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186325A1 -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86325A1
WO2016186325A1 PCT/KR2016/004140 KR2016004140W WO2016186325A1 WO 2016186325 A1 WO2016186325 A1 WO 2016186325A1 KR 2016004140 W KR2016004140 W KR 2016004140W WO 2016186325 A1 WO2016186325 A1 WO 201618632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age
partial image
user terminal
partial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414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명호
신수용
문재현
Original Assignee
이미지랩409(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지랩409(주) filed Critical 이미지랩409(주)
Priority to CN201680028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864681A/zh
Publication of WO201618632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8632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in which an image is us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in which various partial images extracted from various contents can be freely used in a real time messaging service, a blog service, and the like.
  • Social network services are online services that allow users to build a network of users by providing functions such as networking or network, communication, media sharing, and real-time message services.
  • social network services display pictures or text on blog pages, such as Facebook, and allow visitors to post comments to build a network of interests, or to simultaneously access multiple real-time chat pages such as KakaoTalk.
  • the conventional social network service is limited to use only emoticons that are limitedly set in the corresponding service system, so that the user cannot express his or her current state or mood in various and original ways.
  • the emoticon usage format in the conventional social network service is limited to a method of selecting and registering a pre-registered emoticon, so that the emoticon and the input text selected by the user cannot be simultaneously registered in one area.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tial image (for example, a character image separated from a background of a cartoon image, a background while a user is viewing an arbitrary content (for example, a cartoon image or a celebrity photograph image) using a user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and a method in which an image is used to download and store only a celebrity photo area separated from the image) and use the text in a real time message service or a blog service.
  • a partial image in which only a desired area is limitedly separated from contents existing in various forms of electronic data on the Internet can be variously used for the purpose of the user, so that the user's current state, emotion, mood, It is to provide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an image that can express a variety of originality such as preference, taste, etc. to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notepad application, calendar application, clock application, word processor application, email application, diary application, etc.) that is obtained from various contents and stored in the user terminal is driven in the user terminal itself; Personality that reflects user's taste or preference by using not only icon, background screen, etc., but also can be used as desktop of user terminal or as icon to display application progra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an image for enabling presentation.
  •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notepad application, calendar application, clock application, word processor application, email application, diary application, etc.
  • a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using an image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displaying an image on a display unit; And (b) storing a predetermined partial image in a storage unit so as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a user touch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recognized among the display areas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wherein the image is stored in step (a). At least one partial image in which regions are specified by mask setting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n overlapping state, and in step (b), the partial image is stored in a region specified by the masking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tored partial image is a social network service.
  • the image is us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cognized as an available image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SNS service server perform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 the step (a) may be to receive the image from a content service server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 the step (b) may include: previously storing the one or more partial images and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in a temporary storage area; Specifying a partial image designated to correspond to a recognized position of the user touch using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when a user touch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recognized in the display area o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And storing the specified partial image in the storage unit.
  • the partial image and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ogether and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area when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received from a content service server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the to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user touch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recognized in the display area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are transmitted to a content servic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the partial image may be specified by preparing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in at least one partial image that is previously acquired to be obtainable in preparation for the to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 a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using an image may include: displaying the stored partial image and a message input window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text is input to the message input window, disposing the input text in a predetermined peripheral area of the partial image and displaying the text, and when a storage command is input, placing the input text in the partial image and the peripheral area.
  • the captured tex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the form of multi data, or the captured image in which the display form of the text disposed in the image and the surrounding area is capture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 the partial images selec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plura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isplayed partial images may be manipulated by one or more of moving, enlarging, and reducing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play area in the display unit.
  • the social network service may be one or more of a real time message service and a blog service.
  • the stored partial image may be used to replace one or more of an icon and a background screen used in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may be used as a background screen of the user terminal, or may replace an icon displaying an application program. It can be recognized as an available image.
  • a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using an image performed in a content service server comprising: receiving an image providing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ask setting information in which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providing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at least one partial image previously designated to be obtained from the image, and reg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at least one partial image are specified. And transmitting to a user terminal, wherein the user terminal specifies and stores a partial image to be obtained from the image by using to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image is a mask.
  • SNS service server which displays one or more partial images in which regions are specified by setting information are overlapped, wherein the partial images are stored in regions specified by the masking setting information, and the stored partial images perform a social network service.
  • the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an imag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which is used to recognize the image can be used in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may be provided.
  • a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using an image performed in a content service server, in advance, so as to obtain from at least on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at least one image, each of the at least one image in advance
  • Pre-storing mask setting information in which specified one or more partial images and area information for mapping each of the one or more partial images to a corresponding image are specified
  • Receiving an image providing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providing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o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mage for obtaining a partial image from the user terminal; Specifying a partial image by using mask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received to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pecified partial image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image is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partial image in which an area is specified by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is overlapped, and the partial image is displayed in the masking setting information.
  • the region specified by the user is stored,
  •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an image comprising: a content service server for performing an image data providing ser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user terminal configured to receive and display an image from the content service server, and store a partial image which is previously designated to correspond to a location where a user touch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recognized among the display areas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 the image is displayed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partial image of the region specified by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is overlapped, the partial image is stored in the region specified by the masking setting information, the stored partial image is the user terminal
  •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in which an image is used, which is recognized as an available image that can be transmitted to an SNS service server that performs the social network service, may be provided.
  •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service server and stores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in a temporary storage area, and meets a predetermined condition among the display areas i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 the step of specifying the partial image designated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where the user touch is recognized using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to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a user touch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recognized in a display area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mage to a content service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ent service server transmits the to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ent service server And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of each of the one or more partia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artial image may be specified by comparing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and the to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stored partial image and the message input window, and if text is input to the message input window,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input text in a predetermined peripheral area of the partial image, and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 the partial image and the text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the form of multi data, or the captured image in which the display form of the image and the text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is captured is stored. Can be stored in wealth.
  • the partial image and the text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are transmitted to the SNS service server in the form of multi data, or the captured image in which the display form of the image and the text disposed in the peripheral area is captured is displayed.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NS service server.
  • the user may utilize the text message or blog service in combination with text. have.
  • the content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allows you to express your taste, preference, etc. in a variety of originality.
  • a partial image obtained from various contents and stored in the user terminal may be used in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a notepad application, a calendar application, a clock application, a word processor application, an email application, a diary application, etc.) driven in the user terminal itself.
  •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a notepad application, a calendar application, a clock application, a word processor application, an email application, a diary application, etc.
