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634B1 -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634B1
KR102095634B1 KR1020180030751A KR20180030751A KR102095634B1 KR 102095634 B1 KR102095634 B1 KR 102095634B1 KR 1020180030751 A KR1020180030751 A KR 1020180030751A KR 20180030751 A KR20180030751 A KR 20180030751A KR 102095634 B1 KR102095634 B1 KR 102095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all surface
ground reinforcement
base portion
inclin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986A (ko
Inventor
이석진
박스칸
도남영
김봉찬
이준호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63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보강을 위한 강선을 4방향 또는 8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으로서, 특히,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벽면부를 관통한 와이어에 쐐기를 장착하여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외측에서 인입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상기 베이스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홀이 형성된 벽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Bracket for ground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보강을 위한 강선을 4방향 또는 8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으로서, 특히,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벽면부를 관통한 와이어에 쐐기를 장착하여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 또는 암반이 느슨해지거나 붕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볼트 또는 락 볼트로 불리는 앵커(anchor)와, 숏크리트(shotcrete), H형 강, 거더(girder),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등의 지반 보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지반 보강재 중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중앙부에 고정홀이 형성된 판상의 브래킷에 강선을 연결하여 긴장력을 줌으로써 지반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래킷의 고정홀에 락 볼트, 케이블 볼트, 강선 등이 관통된 후 고정되도록 하여 굴착, 취약지반이나 벽면 등의 전단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종래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일예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출원번호 제10-2017-0144399호)'가 있다.
상기 종래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벽면을 형성하는 지지부에 형성된 지지홀을 통해 상, 하 방향과 좌, 우 방향 및 대각방향으로 강선을 입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지압부와 지지부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이 협소하여, 인장기를 이용하여 쐐기를 장착하는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출원번호 제10-2017-0144399호(출원일자 2017년 11월 1일)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보강을 위한 강선을 4방향 또는 8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으로서, 특히,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벽면부를 관통한 와이어에 쐐기를 장착하여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외측에서 인입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상기 베이스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홀이 형성된 벽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에만 형성되거나 4개의 변부에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부는 4개의 변부에 모두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와 벽면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사안내홀은 와이어가 인입되는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 또는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부는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면부의 측면 테두리에는 후크홀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의 후크홀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제1후크가 구비되고, 중앙 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된 착탈식 보조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착탈식 보조판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는 상기 착탈식 보조판의 양측 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후크가 구비된 양측 변부의 사이에 대응하는 꼭지점 부분에서 연장된 플렉서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제2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고정홀의 주변 부분에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는 압축성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벽면부를 관통한 와이어에 쐐기를 장착하여 긴장력을 주기 위한 인장기를 이용한 긴장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4방향으로 와이어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착탈식 보조판을 추가로 장착하여 최대 8방항으로 와이어를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베이스부(100)와 벽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평평한 판 형태의 부분으로서 지반, 또는 암반이나 터널 등에 견고한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인장, 압축, 굽힘, 비틀림 강도가 강한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0)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앙 부분에는 고정홀(100h)이 형성된다.
한편, 도 4를 기준으로 볼 때, 가상의 점선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100)와 벽면부(200)가 구획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100h)은 지반 보강을 위한 강선(W1)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내측면에 매립되어 일부분이 노출된 강선(W1)이 상기 고정홀(100h)에 쐐기(wd)를 통해 견고하고 긴장력을 갖도록 체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00)에 의해 터널의 내측면이 견고하게 보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0)의 타측면에는 압축성 패드(P)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성 패드(P)는 고무 재질의 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00)가 터널의 불규칙한 내측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밀착력을 높이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홀(100h)의 주변 부분에 통공(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H)은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설치가 완료된 후, 상기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포함한 터널의 내측면을 콘크리트로 타설 시 상기 베이스부(100)와 터널 내측면의 사이 공간부(S)에 콘크리트가 상기 통공(H)을 통해 주입될 수 있도록 하여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벽면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도 4를 기준으로 하여 도면의 좌측이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해당되고, 도면의 우측이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해당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벽면부(200)에는 경사안내홀(200h)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외측 공간에서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와이어(W2)가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은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200)의 외측면은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를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직선형태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인장기를 이용한 와이어 인장작업을 고려하여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경사안내홀(200h)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곡선형태로 형성되어 와이어의 밴딩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홀(200h)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경사안내홀(200h)을 관통하는 와이어(W2)는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밴딩될 수 있다.
