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468B1 -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리신 독소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 Google Patents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리신 독소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468B1
KR102092468B1 KR1020180108600A KR20180108600A KR102092468B1 KR 102092468 B1 KR102092468 B1 KR 102092468B1 KR 1020180108600 A KR1020180108600 A KR 1020180108600A KR 20180108600 A KR20180108600 A KR 20180108600A KR 102092468 B1 KR102092468 B1 KR 10209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lysine
detection kit
ricin
cel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956A (ko
Inventor
이기은
전정훈
유재연
김연희
황이랑
조병기
지미정
홍설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청: 특허청장, 승계청: 질병관리본부장)
주식회사 한국애보트진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청: 특허청장, 승계청: 질병관리본부장), 주식회사 한국애보트진단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청: 특허청장, 승계청: 질병관리본부장)
Priority to KR102018010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4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10Cell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 C12N5/12Fused cells, e.g. hybridomas
    • C12N5/16Animal cells
    • C12N5/163Animal cells one of the fusion partners being a B or a T lymphoc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61Plant cells or fung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12N2510/02Cells fo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otan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신 독소 특이적인 단일클론 항체, 상기 항체를 생산하는 신규한 세포주 Ricin 2h 20-1 (기탁번호 KCLRF-BP-00425) 또는 Ricin 2k 4-1(기탁번호 KCLRF-BP-00428), 및 이를 이용한 리신 독소의 탐지용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키트는 리신 독소에 대하여 우수한 민감도를 나타내고 다른 병원체 및 방해물질에 대하여 교차반응을 나타내지 않는다.

Description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리신 독소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Ricin toxin diagnostic detection kit using rapid immunochromatography, its specific antibody and antibody-producing cell lines}
본 발명은 리신 독소의 인지항체, 상기 항체를 생산하는 신규한 세포주 Ricin 2h 20-1 (기탁번호 KCLRF-BP-00425) 또는 Ricin 2k 4-1(기탁번호 KCLRF-BP-00428), 및 상기 항체를 포함하고 민감도와 특이도가 개선된 리신 독소 탐지용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키트에 관한 것이다.
피마자씨(castor seed)로부터 얻어지는 피마자유는 나일론, 페인트, 윤활유, 플라스틱 및 화장품 생산에 사용되는 유일한 무독성 원료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것은 기름 속에 포함된 지방 성분이 불포화 지방산이어서 실온에서 녹지 않기 때문이다. 피마자씨로부터 짜낸 기름에는 아무 독성이 없지만, 기름을 짜낸 후의 찌꺼기로 만든 가루 속에는 여러 유독 성분이 남아있다. 이 유독 성분의 하나인 리신(Ricin)은 열에 약하지만 쥐에서의 LD50이 5μg/kg일 정도로 맹독성이다. 리신은 피마자씨 뿐만 아니라 많은 식물의 잎, 뿌리, 구근 등과 특히 콩과식물의 종자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적혈구를 응집하는 피토헤마글루티닌 (Phytohemagglutinin; PHA) 중의 하나이다.
리신은 A 사슬과 B 사슬이 Disulfide bond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이중 A 사슬은 세포내에서 60S ribosomal subunit의 활성을 저해시켜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여 세포독성을 유발한다. B 사슬은 독성을 나타내는 부위가 없고 세포 표면에 결합하여 A 사슬의 세포내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억 파운드의 피마자유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인도, 중국 및 브라질이 주요 공급원이다. 미국은 이러한 피마자유의 10% 이상을 사용하고 있으나 안전성 차원에서 그 생산량은 아주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매년 피마자씨의 수확, 가공 과정에서 생성된 리신 독소로 인한 사고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리신은 매우 낮은 용량에서도 치명적이기 때문에,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 Class B로 분류하였으며, 음식물이나 음용수에 첨가될 수도 있고 심지어 에어로졸 형태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체내에서 신속하게 분해되어서 흔적을 추적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임상 증상은 노출 방법, 노출 시간, 노출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입으로 섭취시에는 속이 쓰리고 매스꺼우며, 구토, 설사, 복통이 동반되기도 하고, 심하면 소화기 출혈 및 간, 비장, 신장의 괴사가 일어나서 사망에 이르게 된다. 근육에 주입하면 통증과 함께 근육과 임파계는 물론 내부 장기의 괴사를 유발할 수 있다. 호흡기로 흡입시에는 호흡 부전에 이르기도 하며, 신체 내 혈액 응고와 간을 비롯한 장기의 손상을 가져오기도 한다.
