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214B1 -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0214B1 KR102320214B1 KR1020200113958A KR20200113958A KR102320214B1 KR 102320214 B1 KR102320214 B1 KR 102320214B1 KR 1020200113958 A KR1020200113958 A KR 1020200113958A KR 20200113958 A KR20200113958 A KR 20200113958A KR 102320214 B1 KR102320214 B1 KR 1023202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performance
- augmented reality
- video
- object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5—Image signal generators from 3D object models, e.g. computer-generated stereoscopic image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를 설정하기 위한 입체 머천다이즈와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포토 카드 또는 객체를 함께 카메라로 인식하면 증강현실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을 감지하여 무대 정보를 파악하는 무대 정보를 파악하는 무대 정보 파악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객체 카드를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하는 객체 정보 파악부,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공연 영상 생성부 및 상기 공연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영상 컨텐츠를 가시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공연 영상 재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를 설정하기 위한 입체 머천다이즈와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포토 카드 또는 객체를 함께 카메라로 인식하면 증강현실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 다양한 매체를 실행하고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보급으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들은 효율성과 편의성의 관점에서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기술 수요의 증대로 이어지면서,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의 한 분야인 증강현실이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증강현실(Mobile Augmented Reality)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란 가상현실(Virtual Reality)과 달리, 현실세계의 이미지와 가상세계의 이미지를 융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환경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증강현실에 나타나는 가상세계의 이미지는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하며, 현실세계의 이미지에 추가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 사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콘텐츠로써,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에 비춰지는 현실 이미지에 GPS, GNSS 등으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위치정보에서 광고, 네비게이션 정보 등을 제공하기도 하며, 다양한 방면에서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5G의 상용화, 높은 확장성과 높은 활용성을 갖는 증강현실은 좀 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기술력 발달에 비해 컨텐츠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증강 현실 기술을 도입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과 원하는 내용의 실감나는 공연을 제공해줄 수 있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있어서 공연이나 콘서트와 같은 공연 컨텐츠와 상품을 연계하여 엔터테인먼트 상품성을 높일 수 있어 굿즈 산업을 보다 활성화 시키고 확장시킴으로써 고부가가치 산업 구조를 도출해낼 수 있고, 글로벌 시장으로까지 확장 가능한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을 감지하여 무대 정보를 파악하는 무대 정보를 파악하는 무대 정보 파악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객체 카드를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하는 객체 정보 파악부,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공연 영상을 생성하는 공연 영상 생성부 및 상기 공연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영상을 가시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공연 영상 재생부를 포함한다.
한편, 영상 저장부, 무대 정보 파악부, 객체 정보 파악부, 공연 영상 생성부, 및 영상 재생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은, 무대 정보 파악부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을 감지하여 무대 정보를 파악하는 무대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객체 정보 파악부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객체 카드를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공연 영상 생성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에서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공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공연 영상 재생부가 상기 공연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영상을 가시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증강 현실 기술을 도입하여 비대면 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과 원하는 내용의 실감나는 공연을 제공해줄 수 있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있어서 공연이나 콘서트와 같은 공연 컨텐츠와 상품을 연계하여 엔터테인먼트 상품성을 높일 수 있어 굿즈 산업을 보다 활성화 시키고 확장시킴으로써 고부가가치 산업 구조를 도출해낼 수 있고, 글로벌 시장으로까지 확장 가능한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공연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공연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10)는, 도 1 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에 설치되고 구동되는 공연 영상 컨텐츠 재생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1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이 사용자 단말(20)에 탑재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연 영상 재생부(160)는 사용자 단말(20)에 탑재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의 일 예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단말로서, 3G, 4G, 5G 단말, 스마트 패드(smart pad), ,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보장되는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영상 저장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한다.
