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883B1 -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 Google Patents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883B1
KR102361883B1 KR1020210099043A KR20210099043A KR102361883B1 KR 102361883 B1 KR102361883 B1 KR 102361883B1 KR 1020210099043 A KR1020210099043 A KR 1020210099043A KR 20210099043 A KR20210099043 A KR 20210099043A KR 102361883 B1 KR102361883 B1 KR 102361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racter
customized
ani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09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감정 공유 캐릭터와 관련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와 관련된 감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획득된 감정정보에 기초하여, 상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하는 단계;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1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1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server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character goods on online platform and server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릭터, 애니메이션 등을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로써, 사용자에게 감정 공유 캐릭터와 관련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온라인 플랫폼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로써, 사용자의 감정을 공유하는 감정 공유 캐릭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및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 속도, 즉 전송 대역폭의 증가(이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커진다는 의미와 같다)로 인해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커지고 있는데, 이러한 인터넷 관련기술을 빠른 발전으로 인해 생동감 있는 오디오(audio)와 비디오(video)들이 결합된 멀티미디어를 온라인(on-line) 검색을 통해 보고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의 대표적인 것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여기서 스트리밍(streaming)이란 크기가 큰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동영상데이터)를 실행시키는데 있어서 전부 다운(down)받아 실행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개의 파일로 나누어 연이어 실시간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오디오 파일이나 비디오 파일들을 스트리밍 형식으로 듣거나 화면에 나타내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사용자)(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여러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오디오 스트리밍/비디오 스트리밍(audio streaming/video streaming)을 위해서는 리얼 오디오 플레이어(real audio player)와 같은 오디오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나 윈도우즈 미디어플레이어(windows media player)와 같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은 대부분 실시간(real time)으로 오디오/비디오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플러그 인(multimedia plug in)이며,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기반으로 하여 동작할 수 있는 부가적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현재 상기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통해 지원될 수 있는 서비스로는, 스포츠나 뉴스나 라이브 콘서트 등의 실시간 중계방송서비스,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VOD: Video On Demand) 등이 있으며,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국, 인터넷 영화관 등의 많은 인터넷 서비스 사업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는 네트워크 대역폭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이고, 더욱 강력한 PC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제한적 서비스라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인터넷 전용선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고 PC도 고성능화 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는 점진적으로 사라지고 있다.
한편 캐릭터(character)는 인터넷이나 이동 통신 환경과 같은 가상의 공간에 존재하는 가공의 인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간의 형상 뿐만 아니라, 사물, 동물, 식물 또는 상상 속의 객체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는 존재이다. 특히 문화 컨텐츠 산업의 발전에 따라 캐릭터는 애니메이션, 게임, 영화, 만화, 소설과 같은 컨텐츠에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로써 해당 컨텐츠를 감상한 사람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기도 한다.
사람들은 캐릭터들이 자신의 모습, 감정, 심리 상태 등을 투영하거나 대변하는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하며, 캐릭터의 형상 자체 또는 캐릭터의 행동이나 표정을 통해 친근감을 느끼기도 한다. 또한 사람들이 캐릭터가 창작된 배경이나 캐릭터의 형상에 대한 의미 등을 인식함으로써 캐릭터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수록, 해당 캐릭터에 대한 사람들의 친근감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이 증폭될 수 있다.
