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030B1 -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030B1
KR100502030B1 KR10-2002-0047429A KR20020047429A KR100502030B1 KR 100502030 B1 KR100502030 B1 KR 100502030B1 KR 20020047429 A KR20020047429 A KR 20020047429A KR 100502030 B1 KR100502030 B1 KR 100502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sheet
reflective sheet
white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770A (ko
Inventor
나카노쇼지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2-0047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0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4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2Function characteristic 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반사성 및 은폐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반사시트 및 이러한 반사시트를 이용하여 광선의 로스의 저감에 의한 휘도의 향상 및 휘도얼룩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백라이트 유닛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고, 이면측으로의 광선의 방산을 저감하는 반사시트로서, 백색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시트층과, 이 기재 시트층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고은폐층을 구비하고 있고, 이 고은폐층의 명도 (L*)가 9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이다. 또, 이 반사시트를 도광판의 이면측에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용의 백라이트 유닛이다.

Description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REFLECTION SHEET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선의 방산을 저감하는 백라이트 유닛용의 반사시트, 및 이 반사시트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층을 배면으로부터 비추어서 발광시키는 백라이트방식이 보급되고, 액정층의 하면측에 에지라이트형, 직하형 등의 백라이트 유닛이 장비되어 있다. 이러한 에지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20)은, 일반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으로서의 봉상의 램프(21)와, 이 램프(21)에 단부가 따르도록 배치되는 사각형 판상의 도광판(23)과, 이 도광판(23)의 표면측에 적층된 복수매의 광학시트(22)와, 도광판(23)의 이면측에 적층된 반사시트(26)를 장비하고 있다. 이 광학시트(22)는, 각각, 굴절, 확산 등의 특정의 광학적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광판(23)의 표면측에 배열설치되는 광확산시트(24), 광확산시트(24)의 표면측에 배열설치되는 프리즘시트(25)등이 해당된다.
이 백라이트 유닛(20)의 기능을 설명하면, 우선, 램프(21)로부터 도광판(23)에 입사한 광선은, 도광판(23) 이면의 반사도트(도시생략) 및 각 측면에서 반사되어, 도광판(23) 표면으로부터 출사된다. 도광판(23)에서 출사된 광선은 광확산시트(24)에 입사하고, 확산되어, 광확산시트(24) 표면으로부터 출사된다. 그 후, 광확산시트(24)로부터 출사된 광선은, 프리즘시트(25)에 입사하고, 프리즘시트(25)의 표면에 형성된 프리즘부(25a)에 의해서, 대략 법선방향으로 피크를 나타내는 분포의 광선으로서 출사된다. 이와 같이, 램프(21)로부터 출사된 광선이, 광확산시트(24)에 의해서 확산되고, 또 프리즘시트(25)에 의해서 대략 법선방향으로 피크를 나타내도록 굴절되고, 다시 상방의 도시하지않은 액정층 전체면을 조명하는 것이다.
한편, 액정화면이 번쩍이지않을 정도로 도광판(23) 이면으로부터 방산되는 광선을 표면측에 반사시켜서 휘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반사성), 백라이트 유닛(20)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장치, 프레임 등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폐성)을 목적으로 하여, 도광판(23)의 이면측에는 반사시트(26)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시트(26)로서는, 종래, (a)합성수지제의 시트 중에 산화티탄 등의 백색안료가 분산된 것, (b)합성수지제의 시트중에 광을 산란시키기 위한 보이드(기포)가 분산된 것, (c)시트표면이 매트상으로 형성된 것 등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반사시트(26)에 있어서는, 은폐성이 그다지 높지않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20)을 지지하는 프레임 등의 부분에서 반사율이 높아지고, 휘도얼룩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위해서, 휘도얼룩의 원인인 상기 프레임 등의 부분에 반사율을 저감하는 인쇄를 실시하거나, 반사시트(26)의 이면에 은폐성을 향상시키기위한 인쇄를 실시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인쇄인 만큼 제조공정이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반사성 및 은폐성이 높은 반사시트 및 이러한 반사시트를 이용하여 광선의 로스의 저감에 의한 휘도의 향상 및 휘도얼룩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위해서 이루어진 발명은, 광선의 방산을 저감하는 백라이트 유닛용의 반사시트로서, 백색 합성수지제의 기재 시트층과, 이 기재 시트층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고은폐층을 구비하고 있고, 이 고은폐층의 명도(L*)가 9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백색 합성수지」란, 백색안료의 배합이나 미소기포의 분산 등에 의해서 백색을 띠는 합성수지를 의미한다. 또, 「명도 L* 」이란, JIS-Z8729에서 규정되는 수치이다.
