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544B1 - 레이저 열전사 필름 - Google Patents

레이저 열전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544B1
KR102095544B1 KR1020180028068A KR20180028068A KR102095544B1 KR 102095544 B1 KR102095544 B1 KR 102095544B1 KR 1020180028068 A KR1020180028068 A KR 1020180028068A KR 20180028068 A KR20180028068 A KR 20180028068A KR 102095544 B1 KR102095544 B1 KR 10209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transfer
film
transfer film
laser thermal
photothermal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498A (ko
Inventor
이광회
박준우
이승철
고동한
엄상열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54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characterised by the light-to-heat convert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 heat or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 B41M5/465Infrared radiation-absorbing materials, e.g. dyes, metals, silicates, C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ith aromatically bound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필름, 광열변환층 및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레이저 전사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열변환층은 단일 코팅층으로 디임모늄 계열의 염료의 광흡수제를 포함하여, 레이저 전사용 필름의 가시광선에서 60% 이상의 광투과율을 보인다. 또한 점착층의 두께를 특정 범위로 하여 점착력을 조절함으로써, 레이저 조사 후 광열변환층이 팽창 및 점착층의 변형에 의해 전사체와의 접지면 감소로 점착력이 낮아져 전사 특성이 개선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전사체를 전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열전사 필름 {LASER INDUCED THERMAL TRANSFER FILM}
본 발명은 레이저 열전사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재필름 상에 디임모늄 계열 염료의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광열변환층 및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어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율이 높으며, 점착층이 적정 범위의 점착력을 갖도록 하여 전사특성이 향상된 레이저 열전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열전사 필름에 사용되는 광열변환용 광흡수제로는 카본블랙, 염료, 안료, 금속 재료 등이 사용된다. 이중, 염료는 레이저 열전사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레이저 파장의 범위인 780-1500㎚ 범위의 근적외선 영역에서 최대 흡광도(absorbance) 피크를 가지면서도, 700㎚ 이하의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흡광도를 보이는 재료를 폭넓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808㎚ 레이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미지 형성 방사선 흡수제 재료로서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 or 피그먼트 블루 27), 구리 프탈로시아닌(피그먼트 블루 15), 금속 다이티올렌 및 폴리메틴 염료, 시아닌 염료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650-1200nm 파장에서의 광열변환층의 최대 흡광도가 400-650nm의 파장에서의 광열변환층의 최대흡광도보다 크기가 3배 이상 더 큰 광열변환층에 적용될 수 있는 염료로서, 인돌리움염(indolium salts) 또는 벤조인돌리움염(benz[e]indolium salts)) 계열의 염료가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8024060982-pat00001
Figure 112018024060982-pat00002
<특허문헌 2, 벤조 인돌리움 염의 예들>
특허문헌 3에는 레이저 열전사용 광흡수제로서 프탈로시아닌 계열 화합물의 금속 착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Figure 112018024060982-pat00003
<특허문헌 3, 프탈로시아닌-금속 착화합물>
그러나, 상기 염료들을 사용하는 경우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충분치 않아 제조된 전사 필름의 품질검사나, 리시버 요소와의 정렬 등에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디임모늄 계열의 염료를 광흡수제로 사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을 향상시키고, 점착층의 점착 성능을 개선하여 전사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개발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3436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67725호 미국특허 제6,066,72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투과율이 높으며, 레이저 조사 후 전사체와 부착되는 점착층의 점착력 저하를 통해 전사체가 리시버 필름으로 전사 가능하도록 하는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 열전사 필름은 기재필름;
하기 화학식 1의 광흡수제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광열변환층;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광흡수제의 함량은 1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1 내지 30㎛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24060982-pat00004
상기 식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상 분지상의 알킬로서, R1 내지 R8이 치환된 경우 치환체는 시아노, 니트로, 카르복실, 설폰, 할로겐, 히드록실, C1-C8의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아실록시 또는 알킬아미노이고;
X는 다음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 음이온이다.
[화학식2]
Figure 112018024060982-pat00005
상기 식에서, x는 0 또는 1이고; y는 1, 2 또는 3이며; z는 6-y이고; R9-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불소이다.
