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595B1 - 확산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확산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595B1
KR102095595B1 KR1020190004146A KR20190004146A KR102095595B1 KR 102095595 B1 KR102095595 B1 KR 102095595B1 KR 1020190004146 A KR1020190004146 A KR 1020190004146A KR 20190004146 A KR20190004146 A KR 20190004146A KR 102095595 B1 KR102095595 B1 KR 102095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diffusion sheet
layer
light
backl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314A (ko
Inventor
타다유키 노나카
히로노부 이마키타
켄이치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8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확산시트에 있어서, 황색도를 억제하며 은폐성을 향상시킨다.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기재층(10)과, 수지 기재층(10)의 한쪽 표면에 배치되며, 산화티탄 입자(11), 수지 비즈(12) 및 바인더 수지(13)를 함유하는 광확산층(15)을 구비한 확산시트(20)로서, 바인더 수지(13)에 대한 산화티탄 입자(11)의 질량 백분율은, 190질량%∼250질량%이고, 광확산층(15)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6.0g/㎡∼7.0g/㎡이다.

Description

확산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DIFFUSION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확산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액정 표시 장치는,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 및 CF(Color Filter) 기판 사이에 액정층이 봉입된 액정 표시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 배면측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배치된 도광판과, 도광판의 한 측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광원과, 도광판 표면에 차례로 배치된 확산시트 및 프리즘시트와, 도광판 이면에 배치된 반사시트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적어도 한쪽 표면에 서로 평행하면서 랜덤의 복수 개의 홈을 갖는 확산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12-226290호 공보
그런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을 점등시켰을 때, 확산시트 표면에서, 도광판 표면에 형성된 흠에 기인하는 휘점, 도광판 이면에 인쇄된 백색의 도트 패턴, 도광판 측면측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에 기인하는 핫스폿 등이 시인되면, 외관이 안 좋아지므로, 이들을 확산시트로 은폐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산화티탄을 함유하는 광확산층이 표면에 배치된 확산시트에서는, 광확산층 중 산화티탄의 함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황색도가 강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확산시트에서, 황색도를 억제하며 은폐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확산시트는,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기재층과, 상기 수지 기재층의 한쪽 표면에 배치되며, 산화티탄 입자, 수지 비즈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광확산층을 구비한 확산시트로서, 상기 바인더 수지에 대한 상기 산화티탄 입자의 질량 백분율은, 190질량%∼250질량%이고, 상기 광확산층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6.0g/㎡∼7.0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인더 수지에 대한 산화티탄 입자의 질량 백분율이 190질량%∼250질량%이고, 광확산층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6.0g/㎡∼7.0g/㎡이므로, 확산시트에서, 황색도를 억제하며 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확산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확산시트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확산시트의 실험예 1∼8의 내용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확산시트의 실험예 9∼18의 내용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확산시트의 은폐성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확산시트의 휘점의 은폐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확산시트의 광원에 의한 핫스폿의 은폐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확산시트의 도트 패턴의 은폐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확산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50)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액정 표시 장치(50)를 구성하는 백라이트 유닛(40)의 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백라이트 유닛(40)을 구성하는 확산시트(20)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확산시트(20)의 변형예인 확산시트(20a)의 단면도이다.
액정 표시 장치(5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5)과, 도면 중 액정 표시 패널(5)의 하측 표면에 접합된 제 1 편광판(6)과, 도면 중 액정 표시 패널(5)의 상측 표면에 접합된 제 2 편광판(7)과, 액정 표시 패널(5)의 배면측(도면 중 하측)에 제 1 편광판(6)을 개재하여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40)을 구비한다.
액정 표시 패널(5)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TFT 기판(1) 및 CF 기판(2)과, TFT 기판(1) 및 CF 기판(2)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3)과, TFT 기판(1) 및 CF 기판(2) 사이에 액정층(3)을 봉입하기 위해 프레임 형상으로 배치된 시일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TFT 기판(1)은, 예를 들어, 유리기판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TFT와, 각 TFT를 피복하도록 형성된 층간 절연막과, 층간 절연막 상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TFT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화소전극과, 각 화소전극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배향막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각 TFT는, 예를 들어, 유리기판 상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 복수 게이트선 중 대응하는 게이트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각 TFT는, 예를 들어, 게이트선을 피복하는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소스선 중 대응하는 소스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CF 기판(2)은, 예를 들어, 유리기판 상에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블랙 매트릭스와, 블랙 매트릭스의 각 격자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적색층, 녹색층 및 청색층을 포함하는 컬러필터와, 블랙 매트릭스 및 컬러필터를 피복하도록 배치된 공통 전극과, 공통 전극을 피복하도록 형성된 배향막을 구비한다.
