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325B1 - 레이저 전사 필름 - Google Patents

레이저 전사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325B1
KR102405325B1 KR1020200041535A KR20200041535A KR102405325B1 KR 102405325 B1 KR102405325 B1 KR 102405325B1 KR 1020200041535 A KR1020200041535 A KR 1020200041535A KR 20200041535 A KR20200041535 A KR 20200041535A KR 102405325 B1 KR102405325 B1 KR 102405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fer film
thermally expansible
absorption layer
las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836A (ko
Inventor
이광회
천종훈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3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characterised by the light-to-heat convert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 heat or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a polymeric layer, which may be particulate and which is deformed or structurally changed with modification of its' properties, e.g. of its' optical hydrophobic-hydrophilic, solubility or permeability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레이저 전사 필름이 개시된다. 개시된 레이저 전사 필름은 기재층, 열팽창성 광흡수층 및 점착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은 550nm의 파장에서 85% 이상의 광투과율을 가지고, 320~400nm의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가시광선 투과율과 근적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가 10~90%이다:
[수학식 1]
가시광선 투과율과 자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 = [광투과율(@550nm) - 광투과율(@355nm)]

Description

레이저 전사 필름{Laser induced transfer film}
레이저 전사 필름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열전사 필름에 사용되는 광흡수제로는 레이저 전사 필름에 사용되는 광열변환용 광흡수제로는 카본블랙, 염료, 안료, 또는 금속 재료 등이 사용된다.
상기 카본블랙의 경우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율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염료의 경우 레이저 열전사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레이저 파장의 범위인 700~1,500㎚ 범위의 근적외선 영역에서 최대 흡광도(absorbance) 피크를 가지면서도, 700㎚ 이하의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흡광도를 보이는 재료를 폭넓게 선택할 수 있으며,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투과율이 높을 수 있다.
그러나 자외선 파장의 레이저에 파장의 범위 내에서도 낮은 흡광도를 보이며, 가시광선 영역에서 광투과율이 높은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전사 필름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일 측면은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율이 높고 가시광선 투과율과 자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가 10~90%을 만족하면서 전사특성도 우수한 레이저 전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라,
기재층;
열팽창성 광흡수층; 및
점착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은 550nm의 파장에서 85% 이상의 광투과율을 갖고, 320~400nm의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가시광선 투과율과 근적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가 10~90%인 레이저 전사 필름이 제공된다:
[수학식 1]
가시광선 투과율과 자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 = [광투과율(@550nm) - 광투과율(@355nm)]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은 355nm 파장의 레이저를 1초 이하의 시간 동안 조사했을 때 두께 팽창률이 3~50배일 수 있다.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은 바인더 및 광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제는 320~400nm의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제는 트리아진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제의 함량이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3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은 건조 후의 도포량이 0.5~9g/m2일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두께의 0.5~6배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전사 필름은 상기 점착층 표면에 부착된 전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사체는 반도체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레이저 전사 필름은 가시광 영역에서의 높은 광투과율 및 가시광선 투과율과 자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가 10~90%인 것을 만족하면서 우수한 전사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레이저 전사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이저 전사 필름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레이저 전사 필름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의 앞에 "적어도 일 면"이라는 표현은 상기 구성요소의 "일 면" 또는 "양 면"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들의 앞에 "적어도 1종", "1종 이상", 또는 "하나 이상"이라는 표현은 전체 구성요소들의 목록을 보완할 수 있고 상기 기재의 개별 구성요소들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관련 기재된 하나 이상의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및/또는"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이라는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또는/및 개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들 조합"이라는 용어는 앞서 기술한 2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의 혼합물 또는 합금 등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계 수지"라는 용어는 "~ 수지" 또는/및 "~ 수지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 간의 중량비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일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 위에 직접 배치될 수 있거나 상기 구성요소들 사이에 개재된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면)에 직접" 배치되어 언급되는 경우, 개재된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레이저 전사 필름"이란 레이저가 조사될 때 열이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한 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레이저 전사 필름에 부착된 전사체를 리시버 필름으로 전사하는 필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사체"란 레이저 전사 필름으로부터 리시버 필름으로 전사되는 물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열팽창성"이란 열에 의해 팽창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레이저 전사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레이저 전사 필름(10)은 기재층(11), 열팽창성 광흡수층(12) 및 점착층(13) 이 순서대로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11)은 (i)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제조, (ii) 레이저 전사 필름과 리시버 필름의 합지 및 (iii) 전사가 끝난 후 리시버 필름으로부터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제거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에서 