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601B1 - 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601B1
KR101596601B1 KR1020140178660A KR20140178660A KR101596601B1 KR 101596601 B1 KR101596601 B1 KR 101596601B1 KR 1020140178660 A KR1020140178660 A KR 1020140178660A KR 20140178660 A KR20140178660 A KR 20140178660A KR 101596601 B1 KR101596601 B1 KR 10159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ens
curvature
incident
sid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호
박현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7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601B1/ko
Priority to PCT/KR2015/007906 priority patent/WO20160321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02B17/0856Catadioptric systems comprising a refractive element with a reflective surface, the reflection taking place inside the element, e.g. Mangin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곡률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렌즈 및 반사 거울을 이용하는 사이드 미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이드 미러는,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에 의해 굴절된 빛을 반사시키는 거울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입사광이 입사되며 기 설정된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입사면 및 상기 굴절된 빛이 출사되며, 복수의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출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드 미러{SIDE MIRROR}
본 발명은 측후방의 영상을 볼 수 있는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사이드 미러의 돌출 길이 축소 및 공기 저항 개선을 위해, 곡률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렌즈 및 반사 거울을 이용한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이드 미러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의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운전 중 운전자에게 차량의 양측방 및 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 구조에 따른 운전자의 시야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자(D)가 후방의 시계를 확보하여 안전 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장치로 일명 백미러라 불리는 사이드 미러(3, 4)가 차량의 프론트 도어 양쪽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일부 차량은 사이드 미러가 도어가 아닌 측면에 부착되는 경우도 있다. 사이드 미러(3, 4)는 차량(1)의 주행시 차선 변경이나 다른 차량을 추월하고자 할 때, 또는 좌회전이나 우회전시 차량(1)의 주차나 후진시 운전자(D)가 후방의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차량(1)의 사이드 미러(3, 4)는 시계 범위가 제한되어 있어서 관측 불가능한 사각 지대가 형성됨으로써 접촉 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 또한, 차량(1)의 내부에 설치된 룸 미러를 사용하더라도 룸 미러에 의해 볼 수 있는 후방각이 제외되어 있어 여전히 사각 지대가 형성된다. 운전자(D)의 두 눈에 의한 전방 시야, 두 사이드 미러(3, 4) 및 룸미러에 의한 시야만으로는 차량(1) 주변의 모든 시야를 커버할 수 없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양 측면에 사각지대(Blind Spot)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차량(1)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사각지대(Blind Spot)는 운전자(D)가 보지 못하여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차량(1)의 대부분의 디자인은 공기저항을 줄이는 유선형으로 설계되는데, 차량(1)의 고속 주행 시 사이드 미러(3, 4) 부분의 공기저항이 증가한다. 이러한 사이드 미러(3, 4)만 튀어나온 사이드 미러(3, 4)의 구조는 공기 역학에도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다. 그리하여, 차량(1)의 양 측면에 튀어나온 사이드 미러(3, 4)로 인해 연비가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1)의 양 측면에 튀어나온 사이드 미러(3, 4)는 차량(1)의 주차 시 부딪힐 염려가 있고, 차량(1)의 외관 디자인에도 제약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 내부에 오목 거울을 설치하여 측후방 시계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 미러가 연구되기도 하는데, 오목 거울을 이용할 경우, 운전자의 눈 위치에 따라서 상의 왜곡이 발생하거나 초점이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 및 거울을 이용하여 차량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운전자의 사각 지대를 없앨 수 있는 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곡률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렌즈 및 거울을 이용하여 사이드 미러의 돌출부를 줄여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고, 접촉 사고 등으로 인한 사이드 미러의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는 렌즈를 이용하여 평면 거울에 맺히는 상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에 의해 굴절된 빛을 반사시키는 거울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입사광이 입사되며 기 