당해 반사시트에 의하면, 백색 합성수지제의 기재 시트층에 의해서 종래의 반사시트와 동일한 반사성 및 은폐성을 이룰 수가 있고, 또한, 기재 시트층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95이상의 명도(L*)의 고은폐층에 의해서 반사성 및 은폐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당해 반사시트의 고은폐층은, 백색안료를 함유하는 도료를 도공함으로써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이 백색안료를 함유하는 도료를 도공함으로써, 백색안료가 고밀도로 충전된 95이상의 명도(L*)의 고은폐층이 기재 시트층의 이면측에 적층되고, 이러한 고은폐층에 의해서 상기 반사성 및 은폐성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가 있다.
상기 도료의 고형분에 대한 백색안료의 배합량으로서는 70질량%이상 95질량%이하가 바람직하다. 백색안료의 배합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고은폐층의 명도(L*)를 95이상으로 높일 수가 있어, 상기 반사성 및 은폐성의 향상을 촉진시킬 수가 있다.
상기 도료의 도공량으로서는, 고형분 환산으로, 1g/㎡이상 50g/㎡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도료의 도공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고은폐층의 명도(L*)를 95이상으로 높일 수가 있어, 상기 반사성 및 은폐성의 향상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가 있다.
상기 백색안료로서는 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산화티탄은 상기 은폐성 향상작용이 가장 우수하고, 내구성, 내후성 등의 향상작용도 높으므로 당해 반사시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다.
또, 당해 반사시트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층의 표면측에 광확산층을 적층하면 좋다. 이 수단에 의하면, 기재 시트층의 표면측에 적층된 광확산층의 광확산작용에 의해서 당해 반사시트에서 반사되는 광선이 확산되어, 상기 은폐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이 광확산층으로서는, 바인더와, 이 바인더 중에 분산되는 광확산제를 가지는 것이 적합하다. 이 수단에 의하면, 바인더 중에 분산되는 광확산제에 의해 높은 광확산성을 이루기때문에, 상기 반사성 및 은폐성을 높이는 작용이 크다.
또, 광확산층으로서는, 기재 폴리머와, 이 기재 폴리머 중에 분산되는 기포를 가지는 것도 적합하다. 이 수단에 의하면, 기재 폴리머 중에 분산되는 기포의 계면에서의 반사, 굴절에 의해 높은 광확산성을 이루기때문에, 상기 반사성 및 은폐성을 높일 수가 있다.
상기 광확산제로서 연질 우레탄비즈를 이용할 수가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당해 반사시트의 표면에 배열설치되고, 돌출하는 연질 우레탄 비드가 도광판의 이면에 맞닿기 때문에, 도광판의 이면, 특히 당해 이면에 형성되는 요철 등에 대한 손상을 저감할 수가 있다.
따라서, (a) 선상의 램프와, (b) 이 램프를 따르도록 배열설치되고,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광선을 표면측으로 유도하는 도광판과, (c) 이 도광판의 표면측에 배열설치되고, 상기 도광판에서 출사된 광선을 대략 균일하게 확산하고 또한 법선방향쪽으로 굴절시키는 광학시트와, (d) 상기 도광판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상기 본 발명의 반사시트를 장비하는 액정표시장치용의 백라이트 유닛은, 당해 반사시트가 높은 반사성 및 은폐성을 이루기때문에, 이면측으로부터 방산되는 광선로스가 저감되어, 휘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과 같이 프레임 등에 대한 인쇄를 실시하지않아도, 휘도얼룩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설명]
이하, 적절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반사시트(1)는, 기재 시트층(2)과, 이 기재 시트층(2)의 이면에 적층되는 고은폐층(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재 시트층(2)은, 백색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백색합성수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백색안료나 미소기포를 분산함유하는 합성수지이다. 이 기재 시트층(2)에 사용가능한 합성수지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내후성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함유하는 백색안료로서는, 종래의 반사시트와 동일하고,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고은폐층(3)에 이용하는 백색안료가 사용된다. 또, 분산함유되는 기포에 관해서도, 종래의 반사시트와 동일하다.
