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507A - 조립식 프로파일 - Google Patents

조립식 프로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507A
KR20140014507A KR1020120080624A KR20120080624A KR20140014507A KR 20140014507 A KR20140014507 A KR 20140014507A KR 1020120080624 A KR1020120080624 A KR 1020120080624A KR 20120080624 A KR20120080624 A KR 20120080624A KR 20140014507 A KR20140014507 A KR 20140014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profile body
bent
prefabricated
centr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진
Original Assignee
(주)아이씨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씨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아이씨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80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4507A/ko
Publication of KR2014001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별도의 도구 없이도 다양한 물품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로파일은 가장자리에 레일홈이 형성된 조립패널; 조립패널의 레일홈에 설치되어 조립패널의 가장자리를 마감처리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프로파일; 및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된 적어도 두 개의 제 1 프로파일의 끝단 사이에 위치되어, 적어도 두 개의 제 1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제 2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조립식 프로파일{ASSEMBLY PROFILE}
본 발명은 조립식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별도의 도구 없이도 다양한 물품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48775호에는 패널과 패널을 연결하는 프로파일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프로파일의 경우, 패널 일측에 형성된 홈으로 프로파일이 삽입되어, 어느 하나의 패널과 이에 인접한 패널을 연결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벽체를 구획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유용할지 몰라도, 일상 용품에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프로파일을 적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단한 조립방식으로 패널과 패널을 연결하여, 다양한 구조를 가진 물품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립식 프로파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로파일은 가장자리에 레일홈이 형성된 조립패널; 조립패널의 레일홈에 설치되어 조립패널의 가장자리를 마감처리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프로파일; 및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된 적어도 두 개의 제 1 프로파일의 끝단 사이에 위치되어, 적어도 두 개의 제 1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제 2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프로파일은 사각 단면을 가진 형상이고, 내부에 제 1 중앙홀이 구비된 제 1 중심축을 가진 제 1 프로파일몸체; 및 제 1 프로파일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제 1 슬라이딩홈을 가진 제 1 체결부로 이루어지되, 제 1 체결부는 제 1 프로파일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프로파일몸체는 기역(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제 1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제 1 프로파일몸체의 사각 단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1 절곡부; 및 복수의 제 1 절곡부 중 어느 일 제 1 절곡부와 이에 인접한 제 1 절곡부 사이에 제 1 체결홈이 형성되게, 제 1 중심축과 제 1 절곡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체결부는 일측이 개방된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측의 양 종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단면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체결부는 제 1 프로파일몸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제 1 프로파일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제 1 프로파일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프로파일은 사각 단면을 가진 형상이고, 내부에 제 2 중앙홀이 구비된 제 2 중심축을 가진 제 2 프로파일몸체; 제 2 프로파일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위치되고, 제 2 프로파일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몸체; 및 연결몸체를 관통하여, 연결몸체와 제 1 프로파일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프로파일몸체는 기역(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호 간에 제 2 중심축을 둘러싸게 위치되어, 제 2 프로파일몸체의 사각 단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2 절곡부; 제 2 중심축과 제 2 절곡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지지부재; 및 절곡부의 외면으로부터 기역(ㄱ)자 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연결부재가 걸리는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프로파일은 제 2 프로파일몸체의 개방된 부분을 막도록, 제 2 프로파일몸체에 설치된 제 1 커버; 및 연결몸체의 개방된 부분을 막도록 연결몸체에 설치되고, 제 1 커버와 요철형태로 결합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간단한 조립방식으로 조립패널과 조립패널을 연결하여, 다양한 구조를 가진 물품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복수 개의 조립패널과 제 1 프로파일, 그리고 제 2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책상, 의자, 문, 공간구획용 파티션, 선반, 화단 등 다양한 제품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 1 프로파일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제 1 프로파일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프로파일의 분해사시도로서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2의 B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로파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로파일(100)은 조립패널(110), 제 1 프로파일(120)과 제 2 프로파일(13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패널(110)은 가장자리에 레일홈(111)이 형성된다. 조립패널(110)의 레일홈(111)에는 제 1 프로파일(120)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프로파일(120)은 조립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마감 처리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패널(110)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제 1 프로파일(120)은 제 1 프로파일몸체(121)와 제 1 체결부(127)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프로파일몸체(121)는 사각 단면을 가진 기둥 형상을 가진다. 제 1 프로파일몸체(121)는 내부에 제 1 중앙홀(122a)이 구비된 제 1 중심축(122)을 가진다.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외면은 제 1 중심축(122)을 둘러싸게 배치된 복수의 제 1 절곡부(12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절곡부(123)는 기역(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제 1 중심축(122)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사각 단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복수의 제 1 절곡부(123)는 제 1 지지부재(124)에 의해 제 1 중심축(122)에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제 1 지지부재(124)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복수의 제 1 지지부재(124)에 의해 제 1 프로파일몸체(121)는 내부가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제 1 체결홈(124a)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외면에는 제 1 체결부(127)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체결부(127)는 조립패널의 레일홈(111)을 따라 슬라이딩방식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 1 체결부(127)는 일측이 개방된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슬라이딩홈(127a)이 마련되고, 개방된 측의 양 종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단면(
Figure pat00001
)을 가져, 제 1 체결부(127)의 절곡된 종단이 레일홈(111)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체결부(127)는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체결부(127)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1 프로파일몸체(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체결부(127)는 암결합부재(125)와 수결합부재(128)에 의해 제 1 프로파일몸체(1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제 1 체결부(127)는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진 형상일 수도 있고, 또는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형상일 수도 있다.