액정층(3)은, 전기 광학 특성을 갖는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네마틱 액정 재료 등으로 구성된다.
제 1 편광판(6) 및 제 2 편광판(7)은 각각, 예를 들어, 일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편광자층과, 그 편광자층을 협지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보호층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편광자층은, 예를 들어, 요오드 등을 흡착시켜 연신시킨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보호층은,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 등으로 구성된다.
백라이트 유닛(4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산시트(20)와, 도면 중 확산시트(20)의 상측으로 차례로 배치된 제 1 프리즘 시트(31) 및 제 2 프리즘 시트(32)와, 도면 중 확산시트(20)의 하측에 배치된 도광판(25)과, 도광판(25) 측방에 광원(점광원)으로서 배치된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26)와, 도면 중 도광판(25)의 하측에 배치된 반사시트(28)를 구비한다.
확산시트(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 기재층(10)과, 도면 중 수지 기재층(10)의 상측 표면에 배치된 광확산층(15)과, 도면 중 수지 기재층(10)의 하측 표면에 배치된 수지 요철층(16)을 구비한다.
수지 기재층(10)은 광투과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두께 20㎛∼50㎛ 정도의 투명, 반투명 또는 유백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수지, 내광성 폴리염화 비닐수지제 등의 필름으로 구성된다.
광확산층(15)은 예를 들어, 두께 8㎛ 정도이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티탄 입자(11), 수지 비즈(12) 및 바인더 수지(13)를 함유하고, 산화티탄 입자(11) 및 수지 비즈(12)가 수지 기재층(10) 표면에 바인더 수지(13)에 의해 고정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바인더 수지(13)에 대한 산화티탄 입자(11)의 질량 백분율은, 예를 들어, 190질량%∼250질량% 정도이다. 또한, 광확산층(15)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예를 들어, 6.0g/㎡∼7.0g/㎡ 정도이다.
산화티탄 입자(11)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0.34㎛ 정도이다.
수지 비즈(12)는, 예를 들어, 평균 입경 8㎛ 정도의 아크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으로 구성된 유기 미립자이다.
바인더 수지(13)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미드 관능성 공중합체 수지, 우레탄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수지 요철층(16)은, 예를 들어, 두께 8㎛ 정도의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미드 관능성 공중합체 수지, 우레탄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수지 요철층(16)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 표면(16a)을 갖기 때문에, 도광판(25) 표면과의 밀착을 줄이거나 완전히 없애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지 요철 표면(16a)을 갖는 수지 요철층(16)을 예시하였으나, 수지 요철층(16)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층(15)과 마찬가지 구성의 요철 표면(17a)을 갖는 수지 요철층(17)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변형예의 확산시트(20a)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면 중 수지 기재층(10)의 상측 표면에 광확산층(15)이 배치되고, 도면 중 수지 기재층(10)의 하측 표면에 수지 요철층(17)이 배치된다. 여기서, 수지 요철층(17)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티탄 입자(11), 수지 비즈(12) 및 바인더 수지(13)를 함유하고, 산화티탄 입자(11) 및 수지 비즈(12)가 수지 기재층(10) 표면(이면)에 바인더 수지(13)에 의해 고정되어, 다른 광확산층을 구성한다. 이에 따르면, 수지 요철층(17)의 바인더 수지(13) 내에 산화티탄 입자(11) 및 수지 비즈(12)가 함유됨으로써, 도광판(25)의 표면과의 밀착을 줄이거나 완전히 없앨 수 있음과 함께, 확산시트(20a)의 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변형예에서는, 바인더 수지(13) 내에 산화티탄 입자(11) 및 수지 비즈(12)가 함유된 구성의 수지 요철층(17)을 예시하였으나, 수지 요철층(17)은, 수지 비즈(12)를 생략한 구성이어도 된다.
