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340U - 파티션 받침대 - Google Patents

파티션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340U
KR20160002340U KR2020140009581U KR20140009581U KR20160002340U KR 20160002340 U KR20160002340 U KR 20160002340U KR 2020140009581 U KR2020140009581 U KR 2020140009581U KR 20140009581 U KR20140009581 U KR 20140009581U KR 20160002340 U KR20160002340 U KR 201600023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edestal
support
pair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덕회
Original Assignee
정덕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덕회 filed Critical 정덕회
Priority to KR2020140009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340U/ko
Publication of KR20160002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0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04B2/822Elastic connections, e.g. inflat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티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파티션을 지지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수평좌우로 이동 및 고정되는 한 쌍의 로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티션 두께에 따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파티션을 아주 용이하게 설치 및 해제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파티션의 두께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여 완전히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파티션이 넘어짐으로 발생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티션 받침대{The support for partition}
본 고안은 파티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사무실 등의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각 부서의 공간을 간접적으로 차단하여 구성원의 업무집중력을 향상할 수 있는 파티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은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사용되기 위해 수직상 설치하여 실내공간을 구획함으로, 사무실 내에서의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고 각 부서의 공간을 외부와 간접적으로 차단하여 구성원의 업무집중력을 향상하거나 또는 창조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독립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사무용 가구에 있어 파티션이 보편화되어 있어 파티션은 단순한 칸막이 역할을 떠나 고객이 원하는 아늑한 나만의 전용공간을 연출하여 기업의 이미지나 개개인의 업무능률을 향상시켜 줄뿐만 아니라 방음효과로 사생활을 보호하고 미려한 디자인으로 화이트칼라 계층에게 항상 새로운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쾌적함을 주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파티션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일반 파티션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고 높이 및 두께에 따라 설계되는데, 파티션의 높이는 업무특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면 되고, 두께가 넓을수록 안정감이 뛰어나며 블록 파티션은 일반 파티션의 단조로움을 덜고 구성원의 디자인 감각이나 업무효율을 증대하고자 할때 사용하는 파티션으로서 블록의 수와 각 블록의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파티션은 높이와 넓이에 따라 일에 대한 집중력과 구성원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사무자동화와 더불어 컴퓨터 등 다양한 첨단 기기의 사용에 따라 복잡한 각종 전선을 파티션 내부의 닥트를 통해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고, 레이아웃 변경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등 다용도로 실용성 있게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파티션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부서의 공간을 간접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파티션(1)와, 상기 파티션(1)를 지지하는 받침대(2)로 구성된다.
그러나, 파티션(1) 하단에 받침대(2)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파티션(1) 하단에 받침대(2)의 고정부(3)를 밀착시킨 다음, 볼트(4)를 사용하여 파티션(1) 일면을 관통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파티션(1)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고, 파티션(1)의 두께에 따라, 각각 받침대(2)의 고정부(3)를 제작해야함으로, 많은 자재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455707 "이동식 칸막이 구조"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파티션을 매우 용이하게 설치함은 물론, 파티션의 두께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여, 완전히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는 파티션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티션을 지지하는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상부에 수평좌우로 이동 및 고정되는 한 쌍의 로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 하부로 다수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는 안내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직교되어 연결형성된 가압부와, 상기 안내공을 관통하여 한 쌍의 로드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공은 제1안내공과, 상기 제1안내공 일측으로 배열형성되는 제2안내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티션 두께에 따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파티션을 아주 용이하게 설치 및 해제할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파티션의 두께에 따라 알맞게 조절하여 완전히 고정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외력에 의해 파티션이 넘어짐으로 발생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티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파티션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받침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파티션을 받침대에 설치하는 과정 1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파티션을 받침대에 설치하는 과정 2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파티션(1)을 지지하는 받침대(10)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 상부에 수평좌우로 이동 및 고정되는 한 쌍의 로드부재(30)로 구성된다.
그럼,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 및 작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파티션(1), 지지대(20)와 한 쌍의 로드부재(30)를 포함하는 받침대(10)로 구성된다.
상기 파티션(1)은 칸막이, 가구, 커튼, 스크린 등으로 실내를 막는 것으로서, 재질에 따라 크게, 플라스틱에 천이 씌워진 기본 파티션과. 알루미늄으로 된 사무용파티션과, 나무 재질의 우드 파티션으로 나눠지며, 높이는 120cm ~ 180cm, 두께는 5cm 이하로 제작된다.
상기 지지대(20)는 플라스틱이나 철판재질로, 파티션(1)에 대해 직교되는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저면에는 바닥에 밀착하여 파티션(1)을 고정하는 고무재질의 고정구(40)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30)는 철판 재질로, 지지대(20) 상부에 밀착되며, 장공형태의 안내공(31a)이 형성된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압부(32) 및 상기 안내공(31a)을 관통하여 지지대(20) 상부에 볼트방식으로 설치되는 고정부재(33)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31)에 형성되는 안내공(31a)은 상부로 장공 형태로 형성된 제1안내공(31a-1)과, 상기 제1안내공(31a-1) 일측으로 제2안내공(31a-2)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30)가 상호 대응하여 수평좌우로 이동작용하는데 있어서,
지지대(20) 상면에, 고정부재(33)를 사용하여 한 쌍의 로드부재(30)를 설치하되,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30)가 수평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부재(33)를 완전히 조이지 않은 상태로 설치하여, 파티션(1)의 두께에 따라 한 쌍의 로드부재(30) 사이 거리를 좁히거나 벌려 알맞게 조절하여 파티션(1) 측면에 밀착시킨 다음, 고정부재(33)를 완전히 조임으로, 한 쌍의 로드부재(30)가 파티션(1) 측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파티션(1)을 고정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받침대(10)에 파티션(1)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티션(1)을 받침대(10)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먼저, 파티션(1)을 하단부를 한 쌍의 로드부재(30)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30)를 각각 슬라이딩 이동하여 파티션(1) 하단 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압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각각의 고정부재(33)를 회전시켜 한 쌍의 로드부재(30) 저면이 지지대(20)의 상면에 완전히 밀착고정하여 파티션(1)을 고정한다.
이와는 반대로,
파티션(1)을 받침대(10)에서 해체하는데 있어서,
가압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각각 고정부재(33)를 회전하여, 각각 지지대(20) 상부에 밀착고정되었던 한 쌍의 로드부재(30)를 해제한 다음, 한 쌍의 로드부재(30) 수평좌우로 이동시킨 후, 파티션(1)을 해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파티션
10: 받침대
20: 지지대
30: 한 쌍의 로드부재
31: 지지부
31a: 안내공
31a-1,31a-2: 제1안내공,제2안내공
32: 가압부
33: 고정부재