상기 광열변환층의 두께는 0.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흡수제의 최대 흡수 파장은 780 내지 15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흡수제 및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5 내지 8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은 5 내지 500gf/i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에폭시,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설폰,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및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 열전사 필름은 광열변환층을 구성하는 광흡수제로 디임모늄 계열의 염료를 사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높으며, 필름 내부 이물 검사 및 리시버 필름과의 패턴 얼라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흡수제로 유기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수지 내 분산에 의해 야기되는 발생열의 편차를 줄일 수 있으며, 점착층의 점착력을 특정 범위로 조절하여 전사 특성이 개선된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이저 열전사 필름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레이저 조사 후 레이저 열전사 필름의 SEM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레이저 열전사 필름(10)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 열전사 필름(10)은 기재필름(11), 광열변환층(12) 및 점착층(13)의 순서로 적층된 것으로, 상기 광열변환층(12)은 단일 코팅층으로서 광흡수제를 포함한다.
기재필름(11)
기재필름(11)은 열전사 필름의 제조, 리시버 필름과의 합지 및 전사가 끝난 후에 리시버 필름으로부터 열전사 필름을 제거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에서 기능성을 갖는 다른 층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레이저 열전사 필름의 다른 층구성들인 광열변환층(12), 점착층(13) 및 상기 점착층 상에 부착되는 전사체 등을 지지하는 기판으로서 작용한다.
기재필름은(11)은 통상적으로 고분자 중합체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11)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고분자 중합체로서 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광투과성과 열안정성을 동시에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충분한 기계적 및 열적 안정성, 특정 파장의 빛에 대한 높은 투과율을 포함하는 충분한 광학 성질을 갖는 다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한 실시 형태에서는, 합성직쇄형 폴리에스테르가 지지층에 사용된다.
상기 기재필름(11) 두께는 10 내지 250㎛이며, 광열변환층과의 접착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프라이머 처리, 조도(거칠기)처리되거나, 열안정성을 위하여 연신 또는 열처리, 발수처리, 또는 빛의 투과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소량의 미립자 또는 충전재를 함유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이저 열전사 필름에 적용되는 기재필름에 관하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67725호, 제2007-0049003호, 제2004-0101053호 등에 개시된 기판들이 참조될 수 있다.
광열변환층(12)
광열변환층(12)은 레이저 열전사 필름(10)을 사용하여 리시버 필름으로 전사체를 전사하는 동안 광열변환층(12) 내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광흡수제에 의하여 광(레이저)을 흡수하여 이를 열로 전환함으로써 전사체가 리시버 필름으로 전사되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동력은 열 그 자체일 수도 있고, 또는 일부 층의 열팽창에 의한 물리적 힘일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광열변환층(12)의 광흡수제는 전자기 스펙트럼의 적외선, 가시광선 및/또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고, 흡수된 광을 열로 전환한다. 상기 광흡수제는 전사에 사용되는 파장 영역 또는 특이한 파장의 빛은 고도로 흡수하지만, 다른 파장 영역 또는 특이한 파장에 대해서는 훨씬 덜 흡수하는 것일 수 있다(투과 또는 반사시키는 것일 수 있다).
광열변환층(12)은 국지적인 열의 흡수가 전사에 유리하다는 측면에서 가능한 얇게 제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0.1 내지 20㎛의 두께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의 투명성 레이저 열전사 필름(10)의 광열변환층(12)에 적용되는 광흡수제로서 최대 흡수파장이 780 내지 1500㎚인 유기염료 또는 금속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파장 범위에서 최대 흡수파장을 갖는 유기염료로서,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임모늄염(diimmonium salts) 계열의 염료를 사용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24060982-pat00006
상기 식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상 분지상의 알킬로서, R1 내지 R8이 치환된 경우 치환체는 시아노, 니트로, 카르복실, 설폰, 할로겐, 히드록실,C1-C8의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아실록시 또는 알킬아미노이고;
X는 다음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 음이온이다.
[화학식2]
Figure 112018024060982-pat00007
상기 식에서, x는 0 또는 1이고; y는 1, 2 또는 3이며; z는 6-y이고; R9-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불소이다.