영상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컨텐츠 데이터는 무대(배경)와 아티스트가 지정되지 않은 형태의 콘서트 공연 영상 컨텐츠 데이터 또는 뮤직비디오 영상 컨텐츠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돌 그룹의 노래 파일과 댄스를 위한 움직임 정보로 정의된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대 정보 파악부(130)는 사용자 단말(20)의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을 감지하여 무대 정보를 파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대 정보 파악부(130)는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마다 매칭되도록 설정된 무대 또는 배경 영상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무대 정보 파악부(130)가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을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20)의 카메라로 촬영, 저장되지 않더라도 카메라로 인식되기만 하더라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은 실제 콘서트나 뮤지컬, 연극 공연을 위한 무대와 유사도 높게 구현된 무대 형태의 미니어처 또는 3D형태의 입체 퍼즐 머천다이즈(MerchanDise)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무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대 이외에 사용자가 아티스트 공연을 감상하고 싶은 장소로 아티스트 연습실, 녹음실 또는 뮤직비디오 내의 공간과 같이 그 어떤 공간적 배경이 될 수 있는 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형태는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객체 정보 파악부(140)는 사용자 단말(20)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객체 카드를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한다.
이때 객체 정보 파악부(140)가 객체 카드의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를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 단말(20)의 카메라로 촬영, 저장되지 않더라도 카메라로 인식되거나 스캔하기만 하더라도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객체 카드는 일예로 아이돌 그룹 중 멤버 A의 사진을 고유 디자인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카드에는 멤버 A의 솔로 콘서트 공연 영상에 대한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다.
또한 아이돌 그룹 중 멤버 B의 사진을 고유 디자인으로 포함하는 객체 카드에는 멤버 B의 솔로 콘서트 공연 영상에 대한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되고, 아이돌 그룹 단체 컷 이미지를 고유 디자인으로 포함하는 객체 카드에는 아이돌 그룹 단체 콘서트 공연 영상에 대한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유 이미지를 포함하는 포토 카드마다 매칭되는 영상이 재생되도록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아이돌 그룹이나 아이돌 멤버에 대한 포토카드를 구매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을 이용하여 실감나게 원하는 공연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포토 카드를 구매하면 다른 공연 영상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포토 카드와 같은 굿즈의 판매를 독려할 수 있고, 엔터테인먼트 굿즈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객체 카드는 단순히 카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입체 형태의 오브젝트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아티스트의 미니어처 또는 그룹 네이밍 모양의 오브젝트, 그밖에 다양한 형태로 아티스트를 상징할 수 있는 형태의 오브젝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공연 영상 생성부(150)는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무대 정보 파악부(130)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객체 정보 파악부(140)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공연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즉, 공연 영상 생성부(150)는 무대(배경)와 아티스트가 지정되지 않은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객체 무대 정보 파악부(130)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20a)를 결합하고, 객체 정보 파악부(140)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20b)즉, 아티스트 정보를 결합하고 일 예로 아이돌 그룹의 노래 파일과 댄스를 위한 움직임 정보로 정의된 파일에 아티스트를 적용하여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르면, 객체 정보 파악부(140)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 즉 오브젝트를 감지하여 고유의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하고, 공연 영상 생성부(15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이 감지되면 영상 저장부에서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무대 정보 파악부(130)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객체 정보 파악부(140)에서 파악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에 대한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공연 영상을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오브젝트에 A AR 영상 코드가 포함되고, 제 2 오브젝트에 B AR 영상 코드가 포함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20)의 카메라에서 제 1 오브젝트가 인식되면, 공연 영상 생성부(150)는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무대 정보 파악부(130)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제 1 오브젝트 정보를 결합하여 제 1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의 카메라에서 제 2 오브젝트가 인식되면, 공연 영상 생성부(150)는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무대 정보 파악부(130)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제2 오브젝트 정보를 결합하여 제 2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의 카메라에서 제 1 오브젝트와 제 2 오브젝트가 함께 인식되면, 공연 영상 생성부(150)는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무대 정보 파악부(130)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제1 오브젝트 정보와 제 2 오브젝트 정보를 결합하여 제1 공연 영상이나 제2 공연 영상과는 상이한 새로운 제3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한다.