기능성을 갖는 다른 층들, 예를 들어, 레이저 전사 필름을 구성하는 다른 층들인 열팽창성 광흡수층(12), 점착층 및 선택적으로 상기 점착층 상에 부착되는 전사체(예를 들어, LED chip)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재층(11)은 통상적으로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광투과성과 열안정성을 동시에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직쇄형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분자 필름은 특정 응용을 위한 충분한 기계적/열적 안정성 및 특정 파장을 갖는 광의 높은 투과율과 같은 충분한 광학적 성질을 갖는 다른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의 두께는 5~500㎛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다른 목적, 예를 들어, 열팽창성 광흡수층(12)과의 접착성 향상을 위하여 프라이머 처리 또는 조도(거칠기)처리된 것이거나, 열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연신, 열처리 또는 발수처리된 것이거나, 빛의 투과성 조절을 위하여 소량의 미립자 또는 충전제를 함유하거나 발수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11)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67725호, 제2007-0049003호 및 제2004-0101053호에 개시된 기재필름들일 수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들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은 (a) 550nm의 파장에서 85% 이상의 광투과율을 갖고, (b) 320~400nm의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고, (c)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가시광선 투과율과 근적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가 10~90%일 수 있다:
[수학식 1]
가시광선 투과율과 근적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 = [광투과율(@550nm) - 광투과율(@355nm)]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이 상기 (a)~(c)의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으면,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명성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전사특성도 우수한 레이저 전사 필름을 얻을 수 없다.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과 근적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가 90%를 초과하는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은 액상의 자외선 흡수제가 열팽창성 광흡수층(12) 내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형성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은 355nm 파장의 레이저를 1초 이하의 시간 동안 조사했을 때 두께 팽창률이 3~50배일 수 있다. 상기 점착층(13)의 두께는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층(13)의 두께는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의 두께의 1.5~6배일 수 있다.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의 두께 팽창률 조건 및 상기 점착층(13)의 두께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에는 우수한 전사특성을 갖는 레이저 전사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은 바인더 및 광흡수제를 포함한다.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은 레이저 전사 필름을 사용하여 리시버 필름으로 전사체를 전사하는 동안 열팽창성 광흡수층(12) 내부에 포함된 광흡수제에 의해 광(레이저)를 흡수하여 이를 열로 전환함으로써 전사체를 리시버 필름으로 전사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바인더는 -OH, -COOH, -NH2와 같은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레이저 조사 시 H2O와 같은 기체를 발생시켜 레이저 조사 부위에 두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팽창이 일어나 전사체의 선택적인 전사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바인더는 상기 광흡수제와 양호한 상용성을 나타내고, 상기 기재층에 대한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점착성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에 상기 광흡수제를 더 많이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술폰화되거나 술폰화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상기 각 물질과 폴리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인더는 멜라민계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멜라민계 수지는 광흡수제와 유사한 구조로서 높은 상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흡수제는 전자기 스펙트럼의 적외선, 가시광선 및/또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고, 흡수된 광을 열로 전환시킨다.
상기 광흡수제는 전사에 사용되는 파장 영역 또는 특정 파장의 빛은 고도로 흡수하지만, 다른 파장 영역 또는 특정 파장 이외의 빛은 투과 또는 반사시켜 훨씬 덜 흡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흡수제는 300~450nm의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흡수제는 최대 흡수파장이 320~400㎚인 광흡수제, 금속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흡수파장이 320~400㎚인 광흡수제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트리아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35529550-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는 이웃한 원자와의 결합 사이트이다.
상기 광흡수제의 함량은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30중량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흡수제의 함량은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3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광흡수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때, 가시광 영역에서의 높은 광투과율 및 가시광선 투과율과 자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가 10~90%인 것을 만족하면서 우수한 전사특성을 갖는 레이저 전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은 국부적인 열의 흡수가 전사에 유리하다는 측면에서 가능한 한 두께가 얇은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은 0.4~1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은 건조 후의 도포량이 0.5~9g/m2일 수 있다.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은 예를 들어, 건조 후의 도포량이 1~9g/m2일 수 있거나 2~9g/m2일 수 있거나 3~9g/m2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전사 필름(10)은 상기 점착층 표면에 부착된 전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3)은 상기 전사체를 레이저 전사 필름(10)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레이저 전사 필름(10)의 점착력(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이 리시버 필름의 점착력 보다 낮을 경우, 양 필름의 합지시 전사체가 리시버 필름측으로 옮겨가는 문제가 발생하며, 반대로 레이저 전사 필름(10)의 점착력이 리시버 필름의 점착력 보다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레이저 조사 시에도 전사가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레이저 열전사 필름(10)의 점착력은 5~500gf/in(gram-force/inch)일 수 있으며, 리시버 필름의 점착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3)은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설폰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실리콘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3)의 두께는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착층(13)의 두께는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의 두께의 1.5~6배일 수 있다.
