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087Y1 - 조립식 수납함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087Y1
KR200222087Y1 KR2020000032406U KR20000032406U KR200222087Y1 KR 200222087 Y1 KR200222087 Y1 KR 200222087Y1 KR 2020000032406 U KR2020000032406 U KR 2020000032406U KR 20000032406 U KR20000032406 U KR 20000032406U KR 200222087 Y1 KR200222087 Y1 KR 200222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orage box
storage
concave groov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성사
Priority to KR2020000032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08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각 외측면에 요형홈(22)과 철형돌기(24)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도록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수납용 블럭(20); 선택된 수납용 블럭(20) 내측 코너부에 각각 설치되고, 나사공(32)을 구비하여 수납용 블럭(20)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설치브라켓(3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다각형상의 관체 구조를 갖는 각각의 블럭이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분해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실용적일 뿐만 아니라 블럭식으로 구성되어 수납함의 구조와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각 수납용 블럭(20)에 한쌍의 지지부재(40,50)와 선반부재(60)를 설치함으로써, 수납함과 선반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수납함{SECTIONAL CUSTODY BOX}
본 고안은 조립식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측면에 요형홈과 철형돌기가 각각 형성된 다각형 관체형상의 수납용 블럭을 임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납함의 형태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식으로 연출할 수 있는 조립식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함은 각종 물건을 수납하거나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벽체 등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납함(1)은 목재 또는 합판으로 이루어진 지지판(2)과 칸막이(3)를 못이나 나사 또는 목재 본드를 이용하여 결합시킨 구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체형 수납함(1)은 대량생산이 어렵고 생산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고, 대체로 결합부위의 견고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구성부품이 흔들리는 등 불안정하고, 조립식이라 하더라도 각 구성부품을 나사못 등으로 서로 조여주게 되어 있어 취급상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납함(1)은 그 형상 모양이 획일적으로 일체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소비자는 선택의 여지없이 획일화된 수납함(1)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었고, 분해/조립이 곤란하여 그 형상의 변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분해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실용적일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가능한 블럭식으로 구성되어 수납구조와 수납형태가 다양하게 변경가능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수납함은 물론 선반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블럭식 수납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 외측면에 요형홈과 철형돌기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도록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수납용 블럭; 선택된 하나의 수납용 블럭 내측 코너부에 각각 설치되고, 나사공을 구비하여 수납용 블럭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설치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납용 블럭은 상기 요형홈에 끼움 결합되는 철형돌기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철형돌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선반부재의 일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지지단이 형성된 제 1지지부재; 상기 철형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요형홈이 외측면에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요형홈과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의 타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지지단이 형성된 제 2지지부재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각 요형홈과 각 철형돌기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수납함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수납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함을 도시한 결합상대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납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용 블럭을 다른 형태로 조합하여 구성된 수납함을 도시한 정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수납용 블럭과 제 1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가 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6b는 수납용 블럭과 제 1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가 조합되어 수납함과 선반을 이루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6c는 제 3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수납용 블럭이 설치브라켓에 의해 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8b는 본 고안에 의한 요형홈과 철형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수납함을 도시한 결합상태 정면도.