이 기재 시트층(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이상 250㎛이하가 된다. 기재 시트층(2)의 두께가 상기 범위미만이면, 고은폐층(3)을 형성하는 수지조성물을 도공했을 때에 컬이 발생되기 쉬워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기재 시트층(2)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가 커져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의 요구에 반하게 된다.
고은폐층(3)은, 상기 은폐성을 이룰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재 시트층(2)의 이면에 백색안료(4)를 함유하는 도료(5)를 도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이 고은폐층(3)에 사용되는 도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것이 사용된다.
고은폐층(3)의 명도(L*)(즉, 당해 반사시트(1)의 이면의 명도(L*))는, 95이상이 되고, 97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은폐층(3)의 명도(L*)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의 품질의 저하(번쩍임 등)를 초래하지않고, 상기 반사성 및 은폐성이 높아진다.
이 백색안료(4)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산화티탄(티탄백), 산화아연(아연화), 탄산납(연백), 황산바륨, 탄산칼슘(백악)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은폐성 향상효과가 큰 산화티탄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료(5)의 고형분에 대한 백색안료(4)의 배합량의 하한으로서는, 70질량%가 바람직하고, 8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합량의 상한으로서는, 95질량%가 바람직하고, 90질량%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백색안료(4)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고은폐층(3)에 의한 상기 반사성 및 은폐성의 향상 효과가 작아지고, 반대로, 백색안료(4)의 배합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도료(5)의 도공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도료(5)의 도공량(고형분 환산)의 하한으로서는, 1g/㎡, 특히 5g/㎡, 또한 10g/㎡ 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공량(고형분 환산)의 상한으로서는 50g/㎡, 특히 45g/㎡, 더욱이 40g/㎡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료(5)의 도공량이 상기 하한보다 작으면, 고은폐층(3)에 의한 상기 반사성 및 은폐성의 향상 효과가 작아지고, 반대로, 도료(5)의 도공량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고은폐층(3)의 두께가 증대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박형화의 요청에 반하기 때문이고 또한, 고은폐층(3)의 강도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백색안료(4)의 입경(평균입자직경)은, 100nm이상 30㎛이하가 바람직하고, 200nm이상 20㎛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백색안료(4)의 입경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은폐성을 효과적으로 이루는 것이 곤란해지고, 반대로, 백색안료(4)의 입경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도료(5)중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곤란해지고, 또 당해 반사시트(1)의 이면이 거칠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당해 반사시트(1)의 제조방법으로서는, 기본적으로는, 백색안료(4)를 배합함으로써 도료(5)를 조정하는 공정과, 이 도료(5)를 기재 시트층(2)의 이면에 도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당해 반사시트(1)에 의하면, 백색합성 수지제의 기재 시트층(2)에 의해서 종래의 반사시트와 동일한 반사성과 은폐성을 이룰 수가 있고, 또한 기재 시트층(2)의 이면의 고은폐층(3)에 의해서 반사성 및 은폐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당해 반사시트(1)는, 고은폐층(3)을 기재 시트층(2)의 이면측에 구비하기때문에, 고은폐층(3)에서 표면측으로 반사된 광선은 백색안료 등을 포함하는 기재 시트층(2)을 투과하므로, 이러한 기재 시트층(2)에 의해서 반사광이 분산, 차폐되고, 반사성을 높이는 것에 기인하는 액정화면의 번쩍임이 방지되고, 또한, 은폐성이 향상한다.
도 2의 반사시트(11)는, 상기 도 1의 반사시트(1)와 마찬가지로, 기재 시트층(2)과, 이 기재 시트층(2)의 이면에 적층되는 고은폐층(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재 시트층(2) 및 고은폐층(3)에 관해서는, 동일번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당해 반사시트(11)는, 또한 기재 시트층(2)의 표면에 적층되는 광확산층(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광확산층(12)은, 광확산성을 이루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않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인더(13)와, 이 바인더(13) 중에 분산되는 광확산제(14)를 가지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바인더(13) 중에 분산되는 광확산제(14)에 의해 높은 광확산성을 이루기때문에, 표면측으로 출사하는 광선(예를 들면, 고은폐층(3)에서 표면측에 반사된 광선 등)이 확산되고, 그 결과, 은폐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또, 광확산제(14)에 의해서 광확산층(12)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기때문에, 반사성이 향상하고, 이 반사성의 향상에 기인하여 은폐성도 높아진다.