설정된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입사면 및 상기 굴절된 빛이 출사되며, 복수의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출사면을 포함하는 사이드 미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사면 및 출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에 의해 굴절된 빛을 반사시키는 거울을 포함하며, 상기 입사면 및 출사면 각각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르고, 상기 렌즈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사면의 길이 방향의 곡률 반경 및 상기 출사면의 길이 방향의 곡률 반경이 서로 상이한 사이드 미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률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렌즈 및 반사 거울을 이용하여 사이드 미러를 구현함으로써, 운전자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이드 미러의 돌출부 면적을 줄여 차량 주행시 공기 저항 계수가 감소하여 연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 미러의 돌출부 크기를 줄임으로써, 돌출된 사이드 미러와의 접촉 사고로 인한 보행자의 부상이나 사이드 미러 자체의 파손 가능성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출사면을 포함하는 렌즈를 이용함으로써, 평면 거울에 맺히는 상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드 미러의 거울 부분이 차량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종래 차량의 외측에 부착되는 사이드 미러에 비하여 반사 거울의 유효 면적을 증가시켜서 운전자의 측후방 가시 영역을 확대 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 구조에 따른 운전자의 시야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사이드 미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미러의 x-y 평면에 대한 곡률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에 적용되는 렌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사이드 미러 렌즈의 영상 입사각이 0도에서 40도 범위일 때, 5도 간격으로 렌즈 입사각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각 입사각의 9개 지점에서의 곡률과 입사각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보간법(interpolation)을 사용하여 출사면의 곡률이 입사각에 대하여 연속하도록 설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렌즈와 거울을 이용하여 사각 지대를 감소시키며, 차량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을 줄여 공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이드 미러에 대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렌즈의 입사면과 달리 렌즈의 출사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렌즈를 통해 굴절된 빛이 평면 거울에 균등하게 입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및 평면 거울을 이용하여, 상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이드 미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미러는 차량뿐만이 아니라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하여 적용가능한 다른 응용 분야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미러가 차랑에 이용되는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차량용 사이드 미러(300)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3에서는 본 발명의 사이드 미러가 좌우측 프론트 도어에 장착되는 실시예를 제시하였으나, 차량의 설계에 따라서 사이드 미러의 위치는 프론트 도어가 아닌 차량의 측벽에 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3에서 제시한 사이드 미러가 프론트 도어에 부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300)는 입사되는 빛(입사광)을 굴절시키는 렌즈(212) 및 렌즈에 의해 굴절된 빛을 반사시키는 거울(114)을 포함하며, 렌즈는 빛이 입사되며 기 설정된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입사면(212a) 및 굴절된 빛이 출사되며, 복수의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출사면(212b)을 포함한다. 거울(114)은 일실시예로서 평면 거울일 수 있다.
입사면(212a)은 하나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는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입사면(212a) 및 출사면(212b)의 곡률 반경은 x-y 평면 상에서 형성되는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이며, 렌즈(212)는 전술된 바와 같이, z축 방향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는데, 이는 도 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x-y 평면은 렌즈(21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평면이며, x-y 평면과 수직한 축인 z축 방향은 렌즈(212)의 높이 방향과 대응된다. 즉, 입사면(212a) 및 출사면(212b)의 곡률 반경은 렌즈(21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렌즈(212)의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212)의 출사면(212b)은, 등각도 간격으로 입사되어 렌즈(212)에 의하여 굴절된 빛이 평면 거울(114)에 등간격으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곡률 반경을 포함한다. 여기서, 출사면(212b)은 일실시예로서, 일정한 입사 각도 간격으로 입사된 빛(입사광)에 대해서, 예를 들어 입사각도가 0~40도 범위에서 5도 간격으로 입사된 경우에, 굴절된 빛이 평면 거울(114)에 등간격으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곡률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입사각(θ)은 입사 광선과 차 벽(차량 측면, 105)이 이루는 각도이다.