본 발명에서 기재필름(11)으로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이축연신된 PET 필름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약 90%이다. 상기 기재필름에 상기 화학식 1의 광흡수제를 사용하는 경우 전사성능을 유지하면서 60%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확보된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론적으로, 가시광선 투과율은 광열변환층에 사용되는 광흡수제의 농도에 반비례한다. 본 발명에서 광흡수제로 사용되는 디임모늄염 계열의 유기염료는 근적외선, 구체적으로 780 내지 1500㎚ 파장영역에서의 흡광도가 다른 유기염료에 비하여 우수한 반면,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흡광도는 낮아 근적외선에 의한 광열변환의 효율은 높으면서도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명성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술한 디임모늄염 계열의 염료는 유기용제에 용해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와 같은 용매에 대한 용해성은 광흡수제의 효과적인 분산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수지내 분산 문제로 분산 밀도에 따른 발생열의 편차에 의해 형광체에 전해지는 열량의 차이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분산성은 10㎛ 이하의 얇은 두께를 갖는 광열변환층의 두께편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광흡수제는 기재필름(11) 및 /또는 점착층(13)과의 접착성 조절을 위하여 바인더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바인더는 광흡수제와 양호한 상용성을 나타내고, 기재필름과의 부착력이 높아야 한다. 상기 바인더는 통상적으로 고분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예를 들어, 아크릴 계열의 수지(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라아크릴산 또는 이들과 폴리올레핀의 공중합체들로서, 이들은 -OH, -COOH와 같은 친수성 관능기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술폰화되거나 술폰화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알코올 계열의 수지(예를 들어, PVA, EVA 등), 폴리올레핀류, 불소계 수지(PTFE, PCTFE 등) 등이 있다.
상기 광흡수제와 바인더는 수성 또는 유성 코팅제로 제조되어 상기 기재필름(11) 상에 코팅되는 방법으로 적층된다. 광흡수제와 바인더로 구성되는 코팅 조성물의 고형물 함량은 5 내지 8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0 중량%의 범위이다. 상기 조성물의 고형물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목표로 하는 코팅층 두께 가공이 어렵고, 85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 수지의 점도가 높아 코팅 후 표면이 거칠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고형물 중 디임모늄염 계열의 염료의 함량은 1 내지 15 중량%이다. 염료의 함량이 1 중량%에 이르지 못하면 충분한 발열이 일어나지 않으며, 15 중량%를 넘어서면 염료의 용해도가 낮아져 바인더 수지 내 분산이 어렵다.
상기 코팅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가교제, 보습제,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점도 조절제 및 공용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점착층 (13)
점착층(13)은 전사체를 레이저 열전사 필름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은 리시버 필름의 점착력을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점착력이 리시버 필름의 점착력 보다 낮을 경우, 두 필름의 합지시 전사체가 리시버 필름측으로 옮겨가는 문제가 발생하며, 반대로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점착력이 리시버 필름보다 과도한 점착력을 보이는 경우에는 레이저 조사에 전사가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레이저 열전사 필름의 점착력은 5 내지 500gf/in가 적절하며, 리시버 필름의 점착력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절 할 수 있다.
점착층의 두께는 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점착력이 낮아 전사체 부착이 어려우며, 두께가 30㎛를 초과하면 레이저 조사 후 전사 특성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점착층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에폭시,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설폰,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및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이들간 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리시버 필름으로 전사되는 전사체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물질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유기, 무기, 유기금속 또는 중합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사체로서 선택적으로 패턴화될 수 있는 물질의 예는 착색제(결합제에 분산된 안료 및(또는) 염료 포함), 편광제, 액정 물질, 입자(액정디스플레이용 스페이서, 자기 입자, 절연 입자, 도전성 입자 포함), 발광형 물질(형광체 및/또는 유기 전기발광 물질 포함), 발광형 소자(예를 들어, 전기 발광 소자)에 혼입될 수 있는 수광형 물질, 소수성 물질(잉크 젯 리셉터(receptor)용 파티션 뱅크(partition bank) 포함), 친수성 물질, 다층 스택(예: 유기 전기발광 소자와 같은 다층 소자 구조체), 마이크로구조 또는 나노구조 층, 포토레지스트, 금속, 중합체, 점착제, 결합제 및 생체 물질, 및 다른 적당한 물질 또는 물질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한 실시 형태에서, 전사층은 디스플레이 응용, 특히 컬러 필터 제조에 유용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기재필름: 도레이첨단소재(주)의 광학용 PET 필름을 기재필름으로 사용하였다 (두께 100um).
광열변환층의 조액: 디임모늄염 염료 A (경인양행 주식회사, NIR1000A),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아라카오사, AC601)의 고형분 30중량% 광열변환층 조액을 준비하였다. 디임모늄염 염료 A의 함량은 전체 고형분 대비 1 중량%로 하였다.
