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74948A1 -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74948A1
WO2023074948A1 PCT/KR2021/015331 KR2021015331W WO2023074948A1 WO 2023074948 A1 WO2023074948 A1 WO 2023074948A1 KR 2021015331 W KR2021015331 W KR 2021015331W WO 2023074948 A1 WO2023074948 A1 WO 20230749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ission
passive
poi
service method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3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성오
Original Assignee
이성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오 filed Critical 이성오
Priority to PCT/KR2021/01533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74948A1/ko
Publication of WO20230749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749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ssion creation and providing servic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etting an event area centered on a reference location, automatically collecting POI-related contents included in the event area on the Internet, and then analyzing it.
  • a service method capable of creating and providing missions and linking digital coupons issued by POIs within the event area according to mission performance results.
  • event planners need to prepare for a fruitful and rewarding outdoor event, such as when/where the event will be held, which members will participate, what programs to organize, and what gifts to prepare. So many.
  • a mission based on the local content of the place is created and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and depending on whether the mission is performed or not, a locally-based digital If compensation is paid, the region can actively promote the culture, tourism resources, and businesses of the region, and the user can feel interest and fun and receive rewards for participation.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analyze local POI-related contents centering on a virtually set event area, and to perform missions using location-based contents that can automatically generate and provide various types of missions. It is to provide a service method to create and provide.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coupon provided by a company (POI) in a virtual event area as a reward for performing a mission to help 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actively participate. It is to provide a service method that creates and provides a mission using location-based content that can induce a mission.
  • POI company
  • a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location-based content includes setting a virtual event area around a reference location; generating a mission corresponding to a passive POI (Point Of Interest) located in the event area based on content on the Internet related to the passive POI, and setting a mission execution area around the passive POI; matching the mission with the passive POI with a digital coupon issued by an active POI located in the event area, reflecting the matching result on an event map, and providing the result to a mission executor terminal; Executing the mission execution event through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when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enters the mission performing area;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ission is performed, and providing the digital coupon to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when the mission is performed.
  • a passive POI Point Of Interest
  • the generating of the mission may include performing learning to apply a content analysis result to a plurality of mission generation modeling through AI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Collecting/analyzing contents related to the passive POI on the Internet; and generating the mission by applying the content analysis result to the plurality of mission generation modeling.
  • AI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t least one POI category among POI categories of an open source or commerci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passive POI may be included in the at least one POI category.
  • the event map may be obtained by overlapping a virtual adapter layer for performing the service method on the open source or commercial GIS map.
  • some functions of the open source or commercial GIS map may be deactivated, and functions for performing the service method may be activated through the adapter layer.
  • th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request for a mission type from a mission creator terminal.
  • the step of applying the content analysis result to the plurality of mission generation modeling may include applying the content related to the passive POI to mission generation modeling for the requested mission type.
  • th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request for a mission type from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 providing the matching result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may include providing the matching result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when the mission corresponds to the requested mission type.
  • th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request for a type of digital coupon from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or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 providing the matching result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may include reflecting on the event map that the digital coupon matched with the passive POI corresponds to the requested type of digital coupon.
  • th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the active POI in consideration of popularity in a specific social network service (SNS).
  • SNS social network service
  • the service method may include selecting a specific passive POI from the event map; and searching for content related to the specific passive POI in order to create a miss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assive POI.
  • the matching result is displayed after being matched with the passive POI in the event map, and may include a first item corresponding to the mission and a second item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coupon.
  • the first item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ission
  • the second item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gital coupon.
  • a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location-based content includes setting a virtual event area; generating and matching a plurality of missions for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based on contents on the Internet related to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located in the event area, and setting a plurality of mission execution areas around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reflecting the matching result on an event map and providing it to a mission performer terminal;
  •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enters a first mission perform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ssive POI among the plurality of mission performing areas, the first miss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ssive POI among the package missions is performed through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Executing the execution event of; and providing a digital coupon issued by an active POI located in the event area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by reflecting a result of performing the package mission.
  • the providing of the matching result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may include providing via the event map a route for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the plurality of mission performance areas, and contents of the package mission. there is.
  • th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uiding a route from the first mission performing area to a second mission performing area corresponding to a second passive POI among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and executing a second mission execution ev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ssive POI through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when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enters the second mission execution area.
  • the event map may be a map obtained by overlapping a virtual adapter layer for performing the service method on the open source or commercial GIS map.
  • th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from the event map through a mission creator terminal.
  • th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in consideration of popularity in a specific social network service (SNS).
  • SNS social network service
  • th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input of a route on the event map or input of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through a mission creator terminal.
  •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may be located on the route or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 th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request for a mission type from a mission creator terminal.
  • missions of the requested type may be matched to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 the servic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request for a type of digital coupon from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or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At this time, the requested type of digital coupon may be matched to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 a service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issions using location-based collected content automatically generates and provides various types of missions for a virtual event area, thereby actively promoting local culture, tourism resources, and businesses. It can provide a promotional effect.
  • the service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issions using location-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mission performers by providing rewards according to mission performance beyond simple mission provision.
  • the service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issions using location-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lps to 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providing digital coupons provided by companies in the virtual event area as rewards for performing missions. can give
  •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rvice system 10 for performing a service method of cre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contents collected based on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rvice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contents collected based on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an example of a GUI 400 provided to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issions using content collected based on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generating a mission for a passive POI in a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location-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shows a result of generating a mission according to FIG. 4 .
  • 6 to 8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adapter layer virtually overlapped with a GIS map area according to a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missions using content collected based on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9 to 13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utilization methods of a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location-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content collected based on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shows an example of an event map provided to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4 .
  • FIG. 1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lecting a plurality of passive POIs corresponding to a package mission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4 .
  • 17 to 20 show examples of GUIs provided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4 .
  • 21 to 2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how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4 is utilized.
  • 25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a mission creator directly selects a passive POI for mission creation in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6 shows that a digital coupon is issued to the mission performer's terminal 300 by performing a mission in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7 shows an unmanned gift providing device 800 that provides a gift corresponding to a digital coupon issued as a result of performing a mission in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ice system 10 may include a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 a service server 200 , a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and a coupon provider terminal 400 .
  •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is a terminal that creates a mission by executing an application linked with the service server 200 .
  • a mission creator is a person who intends to use the local content of a virtually set event area as a basis for a mission, and may be an event planner for a company or organization, a tour guide, a cultural/experience commentator, and the like.
  • the local content may be content related to a point of interest (POI) located in the event area.
  • POI point of interest
  • a POI that is located in an event area and is a collection target of content that is a basis for creating a mission is referred to as a passive POI.
  • the mission creator may perform collection of contents for mission creation, mission creation, compensation setting for mission performance, etc. through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provided to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can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laptop computer as well as an immovable PC.
  • the service server 200 is a central component that performs the service method, and controls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and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to perform the service method, and in particular, AI (Artificial Intelligence) It has a learning function for various types of missions by performing a deep learning model.
  • AI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a GUI for content collection or mission creation to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in response to a request received from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
  • the service server 200 may collect contents to generate a miss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and create a mission using the collected contents analysis result.
  • the creation of the mission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the content analysis result to an AI deep learning model for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ypes of missions.
  • the service server 200 models and learns a plurality of mission generation models through deep learning for content and stores the results.
  • the types of missions are subjective, multiple choice, photo taking, voice input, movement, tracking, and escape missions. etc.,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rvice server 200 may provide the mission generation result through a GUI provided through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
  • the generation result of the mission may be matched with a corresponding POI and displayed on an event map included in the GUI.
  • the mission generation result may include a first item corresponding to the mission (eg, a basic icon) and a second item indicating whether the digital coupon matches the mission (eg, an additional icon added to the basic icon).
  • the first item corresponding to the miss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ission, and the second item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digital coupon matched with the mission. In some cases, only items that simply match missions may be provide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missions and digital coupons.
  • the service server 200 may transmit a digital coupon matched to the mission to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as a reward when the mission execution is confirmed in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
  • a POI issuing a digital coupon is referred to as an active POI.
  • Such an active POI may be a store, a service provider, a government office, a tourist attraction, or a park in an event area, which is merely an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is preferably a mov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because the mission performer uses it to carry out the mission while moving. Issuance or registration of digital coupons can be performed by an active POI operator or person in charge by accessing the service server 200 through the coupon provider terminal 400 .
