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626B1 -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 Google Patents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626B1
KR101375626B1 KR1020120059600A KR20120059600A KR101375626B1 KR 101375626 B1 KR101375626 B1 KR 101375626B1 KR 1020120059600 A KR1020120059600 A KR 1020120059600A KR 20120059600 A KR20120059600 A KR 20120059600A KR 101375626 B1 KR101375626 B1 KR 101375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ody bar
shape
hollow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061A (ko
Inventor
안혜연
Original Assignee
안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혜연 filed Critical 안혜연
Priority to KR102012005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626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끝단에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지는 조립부를 구비한 복수의 조립블럭을 이용하여 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모양의 박스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코너연결블럭, 센터블럭, 3방향연결블럭을 더 구성하여 사각형 또는 육각형 모양의 박스를 복층으로 연결 구성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실내 벽면이나 테이블 위에 설치되는 박스를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체 상호간의 연결부위인 조립부가 흔들리거나 꺽이지 않도록 하여 조립된 박스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였고, 나아가서 테이블 몸체 또는 대문의 몸체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Assembly type box}
본 발명은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끝단에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지는 조립부를 구비한 복수의 조립블럭을 이용하여 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모양의 박스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코너연결블럭, 센터블럭, 3방향연결블럭을 더 구성하여 사각형 또는 육각형 모양의 박스를 복층으로 연결 구성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실내 벽면이나 테이블 위에 설치되는 박스를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체 상호간의 연결부위인 조립부가 흔들리거나 꺽이지 않도록 하여 조립된 박스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였고, 나아가서 테이블 몸체 또는 대문의 몸체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라 함은 실내의 벽면에 설치되거나 바닥에 적층 설치되어 책꽂이 또는 인테리어물품 진열대로서 사용되는 박스(일면 콘트롤박스라 함)를 말한다.
종래의 조립식 박스는 대부분이 목재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나사를 이용하여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박스는 사용자가 나사를 이용하여 판재를 사각형 박스형태로 조립하는 것이기 때문에 나사 조립이 불량할 경우 조립된 박스가 흔들리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무에 생산성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등록특허 제 1155632 호와 같이 조립식 박스가 공개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나사를 이용하여 박스 형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나사 조립이 불량할 경우에는 박스가 흔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끝단에 서로 맞물리도록 끼워지는 조립부를 구비한 복수의 조립블럭을 이용하여 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모양의 박스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코너연결블럭, 센터블럭, 3방향연결블럭을 더 구성하여 사각형 또는 육각형 모양의 박스를 복층으로 연결 구성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실내 벽면이나 테이블 위에 설치되는 박스를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체 상호간의 연결부위인 조립부가 흔들리거나 꺽이지 않도록 하여 조립된 박스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였고, 나아가서 테이블 몸체 또는 대문의 몸체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직선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1 몸체바(11)를 구비하고, 제1 몸체바(11)의 일단에 제 1 조립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평상으로 제 2 조립부(13)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ㄴ'자 모양의 제 1 조립블럭(1)을 구성하되,
제 1 및 제 2 조립부(12)(13)는 제 1 몸체바(11)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01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된 4개의 제 1 조립블럭(1)을 각각의 제 1 조립부(12)와 제 2 조립부(13)가 서로 끼워지도록 조립하여 사각형 모양의 박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 벽면이나 테이블 위에 설치되는 박스를 사용자가 손쉽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체 상호간의 연결부위인 조립부가 흔들리거나 꺽이지 않도록 하여 조립된 박스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였고, 나아가서 테이블 몸체 또는 대문의 몸체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실시상태에 따라 여러가지의 실시예로 구분되어지므로 각각의 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 제 1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4개의 제 1 조립블럭(1)을 이용하여 사각형 모양의 박스를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 1 실시예는
직선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1 몸체바(11)를 구비하고, 제1 몸체바(11)의 일단에 제 1 조립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평상으로 제 2 조립부(13)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ㄴ'자 모양의 제 1 조립블럭(1)을 구성하되,
제 1 및 제 2 조립부(12)(13)는 제 1 몸체바(11)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02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된 4개의 제 1 조립블럭(1)을 각각의 제 1 조립부(12)와 제 2 조립부(13)가 서로 끼워지도록 조립하여 사각형 모양의 박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조립블럭(1)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서 압출 형성된다.