한편, 오프라인 상의 사회적 거리가 멀어지면서 온라인과 같은 가상의 공간을 통한 심리적 유대감의 형성 등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가상의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캐릭터 사이의 감정 공유와 같은 심리적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즉, 온라인 상의 가상의 캐릭터들이 단순히 사용자로부터 친근감을 끌어내는 것을 넘어, 캐릭터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들과 감정 공유 기능을 가지는 캐릭터들로 진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001)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24841호 (2018.03.08) (001) 국내공개특허 제10-2020-0144702호 (2020.12.3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감정을 공유하는 감정 공유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감정 공유 캐릭터와 관련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와 관련된 감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획득된 감정정보에 기초하여, 상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하는 단계;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1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1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품 레이아웃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보다 적은 경우, 방법은,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2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2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2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애니메이션은 제1 애니메이션에 후속하는 후속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보다 적고,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후속 애니메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방법은,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캐릭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제외한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차선 캐릭터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단계는, 차선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3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선 캐릭터를 선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제외한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아래 수학식의 값이 가장 낮은 감정 공유 캐릭터를 차선 캐릭터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수학식]
Figure 112021087179616-pat00001
상기 수학식에서, x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 어느 하나인 비교대상 캐릭터를 나타내는 식별 번호이고, A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제1 속성을 나타내는 값, B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제2 속성을 나타내는 값, C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제3 속성을 나타내는 값을 나타내고, a(x)는 비교대상 캐릭터의 제1 속성을 나타내는 값, b(x)는 비교대상 캐릭터의 제2 속성을 나타내는 값, c(x)는 비교대상 캐릭터의 제3 속성을 나타내는 값을 나타내며, G(x)는 비교대상 캐릭터가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는 경우, '0', 비교대상 캐릭터가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경우, '1'을 반환하는 함수이고,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선 캐릭터가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경우, 방법은, 제1 캐릭터 그룹이 아닌 제2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3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제3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차선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제4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3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차선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제4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감정 공유 캐릭터와 관련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버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에 따라,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와 관련된 감정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획득된 감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하고,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품 레이아웃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감정 공유 캐릭터와 관련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서버에 있어서, 프로세서(processor); 송수신기(transceiver); 및 메모리(memory);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와 관련된 감정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감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1 애니메이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1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상품 레이아웃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2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2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기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되, 상기 제2 애니메이션은 상기 제1 애니메이션에 후속하는 후속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보다 적고,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후속 애니메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캐릭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차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선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3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기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은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소개하고 캐릭터 상품 선택에 관한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은 사용자 친화적인 방법으로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캐릭터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맞춤 캐릭터와 감정을 공유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상품이 생성되는 서비스를 경험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은 맞춤형 캐릭터 상품의 생성에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감정 공유 캐릭터들의 인지도 및 애착형성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의 상품 레이아웃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상품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 생성에 사용되는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사용자와 감정을 공유하는 감정 공유 캐릭터와 관련된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감정정보를 획득하여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감정정보 및 사용자의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및 선호도를 반영하는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감정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선정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다양한 모습을 포함하는 애니메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과정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효과적으로 소개하고 캐릭터 상품 선택에 관한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 제공 시스템(1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캐릭터 상품 판매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와 감정으로 공유하는 감정 공유 캐릭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나타내는 출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나타내는 감정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사용자의 감정정보에 따라 선정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기 저장된 캐릭터들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및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400)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재생되도록 해당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해당 애니메이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해당 애니메이션이 재생되는 동안 등장하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애니메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재생된 애니메이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애니메이션이 재생되는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touch) 입력, 터치 앤 드래그(touch and drag) 입력, 마우스 클릭(click) 입력, 또는 클릭 앤 드래그(click and drag)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00)은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이 나열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터치 앤 드래그 입력, 마우스 클릭 입력, 또는 클릭 앤 드래그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획득한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영상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및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디스플레이 기능 및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은 캐릭터 상품 판매 서버(300)를 통해 판매될 수 있다. 