즉, 도 4의 아래측에 있는 와이어(W2)의 단부 방향이 도 4의 좌측 상방을 향하도록 밴딩됨에 따라 쐐기(wd)를 장착하기 위한 인장기 작업 공간이 확보됨은 물론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이 상기 인장기의 지지면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와이의 단부가 마주하는 벽면부(200)를 향하고 있어서 길이가 긴 인장기를 브래킷의 내부공간에 넣고 작업을 하기가 어려웠지만, 와이어(W2)의 단부 방향이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길이가 긴 인장기로도 인장작업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4방향 변부에 모두 형성될 수 있고, 이웃하는 각각의 벽면부(200)끼리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벽면부(200)가 4방향 변부에 모두 형성된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으로 와이어를 연결하여 복수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상호 간에 인장력이 장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4방향 변부에 모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설치 상황에 따라 상기 벽면부(200)는 1개의 변에만 형성되거나, 3개의 변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됨과 함께 상기 벽면부(200)의 외측면이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를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외측에서 인입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W2)가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인장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이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베이스부(100)와 벽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베이스부(100)는 중앙 부분에 고정홀(100h)이 형성된 사각의 평평한 판 형태의 부분으로서 지반, 또는 암반이나 터널 등에 견고한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인장, 압축, 굽힘, 비틀림 강도가 강한 금속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타측면에도 압축성 패드(P)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홀(100h)의 주변 부분에 통공(H)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실시예의 베이스부(100)는 제1실시예의 베이스부(100)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나머지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벽면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기준으로 하여 도면의 좌측이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해당되고, 도면의 우측이 베이스부(100)의 타측에 해당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부분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와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부(20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200')끼리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벽면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벽면부(20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어 이웃하는 벽면부(200')끼리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벽면부(200')에는 외측 공간에서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와이어(W2)가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홀(200'h)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인장기를 이용한 와이어 인장작업을 고려하여,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상기 벽면부(200')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직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안내홀(200'h)은 와이어(W2)가 인입되는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W2)의 밴딩 시 와이어(W2)와 간섭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은, 상기 판상의 벽면부(200') 자체가 상기 판상의 베이스부(100)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홀(200'h)이 상기 벽면부(200')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외측에서 인입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W2)가 상기 베이스부(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인장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착탈식 보조판(30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의 변형예는 전체적으로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각각의 벽면부(200')의 양측면 테두리에는 한 쌍의 후크홀(h1)이 형성된다.
한편, 이웃하는 한 쌍의 벽면부(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착탈식 보조판(300)은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착탈식 보조판(300)이 이웃하는 벽면부(200')의 후크홀(h1)에 각각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착탈식 보조판(300)의 양측 변부에는 각각 한 쌍의 제1후크(hk1)가 구비된다.