  • the type or type of the digital coupon may be a discount coupon, a product exchange coupon, a service provision coupon, and the like, which may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active POI issuing the digital coupon.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rvice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contents collected based on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ic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 a service platform capable of generating and providing AI-based missions is built in the service server 200 (S100). That is, the service server 200 is equipped with an AI deep learning learning and application function for generating various types of missions by utiliz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ypes of missions may include subjective problems, multiple choice problems, movement missions, escape missions, tracking missions, voice input missions, collection missions, and the like.
  • the service server 200 provides a GUI for creating a mission to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S110).
  • a virtual event area is set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S120).
  • GUI 400 shown to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issions using content collected based on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GUI 400 is for mission creation.
  • the GUI 500 includes a standard location designation area 410, a content collection range designation area 420, a category designation area 530, and a content collection medium designation area 540.
  • the reference location designation area 510 may include an area 511 for directly in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ference location and an area 512 for designating through a map.
  • the mission creator can designate a reference location by inputting an address, POI name, or GPS coordinates through the area 511 .
  • the map 512 may be an area in which a virtual adapter layer for obtain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is overlapped on an open source or u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map.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 maps may include Kakao Map, Naver Map, and Google Map.
  • the mission creator can designate a reference location by selecting a specific location on the map 512 .
  • the content collection range designation area 420 may be an area for designating a range to collect content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 An event area may be set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 the surrounding area may be determined by a range input through the designation area 420 .
  •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vent area may be changed accordingly.
  • the mission creator can designate a category of POI to be collected for creating a mission.
  • the POI category may be a GIS category.
  • the POI category may not be a category associated with GIS, but may be classified separately for the execution of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I classification system that meets the service purpose may be set separately while utilizing the existing GIS map.
  • the content collection medium designation area 540 is an area for designating a medium to collect content.
  • the mission creator can create a mission by selecting the mission creation button 550 .
  • an event area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may be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tting. That is, many of the designation processes discussed above may be unnecessary.
  • the service server 200 when the event area is set through the GUI 500, the service server 200 is located in the event area and based on content on the Internet related to a passive POI included in a predetermined category, A mission corresponding to the passive POI is created, and a mission performance area is set around the passive POI (S130).
  • the mission gen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in the future.
  • the service server 200 matches the created mission with the digital coupon issued by the active POI located in the event area with the passive POI, reflects the matching result on the event map, and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 S140 Provided
  • the matching result may include information (eg, an item such as an icon) indicating at least one of matching of a mission and matching of a digital coupon provided in relation to the passive POI.
  • information eg, an item such as an icon
  • the matching result is matched with the passive POI on the event map and displayed.
  • the event map may also be obtained by overlapping a virtual adapter layer to which functions for performing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igned to the GIS map.
  • the service server 200 executes the mission execution event and creates a GUI for performing the mission on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is provided (S150).
  • the mission executor who confirms the matching result through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may perform the mission by selecting the matching result or the passive POI displayed on the event map.
  • the service server 200 When the service server 200 confirms that the mission has been performed, the service server 200 provides a digital coupon matched with the mission to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S160).
  • the mission creator can automatically create and provide a mission for a virtual event area by designating only a reference location and digitally provide compensation according to mission performance, thereby providing culture and tourism within the region. Resources and companies can be actively promoted, while appropriate rewards can be provided to mission performers with fun.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generating a mission for a passive POI in a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location-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ice server 200 analyzes various contents through AI deep learning, performs learning to apply the analysis results to a plurality of mission generation modeling, and stores the results (S200). In this state, when a virtual event area is set, the service server 200 collects and analyzes content related to the passive POI located in the event area on the Internet (S210).
  • the passive POI may be at least one of POI categories of open source or commerci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the method of FIG. 4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it.
  •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service server 200 generates a mission by applying the content analysis result to the plurality of mission generation models (S220). At this time, one or more missions may be created, and the service server 200 may predetermine the number of missions to be created according to a request or setting of a mission creator. Meanwhile, among the generated missions, the number of missions matching the passive POI may also be determined in the same/similar way.
  • the mission generation result is based on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Gwanghwamun Square, which is a passive POI in the event area.
  • the mission creation result 600 may be provided to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
  •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may store all generated missions or selectively store them. Meanwhile, one saved mission may be matched to Gwanghwamun, a passive POI, or several may be matched. The matched mission may be selected by the mission creator or determined by the service server 200 according to predetermined settings.
  • 6 to 8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adapter layer virtually overlapped with a GIS map area according to a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missions using content collected based on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llustrates application of an adapter layer according to a map enlargement operation based on the center 'C' in the GIS map area.
  • a map expansion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GIS map area, vertex coordinates and center coordinates (2) are newly updated in the adapter layer, and the previous central location (1) becomes a new location (3). You can see that it has been updated with .
  • FIG. 8 shows an example in which visu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an adapter layer.
  • the adapter layer on the commercial GIS map is translucently displayed to explain the concept of the adapter layer, but the actually provided GIS map area is displayed like a normal GIS as if there is no adapter layer.
  • numbers 1 to 5 are items provided through an adapter layer overlapping the GIS map.
  • the number 1 is a marker type information display item
  • the number 2 is an animation type information display item
  • the number 3 is an animation type information display item
  • the number 4 is a video information display item.
  • the number 5 is a movable information display item, unlike the items above, it is not fixed on the map and can be moved freely.
  • the above-described items may be displayed for a POI matched with at least one of a mission or a digital coupon.
  • an adapter layer overlaps a GIS map
  • some functions of the GIS map may be deactivated, and other function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ctivated through the adapter layer.
  • the function of selecting the specific POI through the GIS map is deactivated and the fun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the marker-type information display item is activated. It can be.
  • 9 to 13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various utilization methods of a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location-based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shows an example in which a request for a mission type is received through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and applied to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a) shows that, when there is no separate request for the type of mission, the mission creation result by the service server 200 is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POI and provided through the event map of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 M represents a mission
  • C represents a digital coupon. This is also the case in FIGS. 10 to 12 .
  • the event map shows that two types of missions are provided for a plurality of POIs.
  • a request for mission type 2 is received from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tate of (a) of FIG. 9 or setting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ice server 200 As in (b) of, only the requested mission types (M2, M4, and M5) may be provided through the event map.
  • analyzing the content in FIG. 4 and applying it to the mission generation modeling may be to apply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assive POI only to the mission generation modeling for the requested mission type. However, this may be provided by selecting only the requested mission type in a state in which mission creation is completed.
  •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similarly applied even when a mission type is requested from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rather than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
  • the mission performer may select the type of mission to be performed by sending a request to the service server 200 in a state in which the mission has already been cre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lready create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request for a mission type from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
  • providing the matching result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may include providing the matching result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when the mission corresponds to the type of the requested mission.
  • FIG.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a request for a type of digital coupon is received through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and applied to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vent map shows that two types of digital coupons are provided for a plurality of POIs.
  • the service server 200 As shown in (b) of 10, only the requested digital coupon types (C1, C3, and C4) may be provided through the event map.
  • the step of providing the matching result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in FIG. 2 may be reflected in the event map only when the digital coupon matched with the passive POI is the requested type.
  •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similarly applied even when a digital coupon type is requested from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rather than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
  • the mission performer may select the type of digital coupon by sending a request to the service server 200 in a state in which mission creation and matching have already been comple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already created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 request for a digital coupon type from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and providing the matching result to the event map by reflecting this. steps may be included.
  • FIG.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pecific SNS popularity reflection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and applied to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1(a) shows that when there is no request to reflect popularity in a specific SNS, the mission creation result by the service server 200 is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POI and provided through the event map of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
  • the service server 200 receives the request as shown in (b) of FIG. Only three POI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event map.
  •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 passive POI that is a basis for creating a mission in consideration of popularity in the specific SNS.
  • the above content can be similarly applied even when popularity reflection in a specific SNS is requested from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not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is is made during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mission creator or mission performer can select a digital coupon type or mission type that he prefers or meets a predetermined purpose through his terminal.
  •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when a POI is selected on an event map through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a miss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I is created and reflected in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vent map reflects the result of completing a set of missions, but the mission matching result for POI7 is not included.