캐릭터 상품 판매 서버(300)는 상품 판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나타내는 정보를 캐릭터 상품 판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캐릭터 상품 판매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캐릭터 상품 판매 서버(300)는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이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 상품 판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 구매를 위한 사용자 결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시스템(10)의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5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1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이 캐릭터 상품 판매 서버(300)를 통해 판매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도 1에서 설명된 캐릭터 상품 판매 서버(300)의 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판매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가 감정 공유 캐릭터와 관련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1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와 관련된 감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감정정보는 사용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상태를 감정 속성 별로 수치화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감정정보는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이 부정적인 정도에 따라 0~10 사이의 숫자로 수치화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와 관련된 감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자판을 통해 사용자의 감정과 관련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문진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각종 센서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목소리, 표정, 행동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목소리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표정 정보 및 행동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위치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 목소리 정보, 표정 정보, 및 행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관련 정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단계 S202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단계 S201에서 획득된 감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계 S201에서 획득된 감정정보와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감정정보의 감정 속성 별 수치와 감정 공유 캐릭터의 속성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의 감정정보의 감정 속성 별 수치와 가장 유사한 감정 공유 캐릭터를 사용자 맞춤 캐릭터로 선정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캐릭터 그룹은 인간의 감정과 관련하여 서로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있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을 포함하는 캐릭터 패밀리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1 캐릭터 그룹은 '감정의 결핍'을 주제로 하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캐릭터 그룹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은 특정 캐릭터 그룹에 속한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 적어도 일부가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캐릭터 그룹 대응하는 제1 애니메이션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캐릭터들 중에서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한 캐릭터들 중 적어도 일부의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제1 캐릭터 그룹 대응하는 제1 애니메이션에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복수의 캐릭터들 중에서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한 캐릭터들 외의 캐릭터들은 등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1 애니메이션이 사용자 단말에서 재생되도록 제1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는 해당 애니메이션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애니메이션 영상 데이터 및 재생 관련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영상 데이터 및 재생 관련 메타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압축된 데이터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H.264, H.265, VVC, VP6, AV1과 같은 사용 코덱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단계 S204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계 S203의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애니메이션이 재생되는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터치 앤 드래그 입력, 마우스 클릭 입력, 또는 클릭 앤 드래그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이 나열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터치 앤 드래그 입력, 마우스 클릭 입력, 또는 클릭 앤 드래그 입력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0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품 레이아웃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모습의 개수에 따라 기 설정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레이아웃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에 따라 후술할 도 3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은 사용자 맞춤형 스티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계 S204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모습들이 배치된 스티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의 상품 레이아웃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모습의 개수가 4개인 경우,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의 상품 레이아웃은 제1 레이아웃(31)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모습의 개수가 5개인 경우,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의 상품 레이아웃은 제2 레이아웃(32)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모습의 개수가 6개인 경우,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의 상품 레이아웃은 제3 레이아웃(33)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 보다 적은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 또는 다른 캐릭터의 모습을 추가적으로 상품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캐릭터의 모습을 결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 보다 적은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과 관련하여 도 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서 설명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동작들은 도 2의 단계 S204에 후속하는 것으로, 도 2의 단계 S205에 포함되는 동작들일 수 있다. 또한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은 도 2의 단계S204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 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제1 캐릭터 그룹은 도 2의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캐릭터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 보다 적은 지 판별할 수 있다(단계 S410). 여기에서, 기 설정된 최소 개수는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기 저장된 상품 레이아웃에 따른 개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 설정된 개수 범위의 독립된 영역을 포함하는 상품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된 개수 범위는 4개 이상 16개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 이상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11).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 보다 적은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후속 애니메이션이 존재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단계 S420).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는 특정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복수의 애니메이션을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후속 애니메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2 애니메이션이 사용자 단말에서 재생되도록 제2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421). 이때, 제2 애니메이션은 도 2의 단계 S203의 애니메이션에 후속하여 재생되는 후속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2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22).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2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23).
후속 애니메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추가적으로 선정된 차선 캐릭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차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제외한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차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캐릭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차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속성 정보와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를 비교하여 차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캐릭터 그룹 정보와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캐릭터 그룹 정보를 비교하여 차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선 캐릭터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캐릭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아래 수학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하나의 차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학식 D(x)의 값이 가장 작은 감정 공유 캐릭터를 차선 캐릭터로 선정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21087179616-pat00002
수학식에서, x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 어느 하나인 비교대상 캐릭터를 나타내는 식별 번호이고, A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제1 속성을 나타내는 값, B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제2 속성을 나타내는 값, C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제3 속성을 나타내는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a(x)는 비교대상 캐릭터의 제1 속성을 나타내는 값, b(x)는 비교대상 캐릭터의 제2 속성을 나타내는 값, c(x)는 비교대상 캐릭터의 제3 속성을 나타내는 값을 나타낼 수 있다. G(x)는 비교대상 캐릭터가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는 경우, '0', 비교대상 캐릭터가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경우, '1'을 반환하는 함수일 수 있다. 또한,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일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차선 캐릭터가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는 캐릭터인지 판별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게 복수의 캐릭터 그룹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게 제1 캐릭터 그룹 및 제2 캐릭터 그룹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한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은 '감정의 결핍'을 공통된 주제로 하는 캐릭터 그룹일 수 있다. 제2 캐릭터 그룹에 속한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은 '공개하기 어려운 비밀'을 주제로 하는 캐릭터 그룹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한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애니메이션과 제2 캐릭터 그룹에 속한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을 서로 구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차선 캐릭터가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1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차선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41).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42).