  • an icon or a background screen not only can be selected and used as an icon or a background screen, but also can be used as a desktop of a user terminal or as an icon displaying an application program, thereby expressing personality reflecting the taste and taste of the user who uses the user terminal. There is also an effect to make this possible.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ownloading a partial image from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display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ownloading a partial image from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display for explaining a multi-data generation process using a parti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display for explaining a multi-data generation process using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ownloading a partial image from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a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a parti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ulti-data transmission screen using a social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 unit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hardware or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ocial network system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a server group 120, and a counterpart terminal 130.
  •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30 are communication terminals implemented to access one or more service servers included in the server group 12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n application download and driving function, an Internet connection function, and the like. It may be one or more of the provided smart phone, tablet PC, notebook computer, personal computer and the like.
  • the server group 120 collectively refers to service servers for performing a normal social network service or a content providing service exemplified in the present embodiment.
  • a user may have a cartoon image or a celebrity.
  • Content service server 122 for viewing the photos and the lik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SNS service server 124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KakaoTalk or Facebook may be included.
  • a designated application program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30.
  • the service server may be implemented to use a service provided after connecting to a corresponding service server using a browser program such as Safari or Internet Explorer.
  • a browser program such as Safari or Internet Explorer.
  •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by driv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to receive content such as a cartoon image, and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SNS service server 124 by driv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 a conversa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130 may be performed or an arbitrary blog may be accessed.
  •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is a cartoon image providing server which is a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a cartoon image (see FIG. 4) in a form that can be viewed on the user terminal 110, and an SNS service server ( 124 is an example of an instant messaging server in which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30 simultaneously access and perform a real-time conversation.
  • the service types of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and the SNS service server 124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s sufficient as a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arbitrary image data capable of obtaining a partial image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a cartoon image.
  • the SNS service server 124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service for registering a partial image or multi-data in an arbitrary web space (for example, a blog or a chat window) as described below.
  •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inly focused on the use of the acquired partial image in a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but the corresponding partial images may be used as source data for the user terminal user to decorate the user terminal 110 itself.
  • a partial image obtained from various contents and stored in the user terminal may be used in an application program (for example, a notepad application, a calendar application, a clock application, a word processor application, an email application, a diary application, etc.) driven in the user terminal itself. It may be selected and used to replace the existing icon, wallpaper, etc. In addition, it may be used as a background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10, or may be selected and used as an icon displaying each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10.
  • the obtained partial images may be used for a personality expression in which the user's taste or preference is reflected in the user terminal 110 itself.
  •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30 are called to be distinguished by different terms for the convenience of division, but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ounterpart terminal 130 may be implement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Of course.
  • the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hardware unit 210 and a software unit 220.
  • the hardware unit 2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2, a storage unit 214, and a touch screen unit 216.
  • the communication unit 212 accesses the cartoon image providing server and / or the SNS service server 124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corresponding service server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 the storage unit 214 may include an operation program for driving the user terminal 110, data received from a cartoon image providing server, and an SNS service server 124, and obtained from contents (for example, cartoon images) as described below.
  • One or more of a partial image eg, a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a character
  • the storage unit 214 may further store program data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included in the software unit 2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storage unit 214 may be, for example, a permanent memory area in which data is stored before the user actively deletes the data, and a temporary memory in which data for driving the application is temporarily stored and then deleted, regardless of the user's operation. Area and the like.
  • the temporary memory area may be temporarily stored to be used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Internet or the application, but may not be automatically deleted, and thus temporary files that need to be deleted by the user may be stored and maintained.
  • the touch screen unit 216 is a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an input device implemented to receive a position when a hand, a sensitive pen, or the like is touched (ie, touched).
  • the software unit 220 is a conceptual area i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is operated by driving program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4, and is a virtual unit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hardware unit 210 described above.
  • the software unit 220 may include a content playback application 222, an SNS application 224, and the like.
  • the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software unit 220 and driven may be, for example, a music reproduction application or an English conversation course application.
  • the content reproducing application 222 connected to the cartoon image providing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reproduce the cartoon image provided from the cartoon image providing server through the touch screen unit 216 may include a content reproducing module 232 and a mask applying module 234. , Optional image storage module 236, and multi-data management module 238.
  • the content reproducing module 232 displays the cartoon image received from the cartoon image providing server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4 (eg, the temporary memory area of the storage unit 214) through the touch screen unit 216.
  • the user may move a finger or the like to the touch screen unit 216 to move to a page other than the displayed cartoon image page, enlarge a specific area, or select an area to be acquired as a partial image, as described below. have.
  • the mask application module 234 contacts a specific area of the cartoon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216 by a user using a finger or the like so as to meet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example, maintaining contact for at least 0.3 seconds at the same point).
  •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example, maintaining contact for at least 0.3 seconds at the same point.
  • the partial image set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contacted point is specified by using mask setting information set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cartoon image.
  •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used for specifying the partial image may be downloaded together when the cartoon image is downloaded from the cartoon image providing server and placed in the storage unit 214 (for example, a temporary memory area).
  • the storage unit 214 for example, a temporary memory area
  • one or more partial images that may be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cartoon image may also be download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4 (eg, a temporary memory) during the cartoon image download process.
  • the selection image storage module 236 checks whether a storage command of the specified partial image is input, and if the storage command is input, permanently stores the partial image existing in the temporary memory area of the storage unit 214. Store in memory area.
  • the multi data management module 238 stores the corresponding data and the corresponding partial images.
  • the text information is managed as multi data which is linked information.
  • the SNS application 224 is an application program in which a partial image and / or multi data obtained by the processing of the content reproduction application 222 may be utilized. For example, services such as KakaoTalk, Kakao Story, Line, Facebook, etc. An application implemented to use may correspond to this.
  • the corresponding partial image may be provided from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through a separate process.
  • some of the functional modules eg, the multi data management module 238, described as functional modules included in the content reproduction application 222 may be included in the SNS application 224.
  • some of the processing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in the SNS application 224.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ownloading a partial image from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creen display illustrating a process of downloading a partial image from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llustra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een display for explaining a multi-data generation process using a parti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multi-data generation using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llustration of the screen display for explaining the process.
  • the user terminal 110 on which the content reproducing application 222 is driven may include a cartoon image and mask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rtoon image from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310.
  • the user terminal 110 displays the received cartoon image through the touch screen unit 216.
  • the cartoon image may be a cartoon image selected by the user for viewing, or may be a cartoon image voluntarily provided by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415 and the target image 412 are displayed.
  •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415 may be displayed in an overlapped (overlapped) state on the cartoon image 41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216. If it can be visually recognized that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415 is in an overlapping state,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415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4C.