도 10a,10b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와 제 2실시예에 의한 수납용 블럭이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a,11b는 도 9에 도시된 수납용 블럭과 제 3,4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가 조합되어 수납함과 선반을 이루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수납함을 도시한 결합상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수납용 블럭 22 : 요형홈
24 : 철형돌기 30 : 설치브라켓
32 : 나사공 40 : 제 1지지부재
42 : 철형돌기 44 : 지지단
50 : 제 2지지부재 52 : 요형홈
54 : 지지단1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수납함은 동일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수납용 블럭이 요형홈과 철형돌기에 의해 서로 연결 조립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조립식 수납함에 의하면, 다수개의 수납용 블럭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취향에 맞는 형태로 수납함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수납용 블럭이 끼움형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수납함과 선반을 동시에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수납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납함을 도시한 결합상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납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수납용 블럭을 다른 형태로 조합하여 구성된 수납함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a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수납용 블럭과 제 1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가 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6b는 수납용 블럭과 제 1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가 조합되어 수납함과 선반을 이루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6c는 제 3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수납함은 사각형상의 관체로 형성된 다수개의 수납용 블럭(20)과, 다수개의 수납용 블럭(20)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수납용 블럭(20)을 벽체(10)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설치브라켓(30)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납용 블럭(20)은 사각형상의 관체로 형성된 것으로, 그 사방 외측면에는 요형홈(22)과 철형돌기(24)가 각각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요형홈(22)은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의 저면과 좌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철형돌기(24)는 우측면과 상면에 각각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그 형성위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수납용 블럭(20)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도록 압출 형성되는 것으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요형홈(22)과 철형돌기(24)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길이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된 것으로, 이는 각 수납용 블럭(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 분해/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치브라켓(30)은 상기 수납용 블럭(20)을 벽체 등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수납용 블럭(20)의 내측 코너부에 설치되도록 삼각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고, 사각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브라켓(30)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설치브라켓(30)은 상기 수납용 블럭(20)의 내측 코너부에 용접에 의해 각각 결합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볼트 또는 나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용 블럭(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각의 설치브라켓(30)은 각각의 수납용 블럭(20)에 결합되지 않고 선택된 수납용 블럭(20)에만 결합된다. 즉, 예를들면 수납함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체화되어 한 곳에 설치된다면 중앙에 위치하는 수납용 블럭(20)에만 설치하여 벽체에 고정함으로써, 중앙의 수납용 블럭(20)에 결합된 각각의 수납용 블럭(20)도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조립된 수납용 블럭(20) 군이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다면, 각 수납용 블럭(20) 군의 중심에 위치한 수납용 블럭(20)에 상기 설치브라켓(30)를 결합시키는 것이다. 물론, 상기 설치브라켓을 수납용 블럭(20)에 결합시키는 작업은 각각의 수납용 블럭(20)을 끼움 결합하는 작업 이전에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실시예에 의한 수납함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설치브라켓(30)이 결합된 수납용 블럭(20)을 제 1수납용 블럭(20)으로 하고, 이외의 수납용 블럭(20)은 제 2,3,4,5,6수납용 블럭(20A,20B,20C,20D,20E)이라 하며, 제 2,3,4,5.6 수납용 블럭(20A,20B,20C,20D,20E)에 형성된 요형홈과 철형돌기의 부호는 '22A,22B,22C,22D,22E' 및 '24A,24B,24C,24D,24E'라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수납용 블럭(2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 1수납용 블럭(20)의 내부 코너부에 각각의 설치브라켓(3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각 설치브라켓(30)가 벽체(10)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 1수납용 블럭(20)을 벽체에 위치시킨 후, 상기 각 설치브라켓(30)을 벽체에 고정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설치브라켓(30)이 설치된 제 1수납용 블럭(20)의 좌측에 형성된 요형홈(22)에 제 2수납용 블럭(20A)의 우측에 형성된 철형돌기(24A)를 길이방향으로 끼워 결합시키고, 상기 제 2수납용 블럭(20A)의 상면에 형성된 철형돌기(24A)을 제 3수납용 블럭(20B)의 저면에 형성된 요형홈(22B)에 끼움 결합시킨다.
또한, 제 1수납용 블럭(20)의 저면에 형성된 요형홈(22)에는 제 4수납용 블럭(20C)의 상면에 형성된 철형돌기(24C)를 끼움 결합시키고, 상기 제 4수납용 블럭(20C)의 우측면에 형성된 철형돌기(24C)는 제 5수납용 블럭(20D)의 좌측면에 형성된 요형홈(22D)과 끼움 결합시키며, 상기 제 5수납용 블럭(20D)의 저면에 형성된 요형홈(22D)에는 제 6수납용 블럭(20E)의 상면에 형성된 철형돌기(24E)를 끼워 결합시킨다.
