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580B1 -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580B1
KR102092580B1 KR1020190067469A KR20190067469A KR102092580B1 KR 102092580 B1 KR102092580 B1 KR 102092580B1 KR 1020190067469 A KR1020190067469 A KR 1020190067469A KR 20190067469 A KR20190067469 A KR 20190067469A KR 102092580 B1 KR102092580 B1 KR 10209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wire
panel
fixing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엽
Original Assignee
김홍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엽 filed Critical 김홍엽
Priority to KR102019006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3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46Post-like profiles for connecting panels at an ang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판넬과 복수의 기둥 및 복수의 마감 커버로 구성된 공지의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가로 및 세로 폭을 종래보다 작게 압출 성형하되, 상기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정해진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각각 판넬 연결용 홀더를 설치하여 두 판넬 연결용 홀더 사이에 위치된 기둥의 4면에 전선이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판넬 프레임의 수직 바 중간부위와 하방부위의 내면 중 어느 한 부위 또는 양부위에 판체 형상을 갖는 전선 고정용 홀더를 선택적 또는 동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파티션들을 누구라도 쉽고 간편하게 원하는 형태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고, 각종 전선을 판넬들의 연결형태에 무관하게 배선할 수 있으며, 파티션의 최종 조립 및 배선 완료 후 외부로 노출되는 판넬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과 기둥 중 노출된 면에 각각 외장 패널과 마감 커버만 조립시켜 주면 배선된 전선들의 노출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파티션 자체의 미려함도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Multi-directional wired partition connections}
본 발명은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티션들을 어떠한 형태(예를 들어 "-"자(1방향) 형태 또는 "ㄱ"자나 "ㄴ"자(2방향) 형태 또는 "T"자(3방향) 형태 또는 "+"자(4방향) 형태 등)로 조립하더라도 누구라도 간편하고 각종 통신선이나 데이터 선 및 전원 공급선 등(이하 "전선"으로 통칭함)을 배선할 수 있음은 물론 배선된 전선의 노출을 완벽히 방지하여 파티션 자체의 미려함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자동화 기기의 보급이 증가됨에 따라, 각 가정이나 사무실의 책상 주변에는 컴퓨터, 프린터, 전화기, 팩스 등과 같은 각종 전자기기들이 비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각각 전선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각종 신호선들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사무실의 각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배선이나 전화 배선 등으로 인해 각 책상에 연결되는 선의 수가 점차 많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선들을 정리해 두지 않으면, 외관상 보기가 흉할 뿐 아니라 책상에 앉아 작업하는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책상 주변에 파티션을 설치하고, 파티션의 내부에 각종 전선을 정리하게 된다.
사무실에 설치된 칸막이에는 패널을 통과하여 배선하거나 플러그가 달린 코드를 삽입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전선이나 코드를 패널의 상측이나 하측으로 넘겨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하거나 패널에 구멍을 뚫어 이 구멍을 통해 전선이나 코드를 통과하여 배선하였다.