리신의 위험성은 탄저병에 버금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4000㎏의 리신은 1킬로그램의 탄저균과 상응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리신은 코브라 독사의 독보다 독성이 2배 강해, 0.001g만 인체에 투여되어도 매우 치명적인 천연 독극물이지만, 아직까지 해독제는 없다.
따라서 리신 독소에 의한 생물테러 의심상황 발생 시 현장에서 신속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은 테러상황 유무를 신속하게 판단하고 대응정책 결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자는 리신 독소의 현장 검출을 위한 면역크로마토그래피 기술 기반 신속 탐지키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생물테러 의심상황 등에서 신속한 대응을 위해, 리신 독소 현장 검출을 위한 리신 독소 탐지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리신 독소의 인지항체, 상기 항체를 생산하는 신규한 세포주 Ricin 2h 20-1 (기탁번호 KCLRF-BP-00425) 또는 Ricin 2k 4-1(기탁번호 KCLRF-BP-00428), 및 이를 이용한 리신 독소 탐지용 면역 크로마토그래피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리신 독소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상기 단일클론 항체는 기탁번호 KCLRF-BP-00425로 기탁된 세포주 Ricin 2h 20-1 또는 기탁번호 KCLRF-BP-00428로 기탁된 세포주 Ricin 2k 4-1에 의하여 생성되고, 리신 독소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탁번호 KCLRF-BP-00425로 기탁된 세포주 Ricin 2h 20-1 또는 기탁번호 KCLRF-BP-00428로 기탁된 세포주 Ricin 2k 4-1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i) 피마자씨로부터 리신 독소를 정제하여 항원을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항원을 마우스에게 주입하여 면역을 진행한 후 마우스의 비장을 획득하는 단계; (iii) 상기 비장에서 수득한 B림프구와 미엘로마(Myeloma) 세포를 융합하는 단계; 및 (iv) 상기에서 수득된 세포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세포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단일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리신 독소 탐지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키트에서 단일클론 항체는 나이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에 코팅되거나 컨쥬게이트 패드에 컨쥬게이트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검체패드, 흡습패드 및 컨쥬게이트 패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리신 독소 탐지키트에 사용되는 항체보다 감도와 특이도가 우수한 항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리신 독소를 탐지 및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항체를 이용한 탐지키트는 종래의 제품과 비교하여 월등하게 우수한 민감도를 가지며, 타 병원체 및 독소 등에 대한 교차반응이 없어 매우 우수한 특이도를 갖는다.
도 1은 기존 상용화된 탐지키트(제품명: 생물테러 병원체 및 독소 다중 탐지키트 9, 제조사: 주식회사 에스디)와 본 발명의 신규 항체를 적용한 탐지 키트의 감도를 비교평가한 결과이다.
도 2는 특이도 평가를 위하여 균체 및 독소 9종에 대한 교차반응 유무를 비교 평가한 결과이다.
도 3은 탐지키트가 방해물질에 대한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시험한 결과이다.
도 4는 탐지키트의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항목별 20회의 감도 및 특이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 등이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항체(antibody)"란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이며, 본 발명의 목적상 리신 독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재조합 벡터"란 적당한 숙주세포에서 목적 유전자를 발현할 수 있는 벡터로서,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작제물을 말한다. 재조합 벡터와의 작동적 연결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부위-특이적 DNA 절단 및 연결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효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스미드 벡터, 박테리오파아지 벡터 및 바이러스 벡터 등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미드 벡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발현벡터는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개시코돈, 종결코돈,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및 인핸서와 같은 발현조절 요소 외에도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시그널 서열 또는 리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벡터의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일 수 있다. 또한 발현벡터는 벡터를 함유하는 숙주 세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마커를 포함하고, 복제 가능한 발현벡터인 경우 복제 기원을 포함한다.
구체적 태양에서,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LRF-BP-00425 또는 기탁번호 KCLRF-BP-00428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 의해 생산되는, 리신 독소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 항체에 관한 것이다.