일 실시예에 따라 차선 캐릭터가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1 캐릭터 그룹이 아닌 제2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3 애니메이션이 사용자 단말에서 재생되도록 제3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450).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3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차선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제4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51).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3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차선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제4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52).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맞춤형 상품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애니메이션(51)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52)의 모습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53)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상품(54)이 생성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사용자 맞춤 캐릭터(52)가 속한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51)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애니메이션(51)에 등장하는 다른 캐릭터(55)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52)가 속한 캐릭터 그룹이 포함하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52)의 특정 모습을 클릭(또는 클릭 앤 드래그)하는 사용자 입력(56)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56)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입력(56)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모습(57)을 상품 레이아웃에 삽입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정 공유 캐릭터들과 관련된 속성정보 및 캐릭터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도 6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 생성에 사용되는 캐릭터 데이터베이스(60)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캐릭터 데이터베이스(60)는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을 나타내는 식별번호(601),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형상, 속성 정보(602) 및 캐릭터 그룹 정보(603)를 포함할 수 있다. 감정 공유 캐릭터의 속성 정보(602)는 적어도 하나의 감정 속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정 공유 캐릭터의 속성 정보(602)는 속성 정보를 구성하는 각각의 감정 속성 별로 수치화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수치는 해당 캐릭터와 해당 감정 속성과의 관련도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속성 정보(602)는 제1 감정 속성('사랑'), 제2 감정 속성('부끄러움'), 및 제3 감정 속성('외로움')의 3가지 감정 속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속성 정보는 더 적은 개수의 감정 속성으로 구성되거나 추가적인 감정 속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속성 정보는'슬픔', '분노', '행복'또는 '비밀'과 같은 다양한 심리와 관련된 감정 속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SAI'라는 감정 공유 캐릭터는 식별번호가 '1'이고, 제1 감정 속성을 나타내는 값이 '10'이고,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는 감정 공유 캐릭터일 수 있다. 'ROM'라는 감정 공유 캐릭터는 식별번호가 '2'이고, 제1 감정 속성을 나타내는 값이 '2', 제2 감정 속성을 나타내는 값이 '8', 제3 감정 속성을 나타내는 값이 '1'이고, 제2 캐릭터 그룹에 속하는 감정 공유 캐릭터일 수 있다. 'FOAM'라는 감정 공유 캐릭터는 식별번호가 '3'이고, 제1 감정 속성을 나타내는 값이 '3', 제2 감정 속성을 나타내는 값이 '2', 제3 감정 속성을 나타내는 값이 '9'이고, 제2 캐릭터 그룹에 속하는 감정 공유 캐릭터일 수 있다.
도 6의 데이터베이스(60)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실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이 도 6과 같은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7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700)는 프로세서(710), 통신부(720) 및 메모리(7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서비스 제공 서버(7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서비스 제공 서버(7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서비스 제공 서버(7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700)는 프로세서(710), 통신부(720) 및 메모리(730) 이외에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 출력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710)는, 통상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7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7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700)에 포함된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720) 및 메모리(7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5에 기재된 서비스 제공 서버(7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710)는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리 상태와 관련된 감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통신부(720) 및/또는 메모리(730)를 통해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통신부(720)를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10)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획득된 감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통신부(720)를 통해 외부의 물리적인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30)에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획득된 감정정보와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710)는 사용자의 감정정보의 감정 속성 별 수치와 감정 공유 캐릭터의 속성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의 감정정보의 감정 속성 별 수치와 가장 유사한 감정 공유 캐릭터를 사용자 맞춤 캐릭터로 선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통신부(720)를 통해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통신부(72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품 레이아웃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모습의 개수에 따라 기 설정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 보다 적은 경우, 프로세서(710)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후속 애니메이션이 존재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후속 애니메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710)는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2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통신부(72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캐릭터 그룹은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캐릭터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애니메이션은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1 애니메이션에 후속하여 재생되는 후속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710)는 제2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제2 사용자 입력 정보를 통신부(7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제2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후속 애니메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710)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추가적으로 선정된 차선 캐릭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차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제외한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차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710)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캐릭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차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710)는 도 4를 통해 전술한 수학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하나의 차선 캐릭터를 선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수학식 D(x)의 값이 가장 작은 감정 공유 캐릭터를 차선 캐릭터로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710)는 차선 캐릭터가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는 캐릭터인지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차선 캐릭터가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는 경우, 프로세서(710)는 제1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차선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제3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차선 캐릭터가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710)는 제1 캐릭터 그룹이 아닌 제2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3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통신부(720)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제3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차선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제4 사용자 입력 정보를 