  •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415 may be composed of vector value information such as, for example, continuous relative coordinate information for defining an outline of a vector image and / or a partial image.
  •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415 functions as a boundary for dividing the partial image and other background images, and the partial images obtainable by the user's contact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415 are stored as the target image. 214 is stored in advance in the temporary memory area. Since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415 is composed of vector value information, even when a user enlarges or reduces a region of the cartoon image,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415 may still be used as information for mapping the cartoon image and the partial image. have.
  • step 330 the user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a touch (for example, maintaining contact for 0.3 seconds or longer at the same point) that meets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mask processing is recognized in step 330. do.
  • step 320 If a touch that meets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not recognized, the flow returns to step 320.
  • the user terminal 110 performs a mask applying process using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step 340.
  • the touch position 420 is generated. Is determined to be a proper position for obtaining the partial image with reference to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415.
  •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415 may be identified so that the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 420 may be identified.
  • Masking is performed on the outline 430 of the partial image by using.
  • the user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a storage request for the masked partial image is input.
  • step 360 If the store request is not entered and a deselection command for the masking process is input (step 360),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20 again.
  • the user terminal 110 proceeds to step 370 to process the partial image selected by the user (that is, the masked partial image). It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4.
  • the target image corresponding to the masked partial image is already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area of the storage unit 214, a process of allowing the target image stored in the temporary memory area to be stored in the permanent memory area may be performed. .
  • the user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a multi-data generation request for generating multi-data associated with the partial image and the text is input by inputting text corresponding to the partial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4.
  • the user terminal 110 displays one or more partial images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artial images stored in the storage 214 on the touch screen unit 216. Subsequently, the user receives text to be displayed to correspond to the partial image.
  • the user terminal 110 stores and manages the partial image and the text input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the user's storage command as multi-data (ie, data manag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but separately stored as images and text), or An image and text are linked to generate a captured image capturing the displayed shape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4.
  • multi-data ie, data manag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but separately stored as images and text
  • An image and text are linked to generate a captured image capturing the displayed shape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4.
  • the multi-data and the captured image may be generated and managed together, even if a separate description is omitted.
  • the selected partial image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216 (see (e) of FIG. 5).
  • a user inputs desired text in the message input window 510 and clicks a predetermined button (for example, a send button, an insert button, an apply button, and the like), the message input window ( The text input to 510 is disposed and displayed (see FIG. 5F).
  • a predetermined button for example, a send button, an insert button, an apply button, and the like
  • the partial images and texts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can be managed and used as multi-data that are individually recognized as independent data but managed to be linked to each other. However, the displayed image is captured and managed as a new captured image. You may.
  • the text arranged in association with the selected partial image may be limited to be disposed in a separate speech bubble area, and the speech balloon may be selected on the touch screen unit 216 by selecting a separate operation button. Can be applied optional.
  •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used to generate multi data may be selected. That is, as illustrated in (h) of FIG. 6, the user may select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216, and touch and drag a selected partial image to be displayed. May be moved to a position (see FIGS. 6 (i) and (j)).
  • the user may input the desired text using the message input window 510 to generate the multi data (see FIG. 6 (k)).
  • the user can freely reposition the partial images as well as select, resize, move and apply the speech bubble where the text is to be placed. .
  •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and the pre-storing process of the target image may not be essential.
  • the touch is touched using the GrabCut algorithm.
  • An object based on the location 420 (see FIG. 4) may be specified and stored as a partial image. Since a process of identifying and extracting a part of an image using a grab cut algorithm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f course, if a similar function can be performed, an object extraction algorithm other than the grab cut algorithm may be applied.
  • the corresponding contact address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may be requested to be registered at the designated destination by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multi-data and / or the captured image to the SNS service server 124 using information (for example, an ID and a password).
  • the multi-data and / or the captured image may be set t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4 through a separate storage process along with the transfer process, but the storing process is omitted and only the transfer process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is performed. It may also be set to.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ownloading a partial image from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rtial image storing proce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is a process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10 itself
  • the partial image storing process to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is performed by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 a partial image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10.
  • the process of generating multi data using the partial imag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1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receives a request for transmitting a cartoon image from a user terminal 110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710, and the cartoon image requested in step 715 is a user terminal ( The cartoon im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be displayed through the touch screen unit 216 of 110.
  • the user terminal 110 displays a cartoon image received from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on the touch screen unit 216 in step 720, and recognizes a touch that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storing the partial image in step 725.
  • the carto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quely assigned to distinguish the cartoon image received in operation 710
  • the to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specifying the touch position 420 may be provided. To send).
  •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receives carto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o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in step 735.
  •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reads a parti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from a database (not shown) by using the mask setting information stored to correspond to the carto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step 740, and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 to 110.
  • the user terminal 110 receives the partial image from the content service server 122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745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214.
  • the partial image may be extracted in real time using an object extraction algorithm such as a grab cut algorithm.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a social network service using a parti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ulti-data transmission screen using a social network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owchart of FIG. 8 to be described below is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multi data management module 238 is provided in an SNS application, and if a partial image or a multi imag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110 is used, the captured image is captured. If it is, the SNS application may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normal emoticon or photo transmission process.
  • the user terminal 110 may drive an SNS application for using a partial image and / or multi data by a user's operation, and perform a conversation with an arbitrary counterpart terminal 130. Enter the chat room.
  • the driven SNS application is not a real time messaging service application such as KakaoTalk, but a blog application such as Facebook, a process of accessing a blog web page will be performed.
  • the user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a partial image application request alread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4 is input.
  • the partial image application request may be input by selection of a function menu (for example, the function menu 910 of FIG. 9) set similarly to a function menu for inputting an emoticon or a photo in a typical real-time messaging service application. .
  • a function menu for example, the function menu 910 of FIG. 9 set similarly to a function menu for inputting an emoticon or a photo in a typical real-time messaging service application.
  • a separate function menu is not newly established for such processing, but a function menu for inputting an existing emoticon may be utilized.
  • step 820 the process waits at step 820.
  • step 830 the user terminal 110 displays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already stored in the storage unit 214 on the touch screen unit 216 as selectable partial images, wherein You are asked to select one or more.
  • the user terminal 110 displays the partial image selected in operation 830 on the touch screen unit 216 in a preliminary state of transmission.
  • the preliminary transmission state may be a ready state for transmission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216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can click the transmit button to be immediately transmitted.
  • the user terminal 110 receives text data to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elected partial image from the user, and recognizes the input text data and the selected partial image as multi data.