상기 전사체는 유기물, 무기물, 유기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사체로서 선택적으로 패턴화될 수 있는 물질의 예는 착색제(결합제에 분산된 안료 및/또는 염료를 포함함), 편광제, 액정 물질, 입자(액정 디스플레이용 스페이서, 자기 입자, 절연 입자 및/또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함), 발광형 물질(형광체 및/또는 유기 전기 발광 물질을 포함함), 발광형 소자(예를 들어, 전기 발광 소자)에 혼입될 수 있는 수광형 물질, 소수성 물질(잉크젯 리셉터(receptor)용 파티션 뱅크(partition bank)를 포함함), 친수성 물질, 다층 스택(예를 들어, 유기 전기발광 소자와 같은 다층 소자 구조체), 마이크로구조 층, 나노구조 층, 포토레지스트, 금속, 고분자, 점착제, 결합제, 생체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사체는 디스플레이 응용, 특히 컬러 필터 제조에 유용한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사체는 LED chip과 같은 반도체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레이저 전사 필름(1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이저 전사 필름(10)과 리시버 필름(20)이 합지되어 있다. LED chip(30)은 레이저 전사 필름(10)의 점착층(13)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레이저 전사 필름(10)에 국부적으로 레이저가 조사된다. 이때, 레이저 전사 필름(10)의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이 발열 및 팽창하여 기재층(11)과의 사이에 공동(C: cavity)을 형성한다. 여기서, 기재층(11)의 팽창 높이(즉, 최대 높이)를 "h"라고 하고,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의 평균두께를 "t"라고 할 때,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의 두께 팽창률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두께 팽창률(배) = [기재층의 팽창 높이에서 측정한 팽창 높이(h)/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평균두께(t)]
이후, 열팽창성 광흡수층(12) 상의 점착층(13)에 부착되어 있는 LED chip(30)은 열팽창성 광흡수층(12)의 팽창으로 인해 리시버 필름(20)쪽으로 이동한 후, 리시버 필름(20)의 점착층(23)(이는 리시버 필름(20)의 기재층(21) 상에 배치된 전극층(22) 상에 배치되어 있음)에 밀착된다.
이후, LED chip(30)은 레이저 전사 필름(10)의 점착층(13)과 분리된 후 리시버 필름(20)의 점착층(23)에 부착된다.
결과로서, 레이저 전사 필름(10)으로부터 리시버 필름(20)으로의 LED chip(30)의 전사가 이루어진다.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제조
기재층으로서 두께가 100㎛인 광학용 PET 필름(도레이첨단소재(주))을 사용하였다.
이와 별개로, 바인더로서 열경화성 멜라민계 수지(사이텍사, Cymel 303), 광흡수제로서 트리아진계 화합물(BASF사, Tinuvin 400), 및 용매(사이클로헥사논과 메틸에틸케톤의 중량비가 40:100인 혼합물)를 혼합하여 고형분 함량이 20중량%인 열팽창성 광흡수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트리아진계 화합물의 함량은 열팽창성 광흡수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5중량부로 하였다.