제 1 조립블럭(1)들을 조립할 때에는 도면과 같이 제 1 조립블럭(1)을 이루는 제 1 조립부(12)에 다른 제 1 조립블럭(1)의 제 2 조립부(13)가 끼워지면서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법으로 4개의 제 1 조립블럭(1)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면 도면과 같이 사각형 모양의 박스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조립부(12)와 제 2 조립부(13)는 제 1 몸체바(11)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03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제 1 조립부(12)와 제 2 조립부(13)를 서로 끼워주게되면 조립단(10)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격없이 결합되므로 조립된 후의 제 1 조립블럭(1)이 흔들리지 않게된다.
이와같이 조립된 인테리어 조립식 박스는 실내에 설치되어 책꽂이 또는 특정 인테리어물품의 수납 또는 전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조립블럭(1)을 이루는 제 1 몸체바(11)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할 경우 직사각형 모양의 사각형 박스를 조립할 수 있다.
◆ 제 2 실시예 ◆
제 2 실시예는 도 2 와 같이 '1'자 모양의 제 2 조립블럭(2)과 'ㄴ'자 모양의 코너연결블럭(3)을 이용하여 사각형 모양의 조립식 박스를 구성한 것으로서,
직선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2 몸체바(21)를 구비하고, 제2 몸체바(21)의 양단에 제 3 조립부(22)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1'자 모양의 제 2 조립블럭(2)을 구성하고,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코너몸체바(31)를 구비하고, 코너몸체바(31)의 인접한 2개의 면에 각각 제 4 조립부(3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ㄴ'자 모양의 코너연결블럭(3)을 구성하며,
제 3 및 제 4 조립부(22)(32)는 몸체바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04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된 4개의 제 2 조립블럭(2)과 코너연결블럭(3)을 제 3 조립부(22)와 제 4 조립부(32)가 서로 결합되도록 교번되게 조립하여 사각형 모양의 박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 2 조립블럭(2)과 코너연결블럭(3)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압출 성형된다.
제 2 조립블럭(2)은 '1'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 1 몸체바(21)의 양끝단에 각각 제 3 조립부(22)가 형성되어 조립되는 박스의 면을 이루게되고, 코너연결블럭(3)은 'ㄴ'자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사각형 모양의 코너몸체바(31)의 인접한 2개의 면에 각각 제 4 조립부(32)를 형성하여 조립되는 박스의 모서리부분을 이루게되는 것이며,
제 3 및 제 4 조립부(22)(32)는 몸체바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05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실시예에서 사각형 모양의 조립식 박스를 조립할 때에는 제 2 조립블럭(2)의 양단에 형성된 제 3 조립부(22)에 코너연결블럭(3)의 제 4 조립부(32)를 끼워 결합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4개의 제 2 조립블럭(2)과 코너연결블럭(3)을 서로 결합하여 도 2 와 같은 사각형 모양의 조립식 박스를 조립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 3 조립부(22)와 제 4 조립부(42)는 몸체바(21)(31)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06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제 3 조립부(22)와 제 4 조립부(42)를 서로 끼워주게되면 조립단(10)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격없이 결합되므로 조립된 후의 제 2 조립블럭(2)과 코너연결블럭(3)이 서로 흔들리지 않게된다.