  • the service server 200 may additionally provide mission generation and matching results for POI7 on the event map as shown in (b) of FIG. 12.
  •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2 includes selecting a specific passive POI (POI7 in FIG. 12) from the event map and searching for content related to the specific passive POI to create a miss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passive POI. It may additionally include the step of doing.
  • the mission creator can designate the specific POI for mission creation, even if the specific POI is not included in a predetermined category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shows that various items representing digital coupons are displayed on the event map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tems are matched and displayed with corresponding passive POIs on the event map.
  • the items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digital coupon. It can be seen that the digital coupon of POI1 represents a beer discount coupon, and the digital coupon of POI2 represents a hair salon discount coupon.
  • items corresponding to missions corresponding to passive POIs may also be matched and displayed on the event map. That is, the item corresponding to the mission may also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mission.
  • the service server 200 generates a mission packag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issions generated for the event area, and sends the mission package generation result to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or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 a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location-based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24 below.
  •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ervice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mission using content collected based on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ic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necessary drawings.
  • a service platform capable of generating and providing AI-based missions is built in the service server 200 (S300). Then, if there is a request from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service server 200, the service server 200 provides a GUI for creating a mission to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S310). When the reference position is designated through the GUI, a virtual event area is set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S120).
  • the service server 200 responds to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based on content on the Internet related to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located in the event area.
  • a mission is created, and a mission performance area is set around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S330).
  • the service server 200 matches the corresponding mission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reflects the matching result on the event map, and provides it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S340).
  • the service server 200 executes the mission performance event and converts the GUI for performing the mission to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 the service server 200 may execute a mission performance eve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ssive POI.
  • the service server 200 reflects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package mission and provides a digital coupon matched to the package mission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S360).
  • the digital coupon matched to the package mission may be one that considers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entire package mission, or may be matched for each package mission.
  • FIG. 15 shows an example of an event map provided to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4 . Further, the event map may be provided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to perform the package mission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 the event map may include a plurality of passive POIs corresponding to the package missions, a transit route for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and a mission execution area (EA) for the plurality of passive POIs.
  • EA mission execution area
  • FIG. 1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selecting a plurality of passive POIs corresponding to a package mission according to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4 .
  • a method of selecting a plurality of passive POIs to create a package mission may include selecting a passive POI on an event map through a touch or inputting a path including a plurality of passive POIs on an event map.
  • the event map may be a map in which a virtual adapter layer for performing the service method is overlapped on an open source or commercial GIS map.
  • the touch or path in FIG. 16 is through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so the mission creator is input using a finger, but in some cases, selection of a plurality of passive POIs may be performed by clicking with a mouse or dragging a path. .
  • selection of a plurality of passive POIs for creating a package mission may include simply inputting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Then, the service server 200 may select a plurality of passive POIs between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In some cases, the origin and destination may be GPS coordinates, and may themselves correspond to POIs.
  • 17 to 20 show examples of GUIs provided to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4 .
  • FIG. 17 shows a GUI that supports selective performance of a plurality of package missions through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
  • the GUI it can be seen that four package missions are displayed on the GUI, and information about difficulty, required time, total length, and the like for each package mission is included.
  • the information on the package mission may further include digital coupon information matched for each included mission or all missions, mission-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ke.
  • FIG. 18 illustrates a GUI provided with detailed information on package mission 1 when package mission 1 is selected in FIG. 17 .
  • the GUI includes information on a starting area (SA), information on a mission area (EA) included in the package mission 1,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mission areas (EA),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a mission area, and at least one Information on a route (tourist route) passing through the mission performance area (EA),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f a mission corresponding to each mission performance area,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 SA starting area
  • EA mission area
  • EA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mission areas
  • EA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a mission area
  • at least one Information on a route (tourist route) passing through the mission performance area (EA)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f a mission corresponding to each mission performance area,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 each mission performing area EA may indicate event contents that can be executed in the corresponding mission performing area EA.
  • different package missions may differ from each other in at least one of a path, the number of mission execution areas (EAs) included in the path, and the contents of a miss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mission execution area (EA).
  • FIG. 19 shows a GUI provided in the process of executing package mission 1 of FIG. 17 .
  • the GUI may include a description providing area 310 indicating the current package mission execution status, a navigation map area 320 providing route guidance, an area 330 indicating a location on the current route, and the like.
  • guidance of the route may also be provided as a voice signal.
  • the service method includes the step of guiding a route from the first mission performing area to the second mission perform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ssive POI, and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ecuting a second mission performance eve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ssive POI through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when entering the second mission performance area.
  • FIG. 20 shows a GUI provided through the mission executor terminal 300 when the first mission of package mission 1 of FIG. 17 is performed.
  • the GUI may includ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first mission, which is one of a plurality of missions of package mission 1, has been performed, and an area indicating that a stamp has been issued for the mission 1. .
  • 21 to 2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how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4 is utilized.
  • FIG. 21 is a table showing results of package mission execution when a total of 4 mission performers form a team and participate in package mission performance. It can be seen that the table includes the types of package missions, completion status, required time, acquisition points, and the like. This is the same in FIG. 22, which will be discussed later.
  • each of the plurality of mission performers may individually perform a package mission and receive a corresponding digital coupon.
  • 22(a) is a table showing the progress of two mission executors performing package mission 1 in individual competition mode. Referring to FIG. 22 , it can be seen that among the mission performers, the mission performer (USER2) who has obtained more points by performing the package mission 1 wins.
  • the mission performer (USER2) who has obtained more points by performing the package mission 1 wins.
  • 22(b) is a table showing results of two teams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mission performers performing a package mission in a competitive mode. Referring to the above table, it can be seen that Team A with the most points acquired by team members won.
  • FIG. 2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performing a mission in which a first mission performer and a second mission performer form a team and perform a reading mission in a cooperative mode.
  • the first half of the text is read by the first mission performer, and the second half of the text is read by the second mission performer.
  •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of the mission performer can acquire the voice of the mission performer reading the text through the microphone 340, and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or service
  • the server 2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ooperative mission is successful.
  • first to fourth mission performers (USER1 to USER4) form a team as shown in FIG. 24 .
  • the first to fourth mission executors USER1 to USER4 may represent actually corresponding mission executor terminals.
  • the first to fourth mission performers can be located together in the mission performance area (EA) and sufficiently close to each other in order to perform the cooperative mission within the predetermined mission performance area (EA). there is.
  • 25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a mission creator directly selects a passive POI for mission creation in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tatue of Admiral Yi Sun-sin' in Gwanghwamun using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filming a video of '.
  • the video may be a video or a photograph.
  • the mission creator terminal 100 transmits the acquired video to the service server 200 wirelessly. Then, the service server 200 confirms that the received video is transmitted by the user for mission creation, and performs video analysis to determine the 'Statue of Admiral Yi Sun-sin' as a passive POI for mission creation.
  • the service server 200 may search for contents related to 'the statue of Admiral Yi Sun-shin' on the Internet, and create a mission corresponding to the 'statue of Admiral Yi Sun-sin' based on the searched contents.
  • the passive POI which is the basis for mission creation, is determined by content search of the service server 200 when a virtual event area is set.
  • the passive POI that is the basis for mission crea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what you can choose from.
  • the passive POI photographed to be selected as a basis for mission generation may be located within a virtual event area or may not be located within a virtual event area.
  • the mission creato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lect a POI unrelated to a virtual event area as a passive POI for mission creation.
  • 26 shows that a digital coupon is issued to the mission performer's terminal 300 by performing a mission in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ervice server 200 transmits a digital coupon corresponding to a gift for mission performance to the mission performer terminal 300 .
  • the digital coup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code or a password for the digital coupon.
  • the digital coup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QR code.
  • FIG. 27 shows an unmanned gift providing device 800 that provides a gift corresponding to a digital coupon issued as a result of performing a mission in 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manned gift providing device 800 may include a password input unit 810, a barcode recognition unit 820, an NFC tagging unit 830, and a gift providing unit 840. Inside the unmanned gift giving device 800, real objects of various gift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igital coupons are stored so that they can be selectively discharged.
  • the unmanned gift providing device 800 selects a gift corresponding to the password among gifts stored therein and discharges the gift to the gift providing unit 840. can do.
  • the unmanned gift providing device 800 selects a gift corresponding to the barcode among gifts stored therein and returns the gift to the gift providing unit 840. can be ejected.