제 1 프리즘 시트(31) 및 제 2 프리즘 시트(32)는, 각각, 예를 들어, 횡단면이 이등변삼각형의 복수 홈조가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인접하는 한 쌍의 홈조로 이루어진 프리즘의 꼭지각이 90° 정도로 형성된 아크릴 수지제 등의 필름이다. 여기서, 제 1 프리즘 시트(31)에 형성된 각 홈조와, 제 2 프리즘 시트(32)에 형성된 각 홈조는,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독립 형성된 제 1 프리즘 시트(31) 및 제 2 프리즘 시트(32)가 적층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제 1 프리즘 시트(31) 및 제 2 프리즘 시트(32)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광판(25)은, 직사각형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명 수지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광판(25)의 반사시트(28)측 표면에는, 면 전체를 균일하게 발광시키기 위한 백색의 도트 패턴(P)(도 10(b) 참조)이 인쇄된다.
복수의 LED(26)는, 도광판(25)의 한쪽 단변의 측면을 따라 1열로 나란히 배치된다.
반사시트(28)는, 예를 들어, 백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 필름, 은증착 필름 등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액정 표시 장치(50)에서는, 각 화소전극에 대응하는 각 서브화소에 있어서, 액정층(3)에 소정 크기의 전압을 인가시켜 액정층(3)의 배향 상태를 바꿈으로써, 백라이트 유닛(40)으로부터 제 1 편광판(6)을 개재하여 입사되는 광의 투과율을 조정한 후에, 그 조정된 광이 제 2 편광판(7)을 개재하여 출사됨으로써 화상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으로 실시한 실험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은, 확산시트(20)의 실험예 1∼8 및 9∼18의 내용을 나타내는 표이다. 또한, 도 7은, 확산시트(20)의 은폐성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먼저, 평균 입경 0.26㎛의 산화티탄, 평균 입경 0.34㎛의 산화티탄, 평균 입경 1.0㎛의 산화티탄, 평균 입경 8㎛의 아크릴 수지제의 수지 비즈, 열경화형 바인더 수지(아크릴 수지), 및 메틸에틸케톤,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도 5 및 도 6의 표에 나타내는 함유량이 되도록, 실험예 1∼18의 코팅 재료(고형분: 40질량%∼50질량% 정도)를 제조하였다. 그 후, 두께 38㎛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표면에 상기 제조한 각 코팅 재료를 도포 건조함으로써, 수지 기재층(10)의 한쪽 표면에 두께 8㎛의 각 실험예의 광확산층(15)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각 실험예의 광확산층(15)이 형성된 수지 기재층(10)의 다른 쪽 표면에, 미경화 상태의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도포한 후, 그 도포막을, 요철 형상이 둘레면에 형성된 가압롤로 프레스하면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미경화 상태의 아크릴 수지를 경화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수지 기재층(10)의 다른 쪽 표면에 두께 8㎛의 수지 요철층(16)을 형성함으로써, 실험예 1∼18의 확산시트(20)를 제작하였다.
추가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작한 실험예 1∼18의 각 확산시트(20)를 시판의 컷팅매트(C)(녹색 베이스에 흰 실선 및 파선이 인쇄된 것) 상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컷팅매트(C) 표면에 인쇄된 흰 선이 잘 안 보이는지를 평가하였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의 표에서는, 은폐성이 비교적 낮은 실험예 16의 확산시트(20)에서 흰 선이 잘 안 보이는 정도를 “X”로 평가하고, 이보다도 더 흰 선이 잘 안 보이는 확산시트(20)를 “○”로 평가하였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a)는 실험예 5에 따른 확산시트(20)이고, (b)는 실험예 16에 따른 확산시트(20)이다.
또, 상기 제작한 실험예 1∼18의 각 확산시트(20)를, 상술한 백라이트 유닛(40)의 확산시트(20)로서 넣어 배치하고, 백라이트 유닛(40)을 8000cd/㎡∼9000cd/㎡의 휘도로 점등한 상태에서 프리즘 시트(32) 표면의 색도를 휘도계(Topcon Technohouse Corporation제 BM-7)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도 5 및 도 6 표의 △y는, 황색도가 비교적 적은 실험예 16에 따른 색도와의 차를 나타낸다. 여기서, 이 △y 값이 0.0020 이하라면, 황색도는 문제가 없다고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로서, 산화티탄의 첨가량(산화티탄 입자의 질량 백분율)을 210질량%로 고정시킨 실험예 1∼8에서는, 도 5의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팅량(광확산층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6.0g/㎡ 이상이면, 은폐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코팅량이 7.0g/㎡을 초과하면 황색도가 강해져, 문제가 있는 정도가 되었다.