◆ 제 3 실시예 ◆
제 3 실시예는 도 3 과 같이 사각형 모양의 박스를 복층으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직선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2 몸체바(21)를 구비하고, 제2 몸체바(21)의 양단에 제 3 조립부(22)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1'자 모양의 제 2 조립블럭(2)을 구성하고,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코너몸체바(31)를 구비하고, 코너몸체바(31)의 인접한 2개의 면에 각각 제 4 조립부(3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ㄴ'자 모양의 코너연결블럭(3)을 구성하며,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센터몸체바(41)를 구비하고, 센터몸체바(41)의 4개의 면에 각각 제 5 조립부(4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 모양의 센터블럭(4)을 구성하고,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센터몸체바(51)를 구비하고, 센터몸체바(51)의 인접한 3개의 면에 각각 제 6 조립부(5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07
' 모양의 제 1 3방향 연결블럭(5)을 구성하되,
제 3 내지 제 6 조립부(22)(32)(42)(52)는 몸체바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08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센터블럭(4)의 제 5 조립부(42)에 4개의 제 2 조립블럭(2)을 각각 결합하고, 제 2 조립블럭(2)의 끝단에 제 1 3방향 연결블럭(5)을 결합하며, 제 1 3방향 연결블럭(5)의 제 6 조립부(52)에 제 2 조립블럭(2)을 연결한 후 제 2 조립블럭(2) 사이에 코너연결블럭(3)을 결합하여 복층의 조립식박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된 센터블럭(4)은 복층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박스의 중심부를 이루게되며, 제 1 3방향 연결블럭(5)은 복층으로 형성되는 조립식 박스의 측면 중간부를 이루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제 3 실시예에서 복층의 조립식박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센터블럭(4)에 형성된 4개의 제 5 조립부(42)에 각각 '1'자 형의 제 2 조립블럭(2)의 제 3 조립부(22)를 끼워 조립하고, 제 2 조립블럭(2)에 남아있는 다른 제 3 조립부(22)에 제 1 3방향 연결블럭(5)의 중간부에 위치한 제 6 조립부(52)를 결합하며, 제 1 3방향 연결블럭(5)에 남아있는 2개의 제 6 조립부(52)에 제 2 조립블럭(2)과 코너연결블럭(3)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도 3과 같은 복층의 조립식 박스를 조립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센터블럭(4)을 여러개 사용하게되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복층의 조립식 박스를 조립할 수 있게된다.
◆ 제 4 실시예 ◆
제 4 실시예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6개의 제 3 조립블럭(6)을 이용하여 육각형 모양의 조립식 박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120도의 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3 몸체바(61)를 구비하고, 제3 몸체바(61)의 양단에 제 7 조립부(62)가 형성된 제 3 조립블럭(6)을 구성하되,
제 7 조립부(62)는 제 3 몸체바(61)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09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된 6개의 제 3 조립블럭(6)을 서로 끼워지도록 조립하여 육각형 모양의 박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조립블럭(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120도의 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인 제 3 몸체바(61)로 이루어지고, 제 3 몸체바(61)의 양단에 각각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진 제 7 조립부(62)가 형성된 구성이다.
제 3 조립블럭(6)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서 이루어져 압출 성형된다.
이러한 제 3 조립블럭(6)을 도면과 같이 연속적으로 조립하게되면 육각형 모양의 조립식 박스를 조립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 제 5 실시예 ◆
제 5 실시예는 도 5 와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3 조립블럭(6)과 제 2 3방향 연결블럭(7)을 이용하여 육각형 박스를 복층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 5 실시예는
120도의 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3 몸체바(61)를 구비하고, 제3 몸체바(61)의 양단에 제 7 조립부(62)가 형성된 제 3 조립블럭(6)을 구성하고,
120도의 각을 이루는 3개의 날개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3방향 몸체바(71)를 구비하고, 3방향 몸체바(71)의 끝단에 제 8 조립부(72)가 형성된 제 2 3방향 연결블럭(7)을 구성하며,
제 7 조립부(62)와 제 8 조립부(72)는 몸체바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10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된 복수개의 제 3 조립블럭(6)과 제 2 3방향 연결블럭(7)을 서로 조립하여 복층의 육각형 박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3방향 연결블럭(7)은 120도 각을 이루는 3개의 날개를 이용하여 육각형 박스가 복층으로 구성될때 육각형 박스가 면접하는 부분을 구성하도록 하고, 상기 제 3 조립블럭(6)은 육각형 박스에서 면접하는 부분이 없는 부분에 사용하도록 한다.
