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165B1 -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165B1
KR102095165B1 KR1020190143222A KR20190143222A KR102095165B1 KR 102095165 B1 KR102095165 B1 KR 102095165B1 KR 1020190143222 A KR1020190143222 A KR 1020190143222A KR 20190143222 A KR20190143222 A KR 20190143222A KR 102095165 B1 KR102095165 B1 KR 102095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th guide
optical path
ligh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철
Original Assignee
정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철 filed Critical 정태철
Priority to KR102019014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165B1/ko
Priority to PCT/KR2020/014792 priority patent/WO20210961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60R1/08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using a single wide field mirror or an association of rigidly connected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에 대한 것으로, 차량의 사이드미러나 차량의 본넷위에 배치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의 측후방의 사각지대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시각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여, 좌우방향으로 차량의 운행시에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보조미러모듈{AUXILIARY MIRROR MODUL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에 대한 것으로, 차량의 진행방향의 측후방의 시야각을 확보하여, 사각지대에서 접근하는 사물을 육안으로 식별가능하도록 하는 장치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는 백 미러는 자동차의 실외에 설치되어 주로 차체의 옆쪽 및 뒤쪽을 확인하는 아웃사이드 미러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리어 윈도우를 통하여 뒤쪽의 상황을 확인하는 인사이드 미러로 대별된다. 어느 미러에 대해서나 요구되는 기능은 뒤쪽과 옆쪽의 외부정보를 뒤를 돌아보지 않고서도 볼 수 있어야 하며, 또 직접 시계로 잡힐 수 없는 차체 근처 맹역부의 정보를 운전석에 앉은 채로 볼 수 있도록 영상으로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교차로나 골목길에서 차량(W1)이 좌회전이나 우회전을 하여 방향을 전환 하고자 하는 경우를 모식도로 표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교차로나 골목길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하는 차량(V1)의 운전자는 자신의 진행방향으로 운행하여 오는 차량(V2)를 감지하기가 어렵다. 이는 통상의 사이드 미러로는 볼 수 있는 각도(A0)는 제한적인 반면, 접근하는 차량(V2)은 사각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각도범위 내의 구간(A1)를 볼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하는 경우의 차량 운전자는 고개를 차창밖으로 내밀어 최대한 측후방을 보려고 하게 되나, 이러한 시도는 반대쪽을 간과할 우려가 있으며, 측후방을 볼 수 있는 각도도 제한적이다. 그리고 접근하는 차량(V2)과의 사이에 다른 장애물(예를들어, 주차중인 다른 차량 등)이 있어 시야를 가리고 있는 경우라면, 빠른 속도로 접근하는 차량(V2)을 육안으로 식별하기에는 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근래에 차량에 범용적으로 장착되는 장치로, 사이드미러에 사각지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전자식 구동장치로 센서와 카메라로 물체를 감지하고, 점등이나 비상음, 그리고 운전석의 모니터에서 이를 확인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운전자에게 사각지대의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의 운전 보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사각지대를 센서로 감지하는 방식의 보조장치는 물체의 존재여부만을 인식시킬 뿐, 접근하는 물체와의 거리와 물체의 접근속도를 운전자가 직감하는 것이 어려워, 운전자의 안전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운전자의 경우, 사각지대에서 움직이는 물체(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며 접근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대응하기는 더욱 어려워지게 되어, 운전자의 안전성을 크게 위협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5-0002509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9821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시, 교차로나 골목길 등의 좌우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차량의 진행방향의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광경로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차량 진행방향의 측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운행중의 사고나 운전자의 불편을 최소화하여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측단과 타측단이 개구되며, 상기 일측단과 상기 타측단을 연결하며, 내측에는 광이 경유하는 통로부가 구현되는 광경로가이드부(10);
상기 광경로 가이드부의 일측단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12)와, 상기 타측단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13);
상기 제1렌즈부(12)를 투과한 입사광(L1)을 상기 통로부 내에서 반사시켜, 상기 제2렌즈부(13)로 출사시키는 출사광(L2)으로 가이드하는 반사체부;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외면에 마련되어, 차량의 사이드미러 또는 본넷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0);