즉, 렌즈(212)의 출사면(212b)은, 복수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는 연속된 곡면의 형태이다. 렌즈(212)의 출사면(212b)은 굴절된 빛이 평면 거울(114)에 등간격으로 입사되도록, 특정 위치에 따라 곡률이 다르게 설계된 비구면(非球面))일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212)에 의해 굴절된 빛은 평면 거울(114)에 등간격으로 입사된 후 반사되며, 따라서 평면 거울(114)에 상이 균등하게 맺힐 수 있고 결국, 상의 왜곡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212)를 통과한 빛이, 굴절되어 평면 거울(114)에서 반사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100) 측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는 사각 지대 없이 0~40도의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으며, 렌즈(212)는 최대 7cm 정도 차량(10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 실시예는 도 5에서 후술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사이드 미러와 같이 20cm이상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도,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며, 운전자의 측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이드 미러에 의한 공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렌즈(212)를 통해 굴절된 빛이 평면 거울(114)에 등간격으로 입사되어 반사됨으로써, 상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설계 변경을 통해, 렌즈(212) 및 평면 거울(114)의 위치, 돌출 정도, 렌즈(212)의 곡률 반경 및 평면 거울(114)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300)의 x-y 평면에 대한 곡률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렌즈를 굴절률이 1.49인 아크릴로 제작하는 경우, 0도에서 5도 간격으로 40도까지의 입력상이, 수평에 대해서 8도 기울어진 반사 거울에 균등하게 입사되기 위한 각 입력 각도에 대한 렌즈의 곡률 설계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5에서 0도, 5도 내지 40도 각각은 입사광선의 입사각(θ)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과 평면 거울(114)의 각도는 8도, 후술되는 기준선과 수직이되는 직선과 x축의 각도는 80도로 설계될 수 있다. 입사면(212a)의 곡률 반경(R1)은 일실시예로서 80cm이고 평면 거울(114)의 너비는 18cm이다. 그리고 출사면(212b)은 일실시예로서 9개의 곡률 반경(42cm, 45cm, 56cm, 70cm, 130cm, 200cm, -1000cm, -147cm)을 포함하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도5에서는 출사면(212b) 렌즈의 곡률에 대해, 렌즈 축에 10도 기울어진 기준선에 곡률 원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설계한 실시예이다. 그리고 렌즈 축은 입사면(212a) 렌즈의 광축을 의미한다. 기준선은 출사면 렌즈의 곡률 원들의 중심이 위치하는 축이 된다. 도5에서 마이너스 곡률은 원의 중심이 차량외부의 기준선 위에 존재함을, 플러스 값은 차량 내부의 기준선 위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입사면(212a) 렌즈의 광축과 출사면(212b) 렌즈의 광축은 서로 일정 각도 기울어 지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렌즈를 굴절률이 1.3 내지 1.5 정도의 값을 갖는 유리, 프라스틱 등을 재질로 설계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두축의 각도는 1도에서 20도 사이의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사각 0도에서 40도에 대하여 5도 균등 간격으로 설정된 입사지점의 9개의 곡률과 입사각과의 관계는 도 11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9개의 곡률과 입사각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여기서 곡률은 곡률 반경의 역수(1/곡률 반경, 즉 1/R1)로 계산된다. 입사각 구간을 작게 만들어, 불연속 함수를 연속 함수 형태로 변경하거나 또는 보간법을 통해 연속함수를 찾아내고, 연속함수를 이용하여 출사면(212b)의 곡률을 설계할 수 있다. 도11은 입사 각도가 이산 함수(discrete)인 경우의 실시 예이지만, 입사각이 연속 함수일 때, 출사면(212b)의 곡률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12는 입사각이 연속되는 경우 보간법(interpolation)을 사용하여 출사면의 곡률이 연속하도록 설계한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12의 실시 예에서는 입사각을 5도 간격으로 설정하여 출사면의 곡률을 연속함수로 계산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렌즈 설계시에 더 정밀하게 곡률을 연속 함수로 계산하기 위해서는 입사광의 간격을 5도 이하로 줄이면 되며, 이러한 응용 설계는 본 특허의 실시 예를 참고하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설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하는 가능하다.
0~40도 시야의 빛(입사 광선)이 평면 거울(114)에 균등하게 맺힐 수 있도록 역변환을 통해 출사면(212b)의 곡률을 계산할 수 있으며, 출사면(212b)은 특정 위치에 따라 곡률이 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출사면(212b)은 굴절된 빛을 출사시키며, 복수의 곡률 반경에 의해 출사되는 빛은 평면 거울(114)에 등간격으로 입사된다. 출사면(212b)의 곡률 반경은 출사되는 빛이 평면 거울(114)에 등간격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입사면(212a)의 렌즈 축과 평면 거울(114)의 각도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출사면(212b)의 복수의 곡률 반경의 중심은 입사면(212a)의 렌즈 축과 기 설정된 각도만큼 차이나는 기준선 상에 위치하며, 여기서, 기 설정된 각도는 10도일 수 있다. 입사면(212a)의 렌즈 축과 기준선의 각도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으며, 입사면(212a)의 렌즈 축과 기준선의 각도에 따라 평면 거울(114)에 맺히는 상의 크기 및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에 적용되는 렌즈(21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렌즈(212)는 x-y 평면 상에 형성되는 곡률 반경 및 z축 방향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는 형태이다. x-y 평면은 렌즈(21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평면이며, x-y평면에 수직인 z축 방향은 렌즈(212)의 높이 방향과 평행하다. 즉, 렌즈(212)는 렌즈(212)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곡률 반경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212)의 입사면(212a) 및 출사면(212b)는 z축 방향(렌즈(212)의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R3, R4)을 포함하는 형태이며, 이 때, 입사면(212a)의 z축 곡률 반경(R3) 및 출사면(212b)의 z축 곡률 반경(R4)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212)는 z축 방향(렌즈(212)의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을 가짐으로써, 평면 거울(114)에 맺히는 상이 z축 방향(렌즈(212)의 높이 방향)으로 축소되며, 운전자의 z축 시야가 넓어질 수 있다.