또한, 코팅량을 6.5g/㎡로 고정시킨 실험예 9∼15에서는, 도 6의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티탄의 첨가량이 190질량% 이상이면, 은폐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나, 산화티탄의 첨가량이 250질량%를 초과하면 황색도가 강해져, 문제가 있는 정도가 되었다.
또, 입경이 작은 산화티탄을 사용한 실험예 16 및 17에서는, 산화티탄의 첨가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은폐성을 확보할 수는 있었으나, 황색도가 강해져, 문제가 있는 정도가 되었다.
또한, 입경이 큰 산화티탄을 사용한 실험예 18에서는, 은폐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따라서, 실험예 4∼6 및 11∼13과 같이, 코팅량이 6.0g/㎡∼7.0g/㎡의 범위이고, 산화티탄의 첨가량이 190질량%∼250질량%의 범위라면, 은폐성과 황색도가 양립될 수 있어, 황색도를 억제하며 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코팅량이 6.0g/㎡ 미만이면 은폐성을 확보할 수 없고, 코팅량이 7.0g/㎡를 초과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황색도가 지나치게 강해짐을 알았다. 또, 산화티탄 입자의 질량 백분율이 190질량% 미만이면 은폐성을 확보할 수 없고, 산화티탄 입자의 질량 백분율이 250질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황색도가 지나치게 강해짐을 알았다.
다음으로, 상술한 실험예 5 및 실험예 16의 외관에 대하여 실제 장치로 평가하였다. 여기서, 도 8은 확산시트(20)의 휘점(B)의 은폐성을 나타내는 사진으로, 8(a)는 실험예 5에 따른 것이며, 8(b)는 실험예 16에 따른 것이다. 또한, 도 9는 확산시트(20)의 LED(26)에 의한 핫스폿(S)의 은폐성을 나타내는 사진으로, 9(a)는 실험예 5에 따른 것이며, 9(b)는 실험예 16에 따른 것이다. 또, 도 10은 확산시트(20)의 도트 패턴(P)의 은폐성을 나타내는 사진으로, 10(a)는 실험예 5에 따른 것이며, 10(b)는 실험예 16에 따른 것이다.
먼저, 상술한 백라이트 유닛(40)을 구성하는 도광판(25)의 확산시트(20)측 표면에, 침 등의 끝이 뾰족한 금속봉으로 직경 100㎛∼300㎛ 정도의 흠을 내고, 그 위에 실험예 5 또는 16에 따른 확산시트(20)를 넣어 배치하고, 백라이트 유닛(40)을 8000cd/㎡∼9000cd/㎡의 휘도로 점등한 상태에서, 프리즘 시트(32) 표면의 휘점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로, 실험예 16에 따른 확산시트(20)에서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휘점(B)이 확실히 확인되었으나, 실험예 5에 따른 확산시트(20)에서는,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휘점(B)이 잘 보이지 않게 됨을 알았다.
다음으로, 실험예 5 또는 16의 확산시트(20)를 상술한 백라이트 유닛(40)의 확산시트(20)로서 넣어 배치하고, 백라이트 유닛(40)을 8000cd/㎡∼9000cd/㎡의 휘도로 점등한 상태에서 LED 부근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로, 실험예 16에 따른 확산시트(20)에서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ED(26)의 배열에 의한 핫스폿(S)이 확실히 확인되었으나, 실험예 5에 따른 확산시트(20)에서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핫스폿(S)이 잘 보이지 않게 됨을 알았다.