또한, 종래 파티션에서는 수평바에 배선 덕트를 설치하여, 이 배선 덕트에 의해 전선을 배선하며, 상기 수직바에는 전선 통과공이나 턱을 형성하여 상기 배선 덕트에 설치된 전선을 인접하는 프레임으로 건너가게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종래 파티션의 내부에 추가배선 또는 재배선하고자 하거나 점검시에 패널을 일일이 분리해내고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29670호로 도어 패널이 구비된 칸막이가 출원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도어 패널이 구비된 칸막이는 상기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배선 걸이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배선 걸이부재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배선 걸이가 형성되며, 상기 배선 걸이부재의 상단부에는 상측으로 회동되어 열리는 도어 패널이 구비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 도어 패널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배선 걸이부재의 배선 걸이에 다수개의 배선을 안착시켜 파티션에 추가로 배선하거나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칸막이는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공장에서 미리 용접해서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현장에 운반하여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사이즈가 커지면서도 무게가 많이 나가서 적재나 운반 등에 있어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패널이 구비된 칸막이는 상기 배선 걸이부재를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인 프레임과는 별도의 물품으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품 수가 많고 생산 공정이 늘어남은 물론 제작 비용도 높아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 상기 칸막이는 수직부재의 전후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면이나 전후면 양측에 상기 배선 걸이부재가 상대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이 돌출된 배선 걸이부재를 커버하기 위한 패널의 내측면에 소정 두께의 공간부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칸막이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사업의 다양성과 민첩성이 점점 더 그게 요구되고 있는 요즘에는 사무실의 레이아웃 변경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라 빈번한 가구 배치 변경이 발생하여 파티션의 판넬 내에 수납되어 있는 많은 전선들이 오히려 가구 배치 변경작업에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이는 판넬 내 수납이 판넬과 판넬을 관통하여 수납되어 이므로 파티션의 해체, 이동시 판넬 내에 수납되어 있는 전선들을 다 제거한 후, 판넬의 해체, 이동이 이루어지고, 또 이동 작업이 끈난 다음에는 다시 전선들을 판넬 내로 수납시켜야 하므로 판넬의 이전 작업(즉, 책상이전 → 판넬 내 전선 제거 → 파티션 분해 → 파티션 이동 → 파티션 조립 → 판낼 내 전선 수납 → 책상 배치 등)에 따른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판넬 프레임을 관통하는 전선 수납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표면 마감판 사이로 전선을 수납하는 방식이 종래에도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은 파티션의 판넬 조립방향이 바뀔 때 연결되는 기둥(예를 들어 2방향, 3방향, 4방향)에서도 전선들이 프레임을 관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표면 마감판 사이로 전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별도의 가공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이와 같은 방법은 가구들의 배치 변경에 대응하여 파티션 판넬들의 조립방향 및 기둥들이 바뀔 때(예를 들어 2방향 → 3,4방향 → 2,4방향)마다 방향 전환에 따라 전선의 배선을 위한 가공부위가 변화되어 전선 배선이 않되는 경우가 발생(예를 들어 2방향 기둥 → 3,4방향 기둥으로 조립될 때)할 뿐만 아니라 조립 상태에 따라서는(예를 들어 3,4방향을 2방향으로 조립되었을 때) 가공면이 노출되어 깔끔한 사무환경 구축에 역행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가지기 위해 기둥의 자재는 알루미늄을 압출 가공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높은 가공비와 자재비로 단가 부담이 높고, 또 2,3,4방향별, 높이별 재고를 유지해야 하므로 재고비용도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사용중인 파티션은 사무실 레이아웃이 바뀔 때 기존 설치된 연결 기둥과 변경될 배치의 연결 기둥의 수량을 확인해야 부족분에 대한 자재를 준비해야만 했는데, 이는 변경될 배치의 자재를 준비해야 하는 시간과 재배치시 발생하는 변수(현장 조립시 변경하는 방향)에 대해 대응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8848호(2002년 03월 07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420053호(2004년 02월 12일)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1257호(2012년 06월 25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88883호(2013년 07월 17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둥 종래 기둥보다 작은 사각기둥으로 압출 성형하되, 상기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정해진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판넬 연결용 홀더를 설치하여 상,하 두 판넬 연결용 홀더 사이에 위치된 기둥의 4면에 전선이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판넬 프레임의 중간부와 하방부(즉, 