기탁번호 KCLRF-BP-00425 또는 기탁번호 KCLRF-BP-00428의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에서 생산되는 항체는 기존의 리신독소 검출키트에 사용된 항체보다 항원에 대한 친화도가 높은 신규한 항체이다.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는 표준 기술에 따라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다. 상기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가 생산하는 단일클론 항체는 정제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고순도로 정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항체를 포함하는 리신 독소 탐지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항체를 포함하는 키트를 이용하여 생물테러 의심상황에서 리신 독소 현장 검출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탐지키트에는 본 발명의 단일클론 항체뿐만 아니라 면역학적 분석에 사용되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구, 시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도구 및 시약은 적합한 담체, 검출 가능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표지 물질, 용해제, 세정제, 완충제 및 안정화제 등을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합한 담체로는, 가용성 담체, 예를 들어 당해 분야에 공지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액, 예를 들어 PBS, 불용성 담체, 예를 들어 폴리스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 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불소 수지, 가교 덱스트란, 폴리사카라이드, 라텍스에 금속을 도금한 자성 미립자와 같은 고분자, 기타 종이, 유리, 금속, 아가로스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항원-항체 복합체 형성은 조직면역 염색, 방사능면역분석법(RIA), 효소면역분석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웨스턴 블럿팅(Western Blotting), 면역침전 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면역확산 분석법 (Immunodiffus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FACS 및 단백질 칩(protein chip)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항원-항체 복합체의 형성을 정성 또는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라벨에는 효소, 형광물, 리간드, 발광물, 미소입자(microparticle), 레독스 분자 및 방사선 동위원소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검출 라벨로 이용가능한 효소는 β-글루쿠로니다제, β-D-글루코시다제, β-D-갈락토시다제, 우레아제, 퍼옥시다아제,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글루코즈 옥시다제, 헥소키나제와 GDPase, RNase, 글루코즈 옥시다제와 루시퍼라제, 포스포 프럭토키나제, 포스포에놀피루베이트 카복실라제,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트랜스페라제, 포스페놀피루베이트, 데카복실라제, β-라타마제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형광물은 플루오레신,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로다민, 피코에리테린, 피코시아닌, 알로피코시아닌, o-프탈데히드, 플루오레스카민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리간드는 바이오틴 유도체 등을 포함하고, 발광물은 아크리디늄 에스테르, 루시페린, 루시퍼라제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미소입자는 콜로이드 금, 착색된 라텍스 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키트에서, 상기 단일클론 항체는 통상의 탐지키트의 재료로 사용되는 멤브레인에 코팅된 것일 수 있으며, 멤브레인은 나이트로 셀룰로스, 셀룰로우즈, 셀룰로우즈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등의 각종 합성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쥬게이트 패드는 리신 단일클론 항체와 색을 발하는 입자가 접합된 컨쥬게이트를 포함한 패드를 의미한다. 멤브레인에 코팅된 리신 항체, 리신 항원 및 컨쥬게이트 패드의 리신 항체가 반응할 때 발색이 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자는, 멤브레인 종류별(제조사별, pore size 별) 및 검사선용 항체 농도별 시험을 실시하여 감도 및 특이도가 높은 멤브레인 및 항체 농도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품 키트는 나이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에 검사선과 대조선 위치 부위에 항원 특이적 단일클론 항체 및 대조선용 항체를 각각 코팅하였다.
본 발명은 검체 패드 시험을 통해 소, 마우스 혈청과 같은 동물 혈청 처리를 통해 비특이 반응을 제거하며 BSA, Casein등과 같은 안정제 등으로 전처리하여 선별 조건에 최적화된 패드 조성을 선별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피자마씨로부터 리신 독소 항원 준비
리신 정제를 위한 피마자씨의 정제를 위하여 믹서기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피마자씨는 3배 부피의 에테르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2시간 후 2500rpm,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의 지질층을 제거하였다. 원심분리로 생성된 pellet에 PBS를 50㎖ 넣어 재부유시키고, 0.6 부피의 황산 암모늄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시간 후 25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pellet을 적정량의 PBS에 재부유하고 키트로 역가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10-5 희석액까지 역가가 확인되었으며 이를 affinity 정제에 이용하였다.
분리된 리신 독소는 면역원의 순도를 높이기 위하여 affinity gel 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다. CNBr-activated sepharose 4B gel에 자 Anti-ricin mAb를 gel coupling하여 상기 gel을 affinity gel chromatography에 사용하였다. 정제된 리신 독소은 BCA로 정량하고, 면역원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단일클론 항체 제조
1. 면역 및 세포 융합
단일클론 항체 제조를 위해 피마자씨 리신 독소 항원을 Freund's adjuvant로 emulsion을 만든 후 마우스에 면역하였다. 마우스 면역량은 리신 5~10㎍/dose의 농도로 1~2주 간격으로 4~8회 복강면역을 진행하였고, 세포 융합 1~3일 전에 항원을 미정맥으로 접종하였다.