  • the form of the multi data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text data may be, for example, a form corresponding to FIG. 5F, FIG. 5G, or FIG. 6K.
  • the user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a transmission request for multi data is input from the user.
  • step 860 If no transfer request is entered, wait at step 860. Of course, if a cancellation request for the generated multi-data is input,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820 again.
  • the user terminal 110 registers the generated multi-data or the captured image of the multi-data in the chat room by registering the touch screen unit 216 of the user terminal 110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Each of them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unit 130 (see FIG. 9).
  • the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us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program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a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 the program is also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method.
  •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cludes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a carrier wav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표시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부분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콘텐츠에서 추출된 다양한 부분 이미지들이 실시간 메시징 서비스, 블로그 서비스 등에서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트위터, 페이스북, 라인, 카카오톡, 미투데이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 SNS)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네트워킹 또는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공유, 실시간 메시지 서비스 등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간에 관계망을 구축하도록 하는 온라인 서비스이다.
일반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페이스북 등과 같이 블로그 페이지에 사진이나 텍스트를 게재하고, 방문자들이 댓글을 게재하여 관심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관계망을 구축하도록 하거나, 카카오톡 등과 같이 실시간 대화 페이지에 동시에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들간에 사진, 이모티콘 또는 텍스트를 서로 주고받으면서 대화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관계망을 구축하도록 유도한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상태나 기분을 댓글로 등록하거나 대화문으로 실시간 주고받기 위해 이모티콘이나 플래시 이모티콘 등을 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해당 서비스 시스템에서 제한적으로 설정한 이모티콘만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상태나 기분을 다양하고 독창성있게 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이모티콘 사용 형식은 단지 미리 등록된 이모티콘을 선택하고 등록하는 방식으로 제한되어 있어, 사용자가 선택한 이모티콘과 입력한 텍스트를 하나의 영역에 동시에 등록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임의의 콘텐츠(예를 들어, 카툰 이미지, 연예인 사진 이미지 등)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원하는 부분 이미지(예를 들어, 카툰 이미지 중 배경과 분리된 캐릭터 이미지, 배경과 분리된 연예인 사진 영역 등)만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후, 실시간 메시지 서비스나 블로그 서비스 등에서 텍스트와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 상에 전자적 데이터 형태로 다양하게 존재하는 콘텐츠들에서 원하는 영역만이 제한적으로 분리된 부분 이미지가 사용자의 목적에 의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상태, 감정, 기분, 기호도, 취향 등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다양하고 독창성있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텐츠들로부터 다양하게 획득되어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부분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 자체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어, 메모장 어플, 캘린더 어플, 시계 어플, 워드 프로세서 어플, 이메일 어플, 다이어리 어플 등)에서 아이콘, 배경 화면 등으로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으로 활용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아이콘으로 선택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기호도 등을 반영한 개성 표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표시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b)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부분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a)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는 마스크 설정정보에 의하여 영역이 특정화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가 겹쳐진 상태로 표시되고, (b) 단계에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마스킹 설정정보에 의하여 특정화된 영역이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부분 이미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하는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이용 가능 이미지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 (a)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와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가 임시 저장 영역에 미리 저장되는 단계;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지정된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부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수신될 때 함께 수신되어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상응하는 터치 위치좌표 정보와 상기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터치 위치좌표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부합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로부터 획득 가능하도록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에 상기 마스크 설정정보를 미리 구비하여 상기 터치 위치좌표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다.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저장된 부분 이미지와 메시지 입력창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부분 이미지의 미리 지정된 주변 영역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가 멀티 데이터 형태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의 표시 형태가 캡쳐된 캡쳐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가 멀티 데이터 형태로 상기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의 표시 형태가 캡쳐된 캡쳐 이미지가 상기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선택되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부분 이미지는 복수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부분 이미지 각각은 상기 표시부 내의 미리 지정된 표시 영역 내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 확대 및 축소 중 하나 이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실시간 메시지 서비스 및 블로그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저장된 부분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아이콘 및 배경 화면 중 하나 이상을 대체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으로 이용되거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대체할 수 있는 이용 가능 이미지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이미지 제공 요청이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이미지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이미지, 상기 이미지로부터 획득 가능하도록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 각각을 상기 이미지에 대응시키는 영역 정보가 특정된 마스크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대한 터치 위치좌표 정보와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로부터 획득할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는 마스크 설정정보에 의하여 영역이 특정화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가 겹쳐진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마스킹 설정정보에 의하여 특정화된 영역이 저장되고, 저장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하는 SNS 서비스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할 수 있는 이용 가능 이미지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각각으로부터 획득 가능하도록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 각각을 상응하는 이미지에 대응시키는 영역 정보가 특정된 마스크 설정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이미지 제공 요청이 수신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이미지 제공 요청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대한 터치 위치좌표 정보와 부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마스크 설정 정보와 상기 수신된 터치 위치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부분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는 마스크 설정정보에 의하여 영역이 특정화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가 겹쳐진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마스킹 설정정보에 의하여 특정화된 영역이 저장되고, 저장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하는 SNS 서비스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할 수 있는 이용 가능 이미지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부분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는 마스크 설정정보에 의하여 영역이 특정화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가 겹쳐진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마스킹 설정정보에 의하여 특정화된 영역이 저장되고, 저장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하는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이용 가능 이미지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지정된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저장부에 상기 부분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상응하는 터치 위치좌표 정보와 상기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터치 위치좌표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부합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 각각의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와 상기 터치 위치좌표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저장된 부분 이미지와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부분 이미지의 미리 지정된 주변 영역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하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가 