이로써, 상기 제 1,2,3,4,5,6수납용 블럭(20,20A,20B,20C,20D,20E)이 일정한 형상을 이루며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고, 각각의 수납용 블럭(20,20A,20B,20C,20D,20E)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각종 물건을 수납하여 보관 또는 장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2수납용 블럭(20A)의 요형홈(22A), 제 3수납용 블럭(20B)의 좌측면에 형성된 요형홈(22B) 및 상면에 형성된 철형돌기(24B), 제 4수납용 블럭(20C)의 각 요형홈(22C), 제 5수납용 블럭(20D)의 각 철형돌기(24D), 제 6수납용 블럭(20E)의 우측에 형성된 철형돌기(24E) 및 각 요혐홈(22E)에는 다른 각 수납용 블럭을 추가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제 3수납용 블럭(20B) 또는 제 6수납용 블럭(20E)에 설치브라켓(3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각의 수납용 블럭(20,20A,20B,20C,20D,20E)이 벽체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각각의 수납용 블럭(20,20A,20B,20C,20D,20E)의 내측에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각의 수납용 블럭(20,20A,20B,20C,20D,20E)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수납용 블럭(20)에는 선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a에는 제 1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철형돌기(42)가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철형돌기(42)와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지단(44)이 형성된 제 1지지부재(40)를 우측의 수납용 블럭(20)에 결합 시키되, 상기 철형돌기(42)를 우측 수납용 블럭(20)의 요형홈(22)에 끼움 결합시키고, 요형홈(52)이 외측면에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요형홈(52)과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지지단(54)이 형성된 제 2지지부재(50)를 좌측의 수납용 블럭(20)에 결합시키되, 상기 좌측 수납용 블럭(20)의 철형돌기(24)가 상기 제 2지지부재(50)의 요형홈(52)에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 1,2지지부재(50)의 각 지지단(44,54)에 상기 각 수납용 블럭(20)의 길이와 동일한 폭을 갖는 선반부재(60)의 양단을 안착시킴으로써, 각종 물건을 올려 전시할 수 있는 선반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2지지부재(50)에 의해 상기 각 수납용 블럭(20) 사이에 선반부재(60)가 설치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용 블럭(20)으로 선반을 겸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지지부재(40,5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3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50)는 지지단(54)이 길게 연장된 구성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단(54)이 길게 형성됨으로써 선반부재(60)가 삭제될 수도 있는 것이며, 도 6c에는 제 2지지부재(5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지지부재(40)의 지지단(44)도 길게 연장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8a,8b는 본 고안에 의한 요형홈(22)과 철형돌기(2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용 블럭(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요형홈(22)과 철형돌기(24)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형홈(22)이 ''형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요형홈(22)에 끼워지는 철형돌기(24)가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형홈(22)이 ''형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요형홈(22)에 끼워지는 철형돌기(24)가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형 요형홈(22) 및 철형돌기(24)는 상기 수납용 블럭(20)의 외측면에 다수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수납함을 도시한 결합상태 정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용 블럭(20)이 삼각형상의 관체로 형성됨으로써, 수납함의 형상을 보다 기하학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각각의 수납용 블럭(20)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보다 기하학적이고 세련된 미관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a,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관체로 형성된 수납용 블럭(20)과 삼각형상의 관체로 형성된 수납용 블럭(20)를 조합한다면 보다 다양한 구조의 수납함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수납용 블럭과 제 3,4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a,11b는 도 9에 도시된 수납용 블럭과 제 3,4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가 조합되어 수납함과 선반을 이루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50,60)은 각각의 지지단(44,54)이 각각 45°각도로 절곡된 것이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지지단(44,54)을 각각 135°각도로 절곡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한 수납용 블럭(20)에 제 3실시예에 의한 지지부재(40,50)를 설치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의한 수납용 블럭(20)과 선반을 겸용할 수 있게 되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단(44,54)을 길게 연장하여 형성함으로써,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었을 때 선반부재(60)가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2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수납함을 도시한 결합상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용 블럭(20)이 육각형상의 