전선들을 배선하고자 하는 부위) 내측에는 판체 형상을 갖는 전선 고정용 홀더를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파티션들을 누구라도 쉽고 간편하게 원하는 형태(예를 들어 평면이 "-"자(1방향) 형태 또는 "ㄱ"자나 "ㄴ"자(2방향) 형태 또는 "T"자(3방향) 형태 또는 "+"자(4방향) 형태 등)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전선을 판넬들의 연결형태에 무관하게 배선할 수 있음은 물론 파티션의 최종 조립 및 배선 완료 후 외부로 노출되는 판넬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과 기둥 중 노출된 면에 각각 외장 패널과 마감 커버만 조립시켜 주면 배선된 전선들의 노출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파티션 자체의 미려함도 유지시킬 수 있는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 전,후면에 복수의 외장 패널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는 탑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 복수의 판넬과; 평단면이 4각 봉 형상을 갖고 상기 1방향 또는 2방향 또는 3방향 또는 4방향으로 배치되는 판넬들의 접촉부에서 서로 인접한 판넬들이 상호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복수의 기둥과; 상기 판넬 프레임의 양 측면과 상기 기둥들의 각면 중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 커버;로 구성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가로 및 세로 폭을 종래보다 작게 압출 성형하되, 상기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정해진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각각 판넬 연결용 홀더를 설치하여 두 판넬 연결용 홀더 사이에 위치된 기둥의 4면에 전선이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판넬 각각의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외장 패널 사이의 공간과, 상기 공간부가 서로 연통되어, 전선이 상기 복수의 판넬을 자유롭게 관통하고, 상기 판넬 프레임의 수직 바 중간부위와 하방부위의 내면 중 어느 한 부위 또는 양부위에 판체 형상을 갖는 전선 고정용 홀더를 선택적 또는 동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의 설치 위치는, 3개의 수평 바를 구비한 상기 판넬 프레임의 중간 수평 바의 양단 상부 및 하단 수평 바의 양단 상부에 위치된 수직 바 내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의 제 1 실시 예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상 및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홈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이어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의 제 2 실시 예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이어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의 제 3 실시 예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이어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의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 대한 변형 예로는, 상기 "┗" 형상 및 "┛" 형상 또는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를 본체의 전,후방향을 향해 서로 엇갈리게 일체로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에 의하면, 기둥 종래 기둥보다 작은 사각기둥으로 압출 성형하되, 상기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정해진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판넬 연결용 홀더를 설치하여 상,하 두 판넬 연결용 홀더 사이에 위치된 기둥의 4면에 전선이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판넬 프레임의 중간부와 하방부(즉, 전선들을 배선하고자 하는 부위) 내측에는 판체 형상을 갖는 전선 고정용 홀더를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파티션들을 누구라도 쉽고 간편하게 원하는 형태(예를 들어 평면이 "-"자(1방향) 형태 또는 "ㄱ"자나 "ㄴ"자(2방향) 형태 또는 "T"자(3방향) 형태 또는 "+"자(4방향) 형태 등)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전선을 판넬들의 연결형태에 무관하게 배선할 수 있음은 물론 파티션의 최종 조립 및 배선 완료 후 외부로 노출되는 판넬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과 기둥 중 노출된 면에 각각 외장 패널과 마감 커버만 조립시켜 주면 배선된 전선들의 노출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파티션 자체의 미려함도 유지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 중 판넬 연결용 홀더가 구비된 기둥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 중 판넬 프레임의 A-A선 평면도와 정면도 및 좌우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 중 판넬 연결용 홀더가 결합된 기둥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마감 커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2방향 연결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을 2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을 2방향 및 3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요부 확대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을 2방향 및 3방향으로 연결하고 그 내부에 전선을 수납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을 2방향으로 결합 완료시킨 상태를 사시도.
