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792B1 -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792B1
KR102094792B1 KR1020180076038A KR20180076038A KR102094792B1 KR 102094792 B1 KR102094792 B1 KR 102094792B1 KR 1020180076038 A KR1020180076038 A KR 1020180076038A KR 20180076038 A KR20180076038 A KR 20180076038A KR 102094792 B1 KR102094792 B1 KR 102094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rist
providing
user
smartpho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491A (ko
Inventor
신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즐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즐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즐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80076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7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관광장소의 위치와, 상기 관광장소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저장된 라이브러리; 복수 개의 상기 관광장소를 선정하는 관광 선정부와, 각 관광장소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경로 설정 모듈; 상기 관광장소에 도착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주변을 인식하여 상기 관광장소에 해당하는 안내 정보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제공하는 안내 모듈; 상기 관광장소 별로 미션을 제공하는 미션 설정부와, 상기 미션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수행 판단부를 포함하는 미션 제공 모듈; 상기 미션의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Augmented Reality Based Areas of Specialization Inform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지역 특화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어촌이나 산촌, 농촌 등 지역 특색을 갖는 마을에 지역 특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마을을 다양하게 체험하는 방식으로 관광 가능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몇 해 전까지만 해도 생소했던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이란 단어들은 이제 콘텐츠를 만드는 미래의 일자리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은 비약적으로 발전된 휴대 가능한 단말인 스마트폰의 일반 보급에 따라 누구나 쉽게 체험 및 활용이 가능한 콘텐츠로 자리 잡게 되었으며, 특히 한 번 콘텐츠를 제작해 두면 누구나 자신이 보유한 스마트폰을 활용해 자신의 요구사항이 쉽게 적용될 수 있는 맞춤형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에는 각종 지자체들이 나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콘텐츠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가상현실의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가상현실 공간을 출력할 별도의 HMD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장비가 구비된 설치물을 기본적으로 필요로 한다. 다만, 사용자에게 보이는 전체가 가상으로 재구성된 매체이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가상 경험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증강현실의 경우, 사용자가 보유한 스마트폰 등의 단말 화면을 통해 실제 촬영된 영상에 추가적으로 가상의 오브젝트를 합성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실제 주변을 촬영한 영상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별도의 안전장비가 필요 없으나 가상의 오브젝트가 영상에 합성되면서 발생하는 이질감이 어느 정도 존재한다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선행특허가 출원되어 있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 10-1814299호 ‘미션 수행을 통한 방문자 수의 증가를 유도하는 보물찾기 존 활성화 광고 촉진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은, 광고주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보물찾기 존(zone)에 관한 지리적 상세 정보, 상기 퀴즈 미션 및 포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빅데이터화시켜 보물찾기 앱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해 두며, 사용자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미션 지점에 위치함을 확인할 시 적어도 하나의 미션 지점을 기준으로 미션 수행 경로를 자동 지정해 주면서 상기 보물찾기 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퀴즈 미션을 풀도록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미션 수행 답안에 대한 정답여부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정답 체크로 파악된 답안점수와 1:1 매칭된 경품 추첨권한, 희망상품 교환 권한 및 포인트 적립 권한을 포함하는 상기 포상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보물찾기 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포상 지급되도록 지령함에 의해 소비자들이 능동적으로 오프라인 광고 이벤트에 참여토록 할 수 있는 광고 촉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광고 촉진 시스템은 미션 수행에 있어 AR이나 VR이 적용되지 않았고, 나아가 입출력 자체가 앱 어플리케이션에 귀속되어 관광지와 연계하여 주변 환경이나 경관을 바라보기 위한 여행의 보조로 활용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 10-2016-0134172호 ‘관광 정보를 기반으로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는, 지역별 문화 관광지와 관련된 정보를 게임으로 제공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게임에 대한 답을 사용자가 입력하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답을 정답으로 인정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게임 제공 장치로 구성된다.