다음으로, 실험예 5 또는 16의 확산시트(20)를 상술한 백라이트 유닛(40)의 확산시트(20)로서 넣어 배치하고, 백라이트 유닛(40)을 8000cd/㎡∼9000cd/㎡의 휘도로 점등한 상태에서 프리즘 시트(32) 표면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로, 실험예 16에 따른 확산시트(20)에서는,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판(25)에 인쇄된 도트 패턴(P)이 확실히 확인되었으나, 실험예 5에 따른 확산시트(20)에서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트 패턴(P)이 잘 보이지 않게 됨을 알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확산시트(20), 백라이트 유닛(40) 및 액정 표시 장치(50)에 의하면, 바인더 수지(13)에 대한 산화티탄 입자(11)의 질량 백분율이 190질량%∼250질량%이고, 광확산층(15)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6.0g/㎡∼7.0g/㎡이므로, 확산시트(20)에서, 황색도를 억제하며 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확산시트(20), 백라이트 유닛(40) 및 액정 표시 장치(50)에 의하면, 수지 기재층(10) 표면에 요철 표면(16a)을 갖는 수지 요철층(16)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확산시트(20)와 도광판(25)과의 밀착을 줄이거나 완전히 없앨 수 있어, 이 밀착으로 인한 백라이트 유닛(40)의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확산시트(20), 백라이트 유닛(40) 및 액정 표시 장치(50)에 의하면, 확산시트(20)의 은폐성이 향상되었으므로, 도광판(25) 표면에 형성된 흠이나 부착된 이물질에 기인하는 휘점(B)을 잘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확산시트(20), 백라이트 유닛(40) 및 액정 표시 장치(50)에 의하면, 확산시트(20)의 은폐성이 향상되었으므로, 도광판(25) 표면에 인쇄된 도트 패턴(P)을 잘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확산시트(20), 백라이트 유닛(40) 및 액정 표시 장치(50)에 의하면, 확산시트(20)의 은폐성이 향상되었으므로, 도광판(25) 측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LED(26)의 배열에 의한 핫스폿(S)을 잘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확산시트(20a)에 의하면, 수지 요철층(17)이 산화티탄 입자(11), 수지 비즈(12) 및 바인더 수지(13)를 함유하는 다른 광확산층이므로, 확산시트(20a)의 은폐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산시트(20a)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40)에서는, 도광판(25) 표면에 형성된 흠이나 부착된 이물질에 기인하는 휘점(B), 도광판(25) 표면에 인쇄된 도트 패턴(P), 및 도광판(25) 측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LED(26)의 배열에 의한 핫스폿(S)을 한층 더 잘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에지라이트 광원으로서 복수의 LED가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에지라이트 광원으로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등이 배치된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황색도를 억제하며 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확산시트에 대해 유용하다.
5 : 액정 표시 패널
10 : 수지 기재층
11 : 산화티탄 입자
12 : 수지 비즈
13 : 바인더 수지
15 : 광확산층
16 : 수지 요철층
16a, 17a : 요철 표면
17 : 수지 요철층(다른 광확산층)
20, 20a : 확산시트
25 : 도광판
26 : LED(점광원)
31 : 제 1 프리즘 시트
32 : 제 2 프리즘 시트
40 : 백라이트 유닛
50 : 액정 표시 장치

Claims (6)

  1.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기재층과,
    상기 수지 기재층의 한쪽 표면에 배치되며, 산화티탄 입자, 수지 비즈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광확산층을 구비한 확산시트로서,
    상기 바인더 수지에 대한 상기 산화티탄 입자의 질량 백분율은, 190질량%∼250질량%이고,
    상기 광확산층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6.0g/㎡∼7.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 기재층의 다른 쪽 표면에는, 요철 표면을 갖는 수지 요철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지 요철층은, 산화티탄 입자, 수지 비즈 및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다른 광확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시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확산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한쪽 표면측에 배치된 프리즘 시트와,
    상기 확산시트의 다른 쪽 표면측에 배치된 직사각형판 형상의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한 측면을 따라 배치된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의 점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청구항 4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기 프리즘 시트측에 배치된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90004146A 2018-01-15 2019-01-11 확산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095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4412 2018-01-15
JP2018004412A JP2019124786A (ja) 2018-01-15 2018-01-15 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314A KR20190087314A (ko) 2019-07-24
KR102095595B1 true KR102095595B1 (ko) 2020-03-31

Family

ID=6721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146A KR102095595B1 (ko) 2018-01-15 2019-01-11 확산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9721B2 (ko)
JP (1) JP2019124786A (ko)
KR (1) KR102095595B1 (ko)
CN (1) CN110058336A (ko)
TW (1) TW2019329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1767A (ja) * 2019-07-25 2021-02-18 恵和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
JP7446766B2 (ja) 2019-10-24 2024-03-1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および光拡散フィルムを備える偏光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8233A (ja) 2004-05-31 2006-01-19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フイルム、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829672B1 (ko) 2007-01-26 200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산 시트, 그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액정 표시장치
JP2010032698A (ja) 2008-07-28 2010-02-12 Fujifilm Corp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硬化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素子