멀티 데이터 형태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의 표시 형태가 캡쳐된 캡쳐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가 멀티 데이터 형태로 상기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거나, 상기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의 표시 형태가 캡쳐된 캡쳐 이미지가 상기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임의의 콘텐츠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원하는 부분 이미지만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한 후, 실시간 메시지 서비스나 블로그 서비스 등에서 텍스트와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넷 상에 전자적 데이터 형태로 다양하게 존재하는 콘텐츠들에서 원하는 영역만이 제한적으로 분리된 부분 이미지가 사용자의 목적에 의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의 현재 상태, 감정, 기분, 취향, 기호도 등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다양하고 독창성있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콘텐츠들로부터 다양하게 획득되어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부분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 자체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어, 메모장 어플, 캘린더 어플, 시계 어플, 워드 프로세서 어플, 이메일 어플, 다이어리 어플 등)에서 아이콘, 배경 화면 등으로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으로 활용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아이콘으로 선택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기호도 등을 반영한 개성 표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로부터 부분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로부터 부분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표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멀티 데이터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표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멀티 데이터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표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로부터 부분 이미지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 데이터 전송 화면의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10), 서버군(120) 및 상대방 단말(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과 상대방 단말(130)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군(12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현된 통신 단말로서,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구동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이 구비된 스마트폰, 타블렛 피씨, 노트북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서버군(120)은 통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 등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들을 통칭하기 위한 것으로, 서버군(120) 내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툰 이미지나 연예인 사진 등을 통신망을 통해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서비스 서버(12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군(120)에 포함된 특정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단말(110)과 상대방 단말(130)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특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해당 서비스 서버에 사파리(safari),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의 브라우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접속한 후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10)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미리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에 접속하여 카툰 이미지 등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미리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SNS 서비스 서버(124)에 접속된 상대방 단말(130)과 대화를 수행하거나 임의의 블로그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가 카툰 이미지(도 4 참조)를 사용자 단말(110)에서 열람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인 카툰 이미지 제공 서버이고, SNS 서비스 서버(124)는 사용자 단말(110)과 상대방 단말(130)이 동시에 접속하여 실시간 대화를 수행할 수 있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와 SNS 서비스 서버(124)의 서비스 유형이 후술될 예로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는 카툰 이미지 이외에도, 후술될 부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임의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이면 충분하다. 또한 SNS 서비스 서버(124)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부분 이미지 또는 멀티 데이터를 임의의 웹 공간(예를 들어 블로그, 대화창 등)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면 충분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획득된 부분 이미지를 통신망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활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해당 부분 이미지들은 사용자 단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 자체를 꾸미기 위한 소스 데이터로 활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콘텐츠들로부터 다양하게 획득되어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부분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 자체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를 들어, 메모장 어플, 캘린더 어플, 시계 어플, 워드 프로세서 어플, 이메일 어플, 다이어리 어플 등)에서 기존의 아이콘, 배경 화면 등으로 대체하기 위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의 바탕 화면으로 활용하거나,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아이콘으로 선택되어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획득된 부분 이미지들은 사용자 단말(110) 자체에서 해당 사용자의 취향이나 기호도 등이 반영된 개성 표출을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는 사용자 단말(110)과 상대방 단말(130)이 구분의 편의를 위해 상이한 용어로 구별되도록 호칭되었으나, 사용자 단말(110)과 상대방 단말(130)이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하드웨어 유닛(210)과 소프트웨어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유닛(210)은 통신부(212), 저장부(214) 및 터치 스크린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2)는 사용자 단말(110)이 통신망을 통해 카툰 이미지 제공 서버 및/또는 SNS 서비스 서버(124)에 접속하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해당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저장부(214)에는 사용자 단말(110)의 구동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 카툰 이미지 제공 서버 및 SNS 서비스 서버(124)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콘텐츠(예를 들어, 카툰 이미지)로부터 획득된 부분 이미지(예를 들어, 캐릭터에 해당되는 부분 이미지) 등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된다. 물론, 저장부(214)에는 후술될 소프트웨어 유닛(22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저장부(214)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적극적인 삭제 처리를 하기 이전에는 데이터가 저장 유지되는 영구 메모리 영역과, 사용자의 조작과 무관하게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가 임시로 저장된 후 삭제 처리되는 임시 메모리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임시 메모리 영역에는 인터넷 구동이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과정에서 이용되기 위해 임시로 저장되었으나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아 사용자의 삭제 처리가 필요한 임시 파일들이 저장 유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터치 스크린부(216)는 손이나 감응 펜 등이 접촉(즉, 터치)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구현된 입력 장치가 장착된 표시 장치이다.
소프트웨어 유닛(220)은 저장부(214)에 저장된 프로그램 데이터의 구동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개념적 영역으로서, 전술한 하드웨어 유닛(210)과 구분되는 가상의 유닛이다.
소프트웨어 유닛(220)에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222), SNS 어플리케이션(22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저장부(214)에 다양한 프로그램 데이터들이 더 저장되어 있다면, 소프트웨어 유닛(220)에 포함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예를 들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영어회화 강좌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카툰 이미지 제공 서버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어 카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카툰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부(216)를 통해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222)은 콘텐츠 재생 모듈(232), 마스크 적용 모듈(234), 선택 이미지 저장 모듈(236), 및 멀티 데이터 관리 모듈(238)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모듈(232)은 카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부(214)(예를 들어, 저장부(214)의 임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카툰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부(216)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부(216)에 손가락 등을 접촉시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된 카툰 이미지 페이지 이외의 다른 페이지로 이동시키거나, 특정 영역을 확대하거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부분 이미지로 획득할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마스크 적용 모듈(234)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부(216)에 디스플레이된 카툰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미리 지정된 기준(예를 들어, 동일 지점에서 0.3초 이상 접촉 유지)에 부합되도록 접촉시킨 경우, 해당 카툰 이미지에 부합되도록 설정된 마스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접촉된 지점의 위치 좌표에 상응하도록 설정된 부분 이미지를 특정한다.
부분 이미지의 특정을 위해 이용되는 마스크 설정 정보는 카툰 이미지가 카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때 함께 다운로드되어 저장부(214)(예를 들어 임시 메모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카툰 이미지에서 마스크 설정 정보에 부합되어 저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들도 카툰 이미지 다운로드 과정에서 함께 다운로드되어 저장부(214)(예를 들어 임시 메모리)에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선택 이미지 저장 모듈(236)은 특정된 부분 이미지의 저장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하여, 저장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저장부(214)의 임시 메모리 영역에 존재하는 해당 부분 이미지를 저장부(214)의 영구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멀티 데이터 관리 모듈(238)은 사용자가 저장부(214)에 저장한 부분 이미지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부분 이미지들에 대응되도록 텍스트를 입력하여 저장한 경우, 해당 데이터들을 부분 이미지와 해당 텍스트 정보가 연계된 정보인 멀티 데이터로 관리한다.