도 10의 (a)~(c)는 본 발명 중 전선 고정용 홀더의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의 사시도.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서 전선 고정용 홀더로 적용한 실시 예들 중 제 2 및 제 3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 중 판넬 연결용 홀더가 구비된 기둥의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 중 판넬 프레임의 A-A선 평면도와 정면도 및 좌우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 중 판넬 연결용 홀더가 결합된 기둥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마감 커버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2방향 연결상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을 2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을 2방향 및 3방향으로 연결한 상태의 요부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을 2방향 및 3방향으로 연결하고 그 내부에 전선을 수납한 예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파티션을 2방향으로 결합 완료시킨 상태를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0의 (a)~(c)는 본 발명 중 전선 고정용 홀더의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의 (a)(b)는 본 발명에서 전선 고정용 홀더로 적용한 실시 예들 중 제 2 및 제 3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저부에 높이 조절용 다리(14)가 구비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11) 전,후면에 복수의 외장 패널(12)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는 탑 커버(1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 복수의 판넬(10)과; 평단면이 4각 봉 형상을 갖고 상기 1방향 또는 2방향 또는 3방향 또는 4방향으로 배치되는 판넬(10)들의 접촉부에서 서로 인접한 판넬(10)들이 상호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복수의 기둥(20)과; 상기 판넬(10) 프레임(11)의 양 측면과 상기 기둥(20)들의 각면 중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 커버(30);로 구성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기둥(20)의 가로 및 세로 폭을 종래보다 작게 압출 성형하되, 상기 기둥(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정해진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각각 판넬 연결용 홀더(22)를 설치하여 두 판넬 연결용 홀더(22) 사이에 위치된 기둥(20)의 4면에 전선(50)들이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는 공간부(S)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판넬(10) 프레임(11)의 수직 바(112) 중간부위와 하방부위의 내면 중 어느 한 부위 또는 양부위에 판체 형상을 갖고 전선(50)들이 고정시켜 주는 전선 고정용 홀더(40)를 선택적 또는 동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40)의 제 1 실시 예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4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상 및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홈(42)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이어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40)의 제 2 실시 예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4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43)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40)의 제 3 실시 예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4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44)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40)의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 대한 변형 예로는,
상기 "┗" 형상 및 "┛" 형상 또는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43)(44)를 본체(41)의 전,후방향을 향해 서로 엇갈리게 일체로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40)의 설치 위치는,
양측의 두 수직 바(112) 사이에 3개의 수평 바(111)를 구비한 상기 판넬(10) 프레임(11)의 중간 수평 바의 양단 상부 및 하단 수평 바의 양단 상부에 위치된 수직 바(112) 내면에 설치한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판넬(10)과 복수의 기둥(20) 및 복수으 마감 커버(30)로 구성된 공지의 파티션 중 상기 기둥(20)을 종래 기둥의 가로 및 세로 폭보다 작게 압출 성형하고, 상기 기둥(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정해진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각각 판넬 연결용 홀더(22)를 설치하며, 상기 판넬(10) 프레임(11)의 수직 바(112)에 복수의 전선 고정용 홀더(4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누구라도 쉽고 간편하게 원하는 형태로 자유롭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전선(50)들을 판넬(10)들의 연결형태에 무관하게 배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파티션의 구성요소 중 상기 판넬(10)은 3개의 수평 바(111)와 2개의 수직 바(112)를 이용하여 직사각 형태로 결합시킨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전,후면에 후크 등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외장 패널(12), 상기 프레임(11)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 커버(13) 및 상기 프레임(11)의 수평 바(111) 중 하부 수평 바(111)의 저면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높이 조절용 다리(14)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간막이 및 전선(50)들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복수의 기둥(20)은 기본적으로 평단면이 4각 봉 형상을 갖고 상기 1방향 또는 2방향 또는 3방향 또는 4방향으로 배치되는 판넬(10)들의 접촉부에서 서로 인접한 판넬(10)들이 클램프 등을 통해 상호 일체로 결합되게 함은 물론 이들을 지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둥(20)들의 저단부에도 높이 조절용 다리(21)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복수의 마감 커버(30)는 상기 판넬(10) 프레임(11)의 양 측면 중 노출된 측면과 상기 기둥(20)들의 각면 중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후크 등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판넬(10)들의 좌우 양 측면과 기둥(20)의 사면 중 외부로 노출되는 면의 외관이 미려한 형태를 갖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공지된 파티션의 구성요소 중 상기 기둥(20)을 성형함에 있어서 판넬(10)의 전체 두께와 거의 같게 형성되던 종래 기둥의 가로 및 세로 폭보다 비교적 작게 압출 성형하고, 상기 기둥(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정해진 높이만큼 높은 위치(예를 들어 하단 수평 바의 양단 상부에 위치)에 각각 판넬 연결용 홀더(22)를 스크류 등을 통해 착탈 설치하여, 상기 두 판넬 연결용 홀더(22) 사이에 위치된 기둥(20)의 4면에 전선(50)들이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기에 충분한 공간부(S)가 형성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판넬(10) 프레임(11)의 수직 바(112) 중간부위(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중간 수평 바의 양단 상부 위치)와 하방부위(예를 들어 하단 수평 바의 양단 상부에 위치)의 내면 중 어느 한 부위 또는 양부위에 대략 판체 형상을 갖는 전선 고정용 홀더(40)를 선택적 또는 동시(도 4와 도 7 및 도 8 참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였다.