이와 별개로, 열경화성 아크릴계 수지(삼화페인트, SA3000) 및 용매(사이클로헥사논과 메틸에틸케톤의 중량비가 40:100인 혼합물)를 혼합하여 고형분 함량이 35중량%인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기재층 위에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 형성용 조성물을 메이어 바(Meyer bar)로 도포한 다음, 150℃ 온도에서 1분 동안 열건조하여 건조 후의 도포량이 3 g/m2이고 평균두께 2.3㎛인 열팽창성 광흡수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 상에 상기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로 도포한 다음, 110℃ 온도에서 2분 동안 열건조하여 평균두께 2㎛인 점착층을 형성하여 레이저 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제조
열팽창성 광흡수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광흡수제로서 트리아진계 화합물(BASF사, Tinuvin 400)의 함량은 열팽창성 광흡수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1.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이저 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제조
열팽창성 광흡수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광흡수제로서 트리아진계 화합물(BASF사, Tinuvin 400)의 함량은 열팽창성 광흡수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이저 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제조
열팽창성 광흡수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광흡수제로서 트리아진계 화합물(BASF사, Tinuvin 400)의 함량은 열팽창성 광흡수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9.0 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이저 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제조
열팽창성 광흡수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광흡수제로서 트리아진계 화합물(BASF사, Tinuvin 400)의 함량은 열팽창성 광흡수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20.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이저 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제조
열팽창성 광흡수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광흡수제로서 트리아진계 화합물(BASF사, Tinuvin 400)의 함량은 열팽창성 광흡수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30.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이저 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제조
열팽창성 광흡수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광흡수제로서 트리아진계 화합물(BASF사, Tinuvin 400)의 함량이 열팽창성 광흡수층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5.0 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이저 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레이저 전사 필름의 제조
열팽창성 광흡수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광흡수제로서 트리아진계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레이저 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레이저 전사 필름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레이저 전사 필름의 물성을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가시광선 투과율과 자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 측정
상기 각 레이저 전사 필름에 대하여 Shimadzu社의 모델명 UV-3600의 UV-VIS-NIR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300~800nm 영역의 투과율을 측정한 후, 550nm와 355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을 각각 기록하였다.
이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가시광선 투과율과 근적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가시광선 투과율과 자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 = [광투과율(@550nm) - 광투과율(@355nm)]
(2)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팽창 높이 측정
상기 각 레이저 전사 필름에 대하여 Nd:YAG 355nm의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0.01~50W의 레이저 에너지로 조사하여 기재층의 팽창 높이를 기록하였다.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팽창 높이의 측정방법은 동일 레이저 전사 필름에서 얻은 다수의 샘플에 대하여 샘플당 특정값의 레이저 에너지(즉, 샘플당 0.01~50W 중 어느 한 값의 레이저 에너지)로 조사한 후, 각 샘플을 두께방향으로 절단하고, 그 절단면의 SEM 사진을 촬영하여 레이저 조사 부위의 팽창 높이를 측정하였다. 이후, 다수의 샘플들 중 팽창 높이가 가장 높은 특정 샘플에 대하여 얻어진 최고 팽창 높이를 "팽창 높이"로 기록하였다.
(3) 전사 특성 평가
상기 (2)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팽창 높이에서 측정한 팽창 높이에 따라 하기와 같이 점수를 매겨 전사 특성을 평가하였다.
- 팽창 높이가 25㎛ 이상: 5점
- 팽창 높이가 20㎛ 이상 25㎛ 미만: 4점
- 팽창 높이가 15㎛ 이상 20㎛ 미만: 3점
- 팽창 높이가 10㎛ 이상 15㎛ 미만: 2점
- 팽창 높이가 5㎛ 이상 10㎛ 미만: 1점
- 팽창 높이가 5㎛ 미만: 0점
(4) 두께 팽창률 평가
상기 (2)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팽창 높이에서 측정한 팽창 높이와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하여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두께 팽창률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두께 팽창률(배) = [기재층의 팽창 높이에서 측정한 팽창 높이(h)/열팽창성 광흡수층의 평균두께(t)]
광흡수제
(중량부,
열팽창성 광흡수층 100 중량부 기준)
팽창 높이
(㎛)
전사 특성
(점)
두께
팽창률
(배)
광투과율
(@550nm, %)
광투과율
차이
(%)
실시예 1 0.5 2 0 0 91 11
실시예 2 1.0 16 3 6.9 91 20
실시예 3 3.0 26 5 11.3 91 34
실시예 4 9 29 5 12.6 91 60
실시예 5 20 30 5 8.7 90 88
실시예 6 30 30 3 13.0 89 90
비교예 1 35 18 3 7.8 89 89
비교예 2 0 0 0 0 91 2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2~6에서 제조된 레이저 전사 필름은 3점 이상의 우수한 전사 특성을 나타내면서도 85% 이상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레이저 전사 필름은 전사 특성은 우수하지만, 과량의 자외선 흡수제 사용으로 광열변환층의 경화가 충분치 아니하여 필름의 롤 제조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필름은 광열흡수층의 팽창이 일어나지 않아, 전사 특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10: 레이저 전사 필름 11, 21: 기재층
12: 열팽창성 광흡수층 13, 23: 점착층
20: 리시버 필름 22: 전극층
30: LED chip C: 공동
h: 팽창 높이

Claims (12)

  1. 기재층;
    바인더 및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열팽창성 광흡수층; 및
    점착층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고,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은 550nm의 파장에서 85% 이상의 광투과율을 갖고, 320~400nm의 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고,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가시광선 투과율과 자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가 10~90%이고,
    상기 광흡수제의 함량이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30중량부이고,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은 355nm 파장의 레이저를 1초 이하의 시간 동안 조사했을 때 두께 팽창률이 6~50배인, 레이저 전사 필름:
    [수학식 1]
    가시광선 투과율과 자외선 투과율 간의 차이(%) = [광투과율(@550nm) - 광투과율(@355nm)]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레이저 전사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제는 320~400nm의 최대 흡수 파장을 갖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레이저 전사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제는 트리아진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레이저 전사 필름.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은 건조 후의 도포량이 0.5~9g/m2인, 레이저 전사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두께 보다 큰, 레이저 전사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열팽창성 광흡수층의 두께의 1.5~6배인, 레이저 전사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표면에 부착된 전사체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전사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체는 반도체칩을 포함하는, 레이저 전사 필름.
