도록 적재하는 이송유닛(A);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유닛(A)은 수평하게 일렬로 상호 측면이 맞닿도록 놓인 다수의 지관(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지관(1)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 일측에 구비되어 다수의 지관(1) 일단을 밀어 지관(1)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적재함(10)으로 지관(1)을 적재하는 밀대(2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210)는 지관(1)의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안착구(211)가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안착구(211)는 지관(1)의 하부 양측이 맞닿는 지점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롤러(212)가 'v'자 형태로 배치되어 밀대(220)에 의해 이동시 지관(1)이 용이하게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적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A)의 전방에 다수의 지관(1)이 수평하게 일렬로 상호 측면이 맞닿도록 놓이는 지관받이(20)가 위치하되,
    상기 이송유닛(A)은 지관받이(20)를 향하는 전방과 그 반대편인 후방을 향해 지지대(210)를 이동시키는 x축이송유닛(100)과, 상기 지지대(210) 및 밀대(220)가 구비되어 지지대(210)에 놓인 지관(1)을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y축이송유닛(200)과, 상기 지관(1)이 적재함(10)에 놓이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지지대(2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축이송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적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y축이송유닛(200)은 지관(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해 형성된 지지대(210)와 밀대(220)가 구비되며,
    상기 z축이송유닛(300)은 전면(前面)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z축이동판(310)에 y축이송유닛(200)의 중앙부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x축이송유닛(100)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홀(110)이 형성된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홀(110)을 따라 이동하는 x축이동판(120)에 z축이송유닛(300)의 상단이 결합되며,
    상기 x축이송유닛(100)과 대응되는 바닥에 레일(400)이 형성되어, 상기 z축이송유닛(300)의 하단이 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적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0)는 x축이송유닛(100)과 z축이송유닛(300)에 의해 지관받이(20)에 놓인 다수의 지관(1)의 하방에 위치된 후, z축이송유닛(30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지관(1)을 들어올리고, x축이송유닛(100)과 z축이송유닛(300)에 의해 적재함(10)에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적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받이(20)는 지관(1)의 길이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10)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y축이송유닛(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210)가 지관받이(20)에 놓인 지관(1)의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지관받이(2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지관받이(20)의 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적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받이(20)는 지관(1)의 길이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 개방된 유도홀(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10)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y축이송유닛(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3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210)가 지관받이(20)에 놓인 지관(1)의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지관받이(2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유도홀(21)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210)는 지관받이(20)의 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적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은 마주하는 두 측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두 측면이 밀폐된 사각통 형태를 이루어, 개방된 측면을 통해 상기 지관(1)이 적재되되,
    상기 이송유닛(A)은 지지대(210)에 놓인 다수의 지관(1) 중 최외곽에 위치하는 지관(1)이 적재함(10)의 밀폐된 일 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진입을 유도한 다음, 적재함(10)에 지관(1)의 타단이 진입된 후 지관(1)이 적재함(10)의 밀폐된 일 측면에 맞닿으며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관 적재 장치.
  8. 삭제
KR1020180118142A 2018-10-04 2018-10-04 지관 적재 장치 KR102096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142A KR102096176B1 (ko) 2018-10-04 2018-10-04 지관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142A KR102096176B1 (ko) 2018-10-04 2018-10-04 지관 적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176B1 true KR102096176B1 (ko) 2020-04-01

Family

ID=7027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142A KR102096176B1 (ko) 2018-10-04 2018-10-04 지관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955B1 (ko) * 2020-12-30 2021-07-23 이병희 지관 이송 및 절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839A (ja) * 1996-03-06 1997-09-16 Shin Etsu Polymer Co Ltd 棒状体の自動供給装置
JP2011057367A (ja) * 2009-09-09 2011-03-24 Kyodo Printing Co Ltd チューブの箱詰め装置、箱詰め方法及びチューブの箱詰め装置用作業ハンド
KR20130042298A (ko) * 2011-10-18 2013-04-26 김상현 지관 적재 장치 및 방법
KR101847306B1 (ko) * 2016-12-30 2018-05-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화된 파이프 이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0839A (ja) * 1996-03-06 1997-09-16 Shin Etsu Polymer Co Ltd 棒状体の自動供給装置
JP2011057367A (ja) * 2009-09-09 2011-03-24 Kyodo Printing Co Ltd チューブの箱詰め装置、箱詰め方法及びチューブの箱詰め装置用作業ハンド
KR20130042298A (ko) * 2011-10-18 2013-04-26 김상현 지관 적재 장치 및 방법
KR101295334B1 (ko) 2011-10-18 2013-08-16 김상현 지관 적재 장치 및 방법
KR101847306B1 (ko) * 2016-12-30 2018-05-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화된 파이프 이송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057367호(2011.3.24. 공개)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240839호(1997.9.16. 공개) 1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955B1 (ko) * 2020-12-30 2021-07-23 이병희 지관 이송 및 절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9953B1 (ko) 다 선반형 페이퍼를 저장 시스템 및 그 저장 시스템의 프레임에 부착된 트랙
JP6183714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6179729B2 (ja)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JP5080123B2 (ja) パレット受け渡しシステム
JP5643804B2 (ja) 板材保管棚
EP4389644A1 (en) Article transfer apparatus and warehousing system
KR20190008524A (ko) 보관물품을 입고 및 출고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제공되는 입출고 장치들을 포함하는 고층 입체 창고
KR102096176B1 (ko) 지관 적재 장치
FI117862B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varastoinnissa käytetyn kasetin käsittelyyn siirtolaitteen avulla
JP2000052287A (ja) 長尺物積載装置
GB2276874A (en) System for storage,retrieval and supply of steel plates
KR100974063B1 (ko) 창고용 박스 반입 및 반출 시스템
KR960004056B1 (ko) 타이어용 자동 적재장치
JP2007204174A (ja) 段ばらし装置
KR102224498B1 (ko) 워크피스 스택 시스템
CN212173796U (zh) 一种玻璃夹取装置及玻璃搬运装置
KR100858126B1 (ko)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
JPH06100108A (ja) ロール物移載装置
JP5486288B2 (ja) 物品搬送装置
KR200301048Y1 (ko) 슬리브자동공급장치
JP2502916B2 (ja) 物品搬送用のボックスマガジン
JPH07115725B2 (ja) 物品搬送システム
KR102570672B1 (ko) Pe 필름 원단 롤 이송 장치
JP2887583B2 (ja) 撚線機用台車への満巻・空ボビン載せ替え装置
CN216154903U (zh) 一种输送定位装置及码垛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