관체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형상을 갖는 수납함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3실시예에 의한 수납용 블럭(20)에 제 2실시예에 의한 수납용 블럭(20)를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수납함은 다각형상의 관체 외측면에 요철을 각각 형성하여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 수납용 블럭과, 상기 수납용 블럭을 벽체 등에 고정하기 위한 설치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수납용 블럭이 조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분해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실용적일 뿐만 아니라 블럭식으로 구성되어 수납함의 수납구조와 수납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수납함과 선반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8)

  1. 각 외측면에 요형홈(22)과 철형돌기(24)가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상호 연결되도록 끼움 결합되는 다수개의 수납용 블럭(20);
    선택된 수납용 블럭(20)의 내측 코너부에 각각 설치되고, 나사공(32)을 구비하여 수납용 블럭(20)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설치브라켓(3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블럭(20)은 상기 요형홈(22)에 끼움 결합되는 철형돌기(42)가 외측면에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철형돌기(42)와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선반부재(60)의 일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지지단(44)이 형성된 제 1지지부재(40); 및
    상기 철형돌기(24)가 끼움 결합되는 요형홈(52)이 외측면에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요형홈(52)과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선반부재(60)의 타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지지단(54)이 형성된 제 2지지부재(50);
    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형홈(22,52)과 철형돌기(24,42)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형홈(22,52)과 철형돌기(24,42)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형홈(22,52)과 철형돌기(24,42)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블럭(20)은 사각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블럭(20)은 삼각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블럭(20)은 육각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KR2020000032406U 2000-11-20 2000-11-20 조립식 수납함 KR200222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406U KR200222087Y1 (ko) 2000-11-20 2000-11-20 조립식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406U KR200222087Y1 (ko) 2000-11-20 2000-11-20 조립식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087Y1 true KR200222087Y1 (ko) 2001-05-02

Family

ID=7309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406U KR200222087Y1 (ko) 2000-11-20 2000-11-20 조립식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08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20Y1 (ko) * 2009-07-24 2010-02-03 이주민 수납함
KR101375626B1 (ko) 2012-06-04 2014-03-21 안혜연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WO2015072641A1 (ko) * 2013-11-14 2015-05-21 김영훈 모듈화 수납기구
KR102125631B1 (ko) * 2018-12-19 2020-06-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조명 진열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20Y1 (ko) * 2009-07-24 2010-02-03 이주민 수납함
KR101375626B1 (ko) 2012-06-04 2014-03-21 안혜연 인테리어용 조립식 박스
WO2015072641A1 (ko) * 2013-11-14 2015-05-21 김영훈 모듈화 수납기구
KR102125631B1 (ko) * 2018-12-19 2020-06-2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이디 조명 진열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306985A (ja) 並列パネルを支持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式支持構造体
KR200447520Y1 (ko) 수납함
KR200222087Y1 (ko) 조립식 수납함
JP2006020979A (ja) 多目的収納ユニット
KR20170034061A (ko) 액세서리 부착 격자형 조립식 수납함
KR200492958Y1 (ko) 모듈형 정리함
KR200211407Y1 (ko) 높이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다단선반
KR200301876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148914Y1 (ko) 조립식 선반
KR200169248Y1 (ko) 조립식 선반집기
KR200349008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0254826Y1 (ko) 다용도 조립식 평상
KR200223723Y1 (ko) 다용도 진열장 조립장치
JP3217824U (ja) ダンボール製の構造物
KR200236270Y1 (ko)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책꽂이
KR200377731Y1 (ko) 건조대
KR200243381Y1 (ko) 조립식 책꽂이
US6382432B1 (en) Knockdown glasses show rack
KR200371631Y1 (ko) 수납가구 제작용 조립체
JPS5934728Y2 (ja) 縦溝付きポ−ルと横枠の連結用ホルダ−
KR200211932Y1 (ko) 벽면설치용 간이선반
JP2526983Y2 (ja) 陳列用ケースの枠材連結具
KR960000676Y1 (ko) 조립식 책꽂이
KR100286432B1 (ko) 조립식 쇼우케이스 시스템
KR200196541Y1 (ko) 상품진열대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