제 1 체결부(127)가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 경우,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암결합부재(125)와 수결합부재(128)에 의해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암결합부재(125)는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체결홈(124a)에 삽입되는 구조 및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결합부재(125)에는 수결합부재(128)가 삽입되는 암결합개구(125a)가 형성된다.
암결합개구(125a)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결합부재(128)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암결합부재(125)와 수결합부재(128)는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제 1 프로파일(120)은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외면에 제 1 체결부(127)가 설치된 개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 1 프로파일(120)은 제 1 프로파일몸체(121)에 하나의 제 1 체결부(127)가 설치된 경우에는 일(一)자형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제 1 프로파일(120)은 제 1 프로파일몸체(121)에 두 개의 제 1 체결부(127)가 서로 반대방향에 오게 설치되면 일(一)자형 구조를 가지고, 두 개의 제 1 체결부(127)가 인접하게 제 1 프로파일몸체(121)에 설치되면 기역(ㄱ)자형 또는 니은(ㄴ)자형 구조를 가진다.
또는, 제 1 프로파일(120)은은 제 1 프로파일몸체(121)에 3개의 제 1 체결부(127)가 설치되면 ┠형 구조를 가지며, 제 1 프로파일몸체(121)에 4개의 제 1 체결부(127)가 설치되면 ╈형 구조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제 2 프로파일(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프로파일(130)은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된 적어도 두 개의 제 1 프로파일(120)의 끝단 사이에 위치되어, 적어도 두 개의 제 1 프로파일(120)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제 2 프로파일(130)은 제 2 프로파일몸체(131), 연결몸체(135)와 연결부재(136)를 포함한다. 제 2 프로파일몸체(131)는 내부에 제 2 중앙홀(132a)이 구비된 제 2 중심축(132)을 가지며, 제 2 프로파일몸체(131)는 기역(ㄱ)자 형으로 절곡된 제 2 절곡부(133)가 제 2 중심축(132)을 둘러싸게 배치되면서 사각 단면을 이룬다. 제 2 절곡부(133)는 내부에 개구홀(133a)이 형성된
Figure pat00002
단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프로파일몸체(131)는 외면에 연결몸체(135)가 걸리는 걸림부(134)가 형성된다. 걸림부(134)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역(ㄱ)자 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제 2 절곡부(133)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부(134)는 제 2 프로파일몸체(131)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연결몸체(135)는 개방된 측의 양 종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단면(
Figure pat00003
)을 가져, 연결몸체(135)의 절곡된 종단이 걸림부(134)를 따라 슬라이딩방식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연결몸체(135)는 슬라이딩방식으로 걸림부(134)에 걸려, 제 2 프로파일몸체(131)에 연결된다. 제 2 프로파일몸체(131)에 연결몸체(135)가 설치된 개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제 2 프로파일(130)은 제 2 프로파일몸체(131)에 하나의 연결몸체(135)가 설치된 경우에는 일(一)자형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제 2 프로파일(130)은 제 2 프로파일몸체(131)에 두 개의 연결몸체(135)가 인접하게 설치되면 기역(ㄱ)자형 또는 니은(ㄴ)자형 구조를 가진다. 연결몸체(135)에는 연결개구(135a)가 형성된다. 연결개구(135a)는 연결부재(136)가 관통되어 걸리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36)는 연결개구(135a)를 관통하여 연결몸체(135)에 걸린 상태로 제 1 프로파일(120)의 제 1 중앙홀(122a)에 삽입되어 제 1 프로파일몸체(121)에 끼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프로파일(100)은 연결부재(136)에 의해 제 2 프로파일(130)이 제 1 프로파일(120)에 연결되면, 제 1 커버(137)와 제 2 커버(139)를 사용하여 제 2 프로파일(130)의 개방된 부분을 막는다.