도 7의 (a)는 z축 방향(렌즈(212)의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지 않는 형태의 렌즈가 사용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의 (b)는 z축 방향(렌즈(212)의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는 형태의 렌즈가 사용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b)의 경우, 차량 후방의 나무가 모두(T2) 평면 거울(114)에 표시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7의 (b)와 동일한 평면 거울(114)을 사용하는 도 7의 (a)의 경우, 차량 후방의 나무 중 줄기 부분(T1)이 평면 거울(114)에 표시되지 않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z축 방향(렌즈(212)의 높이 방향)의 곡률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적은 면적의 평면 거울(114)을 통해서도 동일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z축 방향(렌즈(212)의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x-y 평면 상에 형성되는 곡률 반경 및 z축 방향(렌즈(212)의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에 따라 평면 거울(114)의 면적이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x-y 평면 상에 형성되는 곡률 반경에 따라 평면 거울(114)의 너비가 결정될 수 있으며, z축 방향(렌즈(212)의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에 따라 평면 거울(114)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300)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300)는 렌즈(212) 및 평면 거울(114)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16)의 회전에 의해 렌즈(212) 및 평면 거울(114)을 이동시켜 차량용 사이드 미러(300)를 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의 A 각도에서 구동 모터(116)를 회전시켜 도 8b의 B 각도로 차량용 사이드 미러(300)를 접을 수 있어 차량(100)의 공기 저항을 더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차량(100)이 주차 등의 이유로 운행되지 않는 경우, 구동 모터(116)를 더 회전시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사이드 미러(300)를 측면 차체(105, 차 벽) 쪽으로 이동시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100)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사이드 미러(300)를 집어 넣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러한 사이드 미러(300)의 동작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전기차 등의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 설명된 것과 달리, 렌즈(212) 및 평면 거울(114)은 분리되어 조절될 수 있다. 렌즈(212)는 차 벽(105)으로부터 소정 각도 틀어져서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고, 평면 거울(114)의 위치 또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평면 거울(114)의 길이축은 x-y 평면과 평행하고 거울(114)의 높이축은 z 축과 평행하다.
평면 거울(114)은 일실시예로서, 평면 거울(114)의 길이축 또는 높이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평면 거울(114)의 길이축 또는 높이축을 중심으로 거울을 회전시키면 입사각의 입력 영상이 렌즈(212)에 의해 굴절되어 평면 거울(114)에 반사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평면 거울(114)의 길이축을 중심으로 평면 거울(114)을 회전시키면 입력 상의 상하 범위가 조절될 수 있으며, 평면 거울(114)의 높이축을 중심으로 평면 거울(114)을 회전시키면 차 벽면으로부터 입력 상의 좌우 범위가 조절될 수 있다.