를 포함하는,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시, 교차로나 골목길 등의 좌우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차량의 진행방향의 측후방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광경로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차량 진행방향의 측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운행중의 사고나 운전자의 불편을 최소화하여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미러 하우징의 상부 또는 본넷 상에 고정되어, 차량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 진행 방향의 사각지대 영역 이미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하는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사이드미러나 차량의 본넷위에 배치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의 측후방의 사각지대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시각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여, 좌우방향으로 차량의 운행시에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미러모듈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되는 룸미러나 사이드미러는 물론이고, 기존의 다른 보조미러로는 볼 수 없었던, 차량의 측후방을 운전자가 거울을 매개로 직접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센서로 물체의 존재만을 감지하는 것과는 다르게 실물을 직접 육안으로 식별하게 해주며, 카메라로 촬영하여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과는 달리 현실성 있는 실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현실 이미지에 대한 육안실별을 통해 운전자가 보다 즉각적인 상황판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차량 운행시, 교차로나 골목길에서 차량이 좌, 우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의 광경로가이드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의 각도조절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의 광경로가이드부의 사시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의 광경로가이드부의 설치 상태도로, 차량의 본넷 위에 장착되는 구조로 배치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의 광경로가이드부의 구현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조미러모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측단과 타측단이 개구되며, 상기 일측단과 상기 타측단을 연결하며, 내측에는 광이 경유하는 통로부가 구현되는 광경로가이드부(10), 상기 광경로 가이드부(10)의 일측단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12)와, 상기 타측단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13), 상기 제1렌즈부(12)를 투과한 입사광(L1)을 상기 통로부 내에서 반사시켜, 상기 제2렌즈부(13)로 출사시키는 출사광(L2)으로 가이드하는 반사체부,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외면에 마련되어, 차량의 사이드미러 또는 본넷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경로 가이드부(1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이드미러에 장착되거나, 차량의 본넷위에 장착되는 구조(도 9 참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3의 구조는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광경로 가이드부(10)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광경로 가이드부(10)는 일측단과 타측단이 개구된 구조로, 내부에는 통로부가 구현되는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일측단 부분에는 제1렌즈(12)가 장착되며, 상기 타측단 부분에는 제2렌즈(13)이 장착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제1렌즈((12) 또는 상기 제2렌즈(13)이 장착되는 일측단과 타측단 부분은, 차량의 진행방향의 측후방 방향의 영역을 효율적으로 비추고, 차량의 진행방향의 측후방 방향에서 입사되는 이미지(또는 광)을 효율적으로 도입하기 위하여, 렌즈의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경사진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차량의 진행방향의 측후방 방향의 영역 이미지를 전달받기 위한 구조로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는 일측단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통로부를 경유하여 전달된 이미지가, 제2렌즈로 전달되되,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용이하게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타측단도 경사진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는, 상기 통로부가 하나로 연통되는 일체형의 단중식관구조로 구성되거나, 통로부가 하나로 연통되는 일체형의 단중식관구조가 2개이상 배치되는 이중관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적인 외형이 직선형 구조의 각기둥에 일측단과 타측단에 경사면을 구현하고 렌즈를 배치하는 외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곡된 구조, 완만한 곡률을 가지는 구조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가 어떠한 외형을 가질 것인지는, 차량의 형태나 배치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사각지대의 이미지를 제1렌즈를 통해 입사받고, 내부의 반사미러를 통해 반사시켜, 타측의 제2렌즈로 전달하여 운전자가 제2렌즈를 통해서 사각지대의 이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요지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는 도 3에서와 같이, 다양한 차량의 형태 특히, 차체의 부착부분이 되는 사이드 미러나 본닛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는 차체의 부착부분이 되는 사이드 미러나 본닛의 부착방식으로는, 접착제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자석등을 이용하여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부착방식의 