점착층 조액: 전사체 부착을 위한 점착층은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삼화페인트, SA3000)의 고형분 35중량% 점착제 조액을 준비하였다.
레이저 열전사 필름의 제조: 기재필름 위에 광열변환층 조액을 Mayer bar를 이용해 도포한 다음, 열건조 후 평균두께 2.5㎛의 광열변환층 도막을 형성하였다. 이후, 점착제 조액을 applicator를 이용해 도포한 다음, 열건조 후 평균두께 10㎛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점착력 250gf/in).
<실시예 2>
광열변환층의 조액을, 디임모늄염 염료 A의 함량이 전체 고형분 대비 2.5중량%가 되도록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광열변환층의 조액을, 디임모늄염 염료 A의 함량이 전체 고형분 대비 5.0중량%가 되도록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광열변환층의 조액을, 디임모늄염 염료 A의 함량이 전체 고형분 대비 7.5중량%가 되도록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광열변환층의 조액을, 디임모늄염 염료 A의 함량이 전체 고형분 대비 10.0중량%가 되도록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광열변환층의 조액을, 디임모늄염 염료 A의 함량이 전체 고형분 대비 15.0중량%가 되도록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광열변환층의 조액을, 디임모늄염 염료 A의 함량이 전체 고형분 대비 2.5중량%가 되도록 준비하고, 점착층의 건조 두께를 8㎛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광열변환층 조액 제조 시 디임모늄염 염료 A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광열변환층의 조액을, 디임모늄염 염료 A의 함량이 전체 고형분 대비 0.5중량%가 되도록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광열변환층의 조액을, 디임모늄염 염료 A의 함량이 전체 고형분 대비 20.0중량%가 되도록 준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레이저 열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
리시버 필름 제작: 평가용 리시버 필름의 기재필름으로 도레이첨단소재(주)의 광학용 PET 필름을 사용하였다(두께 100㎛). 점착제(삼화페인트사, SA23)를 applicator를 이용해 코팅 및 건조하여 150gf/in의 점착력을 가지는 점착필름을 리시버 필름으로 제작하였다.
20㎛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을 5mm X 5mm 사이즈로 자른 평가용 전사체 10개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레이저 열전사 필름에 부착시킨 다음 상기 리시버 필름과 합지하였다. 합지된 필름에서 레이저 열전사 필름 상부에 Nd:YAG 1064nm의 레이저 장치를 이용해 100W의 에너지로 조사하고, 합지된 두 필름을 박리시켰을 때, 리시버 필름으로 전사된 평가용 전사체의 개수를 측정하여 전사 특성을 평가하였다 (0: 전사특성 부족, 5: 전사특성 우수).
평가용 전사체의 전사 개수 : 전사 특성
- 0 개 : 0
- 1~2개 : 1
- 3~4개 : 2
- 5~6개 : 3
- 7~8개 : 4
- 9~10개 : 5
광열변환층 염료함량 (%) 점착층 두께(㎛) 전사 특성
실시예1 1 10 5
실시예2 2.5 10 5
실시예3 5.0 10 5
실시예4 7.5 10 5
실시예5 10.0 10 5
실시예6 15.0 10 5
실시예7 2.5 8 5
비교예1 0 10 0
비교예2 0.5 10 0
비교예3 20.0 10 2
비교예4 2.5 0.5 0
비교예5 2.5 35 0
표 1에서 광열변환층(12)의 염료함량이 증가 할수록 레이저 조사에 의한 전사체의 전사특성이 향상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광열변환층(12)의 염료함량이 고형분 대비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액에 대한 용해성 문제로 염료의 분산성이 떨어져 전사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점착층(13)의 코팅 두께와 전사특성과의 관계는 점착층(13) 두께가 낮을수록 전사특성이 우수해 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레이저 조사에 의한 광열변환층(12)의 물질적 변형이 얇은 점착층(13)에도 함께 영향을 주어 전사체와의 접촉 면적이 낮아져 전사특성이 우수해 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광열변환층(12)에 염료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의 경우 전사 특성이 전혀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10 레이저 열전사 필름
11 기재필름
12 광열변환층
13 점착층

Claims (7)

  1. 기재필름;
    하기 화학식 1의 광흡수제 및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광열변환층;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광흡수제의 함량은 1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점착층은 두께가 1 내지 30㎛이며, 전사체를 레이저 열전사 필름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고, 점착력이 5 내지 500gf/in인 레이저 열전사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9094289679-pat00008

    상기 식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1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직쇄상 분지상의 알킬로서, R1 내지 R8이 치환된 경우 치환체는 시아노, 니트로, 카르복실, 설폰, 히드록실, C1-C8의 알콕시, 알콕시알콕시, 아실록시 또는 알킬아미노이고;
    X는 다음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플루오로알킬 포스페이트 음이온이다.