Claims (4)

  1. 파티션(1)을 지지하는 파티션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 상부에 수평좌우로 이동 및 고정되는 한 쌍의 로드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 하부로 다수개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고정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로드부재(30)는 안내공(31a)이 형성된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에 직교되어 연결형성된 가압부(32)와, 상기 안내공(31a)을 관통하여 한 쌍의 로드부재(3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받침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공(31a)은 제1안내공(31a-1)과, 상기 제1안내공(31a-1) 일측으로 배열형성되는 제2안내공(31a-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받침대.
KR2020140009581U 2014-12-26 2014-12-26 파티션 받침대 KR201600023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581U KR20160002340U (ko) 2014-12-26 2014-12-26 파티션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9581U KR20160002340U (ko) 2014-12-26 2014-12-26 파티션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40U true KR20160002340U (ko) 2016-07-06

Family

ID=5649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581U KR20160002340U (ko) 2014-12-26 2014-12-26 파티션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34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949A (ko) 2021-04-12 2022-10-19 임현옥 파티션 받침대
KR102653170B1 (ko) 2023-12-22 2024-04-01 문오상 자유로운 수평 높이 조절 및 진동 흡수가 가능한 사무실용 파티션 받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07Y1 (ko) 2011-07-01 2011-09-20 성철규 이동식 칸막이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707Y1 (ko) 2011-07-01 2011-09-20 성철규 이동식 칸막이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949A (ko) 2021-04-12 2022-10-19 임현옥 파티션 받침대
KR102653170B1 (ko) 2023-12-22 2024-04-01 문오상 자유로운 수평 높이 조절 및 진동 흡수가 가능한 사무실용 파티션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2340U (ko) 파티션 받침대
CN102920218B (zh) 用于展示柜的框架结构及其展示柜
CN203041518U (zh) 用于展示柜的框架结构及其展示柜
CN209769468U (zh) 升降桌隔屏
KR101383149B1 (ko) 현장 조립식 실험대
CN210917848U (zh) 一种建筑墙面保护件
CN207837100U (zh) 一种方便走线的四人办公桌
CN205534856U (zh) 一种安装方便的纺织设备底座
CN205432758U (zh) 可调节货架
KR101437478B1 (ko) 파티션과 책상의 고정구
CN102370353A (zh) 折叠式文教板支架
CN205935114U (zh) 箱体组合装配式移动公厕
CN205696598U (zh) 陈列式书架
CN201479724U (zh) 一种鸟笼
RU2009123188A (ru) Предмет мебели типа рабочей поверхности
CN205581724U (zh) 固定装置及电子装置
CN204132829U (zh) 一种大班台
CN104433231A (zh) 一种电脑桌
CN105563382A (zh) 空调柜机面板预装工装
CN205250823U (zh) 一种组合家具
CN202781346U (zh) 沙发用嵌板炮钉安装模具
CN203202543U (zh) 一种支撑挂架
CN214658460U (zh) 一种便于安装的防静电亚花梨地板
CN206245630U (zh) 集成墙饰
CN208625124U (zh) 一种多功能屏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