  • the unmanned gift providing device 800 selects a gift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coupon among gifts stored therein, and selects the gif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providing unit 840.
  • the unmanned gift providing device 800 automatically selects an actual gift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coupon and provides convenience to the mission performer. .
  • a service method for creating and providing missions using content collected based on lo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ftware field that develops and distributes the same, a manufacturing field of a mobile terminal loaded with 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 method that utilizes the method. It can be widely used in a wide variety of industries such as travel/tour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ome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은 기준위치 주변에 가상의 이벤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패시브(passive) POI(Point Of Interest)와 관련된 인터넷상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미션을 생성하고, 상기 패시브 POI 주변에 미션수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패시브 POI에 상기 미션과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액티브(active) POI에서 발행한 디지털 쿠폰을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 결과를 이벤트 맵에 반영하여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가 상기 미션수행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미션수행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미션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쿠폰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미션 생성 및 제공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기준위치 중심의 이벤트 영역을 설정하고 그에 포함된 POI 관련 컨텐츠를 인터넷상에서 자동수집한 다음 이를 분석하여 미션을 생성하여 제공하며, 미션 수행결과에 따라 이벤트 영역 내의 POI에서 발행한 디지털 쿠폰을 연계시킬 수 있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졌다. 특히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게임 등의 다양한 컨텐츠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1인당 1대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시를 소유하는 널리 대중화되어 있다.
그리고 개인화로 인하여 가족, 사회동료들 간의 유대가 점점 약해지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특히, 관광지나 유적지 등으로 소풍, 여행, 야유회 등의 야외행사에 참여하더라도 단순한 볼거리만 구경하고, 먹거리만 경험하고, 관광지에서 주최하는 행사에만 참여하는 데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야외행사의 단순한 참여를 넘어, 알차고 보람있는 야외행사를 위해서는 행사가 언제/어디서 진행되는지, 어떤 구성원이 참여하는지, 어떤 프로그램을 구성할지, 어떤 선물을 준비할지 등 행사기획자가 준비해야 할 것들이 너무나 많다.
그러므로 개인 또는 단체를 대상으로 특정 장소에서 이벤트 또는 행사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그 장소의 로컬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미션의 수행 여부에 따라 로컬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보상을 지급하면, 해당 지역으로써는 그 지역의 문화, 관광 자원, 기업을 적극 홍보할 수 있고, 사용자로서는 흥미와 재미를 느낌과 동시에 참여에 따른 보상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상으로 설정되는 이벤트 영역을 중심으로 로컬 POI 관련 컨텐츠를 수집/분석하여 다양한 종류의 미션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단순한 미션 제공을 넘어 미션 수행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여 미션수행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상의 이벤트 영역 내 업체(POI)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쿠폰을 미션의 수행에 따른 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지역경제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은, 기준위치 주변에 가상의 이벤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패시브(passive) POI(Point Of Interest)와 관련된 인터넷상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미션을 생성하고, 상기 패시브 POI 주변에 미션수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패시브 POI에 상기 미션과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액티브(active) POI에서 발행한 디지털 쿠폰을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 결과를 이벤트 맵에 반영하여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가 상기 미션수행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미션의 수행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미션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쿠폰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딥러닝을 통하여 컨텐츠 분석결과를 복수의 미션생성 모델링에 적용하는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인터넷상에서 상기 패시브 POI와 관련된 컨텐츠를 수집/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분석 결과를 상기 복수의 미션생성 모델링에 적용하여 상기 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오픈소스 또는 상용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POI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POI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패시브 POI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OI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맵은, 상기 오픈소스 또는 상기 상용 GIS 맵 위에, 상기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위한 가상의 어댑터 레이어(adaptor layer)를 중첩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맵에서는, 상기 오픈소스 또는 상기 상용 GIS 맵의 일부기능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위한 기능이 상기 어댑터 레이어를 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미션생성자 단말기로부터 미션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텐츠 분석 결과를 상기 복수의 미션생성 모델링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패시브 POI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요청된 미션의 타입에 대한 미션생성 모델링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부터 미션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매칭 결과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미션이 상기 요청된 미션의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매칭결과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 또는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부터 디지털 쿠폰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매칭 결과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패시브 POI에 매칭되어 있는 디지털 쿠폰이 상기 요청된 타입의 디지털 쿠폰에 해당되는 것을 상기 이벤트 맵상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특정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의 인기도를 고려하여 상기 액티브 POI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이벤트 맵에서 특정 패시브 POI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미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패시브 POI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결과는, 상기 이벤트 맵에서 상기 패시브 POI에 매칭되어 표시되며, 상기 미션에 대응되는 제1 아이템 및 상기 디지털 쿠폰에 대응되는 제2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아이템은, 상기 미션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제2 아이템은, 상기 디지털 쿠폰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은, 가상의 이벤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패시브 POI와 관련된 인터넷상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에 대한 복수의 미션을 생성하여 매칭시키고, 복수의 패시브 POI 주변에 복수의 미션수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매칭 결과를 이벤트 맵에 반영하여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미션수행 영역 중 제1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제1 미션수행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패키지 미션 중 상기 제1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제1 미션의 수행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키지 미션의 수행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액티브 POI에서 발행한 디지털 쿠폰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결과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에 대한 경유 경로, 상기 복수의 미션수행 영역, 및 상기 패키지 미션의 내용을 상기 이벤트 맵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1 미션수행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 중 제2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제2 미션수행 영역에 이르는 경로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가 상기 제2 미션수행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제2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제2 미션의 수행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맵은, 상기 오픈소스 또는 상기 상용 GIS 맵 위에, 상기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위한 가상의 어댑터 레이어를 중첩시킨 맵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방법은, 미션생성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이벤트 맵에서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특정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의 인기도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미션생성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이벤트 맵상에서 경로를 입력받거나,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는, 상기 경로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미션생성자 단말기로부터 미션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에는, 상기 요청된 타입의 미션이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 또는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부터 디지털 쿠폰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에는, 상기 요청된 타입의 디지털 쿠폰이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은 가상의 이벤트 영역에 대해 다양한 종류의 미션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지역 내의 문화, 관광 자원, 기업을 적극 홍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은, 단순한 미션 제공을 넘어 미션 수행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여 미션수행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은, 가상의 이벤트 영역 내 업체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쿠폰을 미션의 수행에 따른 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지역경제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따라,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GUI(400)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패시브 POI에 대한 미션이 생성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라 미션이 생성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따라 GIS 맵 영역에 가상으로 중첩되는 어댑터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의 다양한 활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따라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 제공된 이벤트 맵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따라 패키지 미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패시브 POI가 선택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에 따라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제공되는 GUI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21 내지 도 24는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이 활용되는 방식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서 미션생성자가 직접 미션생성을 위한 패시브 POI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서 미션이 수행되어 미션수행자단말기(300)로 디지털 쿠폰이 발행된 것을 나타낸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서 미션 수행 결과로 발급된 디지털 쿠폰에 대응되는 선물을 제공하는 무인 선물 제공 장치(800)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 또는 기능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1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10)은 미션생성자 단말기(100), 서비스 서버(200), 미션수행자 단말기(300) 및 쿠폰 제공자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미션을 생성하는 단말기이다. 미션생성자는 가상으로 설정되는 이벤트 영역의 로컬 컨텐츠를 미션의 기초로 활용하고자 하는 사람으로, 회사나 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행사기획자일 수 있고, 관광가이드, 문화/체험 해설사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로컬 컨텐츠를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하는 POI(Point Of Interest)와 관련된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하며 미션 생성의 기초가 되는 컨텐츠의 수집 대상이 되는 POI를 패시브(passive) POI라 명명한다.