    [화학식2]
    Figure 112019094289679-pat00009

    상기 식에서, x는 0 또는 1이고; y는 1, 2 또는 3이며; z는 6-y이고; R9-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불소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열변환층의 두께는 0.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열전사 필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제의 최대 흡수 파장은 780 내지 1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열전사 필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제 및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5 내지 8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열전사 필름.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에폭시,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설폰,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및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열전사 필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레핀, 폴리비닐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열전사 필름.
KR1020180028068A 2018-03-09 2018-03-09 레이저 열전사 필름 KR102095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068A KR102095544B1 (ko) 2018-03-09 2018-03-09 레이저 열전사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068A KR102095544B1 (ko) 2018-03-09 2018-03-09 레이저 열전사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498A KR20190106498A (ko) 2019-09-18
KR102095544B1 true KR102095544B1 (ko) 2020-03-31

Family

ID=6807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068A KR102095544B1 (ko) 2018-03-09 2018-03-09 레이저 열전사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382A (ko) * 2019-10-18 2021-04-2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접착 필름
KR102405325B1 (ko) * 2020-04-06 2022-06-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레이저 전사 필름
KR102400619B1 (ko) * 2020-05-08 2022-05-2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레이저 전사 필름
KR102406601B1 (ko) * 2020-05-20 2022-06-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레이저 전사 필름
JP2023081173A (ja) 2021-11-30 2023-06-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ーザー光熱転写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6729A (en) 1997-11-18 2000-05-23 Yamamoto Chemicals, Inc Photothermal conversion material
DE602005025149D1 (de) 2004-10-20 2011-01-13 Du Pont Donatorelement zur wärmeübertragung
US7670450B2 (en) 2006-07-31 2010-03-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tterning and treatment method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KR101340548B1 (ko) * 2010-12-30 2013-12-11 제일모직주식회사 광열 변환층 및 이를 이용한 열전사 필름
KR101332438B1 (ko) * 2010-12-27 2013-11-25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전사 필름
KR102175754B1 (ko) * 2013-01-24 2020-11-0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레이저 열전사용 투명성 도너필름
KR102107661B1 (ko) * 2013-01-30 2020-05-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KR102132280B1 (ko) * 2013-08-27 2020-07-0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498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5544B1 (ko) 레이저 열전사 필름
US20150185383A1 (en) Infrared ray cutting film, infrared ray cutting laminated glass, and infrared ray cutting member
EP1759868A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ateria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inting method
WO2014010532A1 (ja) 誘電多層膜構造を有する赤外遮蔽フィルム
KR102543285B1 (ko) 광열 변환층, 도너 시트
KR20160000850A (ko) 광열 변환층, 도너 시트
KR102107661B1 (ko)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JP2007140098A (ja)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ム
JP2007078786A (ja)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ム
JP4378654B2 (ja) 近赤外線吸収フィルム
KR102175754B1 (ko) 레이저 열전사용 투명성 도너필름
TWI821513B (zh) 具有透明導電層之薄而撓性之雙側結構
KR101226776B1 (ko) 근적외선 흡수 필름
KR20200126830A (ko) 레이저 전사 필름
KR101721551B1 (ko)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WO2014034518A1 (ja) 光学フィルターおよび熱線遮蔽材
KR102346654B1 (ko) 레이저 전사 필름
KR102405325B1 (ko) 레이저 전사 필름
KR102132280B1 (ko)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KR101145276B1 (ko) 승화성 분산염료-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을 이용한 염착 코팅형 태양광 반사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1166A (ko) 레이저 전사 필름
KR20120077638A (ko) 광열 변환층 및 이를 이용한 열전사 필름
KR20230081632A (ko) 레이저 광열전사필름
JP6359279B2 (ja) フタロシアニン化合物を含有して成るフィルタ
KR101450279B1 (ko) 레이저 열전사 방법용 도너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