여기서, 제 1 커버(137)와 제 2 커버(139)는 제 2 프로파일몸체(131)의 개방된 부분을 막아, 조립식 프로파일(100)의 외관을 미관상 보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커버(137)는 상면이 평평한 면을 가지고, 후면에 제 2 프로파일몸체(131)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지지봉이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지지봉은 중앙지지봉(미도시)과, 중앙지지봉(미도시)을 둘러싸게 배치된 가이드지지봉(137a)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앙지지봉(미도시)은 제 2 프로파일몸체(131)의 제 2 중앙홀(132a)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진다.
다음으로, 가이드지지봉(137a)은 제 2 프로파일몸체(131)의 내부공간, 예를 들어 제 2 중심축(132)과 제 2 절곡부(133) 사이에 마련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제 2 프로파일몸체(131)의 개구홀(133a)에 삽입되는 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지지봉(137a)은 제 2 프로파일몸체(131)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커버(137)의 후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커버(139)는 연결몸체(135)의 개방된 공간을 막는 동시에 제 1 커버(137)와 요철형태로 결합된다. 제 2 커버(139)는 ┠형 구조로, 연결몸체(135)의 개방된 부분을 전반적으로 덮는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버(137)와 제 2 커버(139)는 상황에 따라 제 1 프로파일(1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제 2 프로파일(1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프로파일(120)과 제 2 프로파일(130)이 조립패널(110)에 조립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프로파일(120)은 조립패널(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레일홈(111)을 따라 제 1 체결부(127)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어 조립패널(1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프로파일(120)은 조립패널(1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로 조립패널(110)의 4면에 각각 설치되어, 조립패널(110)의 마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조립패널(110)이 조립패널(110)에 설치되면, 제 2 패널이 어느 하나의 제 1 프로파일(120)과 이에 인접한 제 1 프로파일(120) 사이에 끼워지도록 제 2 프로파일(130)을 배치한다.
이때, 제 2 프로파일(130)은 연결몸체(135)의 연결개구(135a)가 제 1 프로파일몸체(121)의 제 1 중앙홀(122a)에 동축을 이루도록 연결몸체(135)를 제 1 프로파일몸체(121)와 접촉되게 위치시킨다. 이후, 연결부재(136)가 연결개구(135a)를 관통하여 제 1 중앙홀(122a)에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연결몸체(135)와 제 1 프로파일몸체(121)를 연결한다. 이러한 과정은 제 2 프로파일(130)에 구비되는 연결몸체(135)의 개수에 따라 반복진행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연결몸체(135)가 제 1 프로파일몸체(121)와 결합되면, 제 2 프로파일몸체(131)가 연결몸체(135)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 2 프로파일몸체(131)에 구비된 걸림부(134)가 연결몸체(135)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삽입되어, 제 2 프로파일몸체(131)의 걸림부(134)와 연결몸체(135)가 맞닿아 걸리는 구조로 연결된다.
이후, 제 1 커버(137)가 제 2 프로파일몸체(131)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제 2 프로파일몸체(131)에 설치되고, 다음으로 제 2 커버(139)가 연결몸체(135)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연결몸체(135)에 설치되는데, 이때 제 2 커버(139)는 제 1 커버(137)와 요철 구조로 맞물려 결합되어, 제 2 프로파일(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조립식 프로파일 110: 조립패널
111: 레일홈 120: 제 1 프로파일
121: 제 1 프로파일몸체 122: 제 1 중심축
122a: 제 1 중앙홀 123: 제 1 절곡부
124: 제 1 지지부재 125: 암결합부재
127: 제 1 체결부 127a: 제 1 슬라이딩홈
128: 수결합부재 130: 제 2 프로파일
131: 제 2 프로파일몸체 132: 제 2 중심축
133: 제 2 절곡부 135: 연결몸체
135: 연결부재 137: 제 1 커버
137a: 가이드지지봉 139: 제 2 커버

Claims (8)

  1. 가장자리에 레일홈이 형성된 조립패널;
    상기 조립패널의 레일홈에 설치되어 상기 조립패널의 가장자리를 마감처리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패널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프로파일; 및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된 적어도 두 개의 제 1 프로파일의 끝단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 1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제 2 프로파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로파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파일은,
    사각 단면을 가진 형상이고, 내부에 제 1 중앙홀이 구비된 제 1 중심축을 가진 제 1 프로파일몸체; 및
    상기 제 1 프로파일몸체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제 1 슬라이딩홈을 가진 제 1 체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제 1 프로파일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로파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파일몸체는
    기역(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 1 프로파일몸체의 사각 단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1 절곡부; 및
    상기 복수의 절곡부 중 어느 일 제 1 절곡부와 이에 인접한 제 1 절곡부 사이에 제 1 체결홈이 형성되게, 상기 제 1 중심축과 상기 제 1 절곡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로파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일측이 개방된 디귿(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측의 양 종단이 서로 마주보게 절곡된 단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로파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제 1 프로파일몸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1 프로파일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 1 프로파일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로파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파일은
    사각 단면을 가진 형상이고, 내부에 제 2 중앙홀이 구비된 제 2 중심축을 가진 제 2 프로파일몸체;
    상기 제 2 프로파일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 2 프로파일몸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몸체; 및
    상기 연결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몸체와 상기 제 1 프로파일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로파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파일몸체는,
    기역(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호 간에 제 2 중심축을 둘러싸게 위치되어, 상기 제 2 프로파일몸체의 사각 단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 2 절곡부;
    상기 제 2 중심축과 상기 제 2 절곡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지지부재; 및
    상기 제 2 절곡부의 외면으로부터 기역(ㄱ)자 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걸리는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로파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파일은
    상기 제 2 프로파일몸체의 개방된 부분을 막도록, 상기 제 2 프로파일몸체에 설치된 제 1 커버; 및
    상기 연결몸체의 개방된 부분을 막도록 상기 연결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커버와 요철형태로 결합되는 제 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프로파일.