미션생성자는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하여 미션의 생성을 위한 컨텐츠의 수집, 미션의 생성, 미션의 수행에 대한 보상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션생성자는 미션을 생성하는데 관여하나 미션의 수행에는 참여하지 않으므로,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이동가능한 단말기뿐만 아니라 이동할 수 없는 PC도 가능하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중심 구성요소로, 상기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 및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를 제어하며, 특히 AI(Artificial Intelligence) 딥러닝 모델을 수행하여 다양한 종류의 미션에 대한 학습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 컨텐츠 수집이나 미션생성 등을 위한 GUI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미션의 생성을 위하여 컨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컨텐츠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미션의 생성은 컨텐츠 분석결과를 미리 정해진 복수의 타입의 미션에 대한 AI 딥러닝 모델에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컨텐츠에 대한 딥러닝을 통하여 복수의 미션 생성 모델을 모델링하여 학습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데, 미션의 종류는 주관식, 객관식, 사진촬영, 음성입력, 이동, 추적, 탈출 미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미션의 생성결과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제공되는 GUI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션의 생성결과는 대응되는 POI에 매칭되어 GUI에 포함된 이벤트 맵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미션의 생성결과는 상기 미션에 대응되는 제1 아이템(예컨대, 기본 아이콘) 및 상기 미션에 대한 디지털 쿠폰의 매칭여부를 나타내는 제2 아이템(예컨대, 상기 기본 아이콘에 추가되는 부가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션에 대응되는 제1 아이템은 상기 미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제2 아이템은 상기 미션에 매칭된 디지털 쿠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션과 디지털 쿠폰의 구분 없이 단순히 미션이 매칭되었다는 아이템만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에서의 미션의 수행이 확인되면, 그에 따른 보상으로 상기 미션에 매칭되어 있는 디지털 쿠폰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미션의 수행에 다른 보상으로 매칭된 디지털 쿠폰은 가상의 이벤트 영역 내의 POI에서 발행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지털 쿠폰을 발행한 POI를 액티브 POI라 명명한다. 이러한 액티브 POI는 이벤트 영역 내의 상점, 서비스 제공점, 관공서, 관광명소, 공원 등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의 예시일 뿐이다.
한편,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는 미션수행자가 가지고 이동하면서 미션의 수행에 이용하므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이동가능한 단말기임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쿠폰의 발행 또는 등록은 액티브 POI의 운영자나 담당자가 상기 쿠폰 제공자 단말기(400)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쿠폰의 타입 또는 종류는 할인 쿠폰, 물품교환 쿠폰, 서비스제공 쿠폰 등일 수 있으며, 이는 디지털 쿠폰을 발행한 액티브 POI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서비스 서버(200)에는 AI 기반으로 미션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이 구축된다(S100). 즉,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는 컨텐츠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타입의 미션을 생성하는 AI 딥러닝 학습 및 적용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미션의 종류에는 주관식 문제, 객관식 문제, 이동미션, 탈출미션, 추적미션, 음성입력 미션, 수집 미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한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 미션 생성을 위한 GUI를 제공한다(S110). 상기 GUI를 통하여 기준위치가 지정되면, 상기 기준위치 주변에 가상의 이벤트 영역이 설정된다(S12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따라,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GUI(400)의 일예를 나타낸다. 참고로, 상기 GUI(400)는 미션 생성을 위한 것이다.
상기 GUI(500)는 기준위치 지정영역(410), 컨텐츠 수집범위 지정영역(420), 카테고리 지정영역(530) 및 컨텐츠 수집매체 지정영역(540)이 포함한다.
상기 기준위치 지정영역(510)은 기준위치 관련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영역(511) 및 맵을 통하여 지정하는 영역(512)을 포함할 수 있다. 미션생성자는 상기 영역(511)을 통해서 주소를 입력하거나, POI 명칭을 입력하거나, GPS 좌표를 입력함으로써 기준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맵(512)은 오픈소스 또는 사용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맵 위에, 상기 서비스 방법에 따른 정보의 획득 및 제공을 위한 가상의 어댑터 레이어(adaptor layer)가 중첩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GIS 맵 위에 상기 어댑터 레이어가 중첩되면, 상기 GIS 맵을 통하여 제공되는 특유의 기능의 일부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의 구현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한서는, 향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이는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를 통해 제공되는 미션수행을 위한 GUI에서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상용 GIS 맵에는 카카오맵, 네이버맵, 구글맵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미션생성자는 상기 맵(512)의 특정위치를 선택함으로써 기준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별도의 맵을 제작하지 않고 오픈소스 또는 상용 GIS 맵에 연계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용절감의 효과와 객관적이고 정확한 데이터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컨텐츠 수집범위 지정영역(420)은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컨텐츠를 수집할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이벤트 영역을 상기 기준위치 주변에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그 주변은 상기 지정영역(420)을 통하여 입력되는 범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미션생성자가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맵(512)을 확대/축소하는 경우, 그에 따라 이벤트 영역이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 지정영역(530)을 통하여, 미션생성자는 미션을 생성하기 위한 컨텐츠를 수집하는 대상이 되는 POI의 카테고리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POI의 카테고리는 GIS의 카테고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OI 카테고리는 GIS와 연계된 카테고리가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위하여 별도로 분류된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GIS 맵은 활용하면서도 서비스 목적에 부합하는 POI 분류 체계를 별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컨텐츠 수집매체 지정영역(540)은 컨텐츠를 수집할 매체를 지정하기 위한 영역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영역들을 통한 지정이 완료되면, 미션생성자는 미션생성 버튼(550)을 선택하여 미션을 생성시킬 수 있다.
한편, 가상의 이벤트 영역은 미션생성자가 기준위치만 지정하면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기준위치 주변의 이벤트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지정 과정 중 많은 부분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GUI(500)를 통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하며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패시브 POI와 관련된 인터넷상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미션을 생성하고, 상기 패시브 POI 주변에 미션 수행 영역을 설정한다(S130). 미션 생성과정에 대해서는 향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그런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패시브 POI에 상기 생성된 미션과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액티브 POI에서 발행한 디지털 쿠폰을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결과를 이벤트 맵에 반영하여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S140).
상기 매칭결과는 상기 패시브 POI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미션의 매칭 및 디지털 쿠폰의 매칭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아이콘 등의 아이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결과는 상기 이벤트 맵상에서 상기 패시브 POI에 매칭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벤트 맵 역시 GIS 맵에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위한 기능이 부여된 가상의 어댑터 레이어가 중첩된 것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가 상기 패시브 POI의 미션수행 영역 내로 진입하면, 상기 미션의 수행 이벤트를 실행하여, 상기 미션의 수행을 위한 GUI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S150). 그러나 경우에 따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상기 매칭결과를 확인한 미션수행자는 상기 이벤트 맵에 표시된 상기 매칭결과 또는 상기 패시브 POI를 선택하여, 미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미션의 수행이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미션에 매칭된 디지털 쿠폰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S16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션생성자는 기준위치만을 지정함으로써 가상의 이벤트 영역에 대해 미션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고 미션 수행에 따른 보상을 디지털로 제공할 수 있어, 지역 내의 문화, 관광 자원, 기업 등을 적극 홍보함과 동시에 미션수행자에게는 재미와 함께 적절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하나의 패시브 POI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이 이벤트 영역 내의 복수의 패시브 POI에 대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패시브 POI에 대한 미션이 생성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서비스 서버(200)는 AI 딥러닝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그 분석결과를 복수의 미션생성 모델링에 적용하는 학습을 수행하고, 그 수행 결과를 저장한다(S200). 이 상태에서, 가상의 이벤트 영역이 설정되면,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하는 패시브 POI와 관련된 컨텐츠를 인터넷상에서 수집하여 분석한다(S210).
이때, 상기 패시브 POI는 오픈소스 또는 상용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POI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방법은 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컨텐츠 분석 결과를 상기 복수의 미션생성 모델에 적용하여 미션을 생성한다(S220). 이때, 생성되는 미션은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으며,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미션생성자의 요청 또는 설정에 따라 생성되는 미션의 개수를 미리 정해놓을 수도 있다. 한편, 생성된 미션 중 상기 패시브 POI에 매칭되는 미션의 개수 역시 동일/유사한 방법으로 정해질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따라 미션이 생성된 결과를 나타낸다. 참고로, 상기 미션 생성결과는 이벤트 영역내의 패시브 POI인 광화문 광장과 관련된 컨텐츠를 분석에 따른 것이다.