JP2015022030A (ja) 2013-07-16 2015-02-0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散乱層用樹脂組成物、光散乱層、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JP2016133579A (ja) 2015-01-19 2016-07-2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散乱層用樹脂組成物、光散乱層、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JP2017214486A (ja) 2016-05-31 2017-12-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波長変換組成物、光波長変換粒子、光波長変換部材、光波長変換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030B1 (ko) * 2002-08-12 2005-07-18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2005107553A (ja) * 2005-01-06 2005-04-21 Minoru Yoshid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70063116A (ko) * 2005-12-14 2007-06-1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투사형 스크린
JP2007272208A (ja) * 2006-03-06 2007-10-18 Nippon Shokubai Co Ltd 光拡散シートおよび光拡散板、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217363B2 (ja) * 2007-11-06 2013-06-19 凸版印刷株式会社 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TWI408405B (zh) 2009-10-27 2013-09-11 Eternal Chemical Co Ltd 光學膜複合物
FR2959064B1 (fr) * 2010-04-20 2013-01-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ouche de diffusion d'un dispositif electrochimiqu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telle couche de diffusion
KR20110136645A (ko) * 2010-06-15 2011-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N102081177B (zh) * 2010-12-03 2012-07-04 中国乐凯胶片集团公司 一种光学扩散膜及使用该光学扩散膜的液晶显示背光源
JP2012226290A (ja) 2011-04-08 2012-11-15 Asahi Kasei Corp 拡散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362112B1 (ko) * 2011-04-12 2014-02-12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확산 시트, 광학 유닛,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CN102436019A (zh) * 2011-10-29 2012-05-02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光学上扩散膜及使用该光学上扩散膜的液晶显示背光源
JP2015159066A (ja) * 2014-02-25 2015-09-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用光拡散シート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JP6331681B2 (ja) * 2014-05-16 2018-05-30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散乱層用樹脂組成物、光散乱層、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CN106461820B (zh) * 2014-06-10 2020-01-07 木本股份有限公司 光扩散性片及包含该片材的背光装置
KR102026005B1 (ko) * 2015-04-08 2019-09-26 주식회사 쿠라레 복합 확산판
CN104880747B (zh) * 2015-06-10 2017-05-03 宁波江北激智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替代扩散板的多功能复合光学膜及其制作方法、及一种显示屏
US20190004237A1 (en) * 2015-08-12 2019-01-03 Dai Nippon Printing Co., Ltd Optical shee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device
JP6647761B2 (ja) * 2015-12-07 2020-02-14 恵和株式会社 上用光拡散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205880263U (zh) * 2016-07-22 2017-01-11 常州市联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微结构光扩散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8233A (ja) 2004-05-31 2006-01-19 Fuji Photo Film Co Ltd 光学フイルム、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829672B1 (ko) 2007-01-26 200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산 시트, 그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액정 표시장치
JP2010032698A (ja) 2008-07-28 2010-02-12 Fujifilm Corp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硬化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素子
JP2015022030A (ja) 2013-07-16 2015-02-0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散乱層用樹脂組成物、光散乱層、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JP2016133579A (ja) 2015-01-19 2016-07-25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散乱層用樹脂組成物、光散乱層、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JP2017214486A (ja) 2016-05-31 2017-12-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波長変換組成物、光波長変換粒子、光波長変換部材、光波長変換シート、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9744A1 (en) 2019-07-18
JP2019124786A (ja) 2019-07-25
TW201932942A (zh) 2019-08-16
US10539721B2 (en) 2020-01-21
CN110058336A (zh) 2019-07-26
KR20190087314A (ko) 2019-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241B1 (ko) 시인성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I402576B (zh) 背光單元及具有該背光單元之液晶顯示模組
KR100784551B1 (ko) 백라이트 장치에 사용되는 프리즘시트
KR101871552B1 (ko) 디스플레이 시인성 개선용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60081784A (ko)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7199714A (ja) 偏光板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102095595B1 (ko) 확산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740194B1 (ko) 표시 패널 유닛 및 표시 장치
KR101243818B1 (ko)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080370A (ko) 편광판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2019124786A5 (ko)
KR102084394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190129240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8598772B2 (en) Fla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640715B1 (ko)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087187B1 (ko) 광학부재
CN106526970B (zh) 液晶显示设备
KR102513845B1 (ko) 광학 필름 및 액정 디스플레이
KR101718864B1 (ko) 눈부심방지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장치
CN109212817A (zh) 广视角显示装置
KR101366962B1 (ko) 복굴절성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휘도 증강용 광학필름 복합체
KR20130070042A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한 백라이트 유닛
KR102089405B1 (ko) 액정 디스플레이
KR20130035118A (ko) 휘도를 향상시키는 확산시트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JP5219907B2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