본 선행기술은 이전 선행기술과 대비하였을 때에도 현장감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기에는 다소 기능이 떨어져 있어 원하는 수준의 여행 보조 컨텐츠로서 소비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지역 특화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어촌이나 산촌, 농촌 등 지역 특색을 갖는 마을에 지역 특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마을을 다양하게 체험하는 방식으로 관광이 가능한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여 어촌이나 산촌, 농촌 등 지역 특색을 갖는 마을을 관광할 수 있도록 경로 안내 및 정보 안내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사용자의 관광 시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지역 특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증강현실을 통해 다양한 문화나 역사, 설화 등을 체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나아가,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지정된 관광 경로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목적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주변 목적물들과 비교하여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물 방문 및 선택에 있어 보다 복합적인 방법으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관광장소의 위치와, 상기 관광장소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저장된 라이브러리; 복수 개의 상기 관광장소를 선정하는 관광 선정부와, 각 관광장소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경로 설정 모듈; 상기 관광장소에 도착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주변을 인식하여 상기 관광장소에 해당하는 안내 정보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제공하는 안내 모듈; 상기 관광장소 별로 미션을 제공하는 미션 설정부와, 상기 미션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수행 판단부를 포함하는 미션 제공 모듈; 상기 미션의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경로에서 상기 관광장소 도착 전 영역에는 사전 구조물이 위치하고,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관광장소의 홍보 내용을 수록한 지시 메시지가 상기 관광장소 별로 복수 개로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사전 구조물을 인식하는 구조물 인식부와, 인식된 상기 사전 구조물 주변의 관광장소에 대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지시 메시지 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관광장소에는, 고유의 메인 ID를 포함한 안내마커를 구비한 안내 구조물이 위치하고, 상기 경로에서 상기 관광장소 도착 전 영역에는, 상기 메인 ID에 종속된 서브 ID를 포함한 사전마커를 구비한 사전 구조물이 위치하며,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메인 ID와 서브 ID로 할당된 상기 안내 구조물과 사전 구조물을 인식할 수 있는 ID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관광장소의 홍보 내용을 수록한 지시 메시지가 상기 관광장소 별로 복수 개로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사전마커의 서브 ID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ID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서브 ID로 할당된 상기 사전 구조물을 인식하는 구조물 인식부와, 인식된 상기 사전 구조물 주변의 관광장소에 대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사전 구조물 인식 시점으로부터 상기 관광장소에 사용자가 도착할 때까지의 상기 사용자의 이동 거리와 시간 별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상기 지시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지시 메시지 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로,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관광장소에 위치하는 건물, 시설물, 자연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목적물의 위치와 형상을 저장한 목적물 데이터베이스와, 관광 목적과 주제 별로 상위 분류 및 하위분류로 분류된 분류기준에 의해 상기 목적물에 부여된 속성코드를 저장한 목적물 코드 데이터베이스 및, 서로 다른 상기 관광장소의 목적물끼리의 비교내용을 수록한 복수 개의 비교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모듈은, 상기 목적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관광장소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목적물의 위치와 형상을 인식하는 목적물 인식부 및, 상기 관광장소의 후속 관광장소에 위치한 목적물 및 인식된 상기 목적물 각각에 부여된 속성코드가 동일한 분류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분류 파악부와, 두 개의 상기 속성코드가 동일 분류로 파악 시 해당 두 곳의 목적물에 대한 상기 비교 컨텐츠를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하는 비교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1)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여 어촌이나 산촌, 농촌 등 지역 특색을 갖는 마을을 관광할 수 있도록 경로 안내 및 정보 안내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관광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2) 사용자의 관광 시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콘텐츠 제공으로 다양한 문화나 역사, 설화 등을 체험함으로써, 사용자의 문화 및 역사 지식을 함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지정된 관광 경로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목적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주변 목적물들과 비교하여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목적물 방문 및 선택에 있어 보다 복합적인 방법으로 선택을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체험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경로 설정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전 구조물 및 안내 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스마트폰을 통해 비교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스마트폰을 통해 문제를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디스플레이와 발이 구비된 안내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안내 구조물을 활용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지역에 특화된 콘텐츠인 지역 특화 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지역 특화 콘텐츠라고 함은, 특정 지역에 있어서 특화될 수 있는 자연경관이나 유적, 건물 등을 기준으로 이것들에 의해 특화된 콘텐츠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악산을 기준으로 한다고 하면, 설악산에는 흔들바위나 대청봉, 울산바위, 토왕성폭포, 오색약수터, 비룡폭포 등 다양한 자연경관들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설악산의 지역 특화 콘텐츠는 이러한 자연경관(자연물)들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시로서 장사항을 기준으로 한다면 장사항 주변에는 영금정길, 장사항해변, 회센터, 바다숲 공원, 인어석상, 장사항 등대 등이 위치하고 있어 이를 활용한 지역 특화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외에도 지역 특화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예시를 들 수 있겠으나, 설명의 편의 상 장사항을 기준으로 하는 지역 특화 콘텐츠를 활용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기반으로 설명을 이어나가도록 한다.
먼저,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메인 서버(10)와, 사용자(12) 및 사용자(12)가 보유한 것으로서, 메인 서버(10)와 직접적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스마트폰(11)을 기본으로 한다.