SNS 어플리케이션(224)은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222)의 처리에 의해 획득된 부분 이미지 또는/및 멀티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예를 들어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라인, 페이스북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제까지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로부터 카툰 이미지나 연예인 사진 등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때, 해당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부분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스크 설정 정보와 획득 가능한 부분 이미지들이 초기에 함께 다운로드되고, 사용자의 부분 이미지 저장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 자체에서 부분 이미지가 획득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외에도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획득할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면,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가 별도의 과정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이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222)에 포함되는 기능 모듈로서 설명된 일부 기능 모듈(예를 들어, 멀티 데이터 관리 모듈(238))이 SNS 어플리케이션(224)에 포함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일부의 처리가 SNS 어플리케이션(224)에서 실시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로부터 부분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로부터 부분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멀티 데이터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멀티 데이터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222)이 구동된 사용자 단말(110)은, 단계 310에서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로부터 카툰 이미지와 해당 카툰 이미지에 상응하는 마스크 설정 정보와 부분 이미지로 획득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대상 이미지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 3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수신된 카툰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부(216)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카툰 이미지는 사용자가 보기 위해 스스로 선택한 카툰 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에서 자발적으로 제공하는 카툰 이미지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4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의 터치 스크린부(216)를 통해서는 카툰 이미지(410)만이 디스플레이되고, 마스크 설정 정보(415)와 대상 이미지(412)는 저장부(214)의 임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터치 스크린부(216)에 표시되는 카툰 이미지(410)에 마스크 설정 정보(415)가 겹쳐진(오버랩된) 상태로 표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만일 마스크 설정 정보(415)가 겹쳐진 상태임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경우라면 도 4의 (c)와 같은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스크 설정 정보(415)는 예를 들어 벡터 이미지 또는/및 부분 이미지의 외곽선을 규정하기 위한 연속된 상대좌표 정보 등과 같은 벡터값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마스크 설정 정보(415)는 부분 이미지와 그 이외의 배경 이미지를 구획하는 경계로서 기능되며, 사용자의 접촉 위치좌표와 마스크 설정 정보(415)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부분 이미지들이 대상 이미지로서 저장부(214)의 임시 메모리 영역에 미리 저장된다. 마스크 설정 정보(415)가 벡터값 정보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카툰 이미지의 일 영역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경우에도 마스크 설정 정보(415)는 여전히 카툰 이미지와 부분 이미지를 대응시키는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단계 330에서 마스크 처리를 위해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터치(예를 들어, 동일 지점에서 0.3초 이상 접촉 유지)가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터치가 인식되지 않으면, 단계 320으로 다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터치가 인식되면, 단계 34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미리 저장된 마스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크 적용 처리를 수행한다.
즉, 도 4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카툰 이미지(410)가 표시된 영역 내에서 임의의 위치에 대해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터치가 발생되면, 터치 위치(420)가 부분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적정한 위치인지를 마스크 설정 정보(415)를 참조하여 판단한다.
만일 해당 터치 위치(420)가 부분 이미지의 획득을 위해 적정한 위치라면, 도 4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치 위치(420)에 부합되는 부분 이미지가 식별 가능하도록 마스크 설정 정보(415)을 이용하여 부분 이미지의 외곽선(430)에 대한 마스킹 처리를 수행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5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마스킹 처리된 부분 이미지에 대한 저장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저장 요청이 입력되지 않고, 마스킹 처리에 대한 선택 취소 명령이 입력되면(단계 360), 다시 단계 32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마스킹 처리된 부분 이미지에 대한 저장 요청이 입력되면(도 4의 (d) 참조), 사용자 단말(110)은 단계 370으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부분 이미지(즉, 마스킹 처리된 부분 이미지)를 저장부(214)에 저장된다. 이때, 마스킹 처리된 부분 이미지에 해당되는 대상 이미지가 저장부(214)의 임시 메모리 영역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임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대상 이미지가 영구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38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저장부(214)에 저장된 부분 이미지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부분 이미지와 텍스트가 연계된 멀티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멀티 데이터 생성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멀티 데이터 생성 요청이 입력되면, 단계 39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저장부(214)에 저장된 부분 이미지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부(216)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해당 부분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표시할 텍스트를 입력받는다.
단계 395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저장 명령에 따라 부분 이미지와 이에 상응하도록 입력된 텍스트를 멀티 데이터(즉, 상호 연계되어 관리되지만 이미지와 텍스트로 분리 저장된 데이터)로 저장 관리하거나, 부분 이미지와 텍스트가 연계되어 표시된 형상을 캡쳐한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여 저장부(214)에 저장한다. 물론, 멀티 데이터와 캡쳐 이미지가 함께 생성되어 관리될 수도 있음은 별도의 설명을 생략할지라도 당연하다.
즉,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리 저장된 부분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터치 스크린부(216)에는 선택된 부분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도 5의 (e) 참조). 이후, 사용자가 메시지 입력창(510)에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하여 미리 지정된 버튼(예를 들어, 전송 버튼, 삽입 버튼, 적용 버튼 등)을 클릭하면, 디스플레이된 부분 이미지의 주변 위치에 메시지 입력창(510)에 입력된 텍스트가 배치되어 표시된다(도 5의 (f) 참조).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부분 이미지와 텍스트는 각각 독립된 데이터들로 개별 인식되지만 상호 연계되도록 관리되는 멀티 데이터로 관리 및 이용될 수도 있으나, 부분 이미지와 텍스트가 연계되도록 표시된 형상을 캡쳐하여 새로운 캡쳐 이미지로 저장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선택된 부분 이미지에 연계되어 배치되는 텍스트는 별도의 말 풍선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제한될 수 있으며, 말 풍선은 별도의 조작 버튼 선택에 의해 터치 스크린부(216)에 디스플레이되는 말 풍선 선택 창(520)에서 선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멀티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부분 이미지는 복수로 선택될 수도 있다. 즉, 도 6의 (h)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의 부분이미지를 선택하여 터치 스크린부(216)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고, 선택되어 디스플레이된 부분 이미지를 터치하여 드래그(drag)함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도 6의 (i) 및 (j) 참조).
부분 이미지들의 배치가 조정되면, 사용자는 메시지 입력창(510)을 이용하여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하여 멀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도 6의 (k) 참조). 물론, 텍스트 입력을 완료한 이후에도 생성된 멀티 데이터 저장을 요청하기 이전에는 자유롭게 부분 이미지들의 배치를 재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텍스트가 배치될 말 풍선의 선택, 크기 조정, 위치 이동 및 적용도 가능하다.