KR1020200041535A 2020-04-06 2020-04-06 레이저 전사 필름 KR102405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535A KR102405325B1 (ko) 2020-04-06 2020-04-06 레이저 전사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535A KR102405325B1 (ko) 2020-04-06 2020-04-06 레이저 전사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836A KR20210123836A (ko) 2021-10-14
KR102405325B1 true KR102405325B1 (ko) 2022-06-07

Family

ID=7815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535A KR102405325B1 (ko) 2020-04-06 2020-04-06 레이저 전사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063B1 (ko) * 2021-11-17 2023-02-2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레이저 전사 다층 구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7698A (ja) 2002-11-29 2004-07-22 Sekisui Chem Co Ltd 転写シート、導電性微粒子転写シート及び導電性微粒子を電極に接続する方法
JP2019030998A (ja) 2017-08-07 2019-02-28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化粧シート
WO2019160073A1 (ja) * 2018-02-19 2019-08-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組成物、積層体の製造方法、部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661B1 (ko) * 2013-01-30 2020-05-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KR102104359B1 (ko) * 2013-08-30 2020-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토 레지스트 필름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발광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95544B1 (ko) * 2018-03-09 2020-03-3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레이저 열전사 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7698A (ja) 2002-11-29 2004-07-22 Sekisui Chem Co Ltd 転写シート、導電性微粒子転写シート及び導電性微粒子を電極に接続する方法
JP2019030998A (ja) 2017-08-07 2019-02-28 凸版印刷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化粧シート
WO2019160073A1 (ja) * 2018-02-19 2019-08-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組成物、積層体の製造方法、部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836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1056B2 (ja) 遮熱化粧シート
KR102095544B1 (ko) 레이저 열전사 필름
TW201033007A (en) Fluoropolymeric multilayer optical fil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286678B1 (ko) 광열 변환층, 도너 시트
KR20110100664A (ko) 플루오로중합체성 다층 광학 필름 및 이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
CN104185547A (zh) 多层层叠膜
WO2013070473A1 (en) Bridging films for porous thin films
KR102405325B1 (ko) 레이저 전사 필름
KR102543285B1 (ko) 광열 변환층, 도너 시트
KR102584824B1 (ko)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
EP1213614B1 (en) Polyester overlamination film with enhanced uv stabilization properties
CN109891309A (zh) 光源单元
KR20040079998A (ko) K-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TW202021805A (zh) 積層薄膜
CN101815618B (zh) 耐光性膜
KR102107661B1 (ko) 레이저 열전사용 도너필름
KR102346654B1 (ko) 레이저 전사 필름
KR20200126830A (ko) 레이저 전사 필름
KR20220081166A (ko) 레이저 전사 필름
JP2004529793A5 (ko)
JP2016505411A (ja) プライマー層中にポリマー粒子を有する虹色を呈さないフィルム
JP2004529793A (ja) グレージング積層品
KR101937878B1 (ko) 파장 선택적 광열변환 필름 및 이를 이용한 oled용 전사 필름
KR20140095294A (ko) 레이저 열전사용 투명성 도너필름
KR102503063B1 (ko) 레이저 전사 다층 구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