즉, 육각형 박스를 복층으로 형성할때, 육각형이 면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과 같이 제 2 3방향 연결블럭(7)의 제 8 조립부(72)를 서로 결합하고, 제 2 3방향 연결블럭(7)에 남아있는 다른 나머지 제 8 조립부(72)에 제 3 조립블럭(6)의 제 7 조립부(62)를 끼워 결합하여 육각형 박스를 복층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 제 6 실시예 ◆
제 6 실시예는 육각형 박스를 복층으로 형성하되, 외곽에 사각형 모양의 외곽틀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직선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2 몸체바(21)를 구비하고, 제2 몸체바(21)의 양단에 제 3 조립부(22)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1'자 모양의 제 2 조립블럭(2)을 구성하고,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코너몸체바(31)를 구비하고, 코너몸체바(31)의 인접한 2개의 면에 각각 제 4 조립부(3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ㄴ'자 모양의 코너연결블럭(3)을 구성하며,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센터몸체바(51)를 구비하고, 센터몸체바(51)의 인접한 3개의 면에 각각 제 6 조립부(5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11
' 모양의 제 1 3방향 연결블럭(5)을 구성하고,
120도의 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3 몸체바(61)를 구비하고, 제3 몸체바(61)의 양단에 제 7 조립부(62)가 형성된 제 3 조립블럭(6)을 구성하며,
120도의 각을 이루는 3개의 날개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3방향 몸체바(71)를 구비하고, 3방향 몸체바(71)의 끝단에 제 8 조립부(72)가 형성된 제 2 3방향 연결블럭(7)을 구성하고,
120도 각을 이루는 2개의 날개를 갖고 어느 하나의 날개로 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되게 연장부가 길게 형성된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가지몸체바(81)를 구비하고, 가지몸체바(81)의 끝단에 제 9 조립부(82)가 형성된 가지연결블럭(8)을 구성하되,
조립부는 몸체바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12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제 3 조립블럭(6)을 서로 조립하여 복층의 육각형 구조물을 형성하고, 제 2 조립블럭(2), 코너연결블럭(3), 제 1 3방향 연결블럭(5), 제 2 3방향 연결블럭(7)을 이용하여 육각형 구조물의 외곽에 4각형 모양의 외곽틀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되는 가지연결블럭(8)은 120도 각을 이루는 2개의 날개를 갖고 어느 하나의 날개로 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되게 연장부가 길게 형성된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가지몸체바(81)를 구비하고, 가지몸체바(81)의 끝단에 제 9 조립부(82)가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가지연결블럭(8)은 육각형 박스의 최 외곽에 설치되어 사각형 모양의 외곽틀을 이루도록 하는 중요한 구성이다.
육각형 모양의 박스가 복층으로 이루어질때, 육각형 박스에서 이웃하는 육각형 박스가 존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제 3 조립블럭(6)을 상호 조립하여 육각형 박스가 복층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육각형 박스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제 3 조립블럭(6)의 제 7 조립부(62)에 각각 가지연결블럭(8)의 제 9 조립부(82)를 끼워 결합하여 사각형 외곽틀의 상하부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가지연결블럭(8)에 코너연결블럭(3)과 제 2 조립블럭(2), 그리고, 제 1 3방향연결블럭(5)을 연결하여 사각형 외곽틀의 좌우 측면부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는 육각형 모양의 박스를 복층으로 형성할때 최 외곽에 사각형 모양의 외곽틀이 구비되므로 하나의 폐루프를 이루게되어 벽면에 설치되는 인테리어용 박스의 용도 뿐만 아니라 테이블의 상부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서는 대문의 몸체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60도로 절곡된 제 4 몸체바(91)의 양 끝단에 제 10 조립부(92)를 형성하되, 제 10 조립부(92)는 몸체바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13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 4 조립블럭(9)을 구비하고,
이 제 4 조립블럭(9)을 서로 조립하여 도9와 같은 삼각형 모양의 조립식 박스를 제조하는 것이다.