사용자(12)는 스마트폰(11)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메인서버(1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12)가 경로 혹은 안내를 요청하는 경우, 스마트폰(11)은 메인서버(10)로부터 연산된 경로안내를 제공받아 사용자(12)에게 출력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안내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메인서버(10)에서는 이러한 안내 시 사용자(12)에게 별도의 미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12)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경로 설정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전 구조물 및 안내 구조물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세부적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라이브러리(300)에는 장사항에 위치하고 있는 각 관광장소(100)들의 위치와, 이 관광장소(100)들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저장된 라이브러리(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관광장소(100)의 위치라고 함은 GPS좌표와 같이 안내가 가능한 절대적인 위치정보를 의미하는 것이며, 안내 정보의 경우 각 관광장소(100)에 대한 유래나 역사, 설명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이러한 관광장소(100)들을 이어 사용자(12)가 방문할 경로(20)를 지정하는 경로 설정 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
경로 설정 모듈(400)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가장 먼저 사용자(12)가 방문할 복수 개의 관광장소(100)를 선정하는 관광 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관광장소(100)의 선정은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겠지만, 체험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관광장소(100)를 필수적으로 포함시키거나 혹은 제외하는 방법, 사용자(12)에게 미리 설문을 제공받거나 사용자(12)의 sns분석 등을 통해 사용자(12)의 니즈를 파악하고 파악된 사용자(12) 니즈에 따라 관광장소(100)를 선정하는 방법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관광장소(100)가 선정되면, 각 관광장소(100)를 효율적으로 방문할 수 있도록 이들을 하나의 경로(20)로 묶는 경로 생성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경로 생성부는 자체적으로 도로나 인도 등이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거나 혹은 외부 GIS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도로나 인도와 같은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경로(20)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12)가 관광장소(100)에 도착 시 사용자(12)의 스마트폰(11)을 통해 관광장소(100)에 해당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안내 모듈(5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12)가 해당 관광장소(100)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나 경험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그 관광장소(100)가 어떻게 유명한지, 어디를 관람하는 것이 좋은지 등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때에 스마트폰(11)을 활용해 주변을 인식하여 제공된 안내정보가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출력될 수 있는데, 이는 쉽게 말해 스마트폰(11)에 구비된 카메라(241)로 주변을 촬영하게 되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주변에 위치하는 목적물 등의 객체와 배경 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제 주변 환경에 안내정보가 띄워져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안내 출력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증강현실 방식의 출력 제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증강현실의 공지된 활용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사용자(12)로 하여금 각 관광장소(100)를 들를 때에 보다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경로(20)에 포함된 각 관광장소(100)별로 특정한 미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미션 설정부(610)와, 이 미션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수행 판단부(620)를 포함하는 미션 제공 모듈(600)과, 미션의 수행 여부에 따라 사용자(12)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모듈(800)을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12)에게 강한 동기부여 및 오락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미션의 예를 들면 장사항에 위치한 바다숲 공원에 도착하였을 때, ‘바다숲 공원에 있는 특정 수목을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하라’와 같은 관광/체험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미션들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또, 복수의 미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미션들을 하나로 엮어 마치 이야기의 흐름을 따라 내용이 진행되듯, 미션들도 이야기를 적용하여 한 편의 이야기를 따라 가는 것처럼 이야기 내용을 따라 각각의 관광장소(100)를 들르면서 미션을 해결하여 후속 이야기들을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관광장소(100)에는 스마트폰(11)을 통해 인식 가능한 안내 구조물(120)을 위치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12)의 경로(20)에서 관광장소(100)에 도착하기 전 영역에도 스마트폰(11)을 통해 인식 가능한 사전 구조물(11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11)을 통해 인식되는 구성의 경우, QR코드나 바코드, NFC, RFID, WI-DI, Bluetooth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안내 구조물(120)에는 고유의 메인 ID를 포함한 안내마커가, 사전 구조물(110)에는 이 메인 ID에 종속된 서브 ID를 포함하는 사전마커가 구비되는 것이며, 이들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이브러리(300)에는 메인 ID와 서브 ID로 할당된 안내 구조물(120)과 사전 구조물(110)을 인식할 수 있는 ID 데이터베이스(320)가 구비될 수 