한편,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40)에 대한 실시 예로는 다양한 형태를 제시할 수 있는데, 제 1 실시 예로는 도 10의 (a)와 같이,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4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대략 물결 형상을 갖도록 "⊃"형상 및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홈(42)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이어 형성시켜 주었다.
또,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40)의 제 2 실시 예로는 도 10의 (b)와 같이,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4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43)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이어 일체로 구비시켜 준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40)의 제 3 실시 예로는 도 10의 (c)와 같이,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41)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44)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이어 일체로 구비시켜 준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들을 갖는 전선 고정용 홀더(40)들을 상기 판넬(10) 프레임(11)의 수직 바(112) 중간부위(예를 들어 중간 수평 바의 양단 상부 위치)와 하방부위(예를 들어 하단 수평 바의 양단 상부에 위치)의 내면 중 어느 한 부위 또는 양부위에 선택적 또는 동시에 설치한 다음 기둥(20)들의 공간부(S)를 통해 유입되는 된 다음 판넬(10) 프레임(11)의 전면 또는 배면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선시키는 과정에서 각각의 전선(50)을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40) 중 제 1 실시 예에 "⊃"형상 및 "⊂"형상을 갖게 구비시킨 복수의 전선 고정홈(42) 내에 각각 끼워 고정할 경우, 각 전선 고정홈(42)의 입구가 개구된 형태를 가지므로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빠져나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선 고정용 홀더(40)의 온체(41) 양측면에 "⊃"형상 및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홈(42)을 형성시킬 때에는 입구측이 너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제 2 및 제 3 실시 예로 제시된 전선 고정용 홀더(40)의 본체(41)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43)(44)의 경우는, "⊃"형상 및 "⊂"형상을 갖는 제 1 실시 예의 전선 고정홈(42)과 달리 각각 "┗" 형상 및 "┛" 형상 또는 "┣" 형상 및 "┫"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 1 실시 예에 비하여 전선(50)들에 대한 고정력이 더 크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전선(50)들이 전선 고정고리(43)(44) 내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및 제 3 실시 예와 같이,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43)(44)를 본체(41)의 양 측면에서 수직방형으로 단순히 "┗" 형상 및 "┛" 형상 또는 "┣" 형상 및 "┫" 형상을 갖게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이어 형성시켜 줄 경우, 각 전선 고정고리(43)(44) 사이의 입구 측 높이가 제 1 실시 예에 비해 낮은 형태를 갖게 되므로 입구 측의 높이보다 비교적 지름이 큰 전선(50)을 이들 사이에 끼워 고정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억지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전선(50)의 피복 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40)의 제 2 및 제 3 실시 예에 대한 변형 예로 도 11의 (a)(b)와 같이, "┗" 형상 및 "┛" 형상 또는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상기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43)(44)를 형성시켜 줄 때, 상기 본체(41)의 전,후방향을 향해 서로 엇갈리게 절곡 형성시켜 주었다.