통신부(7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제3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차선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제4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720)는, 서비스 제공 서버(700)가 다른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서비스 제공 서버(7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부(7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20)는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720)는 프로세서(710)에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20)는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720)는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프로세서(7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30)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30)는 프로세서(71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30)는 프로세서(710)가 제공하는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서비스 제공 서버(700)로 입력되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7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30)는 복수의 애니메이션 각각의 재생 데이터,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번호, 속성 정보, 캐릭터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5)

  1. 감정 공유 캐릭터와 관련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서버에 있어서,
    프로세서(processor); 송수신기(transceiver); 및 메모리(memory);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심리 상태와 관련된 감정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상기 획득된 감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하나의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선정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1 애니메이션 재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1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품 레이아웃에 배치하여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보다 적고,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가 속한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후속 애니메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각각의 속성 정보 및 캐릭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차선 캐릭터를 선정하되,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를 제외한 상기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에서 아래 수학식의 값이 가장 낮은 감정 공유 캐릭터를 상기 차선 캐릭터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수학식]
    Figure 112021141833030-pat00010

    상기 수학식에서, 상기 x는 상기 복수의 감정 공유 캐릭터들 중 어느 하나인 비교대상 캐릭터를 나타내는 식별 번호이고, 상기 A는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제1 속성을 나타내는 값, 상기 B는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제2 속성을 나타내는 값, 상기 C는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제3 속성을 나타내는 값을 나타내고,
    상기 a(x)는 상기 비교대상 캐릭터의 제1 속성을 나타내는 값, 상기 b(x)는 상기 비교대상 캐릭터의 제2 속성을 나타내는 값, 상기 c(x)는 상기 비교대상 캐릭터의 제3 속성을 나타내는 값을 나타내며,
    G(x)는 상기 비교대상 캐릭터가 상기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는 경우, '0', 상기 비교대상 캐릭터가 상기 제1 캐릭터 그룹에 속하지 않는 경우, '1'을 반환하는 함수이고, 상기 m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선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3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기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레이아웃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에 따라 변형되는,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습의 개수가 기 설정된 최소 개수보다 적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캐릭터 그룹에 대응하는 제2 애니메이션의 재생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2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선택하는 상기 사용자의 제2 사용자 입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애니메이션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맞춤 캐릭터의 복수의 모습들 중에서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습을 상기 상품 레이아웃에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생성하되,
    상기 제2 애니메이션은 상기 제1 애니메이션에 후속하는 후속 애니메이션인, 서버.
  4. 삭제
  5. 삭제
KR1020210099043A 2021-07-28 2021-07-28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2361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043A KR102361883B1 (ko) 2021-07-28 2021-07-28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043A KR102361883B1 (ko) 2021-07-28 2021-07-28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883B1 true KR102361883B1 (ko) 2022-02-14

Family

ID=8025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043A KR102361883B1 (ko) 2021-07-28 2021-07-28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8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490A (ko) * 2014-02-07 2015-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24841A (ko) 2016-08-31 2018-03-08 주식회사 구루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034604A (ko) * 2015-07-30 2018-04-04 인텔 코포레이션 감정 증강형 아바타 애니메이션
KR20180062221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트라이캐치미디어 게임플레이어의 얼굴 인식을 통한 게임운영 방법
KR20200144702A (ko)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증강 현실 미디어 콘텐츠의 적응적 스트리밍 시스템 및 적응적 스트리밍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490A (ko) * 2014-02-07 2015-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34604A (ko) * 2015-07-30 2018-04-04 인텔 코포레이션 감정 증강형 아바타 애니메이션
KR20180024841A (ko) 2016-08-31 2018-03-08 주식회사 구루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062221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트라이캐치미디어 게임플레이어의 얼굴 인식을 통한 게임운영 방법
KR20200144702A (ko) 2019-06-19 2020-12-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증강 현실 미디어 콘텐츠의 적응적 스트리밍 시스템 및 적응적 스트리밍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1534B2 (en) Server-based intelligent and personalized advertisement with augmented reality enhancement
US201901741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teractive Call-To-Action, Contextual Applications with Videos
US8928810B2 (en) System for combining video data streams into a composite video data stream
US20160041981A1 (en) Enhanced cascaded object-related content provision system and method
JP2019165495A (ja) ユーザ・インタラクション分析モジュール
WO2017172175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rendering highlights from streaming videos
JP2016071887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20150046313A (ko) 증강 현실 표본 생성
US10419556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a digital work that is performed in a predetermined location
US11410359B2 (en) Content and context morphing avatars
US20210056762A1 (en) Design and generation of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for structured distribution of content based on location-based triggers
WO2022005547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interactive interfaces for live streaming events
CN116235505A (zh) 在消息收发系统内将广告插入视频中
JP5996749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2016071888A (ja) ブランドの所有者のための選択可能なテキストメッセージングスタイル
US11423620B2 (en) Use of secondary sources for location and behavior tracking
CN109074679A (zh) 具有增强现实强化的基于场景的实时广告
CN116325765A (zh) 在消息收发系统内针对视频选择广告
CN113938696A (zh) 基于自定义虚拟礼物的直播互动方法、系统及计算机设备
KR102361883B1 (ko)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 맞춤형 캐릭터 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2298121B1 (ko) 인공지능 기반 콘텐츠 ip를 이용한 동영상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49629B1 (ko) 직관적인 ui/ux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71180B1 (ko)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163276A1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方法及びサーバ装置
US20230396572A1 (en) Contextual reply augmen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