있고, 추가로 관광장소(100)의 홍보 내용을 수록한 지시 메시지(210)가 관광장소(100) 별로 복수 개로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베이스(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안내마커와 사전마커의 종류는 앞서 언급한 구성이 적용 가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안내마커의 경우 고유의 메인 ID를 가지고 있어 이 메인 ID가 인식되면 어떠한 관광장소(100)에 위치하는 안내 구조물(120)인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서브 ID는 메인 ID에 종속되어 있으며, (특히 사전 구조물(110)은 여러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ID들을 인식하게 되면, 자동으로 종속된 메인 ID를 통해 해당 서브 ID를 갖는 사전마커가 구비된 사전 구조물(110)이 어떠한 관광장소(100)에 위치하는 것인지를 알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안내 모듈(500)은, 스마트폰(11)에서 사전마커의 서브 ID를 인식하여 ID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서브 ID로 할당된 사전 구조물(110)을 인식할 수 있는 구조물 인식부(510)가 구비되며, 이러한 구조물 인식부(510)를 통해 인식된 사전 구조물(110) 주변의 관광장소(100)에 대한 지시 메시지(210)를 사용자(12)에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지시 메시지(210)는 사전 구조물(110)의 인식 시점으로부터 관광장소(100)에 사용자(12)가 도착할 때 까지 사용자(12)의 이동 거리나 시간 별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메시지를 구비토록 하여, 이렇게 서로 다른 메시지를 스마트폰(11)을 통해 제공하는 지시 메시지 제공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구조물(110)이 안내 구조물(120)로부터 약 200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였다고 가정할 때, 사전 구조물(110)에서 안내 구조물(120)을 향해 50m씩 움직일 때 마다 스마트폰(11)을 통해 ‘어서 오세요, 얼마 안 남았습니다1’와 같은 격려의 메시지나 ‘조금만 더 가시면 해변가에 위치한 숲, 바다숲 공원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1’와 같은 환영멘트 등을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러한 지시 메시지(210)는 스마트폰(11)으로 단순하게 출력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겠지만, 이 외에도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12)가 스마트폰(11)의 화면을 쳐다보고 있는 상황에서도 안전하고 용이하게 안내 구조물(120)을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제공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스마트폰을 통해 비교 컨텐츠를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또한, 이 관광장소(100)는 하나의 건물이나 시설물, 환경요소를 대상으로 지정된 경우도 있겠지만, 둘 이상의 건물이나 시설물, 자연경관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장소가 될 수도 있다.
특히 회센터와 같이 수많은 가게와 건물이 위치하는 곳의 경우, 어느 하나의 특정한 횟집을 관광장소(100)로 지정하였더라도 그 주변에 다른 횟집들이나 다른 건물들이 더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산책로를 따라 걷고 있을 때에도 산책로 주변에는 다른 건물이나 시설물, 환경물 등의 목적물이 더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속성코드이다.
속성코드는 이러한 목적물을 기 지정된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자(12)에게 분류된 속성코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속성코드의 적용은 사용자(12)가 특정하지 못한 상태로 어떤 건물이나 시설물, 환경물을 찾길 바라는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흔히 선택장애라고 불리는 것처럼 하나의 관광장소(100)에 수많은 건물이나 시설물, 환경물이 밀집해있는 경우 혹은 회센터와 같이 다양한 횟집이 밀집된 곳에서 사용자(12)의 취향에 맞는 정보들을 이 속성코드를 통해 더 빠르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라이브러리(300)에는 관광장소(100)에 위치하는 건물, 시설물, 자연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목적물의 위치와 형상을 저장한 목적물 데이터베이스(330)와, 관광 목적과 주제 별로 상위 분류 및 하위분류로 분류된 분류기준에 의해 목적물에 부여된 속성코드를 저장한 목적물 코드 데이터베이스(340) 및, 서로 다른 관광장소(100)의 목적물끼리의 비교내용을 수록한 복수 개의 비교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관광 목적이라 함은 예를 들면 힐링, 맛집 탐방, 활동 등 액티비티에 관한 것이며, 관광 주제라 함은 바다, 산, 강 등 목적물이 가지는 정의를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제들은 각각 상위분류와 하위분류로 분류될 수 있으며, 필요 시 각 분류를 여러 개로 늘리거나 혹은 별도의 중위분류를 더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광 목적의 맛집 탐방을 기준으로 할 때, 상위 분류는 한식, 양식, 일식, 중식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하위분류는 불고기, 갈비, 비빔밥, 스테이크, 초밥, 회, 볶음밥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편리하게 확인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속성코드로 저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맛집 탐방을 A, 힐링을 B, 활동을 C라 하고, 한식을 a, 양식을 b, 일식을 c, 중식을 d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불고기는 1, 갈비는 2, 비빔밥은 3, 스테이크는 4, 초밥은 5, 회는 6, 볶음밥은 7이 될 수 있으며, 만약 특정 목적물이 갈비집이라고 하였을 때, 이 갈비집에 대한 속성코드는 Aa2로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만약 회의 경우, 특정 지역별로 먹을 수 있는 회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특이점들을 추가적인 분류로 지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준비가 완료되면, 안내 모듈(500)에는 목적물 데이터베이스(330)를 통해 관광장소(100)에서 스마트폰(11)의 화면에 표시된 목적물의 위치와 형상을 인식하는 목적물 인식부(530)를 구비하여 주변의 목적물을 인식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광장소(100)의 후속 관광장소(100)에 위치한 목적물과 인식된 목적물 각각에 부여된 속성코드가 동일한 분류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분류 파악부(540)를 통해 후속 관광장소(100)와의 비교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출 수 있다.