일예로서, 도 3의 장착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는, 차량의 사이드미러(2a) 또는 본넷에 자석이나 접착물질, 또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고정베이스(21)와, 상기 고정베이스(21)과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을 연결하며,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배치각도를 조절하여 광의 입사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22)를 포함하는 고정부(20)를 이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아울러, 광경로가이드부(1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경로가이드부(10)의 장착위치를 기준으로, 가상의 수직축(Z)과 수평축(X)을 정의할 때, 수직축(Z)을 중심으로 일정 부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수평축(X)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일예와 같이, 이러한 본 발명의 광경로가이드부(10)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주요 구성 중 하나로,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는 단위반사미러(14, 15, 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내측에 단위반사미러(14, 15, 16)를 배치하여, 제1렌즈(12)에서 입사되는 광(또는 이미지:L1)가 제1반사미러(14)와 제2반사미러(15), 그리고 제3반사미러(16)을 경유하여 반사하며, 최종적으로는 제2렌즈(13)을 경유하여 출사하게 되며, 운전자는 이렇게 출사되는 출사광(또는 출사이미지: L2)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단위 반사미러의 개수는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장착된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로 단위 반사미러의 표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체각도조절부(도 8: 141, 151, 161 참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반사미러는 평면거울이나, 구면거울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제1렌즈 및 제2렌즈는 구면렌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광경로가이드부(10)의 외형을 도시한 예시 개념도로, 전체적인 외형이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직선형 구조를 가지는 것 외에, 완만한 곡면을 가지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구조의 형상외에도,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외형은 다양한 형태의 각기둥, 절곡부가 다수 구현되는 불규칙한 외형(도 10 참조), 이중관식으로 구현되는 구조(도 9 참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확장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광경로가이드부(10)의 회전동작이 가능한 작용상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도 3에서 설명한 광경로가이드부(10)의 수평축(X), 수직축(Z) 회전 동작시, 측후방 방면 영역의 사각지대 이미지를 효율적으로 확인하게 위해 회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동작을 구현한 것이다. 이러한 조절 각도 범위는 광경로가이드부(10)의 길이방향의 수평축(X)를 기준으로, 20°~ 85°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운전자의 편의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이 가능한 범위로,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사각지대의 영역을 벗어나는 영역이 되는바, 운전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이 가능한 범위에 해당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광경로가이드부(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단위 반사미러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체각도조절부(141, 151, 161)가 배치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반사체각도조절부(141, 151, 161)는 광경로가이드부(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단위 반사미러의 개수 만큼 구현될 수 있으며, 광경로가이드부(10)의 외부에서 단위 반사미러의 반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 운전자가 보다 명확한 범위의 영역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반사체 각도조절부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구조는 간단한 구조(동전이나, 드라이버 등)의 기구물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나사헤드 모양으로 구현된 헤드부만 노출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형 구조를 갖는 버튼형상이나 바(bar) 형상의 외형을 구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미러모듈의 배치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도시된 구조는 보조미러모듈의 구조를 변형하여, 차량(C)의 본넷(엔진룸의 덮개) 위에 장착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구조는 차량의 본넷의 중심부(X)에, 통로부가 하나로 연통되는 일체형의 단중식관구조가 2개이상 배치되는 이중관구조로 구현한 구조물로 구현된 광경로가이드부를 장착한 것이다.
즉, 우선 제1방향에서 입사하는 광을 반사부를 경유하여 차량의 전면방향인 제2방향으로 출사하도록 절곡되는 제1광경로가이드부(10A)와,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은 제3방향에서 입사하는 광을 반사부를 경유하여, 차량의 전면방향인 제2방향으로 출사하도록 절곡되는 제2광경로가이드부(10B)를 상호 밀착하여 형성하되, 전체적으로 "T" 자형 외관을 가지는 구조로 구현한다.
이 구조에서는, 상기 제1광경로가이드부(10A)와 상기 제2경로가이드부(10B)는 출사되는 광의 렌즈부가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양쪽 측후방의 방향에서 입사되는 광이나 이미지를 운전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구현된다.