1: 제 1 조립블럭, 2: 제 2 조립블럭,
3: 코너연결블럭, 4: 센터블럭,
5: 제 1 3방향 연결블럭, 6: 제 3 조립블럭,
7: 제 2 3방향 연결블럭, 8: 가지연결블럭,
9: 제 4 조립블럭, 10: 조립단,

Claims (6)

  1. 직선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1 몸체바(11)를 구비하고, 제1 몸체바(11)의 일단에 제 1 조립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평상으로 제 2 조립부(13)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ㄴ'자 모양의 제 1 조립블럭(1)을 구성하되,
    제 1 및 제 2 조립부(12)(13)는 제 1 몸체바(11)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14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된 4개의 제 1 조립블럭(1)을 각각의 제 1 조립부(12)와 제 2 조립부(13)가 서로 끼워지도록 조립하여 사각형 모양의 박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2. 직선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2 몸체바(21)를 구비하고, 제2 몸체바(21)의 양단에 제 3 조립부(22)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1'자 모양의 제 2 조립블럭(2)을 구성하고,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코너몸체바(31)를 구비하고, 코너몸체바(31)의 인접한 2개의 면에 각각 제 4 조립부(3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ㄴ'자 모양의 코너연결블럭(3)을 구성하며,
    제 3 및 제 4 조립부(22)(32)는 몸체바로 부터 '
    Figure 112013067597428-pat00015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된 4개의 제 2 조립블럭(2)과 코너연결블럭(3)을 제 3 조립부(22)와 제 4 조립부(32)가 서로 결합되도록 교번되게 조립하여 사각형 모양의 박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3. 직선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2 몸체바(21)를 구비하고, 제2 몸체바(21)의 양단에 제 3 조립부(22)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1'자 모양의 제 2 조립블럭(2)을 구성하고,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코너몸체바(31)를 구비하고, 코너몸체바(31)의 인접한 2개의 면에 각각 제 4 조립부(3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ㄴ'자 모양의 코너연결블럭(3)을 구성하며,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센터몸체바(41)를 구비하고, 센터몸체바(41)의 4개의 면에 각각 제 5 조립부(4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 모양의 센터블럭(4)을 구성하고,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센터몸체바(51)를 구비하고, 센터몸체바(51)의 인접한 3개의 면에 각각 제 6 조립부(5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3067597428-pat00016
    ' 모양의 제 1 3방향 연결블럭(5)을 구성하되,
    제 3 내지 제 6 조립부(22)(32)(42)(52)는 몸체바로 부터 '
    Figure 112013067597428-pat00017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센터블럭(4)의 제 5 조립부(42)에 4개의 제 2 조립블럭(2)을 각각 결합하고, 제 2 조립블럭(2)의 끝단에 제 1 3방향 연결블럭(5)을 결합하며, 제 1 3방향 연결블럭(5)의 제 6 조립부(52)에 제 2 조립블럭(2)을 연결한 후 제 2 조립블럭(2) 사이에 코너연결블럭(3)을 결합하여 복층의 조립식박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4. 120도의 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3 몸체바(61)를 구비하고, 제3 몸체바(61)의 양단에 제 7 조립부(62)가 형성된 제 3 조립블럭(6)을 구성하되,
    제 7 조립부(62)는 제 3 몸체바(61)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18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된 6개의 제 3 조립블럭(6)을 서로 끼워지도록 조립하여 육각형 모양의 박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5. 120도의 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3 몸체바(61)를 구비하고, 제3 몸체바(61)의 양단에 제 7 조립부(62)가 형성된 제 3 조립블럭(6)을 구성하고,
    120도의 각을 이루는 3개의 날개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3방향 몸체바(71)를 구비하고, 3방향 몸체바(71)의 끝단에 제 8 조립부(72)가 형성된 3방향 몸체바(7)를 구성하며,
    제 7 조립부(62)와 제 8 조립부(72)는 몸체바로 부터 '
    Figure 112012044340653-pat00019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된 복수개의 제 3 조립블럭(6)과 3방향 몸체바(7)를 서로 조립하여 복층의 육각형 박스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6. 직선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2 몸체바(21)를 구비하고, 제2 몸체바(21)의 양단에 제 3 조립부(22)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1'자 모양의 제 2 조립블럭(2)을 구성하고,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코너몸체바(31)를 구비하고, 코너몸체바(31)의 인접한 2개의 면에 각각 제 4 조립부(3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ㄴ'자 모양의 코너연결블럭(3)을 구성하며,
    정사각형 모양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센터몸체바(51)를 구비하고, 센터몸체바(51)의 인접한 3개의 면에 각각 제 6 조립부(52)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3067597428-pat00020