바인더(13)에 이용되는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플루오르계수지, 실리콘계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에폭시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바인더(13) 중에는, 상기의 폴리머 외에, 예를 들면 가소제, 안정화제, 열화방지제, 분산제, 대전방지제 등이 배합되어도 좋다. 이 바인더(13)는, 일반적으로는 투명하게 되어 있는데, 기재 시트층(2)과 마찬가지로 반사성 및 은폐성을 부여하도록, 백색안료나 기포를 분산시켜도 좋다.
광확산제(14)는, 광선을 확산시키는 성질을 가지는 입자로, 무기필러와 유기필러로 대별된다. 무기필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실리카,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황화바륨,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가 있다. 유기필러의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아크릴,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우레탄,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광확산제(1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구상(球狀), 입방체형상, 침상, 봉상, 방추형상, 판상, 인편상, 섬유상 등을 들 수 있고, 광확산성을 고려하면 구상의 비드가 바람직하다.
광확산제(14)의 입경(평균입경)의 하한으로서는, 0.1㎛가 바람직하고, 1㎛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광확산제(14)의 입경의 상한으로서는, 100㎛가 바람직하고, 50㎛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광확산제(14)의 입경이 상기 하한미만이면, 광확산효과에 의한 은폐성의 촉진이 불충분하게 되어 버리고, 반대로,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수지조성물의 도공 등에 의한 광확산층(12)의 형성이 곤란해져버리기 때문이다.
또, 광확산제(14)로서는 유리전이 온도가 낮고 연질인 것, 구체적으로는 유리전이온도가 -100℃이상 30℃이하, 바람직하게는 -60℃이상 25℃이하의 연질 엘라스토머재료를 이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당해 반사시트(11)의 표면에 돌출하는 광확산제(14)에 연질 엘라스토머재료를 이용하면, 당해 반사시트(11)의 표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도광판에 대한 손상을 저감할 수가 있다. 이러한 연질 엘라스토머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실리콘고무, 폴리스티렌,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내용제성, 내열성 등에서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도면과 상기 형상면에서 연질 우레탄 비드가 가장 바람직하다.
바인더(13)의 폴리머 성분 100부에 대한 광확산제(14)의 배합량의 하한으로서는, 0. 1부가 바람직하고, 5부가 특히 바람직하고, 10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확산제(14)의 배합량의 상한으로서는, 300부가 바람직하고, 200부가 특히 바람직하고, 100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로 표시하는 수치는 질량을 기준으로 하는 비를 의미한다. 이것은, 광확산제(14)의 배합량이 상기 하한미만이면, 광확산효과에 의한 은폐성의 촉진이 불충분하게 되어 버리고, 반대로,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수지조성물의 도공 등에 의한 광확산층(12)의 형성이 곤란해져 버리기때문이다.
당해 반사시트(11)의 제조방법으로서는, 기본적으로는, 백색안료(4)를 배합함으로써 도료(5)를 조정하는 공정과, 이 도료(5)를 기재 시트층(2)의 이면에 도공하는 공정과, 이 기재 시트층(2)의 표면에 바인더(13) 중에 광확산제(14)를 혼합한 것을 도공하여, 건조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당해 반사시트(11)에 의하면, 상기 반사시트(1)와 마찬가지로, 백색 합성수지제의 기재 시트층(2)에 의해 종래의 반사시트와 동일한 반사성과 은폐성을 이루고, 또한 기재 시트층(2)의 이면의 고은폐층(3)에 의해서 반사성 및 은폐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당해 반사시트(11)는, 광확산층(12)을 기재 시트층(2)의 표면측에 구비하기때문에, 고은폐층(3)의 반사 등에 의해서 표면측으로 출사되는 광선을 확산하여, 은폐성을 촉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당해 반사시트(11)는, 광확산제(14)가 포함되는 광확산층(12)에 의해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기때문에, 이 점에서도 표면측으로의 반사성, 나아가서는 은폐성을 높일 수가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에지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20)에 있어서, 반사시트(26)로서 도 1의 반사시트(1) 또는 도 2의 반사시트(11)를 사용하면, 당해 반사시트(1,11)가 높은 반사성을 가지기때문에, 이면측으로부터 방산되는 광선로스가 저감되어, 휘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당해 반사시트(1,11)가 높은 은폐성을 가지기때문에,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프레임 등이 화면으로부터 확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휘도얼룩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시트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광확산층을 기재 폴리머 중에 기포가 분산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포의 계면에서의 반사, 굴절에 의해서 높은 광확산성을 이루고, 상기 반사성 및 은폐성을 높일 수가 있다. 또, 기포의 분산에 의해 광확산층이 연질화되기때문에, 표면측의 도광판에 대한 손상이 저감된다.