만약 여기서 두 개의 속성코드가 동일 분류로 파악되는 경우, 해당하는 두 곳의 목적물에 대한 비교 컨텐츠(220)를 스마트폰(11)을 통해 제공하는 비교 출력부(550)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12)는 이러한 비교 컨텐츠(220)를 제공받아 즉석에서 그 가치를 비교하여 더욱 효과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광장소(100)에 위치하는 다양한 상점들이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자사의 제품을 광고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목적물 데이터베이스(330)는 관광장소(100)에 위치한 복수 개의 목적물 중 어느 하나를 대표 목적물로 지정할 수 있는데 이는 주로 후속 관광장소(100)에 위치하는 목적물 중 비교를 원하는 목적물을 지정하는 데 활용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분류 파악부(540)에서는 사용자(12)가 위치한 관광장소(100)에서 파악된 복수 개의 목적물들에 순위를 부여하는 순위 부여파트(541)를 구비하여, 앞서 얻어진 속성코드를 기반으로 사용자(12)의 요구나 관광목적에 의해 목적물에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순위의 목적물을 앞서 지정된 후속 관광장소(100)에 대한 대표 목적물의 속성코드와 비교하여 동일 분류인지 여부를 파악하여 동일한 경우에 비교 컨텐츠를 제공토록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비교 판단이 가능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스마트폰을 통해 문제를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관광에 있어 사용자(12)들이 더욱 관광에 빠져들게 하는 방법은 바로 지속적인 참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참여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하나의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다.
먼저, 라이브러리(300)에는 관광장소(100)와 관련된 복수 개의 문제와 힌트 및 정답이 저장된 문제 데이터베이스(36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사항에서 가장 거대한 오징어는 어디에서 볼 수 있을까?’와 같은 문제와, ‘해변을 따라 걷다보면 오징어가 보일 텐데’와 같은 힌트 및 ‘오징어동상’과 같은 정답을 그 예시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참여형 콘텐츠를 문제 콘텐츠라고 할 수 있으며, 이 문제 콘텐츠의 제공을 위해 안내 구조물(120)에는 힌트를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디스플레이(122)가 구비될 수 있고, 나아가 미션 설정부(610)는 스마트폰(11)에서 사전 구조물(110)을 인식 시 사전 구조물(110)이 종속된 관광장소(100)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문제를 스마트폰(11)을 통해 사용자(12)에게 제공하여 정답을 입력받는 문제 제공파트(611)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 때 입력받을 정답은 주관식이나 객관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받는 것이 가능하다. 더하여 스마트폰(11)을 통해 안내 구조물(120)의 인식 시 디스플레이(122)를 통해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는 힌트 제공파트(612)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12)가 사전 구조물(110)의 인식 시점으로부터 안내 구조물(120)의 인식 시점까지 문제를 통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수행 판단부(620)에는 사용자(12)가 이러한 미션에 참여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스마트폰(11)을 통해 입력된 정답을 문제 제공파트(611)를 통해 제공된 문제의 정답과 비교하는 정답 비교파트(621)와, 정답의 점수인 기본 점수를 제공하는 점수 제공파트(622)를 구비하여 사용자(12)가 입력한 정답의 정확도에 따라 점수를 차등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보상 모듈(800)에서는 이러한 점수를 활용해 점수의 고저에 따라 특정한 보상을 차등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여기서 보상의 경우 그 대상이 한정되지 않으며, 가장 쉬운 예시로는 해당 지역에서 판매되는 특산물의 샘플을 제공받을 수 있는 쿠폰을 지급하는 등의 방법이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와 발이 구비된 안내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안내 구조물을 활용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나아가, 안내 구조물(120)을 통해 이러한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안내 구조물(120)은 사용자(12)의 키 정도 높이를 갖되 일종의 간판이나 표지판과 같은 구성을 갖출 수 있다. 이 때 안내 구조물(120)은, 일 측에 디스플레이(122)가 구비된 평탄면(121)과, 이 평탄면(121)의 상단에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봉(123) 및, 지지봉(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것으로서 지지봉(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링(124)과, 신축성 재질로서 두 개의 링(124) 사이를 연결하는 밴드(125) 및, 밴드(1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중력 방향으로 연장된 발(126)과, 밴드(125)의 일 측에 구비되어 밴드(125)의 신축에 따라 발(126)생되는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는 안내 구조물(120)에 디스플레이(122)가 구비된 상태에서 다른 구성들이 디스플레이(122)의 주변에 위치하는 발(126) 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발(126)은 예를 들면 우리 토속 신앙인 서낭당이나 일본의 토속 신앙인 신사에 구비된 줄과 유사한 역할을 하며, 줄을 한번 잡아당긴 후 소원을 비는 것이 하나의 기원 행위로서 알려져 있는데, 이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문제에 대한 힌트를 제공할 수 있는 1석 2조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힌트 제공파트(612)에도 사용자(12)가 스마트폰(11)을 통해 안내 구조물(120)을 인식한 시점에 사용자(12)가 보유한 