평면 거울(114)의 길이축 또는 높이축은 구동 모터(116) 또는 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선호하는 측후방의 가시 영역이 운전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설명된 사이드 미러(300)와 달리 도 10에서 설명되는 사이드 미러는 하우징(900)을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렌즈(212)는 차량(100)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900)은 렌즈(212)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공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 사이드 미러의 경우도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지만, 하우징 자체에 의한 공기 저항 또한 존재하기 때문에, 하우징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212)가 차량(100) 외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7cm 정도에 불과하므로, 렌즈(212)를 감싸는 하우징 역시 종래 비해 매우 작아질 수 있으며, 결국, 하우징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5)

  1.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렌즈 및
    상기 렌즈에 의해 굴절된 빛을 반사시키는 거울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입사광이 입사되며 기 설정된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입사면 및
    상기 굴절된 빛이 출사되며, 복수의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출사면
    을 포함하는 사이드 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의 복수의 곡률 반경은
    균등한 입사 각도로 입사되는 상기 입사광이, 상기 렌즈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거울에 등간격으로 입사되도록 하기위한 곡률 반경인
    사이드 미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평면 거울인
    사이드 미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렌즈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곡률 반경인
    사이드 미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은 상기 렌즈의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는 형태이며,
    상기 입사면의 상기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 및 상기 출사면의 상기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이 서로 상이한
    사이드 미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의 복수의 곡률 반경의 중심은
    상기 입사면의 렌즈 축과 기 설정된 각도만큼 차이나는 기준선 상에 위치하는
    사이드 미러.
  7.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상기 렌즈의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하우징
    을 더 포함하는 사이드 미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인
    사이드 미러.
  9. 곡면 형상의 입사면 및 출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에 의해 굴절된 빛을 반사시키는 거울을 포함하며,
    상기 입사면 및 출사면 각각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르고, 상기 렌즈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입사면의 길이 방향의 곡률 반경 및 상기 출사면의 길이 방향의 곡률 반경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입사면 및 상기 출사면은 상기 렌즈의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는 형태인
    사이드 미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은 상기 렌즈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는 형태이며,
    상기 출사면은 상기 렌즈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곡률 반경을 포함하는 형태인
    사이드 미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의 복수의 곡률 반경은
    균등한 입사 각도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상기 렌즈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거울에 등간격으로 입사되도록 하기위한 곡률 반경인
    사이드 미러.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의 위치 또는 각도에 따라 측후방의 가시 영역이 조절되는
    사이드 미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상기 거울의 길이축 또는 높이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이드 미러.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평면 거울인
    사이드 미러.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미러는
    차량용 사이드 미러인
    사이드 미러.
KR1020140178660A 2014-08-29 2014-12-11 사이드 미러 KR101596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660A KR101596601B1 (ko) 2014-12-11 2014-12-11 사이드 미러
PCT/KR2015/007906 WO2016032135A1 (ko) 2014-08-29 2015-07-29 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660A KR101596601B1 (ko) 2014-12-11 2014-12-11 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601B1 true KR101596601B1 (ko) 2016-03-07

Family

ID=5554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660A KR101596601B1 (ko) 2014-08-29 2014-12-11 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890A (ko) * 2017-01-09 2018-07-18 고영수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사이드미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2859A (ja) * 2011-08-09 2013-03-21 Murakami Corp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2859A (ja) * 2011-08-09 2013-03-21 Murakami Corp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890A (ko) * 2017-01-09 2018-07-18 고영수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사이드미러
KR102038514B1 (ko) 2017-01-09 2020-01-08 고영수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사이드미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32431B (zh) 外部后视镜组件
US6717610B1 (en) Wide angle image capture system for vehicle
US10788665B2 (en)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head-up display device
US6290378B1 (en)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200371351A1 (en) Head-up display light trap
KR20140124136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의 커버 및 이를 포함한 하우징
WO2015098558A1 (ja) 死角補助装置
CN105549315A (zh) 车载后视镜转向投影系统
KR101596601B1 (ko) 사이드 미러
ES2551513B2 (es) Luz de proximidad para vehículo automóvil
CN113448102B (zh) 平视显示器
JP2013052859A (ja)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US20220390083A1 (en) Lighting module for lateral part of a vehicle
KR102095165B1 (ko) 차량용 보조미러모듈
US10486600B1 (en) Systems for improving side-mirror functionality of a vehicle
US10347133B2 (en) Optical device
KR101585101B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JPH03503752A (ja) 車の後方確認装置
KR20160090519A (ko) 차량의 헤드업디스플레이(hud) 장치
EP3650933A1 (en) Illumination device, vehicle component and vehicle
KR101198124B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20020042600A (ko) 사각지대 가시경
TW201531420A (zh) 後視鏡裝置
JP2019045843A (ja) 光学投影システム
CN217689621U (zh) 一种汽车抬头显示器光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