이와 같이 "┗" 형상 및 "┛" 형상 또는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상기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43)(44)를 본체(41)의 전,후방향을 향해 서로 엇갈리게 일체로 절곡 형성시켜 주게 되면, 각 전선 고정고리(43)(44) 사이의 입구가 서로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어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됨은 물론 상부에 위치된 전선 고정고리(43)(44)의 저단부 위치와 하부에 위치된 전선 고정고리(43)(44)의 상단부 위치가 본체(41)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향해 이격된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지름이 큰 전선(50)들이라 할지라도 본체(41)의 전,후방향을 향해 서로 엇갈리게 일체로 절곡 형성된 전선 고정고리(43)(44) 사이로 교차해서 밀어 넣을 수 있으므로 전선들을 피복 손상 없이 원활히 삽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 전선 고정고리(43)(44) 사이에 끼워진 전선(50)들이 외부에서 강한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자유롭게 이탈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이 적용된 파디션을 1방향 또는 2방향 또는 3방향 또는 4방향으로 조립함은 물론 그 내부에 각종 전선(50)들을 수납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판넬(10) 프레임(11)들을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하부에 판넬 연결용 홀더(22)가 구비되어 있는 기둥(20)들을 상기 판넬(10) 프레임(11)의 접촉부위에 위치시킨 후 상호 결합시키고, 판넬(10) 프레임(11)의 수직 바(112) 내측면 중 원하는 위치에 소정 형상을 갖는 전선 고정용 홀더(40)들을 고정 설치한다.
이어서, 전선 고정용 홀더(40)들을 이용하여 일측 판넬(10) 프레임(11)의 전면 또는 후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전선(50)들을 배선한 다음, 타측 판넬(10) 프레임(11) 측으로 전선(50)을 넘길 때에는 전선(50)들을 두 판넬 연결용 홀더(22)에 의해 기둥(20)의 외면으로 형성된 공간부(S)를 통해 타측 판넬(10)의 프레임(11) 측으로 넘긴 후, 다시 해당 판넬(10) 프레임(11)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전선 고정용 홀더(40)들을 이용하여 배선하는 공정을 반복하면 된다.
이와 같이 1방향 또는 2방향 또는 3방향 또는 4방향으로 조립된 판넬(10)들의 프레임(11)에 전선(50)의 배선을 완료한 후에는, 상기 판넬(10) 프레임(11)의 전,후면에 각각 외장 패널(12)을 설치하고, 상면과 노출된 측면에 탑 커버(13)와 마감 커버(30)을 설치하면 판넬(10)의 내부로 배선된 전선(50)들이 외장 패널(12)들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기둥(20) 중 노출된 면에 마감 커버(30)를 설치하게 되면 기둥(20)의 상하부에 설치된 판넬 연결용 홀더(22)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S)를 통해 서로 인접한 판넬(10)들의 내측으로 유입된 전선(50) 역시 상기 마감 커버(3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배선된 전선들의 노출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파티션 자체의 미려함도 유지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판넬 11 : 프레임
111 : 수평 바 112 : 수직 바
12 : 외장 패널 13 : 탑 커버
14 : 높이 조절용 다리
20 : 기둥
21 : 높이 조절용 다리 22 : 판넬 연결용 홀더
S : 공간부
30 : 마감 커버
40 : 전선 고정용 홀더 41 : 본체
42 : 전선 고정홈 43, 44 : 전선 고정고리
50 : 전선

Claims (6)

  1.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 전,후면에 복수의 외장 패널이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는 탑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 복수의 판넬과; 평단면이 4각 봉 형상을 갖고 상기 1방향 또는 2방향 또는 3방향 또는 4방향으로 배치되는 판넬들의 접촉부에서 서로 인접한 판넬들이 상호 일체로 결합되게 하는 복수의 기둥과; 상기 판넬 프레임의 양 측면과 상기 기둥들의 각면 중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마감 커버;로 구성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가로 및 세로 폭을 종래보다 작게 압출 성형하되, 상기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정해진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각각 판넬 연결용 홀더를 설치하여 두 판넬 연결용 홀더 사이에 위치된 기둥의 4면에 전선이 자유롭게 지나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는 상기 복수의 판넬 각각의 상기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외장 패널 사이의 공간과, 상기 공간부가 서로 연통되어, 전선이 상기 복수의 판넬을 자유롭게 관통하고,
    상기 판넬 프레임의 수직 바 중간부위와 하방부위의 내면 중 어느 한 부위 또는 양부위에 판체 형상을 갖는 전선 고정용 홀더를 선택적 또는 동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의 설치 위치는,
    3개의 수평 바를 구비한 상기 판넬 프레임의 중간 수평 바의 양단 상부 및 하단 수평 바의 양단 상부에 위치된 수직 바 내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상 및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홈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이어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이어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는,