스마트폰(11)에 ‘발(126)을 당겨 힌트를 제공받으세요’와 같은 발 당김 요청 메시지(230)를 출력하는 발 당김 요청수단(613)과, 사용자(12)에 의해 발(126)이 당겨지면서 장력 센서에서 장력 값의 발(126)생이 측정되면 디스플레이(122)에서 문제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는 발 당김 힌트 제공수단(61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12)가 발(126)을 충분한 힘으로 당기게 되면 힌트를 제공토록 함으로써, 사용자(12)로 하여금 이러한 문제 해결에 물리적으로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관심의 환기에 보다 효율적인 구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디스플레이(122)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분할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표시되는 이미지나 문자 등을 여러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2 사이즈나 3*3 사이즈 혹은 후술하겠지만 이 영역 분할은 결국 사용자(12)에게 부여될 점수와 연관이 있으므로 최대한 많은 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힌트 제공파트(612)는, 사용자(12)에 의해 발(126)이 당겨지면서 발(126)생되는 링(124)의 이동량과, 회전 수 및 밴드(125)의 장력 값 발(126)생을 감지하면 이들을 매개로 해제 점수를 생성하는 해제 점수 생성수단(615)이 구비될 수 있고, 나아가 이 해제 점수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발 당김 힌트 제공수단(614)은 해제 점수의 고저에 비례하여 힌트가 제공되도록 활성화 될 분할 영역의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라고 하는 것은 디스플레이(122)를 예로 들면 on시켜 어떠한 출력물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여기서는 꺼져있던 각 분할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on시켜 해당 분할 영역에 위치한 힌트를 사용자(12)에게 보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반대되는 비활성화는 해당 분할 영역을 off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나 움직임이 발(126)에 가해졌을 때에만 힌트가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자연스럽게 사용자(12)의 체험 및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메인서버 11: 스마트폰
12: 사용자 20: 경로
100: 관광장소 110: 사전 구조물
120: 안내 구조물 121: 평탄면
122: 디스플레이 123: 지지봉
124: 링 125: 밴드
126: 발 210: 지시 메시지
220: 비교 컨텐츠 230: 발 당김 요청 메시지, 표식
240: 표식 241: 카메라(동공센서)
300: 라이브러리 310: 메시지 데이터베이스
320: ID 데이터베이스 330: 목적물 데이터베이스
340: 목적물 코드 데이터베이스 350: 비교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360: 문제 데이터베이스 400: 경로 설정 모듈
500: 안내 모듈 510: 구조물 인식부
520: 지시 메시지 제공부 530: 목적물 인식부
540: 분류 파악부 541: 순위 부여파트
550: 비교 출력부 600: 미션 제공 모듈
610: 미션 설정부 611: 문제 제공파트
612: 힌트 제공파트 613: 발 당김 요청수단
614: 발 당김 힌트 제공수단 615: 해제 점수 생성수단
616: 시간 측정수단 620: 수행 판단부
621: 정답 비교파트 622: 점수 제공파트
700: 보상 모듈

Claims (10)

  1.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관광장소의 위치와, 상기 관광장소를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저장된 라이브러리;
    복수 개의 상기 관광장소를 선정하는 관광 선정부와, 각 관광장소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생성하는 경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경로 설정 모듈;
    상기 관광장소에 도착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주변을 인식하여 상기 관광장소에 해당하는 안내 정보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제공하는 안내 모듈;
    상기 관광장소 별로 미션을 제공하는 미션 설정부와, 상기 미션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수행 판단부를 포함하는 미션 제공 모듈;
    상기 미션의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보상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관광장소에는, 고유의 메인 ID를 포함한 안내마커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안내 구조물이 위치하고,
    상기 경로에서 상기 관광장소 도착 전 영역에는, 상기 메인 ID에 종속된 서브 ID를 포함한 사전마커를 구비한 사전 구조물이 위치하며,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메인 ID와 서브 ID로 할당된 상기 안내 구조물과 사전 구조물을 인식할 수 있는 ID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관광장소의 홍보 내용을 수록한 지시 메시지가 상기 관광장소 별로 복수 개로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관광장소와 관련된 복수 개의 문제와 힌트 및 정답이 저장된 문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사전마커의 서브 ID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ID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서브 ID로 할당된 상기 사전 구조물을 인식하는 구조물 인식부와, 인식된 상기 사전 구조물 주변의 관광장소에 대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사전 구조물 인식 시점으로부터 상기 관광장소에 사용자가 도착할 때까지의 상기 사용자의 이동 거리와 시간 별로 복수 개의 서로 다른 상기 지시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지시 메시지 제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미션 설정부는,