즉, 오브젝트 두 개가 동시에 인식될 때 새로운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오브젝트의 개수가 그 이상이 되어도 하나의 화면상에 인식되는 오브젝트 조합에 따라 새로운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 또는 공연과 연관된 오브젝트의 구매를 독려함으로써 엔터테인먼트 굿즈 산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오브젝트가 두 개인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브젝트가 두 개 이상이면 그 조합에 따라 조합마다 새로운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공연 영상 생성부(150)는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의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무대 정보 파악부(130)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객체 정보 파악부(140)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공연 영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음악에 상이한 안무 내용의 공연이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공연에 대한 공연 영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과, 포토카드 또는 오브젝트의 조합을 이용하더라도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들 중 어떤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의 지속적인 개발과 업데이트를 통한 컨텐츠 확장이 가능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연 영상 재생부(160)는 공연 영상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공연 영상을 가시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연 영상 재생부(160)는 사용자 단말(2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실감나게 공연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화면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LCD, LED, AMOLE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 단말(20)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활용하는 경우, 스마트폰 화면을 디스플레이부로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 영상 재생부(160)는 사용자 단말(20) 내부에서 가시적인 데이터로 공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적 구성을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공연 영상 재생부(160)는 기존의 AR 영상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어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웹사이트로 연결시켜서 공연 영상 생성부(150)에서 생성된 영상을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20)의 화면을 통해 재생할 수도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영상 편집부(170)는 영상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의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즉, 영상 컨텐츠 데이터의 영상 편집 기능을 통해 동일한 무대와 동일한 아티스트라 하더라도 상이한 내용의 콘서트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직접 사용자가 공연 영상 컨텐츠의 기반이 되는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고,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집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10)는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하도록 컨텐츠 거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적인 공연 컨텐츠 개발자들의 활발한 활동을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비대면 방식으로 다양하고 풍성한 내용의 공연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몰입감 있고 현실감 있는 공연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연 영상 컨텐츠는 실제 공연 시간과 동일하게 공연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일반적인 공연을 진행하면서 필요에 따라 특정 신(scene)에 제한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있어서, 공연 영상 생성부(150)는 뮤지컬 무대(배경)와 뮤지컬 배우가 지정되지 않은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객체 무대 정보 파악부(130)에서 파악되는 뮤지컬 무대 정보를 결합하고, 객체 정보 파악부(140)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즉, 뮤지컬 배우 정보를 결합하고 일 예로 뮤지컬 공연을 위한 음악 파일과 움직임 정보로 정의된 파일에 뮤지컬 무대와 뮤지컬 배우를 적용하여 뮤지컬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뮤지컬 프로그램북에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를 포함시켜서 프로그램북 내 일부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20)의 카메라가 스캔하면 해당 페이지의 뮤지컬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여 재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K-POP 아티스트의 전시에서 사진이나 조형물에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를 포함시켜서 더 풍성한 전시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시회에 참여하여 전시된 사진이나 그림, 조형물을 사용자 단말(20)의 카메라로 인식하면 인식된 사진이나 그림, 조형물에 연관된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 장치(10)는 복수의 포토 카드의 조합에 따라 미리 준비된 특별 공연 영상 컨텐츠를 제공해 줄수 도 있다.
또한, 게임과 같은 추가 컨텐츠를 더 도입하여 게임에 연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포토카드 또는 조형물을 조합하여 사용자 단말(20)의 카메라로 촬영될 경우 게임 미션을 달성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영상 저장부, 무대 정보 파악부, 객체 정보 파악부, 공연 영상 생성부, 및 영상 재생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은 먼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영상 이미지를 스캔하면(S300), 무대 정보 파악부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을 감지하여 무대 정보를 파악하는 무대 정보를 파악한다(S310).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은 실제 콘서트나 뮤지컬, 연극 공연을 위한 무대와 유사도 높게 구현된 무대 형태의 미니어처 또는 3D형태의 입체 퍼즐 머천다이즈(MerchanDise)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무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대 이외에 사용자가 아티스트 공연을 감상하고 싶은 장소로 아티스트 연습실, 녹음실 또는 뮤직비디오 내의 공간과 같이 그 어떤 공간적 배경이 될 수 있는 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형태는 모두 포괄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객체 정보 파악부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객체 카드를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한다(S320).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객체 카드는 일예로 아이돌 그룹 중 멤버 A의 사진을 고유 디자인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카드에는 멤버 A의 솔로 콘서트 공연 영상에 대한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다.