    사각 판체 형상을 갖는 본체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전선 고정고리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연이어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형상 및 "┛" 형상 또는 "┣" 형상 및 "┫" 형상을 갖는 상기 전선 고정용 홀더의 전선 고정고리들은,
    본체의 전,후방향을 향해 서로 엇갈리게 일체로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6. 삭제
KR1020190067469A 2019-06-07 2019-06-07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KR10209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469A KR102092580B1 (ko) 2019-06-07 2019-06-07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469A KR102092580B1 (ko) 2019-06-07 2019-06-07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580B1 true KR102092580B1 (ko) 2020-03-24

Family

ID=70004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469A KR102092580B1 (ko) 2019-06-07 2019-06-07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58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75Y1 (ko) * 2000-01-24 2000-06-15 주식회사울타리 파티션용 배선홀더
KR200268848Y1 (ko) 2001-12-08 2002-03-18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용 벨트라인 커버 결합 구조
KR100420053B1 (ko) 2003-10-09 2004-02-25 주식회사 울타리 파티션
KR20090008115U (ko) * 2008-02-05 2009-08-10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의 하부프레임구조
KR200461257Y1 (ko) 2011-04-01 2012-07-02 주식회사 코아스 파티션
KR101288883B1 (ko) 2013-03-21 2013-07-29 주식회사 코아스 배선정리장치
JP2015035934A (ja) * 2013-08-09 2015-02-1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固定部品
KR20170021093A (ko) * 2015-08-17 2017-02-27 인토스퍼니처(주) 조립식 칸막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275Y1 (ko) * 2000-01-24 2000-06-15 주식회사울타리 파티션용 배선홀더
KR200268848Y1 (ko) 2001-12-08 2002-03-18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용 벨트라인 커버 결합 구조
KR100420053B1 (ko) 2003-10-09 2004-02-25 주식회사 울타리 파티션
KR20090008115U (ko) * 2008-02-05 2009-08-10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파티션의 하부프레임구조
KR200461257Y1 (ko) 2011-04-01 2012-07-02 주식회사 코아스 파티션
KR101288883B1 (ko) 2013-03-21 2013-07-29 주식회사 코아스 배선정리장치
JP2015035934A (ja) * 2013-08-09 2015-02-1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の固定部品
KR20170021093A (ko) * 2015-08-17 2017-02-27 인토스퍼니처(주) 조립식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24850A (en) Cupboards
US20230332430A1 (en) Modular fence system
KR102092580B1 (ko) 다방향으로 배선이 가능한 파티션 연결장치
US6766989B2 (en) Lifted upright post device with multiple joints
US9963877B2 (en) Modular prismatic box-like structure-based building method and infrastructure
KR100723342B1 (ko) 공동주택용 확장용 창문틀 구조
EP1374737A1 (de) Möbel- und Regalbausystem und dessen Verwendung
KR101375626B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KR101494888B1 (ko) 조립식 구조물
KR102061666B1 (ko) 수직판과 배면판 및 수평판으로 자체 조립되는 조립식 책장 및 그 조립방법
EP3008257B1 (en) Modular wall installation
KR200465616Y1 (ko)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20140014507A (ko) 조립식 프로파일
JPH07259224A (ja) 自立式フレキシブルパーティーション、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蝶番相当部材
KR102117396B1 (ko) 동물용 울타리
KR200228552Y1 (ko) 조립식 칸막이
KR20160002340U (ko) 파티션 받침대
JP4919126B2 (ja) 構造用部材及びその組立方法
US10450745B2 (en) Underfloor storage system
JP2018178567A (ja) 間仕切り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DE202016006632U1 (de) Bausatz für Ausstellungszwecke
JP3103810U (ja) 組立棚
DE2166548B2 (de) Eckschrank für ein Küchenmöbel-Anbausystem
KR200425679Y1 (ko) 프로파일(profile) 지주
DE202006017766U1 (de) Präsentationssystem für Waren u.dg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