상기 미션 생성결과를 참조하면, 생성된 미션은 주관식 미션, 객관식 미션, 사진촬영 미션 등이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미션 생성 결과(600)는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는 생성된 모든 미션을 저장하거나 이를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된 미션은 패시브 POI인 광화문에 하나가 매칭될 수도 있고 여러 개가 매칭될 수도 있는데, 매칭되는 미션은 미션생성자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미리 정해진 설정에 따라 서비스 서버(200)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따라 GIS 맵 영역에 가상으로 중첩되는 어댑터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6은 1080*1920 해상도의 단말기에 상용 GIS 맵의 GPS 좌표값의 꼭지점 좌표를 어댑터 레이어의 꼭지점 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상용 GIS 맵의 중앙 GPS 좌표를 상기 어댑터 레이어의 중앙 좌표로 변환하여, 상기 상용 GIS 맵과 상기 어댑터 레이어를 매칭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GIS 맵 영역에서 중심 'C'를 기준으로 하는 맵 확대 조작에 따른 어댑터 레이어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GIS 맵 영역에 대한 맵 확대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어댑터 레이어에서는 이에 따라 꼭지점 좌표와 중앙 좌표(2)가 새로 갱신되고, 이전 중앙위치(1)가 새로운 위치(3)로 갱신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어댑터 레이어를 통하여 시각정보가 전달되는 예를 나타낸다. 참고로, 도 8에서는 어댑터 레이어를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상용 GIS 맵 위의 어댑터 레이어를 반투명하게 표시하였으나, 실제로 제공되는 GIS 맵 영역은 어댑터 레이어가 없는 것처럼 통상의 GIS과 같이 표시된다.
도 8에서 숫자 1 내지 5는 GIS 맵에 중첩되는 어댑터 레이어를 통하여 제공되는 아이템들이다. 숫자 1은 마커형 정보표시 아이템이며, 숫자 2는 애니매이션형 정보표시 아이템이며, 숫자 3은 애니메이션형 설명 아이템이며, 숫자 4는 동영상 정보표시 아이템이다. 숫자 5는 이동형 정보표시 아이템으로 위의 아이템들과 달리 맵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아이템이다. 여기서, 상술한 아이템들은 미션 또는 디지털 쿠폰 중 적어도 하나가 매칭된 POI에 대해 표시된 것일 수 있다.
한편, GIS 맵에 어댑터 레이어가 중첩되는 경우, 상기 GIS 맵의 일부 기능은 비활성화되고, 본 발명의 수행에 필요한 다른 기능이 어댑터 레이어를 통하여 수행 가능하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서 마커형 정보표시 아이템이 어댑터 레이어에서 특정 POI 위에 표시되는 것을 가정할 경우, GIS 맵을 통한 상기 특정 POI의 선택기능을 비활성화되고 상기 마커형 정보표시 아이템을 통한 정보제공기능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의 다양한 활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먼저, 도 9는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미션 타입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적용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미션의 타입에 대한 별도의 요청이 없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에서 의한 미션생성 결과가 대응되는 POI에 매칭되어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의 이벤트 맵을 통하여 제공된 것을 나타낸다. 참고로 도 9에서 M은 미션, C는 디지털 쿠폰을 나타낸다. 이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이벤트 맵에는 다수의 POI에 대해 2가지 타입의 미션이 제공된 것을 나타낸다. 도 9의 (a) 상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의 수행 과정에서의 설정에 따라,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부터 미션 타입 2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도 9의 (b)와 같이 요청된 미션 타입만(M2, M4 및 M5)을 이벤트 맵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컨텐츠를 분석하여 미션생성 모델링에 적용하는 것은, 패시브 POI와 관련된 컨턴츠를 요청된 미션 타입에 대한 미션생성 모델링에만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미션 생성이 완성된 상태에서 요청된 미션 타입만을 선택하는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이상의 내용은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가 아니라,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부터 미션의 타입이 요청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미션수행자는 이미 생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이미 미션생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요청을 보내어 자신이 수행할 미션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은,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부터 미션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칭 결과를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미션이 상기 요청된 미션의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매칭결과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디지털 쿠폰의 타입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적용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a)는 디지털 쿠폰의 타입에 대한 별도의 요청이 없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에서 의한 미션생성 결과가 대응되는 POI에 매칭되어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의 이벤트 맵을 통하여 제공된 것을 나타낸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이벤트 맵에는 다수의 POI에 대해 2가지 타입의 디지털 쿠폰이 제공된 것을 나타낸다. 도 10의 (a) 상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의 수행 과정에서의 설정에 따라,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부터 디지털 쿠폰 타입 2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도 10의 (b)와 같이 요청된 디지털 쿠폰 타입만(C1, C3 및 C4)을 이벤트 맵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매칭결과를 미션수행자 단말기(300)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패시브 POI에 매칭되어 있는 디지털 쿠폰이 요청된 타입인 경우에만 이벤트 맵에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내용은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가 아니라,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부터 디지털 쿠폰의 타입이 요청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미션수행자는 이미 생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이미 미션생성 및 매칭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요청을 보내어 디지털 쿠폰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은,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부터 디지털 쿠폰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반영하여 이벤트 맵에 상기 매칭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특정 SNS 인기도 반영 요청이 수신되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적용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11의 (a)는 특정 SNS에서의 인기도 반영 요청이 없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에서 의한 미션생성 결과가 대응되는 POI에 매칭되어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의 이벤트 맵을 통하여 제공된 것을 나타낸다.
도 11의 (a) 상태에서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SNS에서의 인기도 1 내지 3위까지의 반영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도 11의 (b)와 같이 요청된 3개의 POI에 대해서만 이벤트 맵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은, 상기 특정 SNS에서의 인기도를 고려하여 미션 생성의 기초가 되는 패시브 POI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내용은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가 아니라,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부터 특정 SNS에서의 인기도 반영이 요청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에 이루어지는 것인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션생성자 또는 미션수행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자신이 선호하거나 소정의 목적에 부합하는 디지털 쿠폰의 타입 또는 미션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2는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를 통하여 이벤트 맵상에서 POI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POI에 대응되는 미션이 생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반영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의 (a)는 미션생성자가 미션생성자 단말기(100)의 이벤트 맵상에서 POI7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이벤트 맵은 일단의 미션생성이 완료된 결과를 반영하고 있는데, 여기서 POI7에 대한 미션 매칭 결과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도 12의 (a) 상태에서 POI7이 선택되면, 서비스 서버(200)는 도 12의 (b)와 같이 POI7에 대한 미션 생성 및 매칭 결과를 이벤트 맵상에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은 이벤트 맵에서 특정 패시브 POI(도 12의 POI7)가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특정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미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패시브 POI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2에 따르면, 미션생성자는 상기 특정 POI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따라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미션 생성을 위하여 상기 특정 POI를 지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따라 이벤트 맵에 디지털 쿠폰을 나타내는 각종 아이템들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아이템들은 상기 이벤트 맵상에서 대응되는 패시브 POI에 매칭되어 표시된다. 이때, 아이템들은 디지털 쿠폰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OI1의 디지털 쿠폰은 맥주 할인 쿠폰, POI2의 디지털 쿠폰은 미용실 할인 쿠폰을 나타내는 등 디지털 쿠폰에 따라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3과 유사하게, 이벤트 맵상에는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미션에 대응되는 아이템도 매칭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미션에 대응되는 아이템 역시 미션의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200)는 이벤트 영역에 대해 생성된 복수의 미션을 조합하여 미션 패키지를 생성하고, 상기 미션 패키지의 생성 결과를 미션생성자 단말기(100) 또는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제공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14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방법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서비스 서버(200)에는 AI 기반으로 미션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이 구축된다(S300). 그런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한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부터 요청이 있으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 미션 생성을 위한 GUI를 제공한다(S310). 상기 GUI를 통하여 기준위치가 지정되면, 상기 기준위치 주변에 가상의 이벤트 영역이 설정된다(S120).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GUI를 통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패시브 POI와 관련된 인터넷상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미션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 주변에 미션 수행 영역을 설정한다(S330).
그런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 각각에 상기 대응되는 미션을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결과를 이벤트 맵에 반영하여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S340).