KR1020120080624A 2012-07-24 2012-07-24 조립식 프로파일 KR20140014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24A KR20140014507A (ko) 2012-07-24 2012-07-24 조립식 프로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24A KR20140014507A (ko) 2012-07-24 2012-07-24 조립식 프로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507A true KR20140014507A (ko) 2014-02-06

Family

ID=5026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624A KR20140014507A (ko) 2012-07-24 2012-07-24 조립식 프로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45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813A (ko) * 2014-12-26 2016-12-23 샹하이 화처 네비게이션 테크놀로지 엘티디. 위성 신호의 처리를 위하여 8개의 주파수 점으로 분할하는 방법
KR101877794B1 (ko) * 2017-01-18 2018-07-12 김예솔 가변형 조립식 가구
WO2022135741A1 (de) * 2020-12-22 2022-06-30 Schoene Carl Peter BAUKASTENSYSTEM ZUR HERSTELLUNG EINES LAGER- UND TRANSPORTELEMENTES, VERWENDUNG EINES BAUKASTENSYSTEMS SOWIE LAGER- UND TRANSPORTELEMENT UND GROßLADUNGSTRÄG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813A (ko) * 2014-12-26 2016-12-23 샹하이 화처 네비게이션 테크놀로지 엘티디. 위성 신호의 처리를 위하여 8개의 주파수 점으로 분할하는 방법
KR101877794B1 (ko) * 2017-01-18 2018-07-12 김예솔 가변형 조립식 가구
WO2022135741A1 (de) * 2020-12-22 2022-06-30 Schoene Carl Peter BAUKASTENSYSTEM ZUR HERSTELLUNG EINES LAGER- UND TRANSPORTELEMENTES, VERWENDUNG EINES BAUKASTENSYSTEMS SOWIE LAGER- UND TRANSPORTELEMENT UND GROßLADUNGSTRÄ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406B2 (en) Plastic pegboard assembly
KR101727375B1 (ko) 플라스틱 구조물이 제공된 옷장을 구성하는 모듈식 장치
US10492463B2 (en) Kit for modular housing for cats
KR200476249Y1 (ko) 진열대 조립용 연결구
US9211006B2 (en) Combining structure for shelves
WO2006035742A1 (ja) 組合せ収納家具
CA2894185C (en) Pop-up shelving system
KR20140014507A (ko) 조립식 프로파일
US3987838A (en) Partition system
KR101223458B1 (ko) 파티션 연결구조
KR200494160Y1 (ko) 조립식가구용 선반조립체
KR20130007219U (ko) 조립용 파티션
KR20140000806U (ko) 찬넬형 조립 구조물
TW201536997A (zh) 組合式型材構造
KR20130007263U (ko) 반조립 수납장
KR102155891B1 (ko) 탄력 계지식 조립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테리어 선반
KR20150053711A (ko) Diy용 다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diy용 가구
KR101108698B1 (ko) 파티션의 연결장치
KR20120006433U (ko) 가변형 선반
KR101702265B1 (ko) 다용도 선반
RU116028U1 (ru) Металлический профиль для стеллажных стоек и стеллажная стойка из него
KR200268616Y1 (ko) 장식장 연결부재
KR200443226Y1 (ko) 상품진열이 가능한 조립식 파티션
KR20130006817U (ko) 수납용 조립선반
KR200340568Y1 (ko) 가구용 기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