또한 아이돌 그룹 중 멤버 B의 사진을 고유 디자인으로 포함하는 객체 카드에는 멤버 B의 솔로 콘서트 공연 영상에 대한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되고, 아이돌 그룹 단체 컷 이미지를 고유 디자인으로 포함하는 객체 카드에는 아이돌 그룹 단체 콘서트 공연 영상에 대한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유 이미지를 포함하는 포토 카드마다 매칭되는 영상이 재생되도록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연 영상 생성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에서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공연 영상을 생성한다(S330).
공연 영상 생성부(150)는 무대(배경)와 아티스트가 지정되지 않은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객체 무대 정보 파악부(130)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20a)를 결합하고, 객체 정보 파악부(140)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20b)즉, 아티스트 정보를 결합하고 일 예로 아이돌 그룹의 노래 파일과 댄스를 위한 움직임 정보로 정의된 파일에 아티스트를 적용하여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을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하고, 이때 공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이 감지되면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에 대한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공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 두 개가 동시에 인식될 때 새로운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오브젝트의 개수가 그 이상이 되어도 하나의 화면상에 인식되는 오브젝트 조합에 따라 새로운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 또는 공연과 연관된 오브젝트의 구매를 독려함으로써 엔터테인먼트 굿즈 산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오브젝트가 두 개인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브젝트가 두 개 이상이면 그 조합에 따라 조합마다 새로운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공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의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공연 영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음악에 상이한 안무 내용의 공연이 복수 개인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공연에 대한 공연 영상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과, 포토카드 또는 오브젝트의 조합을 이용하더라도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들 중 어떤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의 지속적인 개발과 업데이트를 통한 컨텐츠 확장이 가능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에 공연 영상 재생부가 상기 공연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영상 컨텐츠를 가시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340).
공연 영상 재생부는 기존의 AR 영상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재생 전용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되어 공연 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웹사이트로 연결시켜서 공연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영상을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재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 양상에 있어서 영상 편집부는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의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S350, S36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직접 사용자가 공연 영상 컨텐츠의 기반이 되는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편집하고,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편집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는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하도록 컨텐츠 거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적인 공연 컨텐츠 개발자들의 활발한 활동을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비대면 방식으로 다양하고 풍성한 내용의 공연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몰입감 있고 현실감 있는 공연 영상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20 : 사용자 단말
110 : 통신부 120 : 영상 저장부
130 : 무대 정보 파악부 140 : 객체 정보 파악부
150 : 공연 영상 생성부 160 : 공연 영상 재생부
170 : 영상 편집부
110 : 통신부 120 : 영상 저장부
130 : 무대 정보 파악부 140 : 객체 정보 파악부
150 : 공연 영상 생성부 160 : 공연 영상 재생부
170 : 영상 편집부
Claims (10)
-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을 감지하여 무대 정보를 파악하는 무대 정보를 파악하는 무대 정보 파악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객체 카드를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하는 객체 정보 파악부;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공연 영상 생성부; 및
상기 공연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영상 컨텐츠를 가시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공연 영상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의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의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 편집부;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조형물을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을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공연 영상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 저장부에서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에 대한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 삭제