차량의 본넷의 중심부(X)에 광경로가이드부를 장착하는 경우의 장점은, 차량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의 방향전환시, 본넷 중심부(X)에 장착된 광경로가이드부의 제2렌즈부(13a, 13b)에서 좌측후방 또는 우측후방의 사각지대를 육안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바, 운전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로가이드부는 사이드미러 양쪽에 장착되도록 하거나, 도 9에서와 같이 차량 본넷의 중심부에 장착되거나, 사이드미러와 차량 본넷 중심부 모두에 장착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차량의 본넷에 장착하는 구조로, 도 9와 같은 "T" 자형 외관을 가지는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절곡구조로 양측 측후방에서 입사되는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0은 광경로가이드부의 외관에 다양한 절곡을 구현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외형에 다양하게 절곡을 구현하는 것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일정한 곡률을 구현하고, 내부에 반사체를 다수 배치하는 구조로 구현하여 이용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육안으로 운전자가 주로 확인하고자 하는 지점 또는 시야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광경로가이드부(10)는 외표면에 커버부재(11)를 부가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1)의 각 절곡부(11a, 11b, 11c)는 벨로우즈와 같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부재(11)는 가요성 소재를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내벽면에 반사미러(14, 15, 16) 이외에도 추가적인 보조반사미러(14', 14", 15', 16', 19)를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0의 도시된 절곡구조는 "M" 자형 절곡구조를 구현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L" 자형, "S" 자형 등 다양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절곡구조의 구조물은 도 9에서 상술한 "T" 자형 광경로 가이드부를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한정한 문제인 차량의 좌회전 및 우회전시 발생하는 진행방향의 사각지대 영역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구현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차량
2: 사이드미러
10: 광경로가이드부
12: 제1렌즈, 13: 제2렌즈
14, 15, 16: 단위 반사미러

Claims (5)

  1. 차량의 사이드미러 하우징의 상부 또는 본넷 상에 고정되어, 차량의 진행방향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진행 방향의 사각지대 영역 이미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보로미러모듈로서,
    일측단과 타측단이 개구되며, 상기 일측단과 상기 타측단을 연결하며, 내측에는 광이 경유하는 통로부가 구현되며, 상기 통로부가 하나로 연통되는 일체형의 단중식관구조로 구성되는 광경로가이드부(10);
    상기 광경로 가이드부의 일측단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12)와, 상기 타측단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13);
    상기 제1렌즈부(12)를 투과한 입사광(L1)을 상기 통로부 내에서 반사시켜, 상기 제2렌즈부(13)로 출사시키는 출사광(L2)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내측에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는 단위반사미러(14, 15, 16)를 포함 하는 반사체부;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외면에 마련되어, 차량의 사이드미러 또는 본넷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0);를 포함하며,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내측에는, 상기 단위반사미러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체각도조절부(141, 151, 161)를 더 포함하고, 반사체각도조절부(141, 151, 161)는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외측표면에 돌출되는 돌기 형상의 조절수단을 통해 외부에서 각도조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2. 삭제
  3. 차량의 사이드미러 하우징의 상부 또는 본넷 상에 고정되어, 차량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 진행 방향의 사각지대 영역 이미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보로미러모듈로서,
    일측단과 타측단이 개구되며, 상기 일측단과 상기 타측단을 연결하며, 내측에는 광이 경유하는 통로부가 구현되며, 상기 통로부가 하나로 연통되는 일체형의 단중식관구조로 구성되는 광경로가이드부(10);
    상기 광경로 가이드부의 일측단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12)와, 상기 타측단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13);