그런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가 각 미션수행 영역 내로 진입하면, 상기 미션의 수행 이벤트를 실행하여, 상기 미션의 수행을 위한 GUI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S350). 예컨대,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가 제1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제1 미션수행 영역 내로 진입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제1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미션수행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패키지 미션의 수행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패키지 미션에 매칭된 디지털 쿠폰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S360). 한편, 패키지 미션에 매칭된 디지털 쿠폰은 전체 패키지 미션의 수행 결과를 고려한 것일 수도 있고, 패키지 미션 각각에 대해 매칭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4의 서비스 방법에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본 실시예들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패시브 POI가 아닌 복수의 패시브 POI에 대한 패키지 미션의 생성과 수행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15는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따라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로 제공된 이벤트 맵의 일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 맵은 상기 서비스 방법에 따라 패키지 미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제공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맵에는 상기 패키지 미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패시브 POI,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에 대한 경유 경로,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에 대한 미션수행 영역(EA)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패시브 POI나 미션수행 영역이 선택되면, 패키지 미션의 내용이 상기 이벤트 맵을 통해 제공되거나 매칭되어 있는 디지털 쿠폰 관련 정보가 상기 이벤트 맵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6은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따라 패키지 미션에 대응되는 복수의 패시브 POI가 선택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패키지 미션 생성을 위하여 복수의 패시브 POI를 선택하는 방법은 터치를 통하여 이벤트 맵상의 패시브 POI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이벤트 맵상에서 복수의 패시브 POI를 포함하는 경로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 맵은 앞서 살펴본 예들에서와 같이, 오픈소스 또는 상용 GIS 맵 위에, 상기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위한 가상의 어댑터 레이어를 중첩시킨 맵일 수 있다.
도 16에서의 터치 또는 경로는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를 통한 것이어서 미션생성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 복수의 패시브 POI의 선택은 마우스를 통한 클릭이나 경로 드래그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패키지 미션 생성을 위한 복수의 패시브 POI 선택은 단순히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받은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200)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복수의 패시브 POI를 선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출방지와 목적지는 GPS 좌표일 수 있고, 그 자체가 POI에 대응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미션생성자가 이벤트 맵을 통하여 패키지 미션을 생성하기 위한 패시브 POI를 선택하는 예를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서비스 서버(200)가 특정 SNS에서의 인기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패시브 POI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에 따라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제공되는 GUI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7은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복수의 패키지 미션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GUI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GUI에는 4개의 패키지 미션이 표시되고, 각각의 패키지 미션에 대한 난이도, 소요시간, 총길이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패키지 미션에 대한 정보는 포함된 미션 각각 또는 전체 미션에 대해 매칭되어 있는 디지털 쿠폰 정보, 미션관련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8은 도 17에서 패키지 미션 1이 선택된 경우, 상기 패키지 미션 1에 대한 상세 정보가 제공되는 GUI를 나타낸다.
상기 GUI에는 출발 영역(SA) 정보, 상기 패키지 미션 1에 포함된 미션수행 영역(EA)에 대한 정보, 미션수행 영역(EA)의 개수에 대한 정보, 미션수행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 적어도 하나의 미션수행 영역(EA)을 지나는 경로(관광 경로)에 대한 정보, 각각의 미션수행 영역에 대응되는 미션의 내용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8에서 각각의 미션수행 영역(EA)에 대응하는 설명은 해당 미션수행 영역(EA)에서 실행될 수 있는 이벤트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서로 다른 패키지 미션들은 경로, 경로에 포함된 미션수행 영역(EA)의 개수, 적어도 하나의 미션수행 영역(EA)에 대응하는 미션의 내용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9는 도 17의 패키지 미션 1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제공되는 GUI를 나타낸다.
패키지 미션이 수행되면, 상기 GUI에는 현재 패키지 미션이 수행상태를 나타내는 설명 제공 영역(310), 경로를 안내해주는 내비게이션 맵 영역(320), 현재 경로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영역(33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경로의 안내는 음성신호로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 적용하면, 상기 서비스 방법은 제1 미션수행 영역에서 제2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제2 미션수행 영역에 이르는 경로 안내하는 단계와 미션수행자 단말기가 상기 제2 미션수행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제2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제2 미션의 수행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7의 패키지 미션 1 중 제1 미션이 수행된 경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를 통해 제공되는 GUI를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GUI에는 미션이 패키지 미션 1의 다수의 미션들 중 하나인 제1 미션이 수행되었다는 메시지와 상기 미션 1에 대해 스탬프가 발해된 것을 나타내는 영역이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는 도 14의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이 활용되는 방식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1은 총 4의 미션수행자가 하나의 팀을 이루어 패키지 미션 수행에 참여하는 경우를, 패키지 미션 수행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상기 표에는 패키지 미션의 종류, 완료 여부, 소요 시간, 획득 포인트 등이 포함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향후 살펴볼 도 2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경우, 팀에 소속된 4명의 미션수행자가 각각 개별적으로 소정의 패키지 미션을 선택하고, 선택한 패키지 미션에 대응하는 모든 미션을 성공(완료)하는 경우에 팀성공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팀 미션에 대응되는 보상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1과 달리, 복수의 미션수행자 각각은 개별적으로 패키지 미션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디지털 쿠폰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22의 (a)는 미션수행자 2인이 개별적 경쟁 모드로 패키지 미션 1을 수행한 경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미션수행자 중 패키지 미션 1을 수행하여 더 많은 포인트를 획득한 미션수행자(USER2)가 승리를 획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2의 (b)는 각각 복수의 미션수행자를 포함하는 두 개의 팀이 경쟁모드로 패키지 미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상기 표를 참조하면, 팀 구성원의 획득 포인트가 많은 A팀이 승리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23은 제1 미션수행자와 제2 미션수행자가 팀을 이루고 글을 읽는 미션을 협동모드로 수행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글의 전반부분은 제1 미션수행자가 읽고, 글의 후반부분은 제2 미션수행자가 읽는 것이 협동미션의 내용이다. 각 미션수행자가 자신에 할당된 부분을 읽으면, 미션수행자의 미션수행자 단말기(300)에서는 미션수행자가 글을 읽은 음성을 마이크(340)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300) 또는 서비스 서버(200)는 협동미션의 수행 성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협동미션의 경우에 팀에 소속된 미션수행자들의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성공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4와 같이 제1 내지 제4 미션수행자(USER1 내지 USER4)가 팀을 이루는 경우를 가정하자. 참고로, 상기 제1 내지 제4 미션수행자(USER1 내지 USER4)는 실질으로 대응되는 미션수행자 단말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소정의 미션수행 영역(EA) 내에서 협동미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미션수행 영역(EA) 내에 제1 내지 제4 미션수행자(USER1 내지 USER4)가 함께 위치할 수 있고 충분히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도 24의 (a)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미션수행자들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 이내인 경우에 정상적으로 협동미션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도 24의 (b)와 바와 같이, 제1 미션수행자(USER1)와 제4 미션수행자 사이의 거리(S1)가 미리 설정된 임계 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두 미션수행자가 협동미션을 수행했다고 보기 어려울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서 미션생성자가 직접 미션생성을 위한 패시브 POI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먼저, 미션생성자가 미션생성자 단말기(10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POI 선택 기능을 실행한 상태에서,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광화문에 있는 '이순신 장군 동상'의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영상은 동영상일 수도 있고, 사진이 수도 있다.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무선으로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되는 영상이 미션 생성을 위하여 사용자가 전송한 것임을 확인하고, 영상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이순신 장군 동상'을 미션 생성을 위한 패시브 POI로 결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이순신 장군 동상'과 관련된 컨텐츠를 인터넷상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이순신 장군 동상'에 대응되는 미션을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예들에 따르면 미션 생성의 기초가 되는 패시브 POI는 가상의 이벤트 영역이 설정되면 서비스 서버(200)의 컨텐츠 검색에 의하여 결정되나, 본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미션 생성의 기초가 되는 패시브 POI를 선택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본 예에서 미션 생성의 기초로 선택하기 위하여 촬영되는 패시브 POI는 가상의 이벤트 영역 이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가상의 이벤트 영역 이내에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미션생성자는 가상의 이벤트 영역과는 연관성이 없는 POI도 미션 생성을 위한 패시브 POI로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서 미션이 수행되어 미션수행자단말기(300)로 디지털 쿠폰이 발행된 것을 나타낸다.
미션수행자가 소정의 미션을 수행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미션 수행에 대한 선물에 대응되는 디지털 쿠폰을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도 28의 예에서와 같이, 상기 디지털 쿠폰은 바코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디지털 쿠폰에 대한 비밀번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디지털 쿠폰은 QR 코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방법에서 미션 수행 결과로 발급된 디지털 쿠폰에 대응되는 선물을 제공하는 무인 선물 제공 장치(800)를 나타낸다.