상기 기포가 분산하는 광확산층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않고 공지의 제법을 채용할 수가 있는데,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를 주폴리머로 하는 수지조성물 중에 발포제를 첨가, 혼련하고, 그 수지조성물을 기재 시트층의 표면에 도공한 후에 열경화시킴과 동시에 발포제를 발포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 효과적인 광확산성을 이루는 관점에서, 기포의 평균직경으로서는 0. 5㎛이상 100㎛이하가 바람직하고, 기재 폴리머에 대한 기포의 체적비로서는 1vol%이상 80vol%이하가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는데, 이 실시예의 기재에 의거하여 본 발명이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기재 시트층으로서 백색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시트(도오레(주)사제의 「루미라-E60L」)를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에 산화티탄 85질량%를 혼합하여 고은폐층용의 도료를 제조하고, 이 도료를 상기 기재 시트층의 이면에 40g/㎡(고형분 환산)의 도공량으로 도공함으로써 고은폐층을 적층하여, 이면(고은폐층)의 명도(L*)가 97.7인 실시예의 반사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상기 기재 시트층의 이면에 은폐층이 적층된 시판의 반사시트를 입수하여, 비교예 1의 반사시트로 하였다. 이 반사시트의 이면(은폐층)의 명도(L*)는 93.5이었다.
[비교예 2]
상기 기재 시트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예 2의 반사시트를 얻었다.
[특성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의 반사시트의 은폐층의 명도(L*)는, 스가시험기(주)의 상품명 「다광원 분광측색계(MSC-IS-2DH)」를 이용하여 측정한 수치의 10점 평균치이다. 상기 실시예의 반사시트와 비교예 1,2의 반사시트를 이용하여, 각 반사시트의 반사율과,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에 장전하여 정면휘도를 측정하였다. 이 반사율을 하기 표 1에, 정면휘도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반사시트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비교예 2의 반사시트와 비교하여 높은 반사율 및 정면휘도를 나타내었다. 또, 시판되고 있는 비교예 1의 반사시트와 비교하여 실시예의 반사시트의 반사율이 약 1% 향상하였다. 또한, 비교예 1의 반사시트를 장전한 백라이트 유닛과 비교하여 실시예의 반사시트를 장전한 백라이트 유닛의 평균휘도가 약 3% 향상하였다.
본 발명의 반사시트는 반사성 및 은폐성이 높고, 이 반사시트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광선의 로스의 저감에 의한 휘도의 향상 및 휘도 얼룩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반사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사시트와는 다른 형태의 반사시트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에지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Claims (10)

  1. 광선의 방산을 저감하는 백라이트 유닛용의 반사시트로서,
    백색 합성수지제의 기재 시트층과, 이 기재 시트층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고은폐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은폐층이 백색안료를 함유하는 도료를 도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백색안료의 입경이 100㎚이상 30㎛이하이고,
    상기 도료의 고형분에 대한 백색안료의 배합량이 70질량%이상 95질량%이하이고,
    상기 도료의 도공량이, 고형분 환산으로, 1g/㎡이상 50g/㎡이하이고,
    상기 고은폐층의 명도(L*)가 9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안료가 산화티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층의 표면측에 광확산층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이, 바인더와, 이 바인더 중에 분산되는 광확산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제로서 연질 우레탄비즈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이, 기재 폴리머와, 이 기재 폴리머 중에 분산되는 기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시트.