또한, 착탈식 보조판(300)의 양측 변부에 구비된 제1후크(hk1)의 사이에 대응하는 꼭지점 부분에는 플렉서블 와이어(310)가 구비되고, 상기 플렉서블 와이어(310)의 단부에는 제2후크(hk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착탈식 보조판(300)의 중앙 부분에 관통홀(300h)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착탈식 보조판(3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부(200')의 후크홀(h1)에 제1후크(hk1)가 걸려 고정됨과 함께 상기 베이스부(100)의 고정홀(100h)에 제2후크(hk2)가 걸려 고정되는 상태로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보조판(300)이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에 장착된 경우에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4방향 이외에 추가적으로 4개의 경사방향으로 와이어(W2)를 연결할 수 있어서 최대 8방향으로 와이어(W2)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Claims (20)

  1. 고정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외측에서 인입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가 상기 베이스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밴딩되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홀이 형성된 벽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를 경사지게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직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곡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에만 형성되거나 4개의 변부에 모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4개의 변부에 모두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벽면부는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외측면 중앙 부분과 내측면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직선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상기 벽면부의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안내홀은 와이어가 인입되는 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마주하는 한 쌍의 변부 또는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4개의 변부에 각각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끼리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부의 측면 테두리에는 후크홀이 형성되고,
    이웃하는 벽면부의 후크홀에 각각 걸려 고정되는 제1후크가 구비되고, 중앙 부분에 관통홀이 형성된 착탈식 보조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보조판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는 상기 착탈식 보조판의 양측 변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후크가 구비된 양측 변부의 사이에 대응하는 꼭지점 부분에서 연장된 플렉서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제2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고정홀의 주변 부분에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면에는 압축성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KR1020180030751A 2018-03-16 2018-03-16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KR102095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51A KR102095634B1 (ko) 2018-03-16 2018-03-16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51A KR102095634B1 (ko) 2018-03-16 2018-03-16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86A KR20190108986A (ko) 2019-09-25
KR102095634B1 true KR102095634B1 (ko) 2020-03-31

Family

ID=6806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51A KR102095634B1 (ko) 2018-03-16 2018-03-16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8765B (zh) * 2020-01-19 2021-07-13 厦门楷铭科技有限公司 一种训练墙拼装单元及应用该拼装单元拼接的训练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076A (ja) * 1999-03-05 2000-09-1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吹き付け法枠工法、及び吹き付け法枠
JP2001295271A (ja) * 2000-04-11 2001-10-26 Nittoc Constr Co Ltd 不陸調整マ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5938A (ko) * 2010-11-01 2012-05-09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지반 보강부재의 지압판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공법
KR20170102617A (ko) * 2016-03-02 2017-09-12 김용응 사면보강공법 및 사면보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076A (ja) * 1999-03-05 2000-09-19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吹き付け法枠工法、及び吹き付け法枠
JP2001295271A (ja) * 2000-04-11 2001-10-26 Nittoc Constr Co Ltd 不陸調整マ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86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197B1 (ko) 평판형 쉬어코넥터를 갖는 강재 영구거푸집 보 및 그를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0589975B1 (ko) 아이볼트 및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 전단보강시스템
US11885117B2 (en) Structure having edge reinforcement on profiled rail
KR101926160B1 (ko) 흙막이 가시설용 띠장 설치공법 및 띠장
KR102095634B1 (ko)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KR20090025496A (ko) 내진성능 보강구조체
KR101730518B1 (ko) 단편 결속형 철근고정구
JP5442365B2 (ja) 補強梁接合金物
JP6205115B2 (ja) コーベル及び建築物
KR102350905B1 (ko)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JP5627972B2 (ja) スリット構造
JP3882349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KR100633014B1 (ko) 흙막이 구조물의 앵커 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띠장
KR101939373B1 (ko) 매립강선과 고정정착구를 이용한 frp 보강근의 이격 정착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과 보강구조, 및 이에 의해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959817B1 (ko) 전단벽체 슬릿 인방 시스템
KR101211763B1 (ko) 조립식 강지보의 결합구조
JP4416589B2 (ja) 地中埋設中空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地中埋設構造体
FI12707Y1 (fi) Vaarnalenkki
JP2004162259A (ja) 構造物基礎の支持構造
KR100656285B1 (ko) 인장 및 전단 보강을 위한 외부강선의 정착구조
KR20190117939A (ko) 지반 보강재용 브래킷
JP2516509B2 (ja) 地中連続壁の接合構造
JP6188323B2 (ja) 梁のピン連結構造
JP2012112210A (ja) 耐震壁及び耐震壁の施工方法
JP5190651B2 (ja) 壁の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