상기 무인 선물 제공 장치(800)는 비밀번호 입력부(810), 바코드 인식부(820), NFC 태깅부(830) 및 선물 제공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인 선물 제공 장치(800) 내부에는 다수의 디지털 쿠폰들에 대응되는 여러 선물의 실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저장되어 있다.
상기 비밀번호 입력부(810)를 통하여 디지털 쿠폰에 대응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무인 선물 제공 장치(800)는 내부에 저장된 선물들 중에서 상기 비밀번호 대응되는 선물을 선택하여 상기 선물 제공부(840)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인식부(820)를 통하여 바코드 형태로 제공된 바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무인 선물 제공 장치(800)는 내부에 저장된 선물들 중에서 상기 바코드에대응되는 선물을 선택하여 상기 선물 제공부(840)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NFC 태깅부(830)를 통하여 디지털 쿠폰이 저장된 미션수행자 단말기(300)가 태깅되면, 상기 무인 선물 제공 장치(800)는 내부에 저장된 선물들 중에서 상기 디지털 쿠폰에 대응되는 선물을 선택하여 상기 선물 제공부(840)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인 선물 제공 장치(800)는 미션수행자 단말기(300)로 발행된 디지털 쿠폰이 인식되면, 상기 디지털 쿠폰에 대응되는 실제 선물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미션수행자에게 제공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은, 이를 개발하여 배포하는 소프트웨어분야, 그 방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조분야, 그 방법을 활용하는 여행/관광분야 등 매우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기준위치 주변에 가상의 이벤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패시브(passive) POI(Point Of Interest)와 관련된 인터넷상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미션을 생성하고, 상기 패시브 POI 주변에 미션수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패시브 POI에 상기 미션과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액티브(active) POI에서 발행한 디지털 쿠폰을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 결과를 이벤트 맵에 반영하여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가 상기 미션수행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미션의 수행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미션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미션이 수행되면 상기 디지털 쿠폰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딥러닝을 통하여 컨텐츠 분석결과를 복수의 미션생성 모델링에 적용하는 학습을 수행하는 단계;
    인터넷상에서 상기 패시브 POI와 관련된 컨텐츠를 수집/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분석 결과를 상기 복수의 미션생성 모델링에 적용하여 상기 미션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오픈소스 또는 상용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POI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POI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시브 POI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OI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맵은,
    상기 오픈소스 또는 상기 상용 GIS 맵 위에, 상기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위한 가상의 어댑터 레이어(adaptor layer)를 중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맵에서는,
    상기 오픈소스 또는 상기 상용 GIS 맵의 일부기능이 비활성화되고, 상기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위한 기능이 상기 어댑터 레이어를 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미션생성자 단말기로부터 미션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분석 결과를 상기 복수의 미션생성 모델링에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패시브 POI와 관련된 컨텐츠를 상기 요청된 미션의 타입에 대한 미션생성 모델링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부터 미션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칭 결과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미션이 상기 요청된 미션의 타입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매칭결과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 또는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부터 디지털 쿠폰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매칭 결과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패시브 POI에 매칭되어 있는 디지털 쿠폰이 상기 요청된 타입의 디지털 쿠폰에 해당되는 것을 상기 이벤트 맵상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특정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의 인기도를 고려하여 상기 액티브 POI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이벤트 맵에서 특정 패시브 POI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미션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패시브 POI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결과는,
    상기 이벤트 맵에서 상기 패시브 POI에 매칭되어 표시되며, 상기 미션에 대응되는 제1 아이템 및 상기 디지털 쿠폰에 대응되는 제2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아이템은,
    상기 미션의 타입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제2 아이템은,
    상기 디지털 쿠폰의 타입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으로 수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12. 가상의 이벤트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패시브 POI와 관련된 인터넷상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에 대한 복수의 미션을 생성하여 매칭시키고, 복수의 패시브 POI 주변에 복수의 미션수행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매칭 결과를 이벤트 맵에 반영하여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미션수행 영역 중 제1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제1 미션수행 영역 내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패키지 미션 중 상기 제1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제1 미션의 수행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키지 미션의 수행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이벤트 영역 내에 위치한 액티브 POI에서 발행한 디지털 쿠폰을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결과를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에 대한 경유 경로, 상기 복수의 미션수행 영역, 및 상기 패키지 미션의 내용을 상기 이벤트 맵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1 미션수행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 중 제2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제2 미션수행 영역에 이르는 경로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가 상기 제2 미션수행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제2 패시브 POI에 대응되는 제2 미션의 수행 이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맵은,
    상기 오픈소스 또는 상기 상용 GIS 맵 위에, 상기 서비스 방법의 수행을 위한 가상의 어댑터 레이어를 중첩시킨 맵이며,
    상기 서비스 방법은,
    미션생성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이벤트 맵에서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특정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의 인기도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미션생성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이벤트 맵상에서 경로를 입력받거나,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는,
    상기 경로상에 위치하거나,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미션생성자 단말기로부터 미션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에는,
    상기 요청된 타입의 미션이 매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방법은,
    상기 미션생성자 단말기 또는 상기 미션수행자 단말기부터 디지털 쿠폰의 타입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패시브 POI에는,
    상기 요청된 타입의 디지털 쿠폰이 매칭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PCT/KR2021/015331 2021-10-28 2021-10-28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WO202307494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5331 WO2023074948A1 (ko) 2021-10-28 2021-10-28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5331 WO2023074948A1 (ko) 2021-10-28 2021-10-28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4948A1 true WO2023074948A1 (ko) 2023-05-04

Family

ID=8615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331 WO2023074948A1 (ko) 2021-10-28 2021-10-28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07494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654A (ko) * 2013-10-02 2015-04-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블라인드 지도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블라인드 지도 게임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80003017A (ko) * 2016-06-30 2018-01-09 차경환 위치 기반 미션 수행 시스템 및 방법
JP2019219927A (ja) * 2018-06-20 2019-12-26 株式会社Life 捜索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サーバ
KR20200002491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퍼즐스페이스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22389B1 (ko) * 2018-12-04 2020-06-12 김태훈 위치정보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9654A (ko) * 2013-10-02 2015-04-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블라인드 지도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블라인드 지도 게임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80003017A (ko) * 2016-06-30 2018-01-09 차경환 위치 기반 미션 수행 시스템 및 방법
JP2019219927A (ja) * 2018-06-20 2019-12-26 株式会社Life 捜索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サーバ
KR20200002491A (ko) * 2018-06-29 2020-01-08 주식회사 퍼즐스페이스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22389B1 (ko) * 2018-12-04 2020-06-12 김태훈 위치정보 기반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48103A1 (ko) 사용자에게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144197B (zh) 基于图像的应用程序启动器
JP2004070598A (ja) ガイド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携帯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3323440A (ja) 携帯端末を用いた撮影画像の情報提供システム、撮影画像の情報提供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8299371A (ja) 移動履歴調査システム、サーバ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18155931A1 (ko) 지식 맵 기반의 멀티 유저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86325A1 (ko)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0256368A1 (ko) 위치기반의 증강현실 디지털 재화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WO2018135729A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기부 및 기부 콘텐츠 구매 방법
WO2016114475A1 (en) Method of providing preset service by bending mobile device according to user input of bending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performing the same
WO2023074948A1 (ko) 위치기반 컨텐츠를 이용하여 미션을 생성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
WO20131804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WO2020180152A1 (ko) 쇼퍼 서비스 방법
WO2020184855A1 (ko) 응대 방법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4077500A1 (ko) 사용자 위치기반 테마별 장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116821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posing plans
WO2015093743A1 (ko) 광고 전달을 수반한 휴대용 충전기 대여 방법
WO2022186619A1 (ko) 디지털 트윈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WO2014030842A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단말기
WO2022059878A1 (ko) 증강현실 뷰를 사용하는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WO2019124851A1 (ko) 지오펜싱 기반의 컨텐츠를 클라우드소싱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2206979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WO2020071785A1 (ko) 가상현실 갤러리 시스템 및 가상현실 갤러리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4048873A1 (ko) 커스텀 영역 생성 툴을 사용하여, 공간 내에서 서비스 요소가 연관된 커스텀 영역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167569A1 (ko) 다이나믹 식별코드 판매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6257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