- 영상 저장부, 무대 정보 파악부, 객체 정보 파악부, 공연 영상 생성부, 및 영상 재생부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에서 수행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무대 정보 파악부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입체 무대 모형 구조물을 감지하여 무대 정보를 파악하는 무대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객체 정보 파악부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객체 카드를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공연 영상 생성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에서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공연 영상 재생부가 상기 공연 영상 생성부에서 생성된 공연 영상 컨텐츠를 가시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의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영상 편집부가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의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조형물을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인식되는 영상 이미지에서 고유의 디자인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을 감지하여 AR(augmented reality) 영상 코드가 포함된 객체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공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 저장부에서 저장된 영상 컨텐츠 데이터에 상기 무대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무대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 파악부에서 파악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조형물에 대한 객체 정보를 결합하여 새로운 공연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3958A KR102320214B1 (ko) | 2020-09-07 | 2020-09-07 |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3958A KR102320214B1 (ko) | 2020-09-07 | 2020-09-07 |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0214B1 true KR102320214B1 (ko) | 2021-11-02 |
Family
ID=7847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3958A KR102320214B1 (ko) | 2020-09-07 | 2020-09-07 |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021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05069A (ko) | 2014-03-07 | 2015-09-16 | 장순철 | 혼합현실형 가상 공연 시스템을 위한 평면 영상 입체화 합성기법 |
KR101825600B1 (ko) | 2012-02-13 | 2018-02-05 |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 |
KR20200002491A (ko) * | 2018-06-29 | 2020-01-08 | 주식회사 퍼즐스페이스 |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20200079857A (ko) * | 2018-12-26 | 2020-07-06 | 블루베리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연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공방법 |
-
2020
- 2020-09-07 KR KR1020200113958A patent/KR1023202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5600B1 (ko) | 2012-02-13 | 2018-02-05 |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좌석안내 장치 및 그 방법 |
KR20150105069A (ko) | 2014-03-07 | 2015-09-16 | 장순철 | 혼합현실형 가상 공연 시스템을 위한 평면 영상 입체화 합성기법 |
KR20200002491A (ko) * | 2018-06-29 | 2020-01-08 | 주식회사 퍼즐스페이스 | 증강현실 기반의 지역 특화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20200079857A (ko) * | 2018-12-26 | 2020-07-06 | 블루베리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연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10002B2 (en) | Method and apparatus of processing expression information in instant communication | |
JP2020071851A (ja) | アバタによる生放送方法及び装置 | |
WO2014136103A1 (en) | Simultaneous local and cloud searching system and method | |
EP4091167A1 (en) | Classifying audio scene using synthetic image features | |
KR101745895B1 (ko) | 동영상에 삽입된 2차원 코드를 이용한 컨텐츠 확장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재생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CN113012280B (zh) | 一种vr虚拟展厅构建方法和装置 | |
CN106294612A (zh) | 一种信息处理方法和设备 | |
CN110858376A (zh) | 服务提供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 |
Jiang | Digital media application technology of mobile terminals based on edge computing and virtual reality | |
KR102320214B1 (ko) | 증강 현실을 이용한 공연 영상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 |
CN113127126A (zh) | 对象展示方法及装置 | |
Choi et al. | New promotional video technique utilizing augmented reality and popcode | |
Auslander | 22 Barbie in a meat dress: performance and mediatization in the 21st century | |
CN112604279A (zh) | 一种特效显示方法及装置 | |
US20160048271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KR101702675B1 (ko) | 상이한 대상 플랫폼들에 대한 미디어 이동성 및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세스 | |
O’Dwyer et al. | Jonathan Swift: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r Trinity library’s long room | |
CN114363699A (zh) | 动画文件播放方法、装置及终端设备 | |
KR20130107895A (ko) |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방법 및 2차원 코믹 콘텐츠의 이펙트 적용에 의한 애니코믹 제작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
CN110072067A (zh) | 可交互式操作的影视节目制作与发送方法、系统及设备 | |
CN112418962A (zh) | 三维漫游方法、装置及设备 | |
KR102361883B1 (ko) |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 |
CN114170362A (zh) | 图像渲染方法及装置 | |
KR20190016828A (ko) | 심리스 무브먼트를 이용한 360도 3d 입체영상 시스템 | |
Wang et al. | Analysis from Competitor's Perspective: Comparing the Opportunities and Risks of Using TikTok in LEGO's Digital Marke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