  10. 선상의 램프와,
    이 램프를 따르도록 배열설치되고,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광선을 표면측으로 유도하는 도광판과,
    이 도광판의 표면측에 배열설치되고,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선을 대략 균일하게 확산하고 또한 법선방향쪽으로 굴절시키는 광학시트와,
    상기 도광판의 이면측에 배열설치되는 반사시트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용의 백라이트 유닛으로서,
    상기 반사시트가, 백색합성 수지제의 기재 시트층과, 이 기재 시트층의 이면측에 적층되는 고은폐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은폐층이 백색안료를 함유하는 도료를 도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백색안료의 입경이 100㎚이상 30㎛이하이고,
    상기 도료의 고형분에 대한 백색안료의 배합량이 70질량%이상 95질량%이하이고,
    상기 도료의 도공량이, 고형분 환산으로, 1g/㎡이상 50g/㎡이하이고,
    상기 고은폐층의 명도(L*)가 95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의 백라이트 유닛.
KR10-2002-0047429A 2002-08-12 2002-08-12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502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429A KR100502030B1 (ko) 2002-08-12 2002-08-12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7429A KR100502030B1 (ko) 2002-08-12 2002-08-12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770A KR20040014770A (ko) 2004-02-18
KR100502030B1 true KR100502030B1 (ko) 2005-07-18

Family

ID=3732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429A KR100502030B1 (ko) 2002-08-12 2002-08-12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16B1 (ko) * 2007-12-30 2010-09-20 정다은 상패 조명용 광확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15B1 (ko) * 2007-12-12 2010-08-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일시트에 형성된 광확산층을 갖는 광확산시트 및 그제조방법
WO2010137891A2 (ko) * 2009-05-27 2010-12-02 신화인터텍 주식회사 반사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JP5480088B2 (ja) * 2010-09-27 2014-04-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反射基材の製造方法
JP2019124786A (ja) * 2018-01-15 2019-07-25 恵和株式会社 拡散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599A (ko) * 1998-02-11 1999-09-06 윤종용 엘씨디 장치의 백라이트
JP2000122056A (ja) * 1998-10-14 2000-04-28 Enplas Corp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10047842A (ko) * 1999-11-23 2001-06-15 김순택 디퓨징 기능을 갖는 엘씨디 반사층 베이스 코팅 조성물
KR20010058168A (ko) * 1999-12-24 2001-07-05 박종섭 백 라이트 유니트의 반사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599A (ko) * 1998-02-11 1999-09-06 윤종용 엘씨디 장치의 백라이트
JP2000122056A (ja) * 1998-10-14 2000-04-28 Enplas Corp サイドライト型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10047842A (ko) * 1999-11-23 2001-06-15 김순택 디퓨징 기능을 갖는 엘씨디 반사층 베이스 코팅 조성물
KR20010058168A (ko) * 1999-12-24 2001-07-05 박종섭 백 라이트 유니트의 반사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416B1 (ko) * 2007-12-30 2010-09-20 정다은 상패 조명용 광확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770A (ko) 200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5032B2 (ja)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712252B2 (ja)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10125949B2 (en) Lighting device
KR100523204B1 (ko)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2009518686A (ja) デイアンドナイトフィルム
JP2004317976A (ja) ライトガイド
KR100502030B1 (ko) 반사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2005539B1 (ko) 차량용 면조명
KR20150048354A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2006208582A (ja) 電飾看板用バックライ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飾看板
JP2004029648A (ja) 光拡散シート
JPH1138232A (ja) 平面発光パネル
CN1475814A (zh) 反射薄片以及使用该薄片的背光组件
CN114415426B (zh) 一种Mini LED模组及其显示设备
JP3549491B2 (j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180028682A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
KR102047847B1 (ko) 조명 장치
KR100813738B1 (ko) 내스크래치성과 광학특성이 우수한 광확산판 제조방법
JP2006100225A (ja) 面光源構造体
JP2001174609A (ja)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2461363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1123289B1 (ko) 고휘도 특성을 갖는 도광판
JP5057621B2 (ja)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2099413A (ja) 複合光制御板
JP4907808B2 (ja)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