    상기 구조물 인식부를 통해 상기 사전 구조물을 인식 시 상기 사전 구조물 주변의 관광장소에 대한 상기 문제를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정답을 입력받는 문제 제공파트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안내 구조물을 인식 시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는 힌트 제공파트를 구비하고,
    상기 수행 판단부는,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된 정답을 상기 문제 제공파트를 통해 제공된 문제의 정답과 비교하는 정답 비교파트와, 상기 정답의 점수인 기본 점수를 제공하는 점수 제공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구조물은,
    일 측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의 상단에 횡 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과, 신축성 재질로서 두 개의 상기 링 사이를 연결하는 밴드 및, 상기 밴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중력 방향으로 연장된 발과, 상기 밴드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밴드의 신축에 따라 발생되는 장력을 측정하는 장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힌트 제공파트는,
    상기 안내 구조물의 인식 이후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발 당김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는 발 당김 요청수단과, 상기 장력 센서에서 장력 감지 시 장력 값 발생 유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는 발 당김 힌트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에서 상기 관광장소 도착 전 영역에는 사전 구조물이 위치하고,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관광장소의 홍보 내용을 수록한 지시 메시지가 상기 관광장소 별로 복수 개로 저장된 메시지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 모듈은,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사전 구조물을 인식하는 구조물 인식부와, 인식된 상기 사전 구조물 주변의 관광장소에 대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지시 메시지 제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러리는,
    상기 관광장소에 위치하는 건물, 시설물, 자연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목적물의 위치와 형상을 저장한 목적물 데이터베이스와, 관광 목적과 주제 별로 상위 분류 및 하위분류로 분류된 분류기준에 의해 상기 목적물에 부여된 속성코드를 저장한 목적물 코드 데이터베이스 및, 서로 다른 상기 관광장소의 목적물끼리의 비교내용을 수록한 복수 개의 비교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모듈은,
    상기 목적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관광장소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목적물의 위치와 형상을 인식하는 목적물 인식부 및, 상기 관광장소의 후속 관광장소에 위치한 목적물 및 인식된 상기 목적물 각각에 부여된 속성코드가 동일한 분류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분류 파악부와, 두 개의 상기 속성코드가 동일 분류로 파악 시 해당 두 곳의 목적물에 대한 상기 비교 컨텐츠를 상기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하는 비교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물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관광장소에 위치한 복수 개의 목적물 중 어느 하나를 대표 목적물로 지정하고,
    상기 목적물 인식부는,
    복수 개의 상기 목적물의 위치와 형상을 인식하며,
    상기 분류 파악부는,
    상기 복수 개의 목적물에 순위를 부여하는 순위 부여파트를 구비하여, 제 1 순위의 목적물과 상기 후속 관광장소에 대한 상기 대표 목적물의 속성코드가 동일 분류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트 제공파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발이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링의 이동량, 링의 회전 수 및 밴드의 장력 감지 시 장력 값을 통해 해제 점수를 생성하는 해제 점수 생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발 당김 힌트 제공수단은,
    상기 해제 점수의 고저에 비례하여 상기 힌트가 제공되도록 활성화 될 상기 분할 영역의 개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76038A 2018-06-29 2018-06-29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94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038A KR102094792B1 (ko) 2018-06-29 2018-06-29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038A KR102094792B1 (ko) 2018-06-29 2018-06-29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91A KR20200002491A (ko) 2020-01-08
KR102094792B1 true KR102094792B1 (ko) 2020-03-30

Family

ID=6915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038A KR102094792B1 (ko) 2018-06-29 2018-06-29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7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985B1 (ko) 2020-12-29 2022-02-14 주식회사 버넥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매뉴얼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84850A (ko) 2020-12-14 2022-06-21 박성아 역사 문화 탐방 체험 서비스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787B1 (ko) * 2020-07-01 2022-08-23 (주)케이시크 자율주행자동차 연결 관광서비스 제공방법