이제까지 도 3의 단계 310 내지 단계 370을 참조하여, 마스크 설정 정보를 이용한 부분 이미지 특정 및 저장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기 위해 마스크 설정 정보와 대상 이미지의 사전 저장 과정이 필수적인 것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경우로서, 만일 카툰 이미지만이 수신되어 터치 스크린부(216)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라면,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되도록 카툰 이미지의 일 영역을 터치한 경우 그랩컷(GrabCu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420, 도 4 참조)를 기준한 객체가 특정되어 부분 이미지로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랩컷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 중 일부를 특정하고 추출하는 과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동일 유사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다면 그랩컷 알고리즘 이외의 객체 추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및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부분 이미지 특정 및 저장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고 저장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단계 350 내지 단계 370에 따른 저장 처리 이전에 복수의 부분 이미지를 특정한 후 일괄 저장 처리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3에는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여 저장한 이후에 저장된 부분 이미지를 이용하여 멀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이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부분 이미지를 특정한 후 특정된 부분 이미지만을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대신, 특정된 부분 이미지에 연계될 텍스트를 입력하여 멀티 데이터로 생성하여 멀티 데이터 및/또는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만일 사용자가 전술한 처리에 의해 생성된 멀티 데이터 및/또는 캡쳐 이미지가 이용될 목적지(예를 들어, 특정 대화창, 블로그 등)의 접속 주소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해당 접속 주소정보와 사용자 식별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멀티 데이터 및/또는 캡쳐 이미지를 SNS 서비스 서버(124)에 전송함으로써 지정된 목적지에 멀티 데이터 또는 캡쳐 이미지가 등록되도록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해당 멀티 데이터 및/또는 캡쳐 이미지는 전송 처리와 함께 별도의 저장 과정을 통해 저장부(214)에 저장 처리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나, 저장 과정은 생략되고 지정된 목적지로의 전송 과정만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로부터 부분 이미지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앞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분 이미지 저장 과정은 사용자 단말(110) 자체에서 수행되는 과정인 반면,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될 부분 이미지 저장 과정은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 단말(110)에 부분 이미지가 저장되는 과정인 차이점이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부분 이미지를 이용하여 멀티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는 단계 710에서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임의의 카툰 이미지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 715에서 요청된 카툰 이미지가 사용자 단말(110)의 터치 스크린부(216)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신망을 통해 카툰 이미지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단계 720에서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로부터 수신된 카툰 이미지를 터치 스크린부(216)에 디스플레이하고, 단계 725에서 부분 이미지의 저장을 위해 미리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터치를 인식하며, 단계 730에서 카툰 식별정보(즉, 단계 710에서 수신된 카툰 이미지를 구분하기 위해 유니크(unique)하게 부여된 식별 정보)와 터치 위치(420)를 특정하는 터치 위치좌표 정보를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로 전송한다.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는 단계 735에서 카툰 식별정보와 터치 위치좌표 정보를 수신한다.
이어서,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는 단계 740에서 카툰 식별정보에 부합하도록 저장된 마스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도시되지 않음)에서 독출하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단계 745에서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부분 이미지를 수신하고 저장부(214)에 저장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서비스 서버(122)가 부분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면, 그랩컷 알고리즘 등의 객체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분 이미지를 실시간 추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멀티 데이터 전송 화면의 예시도이다.
후술될 도 8의 순서도는 전술한 멀티 데이터 관리 모듈(238)이 SNS 어플리케이션에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만일 사용자 단말(110)에 저장된 부분 이미지 또는 멀티 이미지가 캡쳐된 캡쳐 이미지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SNS 어플리케이션에서 통상의 이모티콘이나 사진을 전송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8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부분 이미지 또는/및 멀티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SNS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임의의 상대방 단말(130)과 대화를 실시하기 위한 대화방에 진입한다. 만일 구동된 SNS 어플리케이션이 카카오톡 등과 같은 실시간 메시징 서비스 어플이 아닌, 페이스북 등의 블로그 어플인 경우라면 블로그 웹 페이지에 접속되는 과정이 수행될 것이다.
단계 8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저장부(214)에 이미 저장된 부분 이미지 적용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부분 이미지 적용 요청은 통상의 실시간 메시징 서비스 어플에서 이모티콘이나 사진 등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 메뉴와 유사하게 설정된 기능 메뉴의 선택(예들 들어, 도 9의 기능 메뉴(910) 참조)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처리를 위해 별도의 기능 메뉴가 신설되지 않고 기존의 이모티콘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 메뉴 등이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일 부분 이미지 적용 요청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단계 820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부분 이미지 적용 요청이 입력되었다면, 단계 8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저장부(214)에 이미 저장된 다수의 부분 이미지들을 선택 가능한 부분 이미지들로 터치 스크린부(216)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
단계 84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단계 830에서 선택된 부분 이미지를 전송 예비 상태로 터치 스크린부(216)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전송 예비 상태는 사용자가 전송 버튼을 클릭하면 즉시 전송될 수 있는 상태로 터치 스크린부(216)에 디스플레이된 전송 준비 상태일 수 있다.
단계 85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부분 이미지와 함께 전송할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텍스트 데이터와 선택된 부분 이미지를 멀티 데이터로 인식한다. 텍스트 데이터의 입력에 따른 멀티 데이터의 형태는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도 5의 (f), (g) 또는 도 6의 (k)에 해당하는 형태일 수 있다.