    ' 모양의 제 1 3방향 연결블럭(5)을 구성하고,
    120도의 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제 3 몸체바(61)를 구비하고, 제3 몸체바(61)의 양단에 제 7 조립부(62)가 형성된 제 3 조립블럭(6)을 구성하며,
    120도의 각을 이루는 3개의 날개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의 3방향 몸체바(71)를 구비하고, 3방향 몸체바(71)의 끝단에 제 8 조립부(72)가 형성된 제 2 3방향 연결블럭(7)을 구성하고,
    120도 각을 이루는 2개의 날개를 갖고 어느 하나의 날개로 부터 일직선상으로 연장되게 연장부가 길게 형성된 형태이면서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의 가지몸체바(81)를 구비하고, 가지몸체바(81)의 끝단에 제 9 조립부(82)가 형성된 가지연결블럭(8)을 구성하되,
    조립부는 몸체바로 부터 '
    Figure 112013067597428-pat00021
    '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립단(10)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제 2 3방향 연결블럭(7)을 서로 조립하여 복층의 육각형 구조물을 형성하고, 제 2 조립블럭(2), 코너연결블럭(3), 제 1 3방향 연결블럭(5), 제 2 3방향 연결블럭(7)을 이용하여 육각형 구조물의 외곽에 4각형 모양의 외곽틀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KR1020120059600A 2012-06-04 2012-06-04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KR101375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600A KR101375626B1 (ko) 2012-06-04 2012-06-04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600A KR101375626B1 (ko) 2012-06-04 2012-06-04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061A KR20130136061A (ko) 2013-12-12
KR101375626B1 true KR101375626B1 (ko) 2014-03-21

Family

ID=4998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600A KR101375626B1 (ko) 2012-06-04 2012-06-04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958B1 (ko) * 2020-02-14 2020-05-07 김학중 구조재 결합구조와 조립식 선반
KR102125631B1 (ko) * 2018-12-19 2020-06-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조명 진열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251B1 (ko) * 2016-04-15 2017-12-12 (주)휘플 인테리어용 조립식 블록의 온라인 판매방법
KR102474820B1 (ko) * 2022-06-03 2022-12-06 영원우드엔스틸 주식회사 조립식 수납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087Y1 (ko) 2000-11-20 2001-05-02 주식회사동성사 조립식 수납함
KR100782634B1 (ko) 2007-02-05 2007-12-06 박진호 수납모듈 및 수납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087Y1 (ko) 2000-11-20 2001-05-02 주식회사동성사 조립식 수납함
KR100782634B1 (ko) 2007-02-05 2007-12-06 박진호 수납모듈 및 수납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631B1 (ko) * 2018-12-19 2020-06-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조명 진열장
KR102107958B1 (ko) * 2020-02-14 2020-05-07 김학중 구조재 결합구조와 조립식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061A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181219U (zh) 组合式瓶架
US10278492B2 (en) Piece of display furniture for disglaying goods
KR101375626B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KR102238387B1 (ko) 모듈식 방
US10159338B2 (en) Universal piece of furniture consisting of panels
US10086304B1 (en) Modular panel system for interactive play or display
US20150083683A1 (en) Modular furniture system and modular furniture
ITMI20070060U1 (it) Tave modulare per coperture di grandi superfici
KR101348146B1 (ko)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이용한 전시장의 조립식 구조물
CN102839748A (zh) 带有墙体连接柱的自由组合的居室
US11542133B2 (en) Extendable arm
CN205589655U (zh) Diy组合层式收纳盒
KR102061666B1 (ko) 수직판과 배면판 및 수평판으로 자체 조립되는 조립식 책장 및 그 조립방법
KR20170001974U (ko) 장식장용 조립식 도어
JP3201838U (ja) 猫の遊戯棚
ITBO20130125U1 (it) Kit per l'assemblaggio di mobili, e mobile cosi' ottenuto
KR20160000210U (ko) 조립식 가구 및 교육완구
KR20150074536A (ko) 수납용 조립식 가구
FI12419U1 (fi) Levy
JP6335817B2 (ja) パネル体
CN102356201A (zh) 折叠支撑或框架结构
KR101348864B1 (ko) 조립식 칸막이용 칸막이 부재 연결 구조
KR101722227B1 (ko) 장식장 및 그 제조방법
CN204081240U (zh) 一种组装方便强度高的墙板
ITMI20090178U1 (it) Struttura di mobile comprendente pannelli orizzontali e pannelli verticali interconnessi a formare vani fra di lo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