KR102320214B1 (ko) * 2020-09-07 2021-11-02 김소현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KR102479974B1 (ko) * 2020-12-18 2022-12-21 (주)유한미디컴 Ar 및 vr 영상을 이용한 관광지 가이드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7158648B2 (ja) * 2020-12-22 2022-10-24 株式会社カプコン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29461B1 (ko) * 2021-04-29 2022-08-03 최재식 지역 내 배치된 안내판 및 지역 화폐를 연동한 관광 촉진용 컨텐츠 제공 단말
KR102466655B1 (ko) * 2021-07-30 2022-11-16 (주)미소정보기술 소상공인 및 사용자를 위한 메타버스 기반 게이미피케이션 서비스 방법 및 그 프로그램
WO2023074948A1 (ko) * 2021-10-28 2023-05-04 이성오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CN116739838B (zh) * 2023-05-06 2024-03-08 广州圈量网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地理位置智能分析的客流量分流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659B1 (ko) 2016-12-23 2018-03-22 (주)아이어스 증강현실을 이용한 게임형 관광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8425A (ko) * 2007-08-17 2009-02-20 주식회사 대양통신 장소 기반 전파 태그 게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게임방법
KR20100096409A (ko) * 2009-02-24 2010-09-02 신훈희 무선주파수 식별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미션관광 게임방법
KR20130024997A (ko) * 2011-08-25 2013-03-11 배철웅 주어진 과제의 해결을 통한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652079B1 (ko) * 2014-05-02 2016-08-30 김성훈 게임마켓과 쇼셜커머스를 기반으로 하는 관광게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광고/판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659B1 (ko) 2016-12-23 2018-03-22 (주)아이어스 증강현실을 이용한 게임형 관광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850A (ko) 2020-12-14 2022-06-21 박성아 역사 문화 탐방 체험 서비스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361985B1 (ko) 2020-12-29 2022-02-14 주식회사 버넥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매뉴얼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91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792B1 (ko)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96441B1 (ko)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 여행 가이드 서비스 방법
Andrade et al. A phygital approach to cultural heritage: Augmented reality at regaleira
Alexandridis et al. Personalized and content adaptive cultural heritage path recommendation: an application to the Gournia and Çatalhöyük archaeological sites
CN112001990B (zh) 基于场景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US10520328B2 (en) System for customized games and routes (tours) for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KR20180097851A (ko) 지식 맵 상의 레슨 경로 기반의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96409A (ko) 무선주파수 식별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미션관광 게임방법
Thi Minh Tran et al. Designing exocentric pedestrian navigation for AR head mounted displays
KR20190073032A (ko) 지오펜싱 기반의 컨텐츠를 클라우드소싱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im et al. H-treasure hunt: a location and object-based serious game for cultural heritage learning at a historic site
Rallis et al. A mobile game for enhancing Tourism and Cultural Heritage
Luimula et al. Cultural heritage in a pocket: Case study “Turku castle in your hand”
KR102538391B1 (ko) 연속 콘텐츠 서비스 방법
KR20190013357A (ko) 게임화 투어테인먼트 서비스 플랫폼
Lukas et al. Effects of marked routes in You-are-here maps on navigation performance and cognitive mapping
US20170080330A1 (en) Location-based activity
Allen et al. Urban encounters reloaded: Towards a descriptive account of augmented space
Kotsopoulos et al. An Innovative Platform for Creating Audience-Specific Gamified Cultural Tourism Guides Where Art, Tradition and Culture, Technology and Business Converge
Ho et al. BeaconPass: A Location Based APP Game for Traveler
Hinterecker et al. SQUARELAND 2.0: A flexible and realistic virtual environment for investigating cognitive processes in human wayfinding
TWI777554B (zh) 用於提供用於在一平行實境體驗中顯示之一虛擬元素之方法及電腦可讀儲存媒體
Wang et al. Development of a 3d virtual reality mobile navigation system for geopark
KR102434787B1 (ko) 자율주행자동차 연결 관광서비스 제공방법
張伊伊 Mixed Reality Navigation Interface Design to Promote Urban Expl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