    상기 제1렌즈부(12)를 투과한 입사광(L1)을 상기 통로부 내에서 반사시켜, 상기 제2렌즈부(13)로 출사시키는 출사광(L2)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내측에 적어도 3개 이상 배치되는 단위반사미러(14, 15, 16)를 포함 하는 반사체부;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외면에 마련되어, 차량의 사이드미러 또는 본넷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0);를 포함하며,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내측에는, 상기 단위반사미러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반사체각도조절부(141, 151, 161)를 더 포함하고, 반사체각도조절부(141, 151, 161)는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의 외측표면에 돌출되는 돌기 형상의 조절수단을 통해 외부에서 각도조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경로가이드부(10)는, 상기 통로부가 하나로 연통되는 일체형의 단중식관구조가 2개이상 배치되는 이중관구조로 구현되되, 제1방향에서 입사하는 광을 반사부를 경유하여 차량의 전면방향인 제2방향으로 출사하도록 절곡되는 제1광경로가이드부(10A);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은 제3방향에서 입사하는 광을 반사부를 경유하여, 차량의 전면방향인 제2방향으로 출사하도록 절곡되는 제2광경로가이드부(10B);를 구비하며, 상기 제1광경로가이드부(10A)와 상기 제2경로가이드부(10B)는 출사되는 광의 렌즈부가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4. 삭제
  5. 삭제
KR1020190143222A 2019-11-11 2019-11-11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KR102095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222A KR102095165B1 (ko) 2019-11-11 2019-11-11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PCT/KR2020/014792 WO2021096111A1 (ko) 2019-11-11 2020-10-28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222A KR102095165B1 (ko) 2019-11-11 2019-11-11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165B1 true KR102095165B1 (ko) 2020-05-26

Family

ID=7091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222A KR102095165B1 (ko) 2019-11-11 2019-11-11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95165B1 (ko)
WO (1) WO20210961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11A1 (ko) * 2019-11-11 2021-05-20 정태철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6059A (ja) * 1994-08-05 1997-06-17 アング,ライ・ウェング 歪みなし死角確認ミラー
KR200311607Y1 (ko) * 2003-01-30 2003-05-01 이현우 자동차용 후사경
KR100502014B1 (ko) * 2002-05-16 2005-07-25 이은경 후방 가시경
KR20060098210A (ko) 2005-03-11 2006-09-18 윤춘미 도장장치
KR20150002509A (ko) 2013-06-28 2015-01-07 소니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5479A (en) * 1988-03-18 1993-09-14 Falanga Kenneth B Vehicular, side, rear view prismatic mirror system
KR100710585B1 (ko) * 2005-02-15 2007-04-24 박종완 아웃사이드미러용 전방관찰 보조거울장치
KR102095165B1 (ko) * 2019-11-11 2020-05-26 정태철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6059A (ja) * 1994-08-05 1997-06-17 アング,ライ・ウェング 歪みなし死角確認ミラー
KR100502014B1 (ko) * 2002-05-16 2005-07-25 이은경 후방 가시경
KR200311607Y1 (ko) * 2003-01-30 2003-05-01 이현우 자동차용 후사경
KR20060098210A (ko) 2005-03-11 2006-09-18 윤춘미 도장장치
KR20150002509A (ko) 2013-06-28 2015-01-07 소니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11A1 (ko) * 2019-11-11 2021-05-20 정태철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6111A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3799B2 (en) Display system, electronic mirror system and movable-body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6104552A (en) Vehicula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forward vision optical system
US6717610B1 (en) Wide angle image capture system for vehicle
CN111032431A (zh) 外部后视镜组件
EP2441620B1 (en) Device for viewing front-lateral area of vehicle
KR102095165B1 (ko)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KR102457633B1 (ko) 차량 외부 측전방 상태 확인 장치
JP4765446B2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
KR102105657B1 (ko) 차량용 사이드 전방위 카메라 장치
US10486600B1 (en) Systems for improving side-mirror functionality of a vehicle
KR100502014B1 (ko) 후방 가시경
US10347133B2 (en) Optical device
KR101596601B1 (ko) 사이드 미러
TW201531420A (zh) 後視鏡裝置
JP3276864B2 (ja) 車両用後方視認装置
JP7491075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585101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JP2002036953A (ja) 車両周辺視認装置
JP5785124B2 (ja) 車外視認装置
JP2023059199A (ja) 「車庫出庫、入庫時の安全と安心な運転操作を行うための多面体による車両用反射鏡」
KR200159143Y1 (ko) 사각지대용 양면 보조밀러
JP4328690B2 (ja) ドアミラー
JPH0664472A (ja) 車両用端部位置表示装置
TWI552898B (zh) 汽車輔助鏡
JP2005088790A (ja) 車両前方視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