단계 86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멀티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송 요청이 입력되지 않으면, 단계 860에서 대기한다. 물론, 생성된 멀티 데이터에 대한 취소 요청이 입력되면 단계 820으로 다시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전송 요청이 입력되었다면, 단계 87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생성된 멀티 데이터 또는 멀티 데이터를 캡쳐한 캡쳐 이미지를 대화방에 등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의 터치 스크린부(216)와 상대방 단말(130)의 터치 스크린부에서 각각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도 9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표시부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및
    (b)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부분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a) 단계에서 상기 이미지는 마스크 설정정보에 의하여 영역이 특정화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가 겹쳐진 상태로 표시되고,
    (b) 단계에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마스킹 설정정보에 의하여 특정화된 영역이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부분 이미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하는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이용 가능 이미지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와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가 임시 저장 영역에 미리 저장되는 단계;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지정된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부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수신될 때 함께 수신되어 상기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상응하는 터치 위치좌표 정보와 상기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터치 위치좌표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부합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로부터 획득 가능하도록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에 상기 마스크 설정정보를 미리 구비하여 상기 터치 위치좌표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부분 이미지와 메시지 입력창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부분 이미지의 미리 지정된 주변 영역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가 멀티 데이터 형태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의 표시 형태가 캡쳐된 캡쳐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가 멀티 데이터 형태로 상기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의 표시 형태가 캡쳐된 캡쳐 이미지가 상기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선택되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부분 이미지는 복수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부분 이미지 각각은 상기 표시부 내의 미리 지정된 표시 영역 내에서 임의의 위치로 이동, 확대 및 축소 중 하나 이상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실시간 메시지 서비스 및 블로그 서비스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부분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아이콘 및 배경 화면 중 하나 이상을 대체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바탕 화면으로 이용되거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대체할 수 있는 이용 가능 이미지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1.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이미지 제공 요청이 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이미지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이미지, 상기 이미지로부터 획득 가능하도록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 각각을 상기 이미지에 대응시키는 영역 정보가 특정된 마스크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대한 터치 위치좌표 정보와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로부터 획득할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는 마스크 설정정보에 의하여 영역이 특정화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가 겹쳐진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마스킹 설정정보에 의하여 특정화된 영역이 저장되고,
    저장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하는 SNS 서비스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송할 수 있는 이용 가능 이미지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2. 콘텐츠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각각으로부터 획득 가능하도록 미리 지정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와, 상기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 각각을 상응하는 이미지에 대응시키는 영역 정보가 특정된 마스크 설정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이미지 제공 요청이 수신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이미지 제공 요청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대한 터치 위치좌표 정보와 부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마스크 설정 정보와 상기 수신된 터치 위치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된 부분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는 마스크 설정정보에 의하여 영역이 특정화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가 겹쳐진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마스킹 설정정보에 의하여 특정화된 영역이 저장되고,
    저장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하는 SNS 서비스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할 수 있는 이용 가능 이미지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4.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이미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상응하도록 미리 지정된 부분 이미지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는 마스크 설정정보에 의하여 영역이 특정화된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가 겹쳐진 상태로 표시되고,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마스킹 설정정보에 의하여 특정화된 영역이 저장되고,
    저장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하는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이용 가능 이미지로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를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임시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되면,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지정된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저장부에 상기 부분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표시 영역 중 미리 지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 터치가 인식된 위치에 상응하는 터치 위치좌표 정보와 상기 이미지의 식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터치 위치좌표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부합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되,
    상기 콘텐츠 서비스 서버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분 이미지 각각의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설정 정보와 상기 터치 위치좌표 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부분 이미지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저장된 부분 이미지와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텍스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부분 이미지의 미리 지정된 주변 영역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하되,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저장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가 멀티 데이터 형태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상기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의 표시 형태가 캡쳐된 캡쳐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부분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가 멀티 데이터 형태로 상기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거나, 상기 이미지와 상기 주변 영역에 배치된 텍스트의 표시 형태가 캡쳐된 캡쳐 이미지가 상기 SNS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PCT/KR2016/004140 2015-05-18 2016-04-21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618632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80028913.1A CN107864681A (zh) 2015-05-18 2016-04-21 利用图像的社交网络服务系统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692A KR101567555B1 (ko) 2015-05-18 2015-05-18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15-0068692 2015-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6325A1 true WO2016186325A1 (ko) 2016-11-24

Family

ID=5484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4140 WO2016186325A1 (ko) 2015-05-18 2016-04-21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67555B1 (ko)
CN (1) CN107864681A (ko)
WO (1) WO20161863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4303B2 (en) 2017-12-29 2021-11-23 Titus Deac Brevity-codified messaging system and process with pre-composed messages made of prefabricated icons, and methods of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357B1 (ko) 2016-05-18 2021-12-13 애플 인크. 그래픽 메시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의 확인응답 옵션들의 적용
US11112963B2 (en) 2016-05-18 2021-09-0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DK180169B1 (en) * 2016-05-18 2020-07-13 Apple Inc Devices, procedures, and graphical messaging user interfaces
US10368208B2 (en) 2016-06-12 2019-07-30 Apple Inc. Layers in messaging applications
US11580970B2 (en) * 2019-04-05 202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enriched attentive memory network with global and local encoding for dialogue breakdown detec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689A (ko) * 2008-09-05 2010-03-15 고광현 개인 실사 캐릭터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5160A (ko) * 2012-09-13 2014-03-21 김규문 모바일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이모티콘 검색 방법
KR101401184B1 (ko) * 2008-02-01 2014-05-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의 객체 경계 추정 방법
KR101425362B1 (ko) * 2007-08-06 2014-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작성 방법
KR20140103881A (ko) * 2014-07-18 2014-08-27 오용운 3d 캐릭터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이모티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0753A (ko) * 2013-10-3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툰 이미지를 이용한 메신저 대화창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7140C (zh) * 2005-11-11 2008-07-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动态图片截取方法
JP2013235080A (ja) * 2012-05-08 2013-11-21 Sony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方法
CN103092524B (zh) * 2013-01-31 2015-09-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过触摸屏实现截图的方法及移动终端
CN103269362B (zh) * 2013-05-07 2015-11-2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网页中图片局部内容的分享方法、系统和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362B1 (ko) * 2007-08-06 2014-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작성 방법
KR101401184B1 (ko) * 2008-02-01 2014-05-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의 객체 경계 추정 방법
KR20100028689A (ko) * 2008-09-05 2010-03-15 고광현 개인 실사 캐릭터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5160A (ko) * 2012-09-13 2014-03-21 김규문 모바일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이모티콘 검색 방법
KR20150050753A (ko) * 2013-10-3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툰 이미지를 이용한 메신저 대화창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103881A (ko) * 2014-07-18 2014-08-27 오용운 3d 캐릭터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이모티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4303B2 (en) 2017-12-29 2021-11-23 Titus Deac Brevity-codified messaging system and process with pre-composed messages made of prefabricated icons, an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555B1 (ko) 2015-11-20
CN107864681A (zh)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86325A1 (ko) 이미지가 이용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20067585A1 (ko) 메신저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대화방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20451A1 (ko) 인쇄물을 이용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WO2016093552A2 (en) Terminal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WO2016126018A1 (ko) 메신저의 대화내용을 관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WO2017135797A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operation of applications
WO2016129811A1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공식계정의 리치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WO2020096087A1 (ko) 메시지 그룹 관리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EP3019966A1 (en) Remote operation of applications using received data
EP3230902A2 (en) Terminal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12079170A (ja) 表示装置、開示制御装置、開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074618A1 (ko) 영상을 위한 효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WO2013069885A1 (e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application information
WO2016093652A2 (ko) 전화번호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가족 앨범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족 앨범서비스 제공방법
EP3167405A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33227A1 (ko)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WO20181437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across applications
WO2014171613A1 (ko)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WO20200459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framework for multi-selection and operation of non-consecutive segmented information
KR20170055345A (ko) 만화에서의 이미지 추출과 변형 시스템을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방법
WO2017213454A1 (ko) 사용자 서버를 이용한 파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8056653A1 (ko) 번역문과 함께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0226270A1 (ko) 커스텀 이모티콘을 생성하고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606414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in electronic device
WO2018101787A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966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966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