세포 융합 하루 전에 미정맥으로 전채혈을 실시하여 단일클론 항체의 ELISA 검사시 사용하였다. 세포 융합에 사용할 비장은 무균조건 하에서 채취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PEG 1500 시약)을 이용하여, 미엘로마(myeloma) 세포와의 세포 융합을 유도한 후 HAT 배지 및 HT 배지에서 세포 배양하였다.
2. 스크리닝, 복수생산 및 항체 정제
96 well에 배양된 융합 세포는 ELISA에 의한 1차 및 2차 스크리닝을 통하여 교차반응이 없는 양성 클론을 선별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세포주를 2018.04.17. 자로 한국세포주은행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LRF-BP-00425 및 기탁번호 KCLRF-BP-00428). 이들 세포주를 마우스 복강 접종하여 복수 생산을 하였다. 복강 접종 10~20일 후 복강 내 복수가 생산되면 마우스 당 약 2~4㎖의 복수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복수는 원심분리로 혈구 및 피브린 등을 제거하고 이를 정제에 사용하였다. 마우스 복수 정제는 Protein G chromatography gel을 이용하여 protein G에 특이적인 항체인 마우스 IgG를 정제하였다. 마우스 IgM은 특이적인 gel affinity chromatography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투석 및 DEAE gel 정제 방법으로 IgM을 정제하여 제제화에 사용하였다. 정제된 단일클론 항체 후보군은 골드(gold)를 이용한 스크리닝으로 선별하였다.
[실시예 3] - 리신독소 탐지키트의 제조
나이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의 검사선과 대조선 위치에 선별된 항원 특이적 항체 및 대조선용 항체를 각각 코팅하였다. 선별된 항체를 접합한 금접합체를 패드에 분주하여 건조한 후 절단하여 컨쥬게이트 패드를 제조하였다.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카드에 멤브레인, 컨쥬게이트 패드, 검체패드, 흡습패드, 및 컨쥬게이트 패드를 부착하여 키트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 감도(검출한계) 시험
리신 독소의 검출 한계를 시험하기 위하여, 리신 독소의 농도를 희석하면서 감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존 상용화된 SD 탐지키트(제품명: 생물테러 병원체 및 독소 다중 탐지키트 9, 제조사: 주식회사 에스디)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탐지키트의 감도 비교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10회 반복 시험한 결과 검출한계가 1.5 ng/ml로 측정되어, 기존 제품 12.5 ng/ml 대비 감도가 8배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 특이도 시험 1
특이도 평가를 위하여 리신, 브루셀라 등 균주 및 독소 9종에 대한 교차 반응(cross reactivity)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항목 농도 리신검출키트 반응
1 검체 희석액 N/A 음성
2 페스트균 1X108cfu/ml 음성
3 리신 10uf/ml 양성
4 보툴리늄 독소A 200ng/ml 음성
5 야토균 1X108cfu/ml 음성
6 콜레라균 O139 1X108cfu/ml 음성
7 콜레라균 O1 1X108cfu/ml 음성
8 유비저균 1X108cfu/ml 음성
9 브루셀라균 1X108cfu/ml 음성
10 SEB 100ug/ml 음성
상기 표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검체와의 교차 반응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 특이도 시험 2
상기 시험예 2의 9종의 균주 및 독소 이외의 다른 균주 및 독소와의 교차반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 2에 개시된 27종의 균주(>1x108 cfu/ml) 또는 독소물질(>100ng/ml)과의 교차반응 시험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차반응 시험 균주 및 물질 27종에 대하여 교차반응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8090407306-pat00001
[시험예 4] - 방해물질 시험
소혈청, 사람 혈청, 설탕, 밀가루, 집먼지 등과 같은 탐지 키트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예상 저해(방해)물질을 선정하여 특이도 테스트를 진행하여, 방해물질의 영향 유무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항목 검출결과
방해물질 50ng/ml 6ng/ml
소 혈청(NCS 1%) 음성 양성 양성
사람 혈청(NHS 5배 희석) 음성 양성 양성
소 알부민 (BSA 1%) 음성 양성 양성
설탕 (Sucrose 10%) 음성 양성 양성
애기분 (Skim milk 10%) 음성 양성 양성
베이킹파우더(포화부유액) 음성 양성 양성
밀가루(포화부유액) 음성 양성 양성
세제(포화부유액) 음성 양성 양성
집먼지(포화부유액) 음성 양성 양성
토양(포화부유액) 음성 양성 양성
상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종의 방해물질로부터 방해 작용을 받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3).
[시험예 5] - 재현성 시험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탐지키트가 재현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총 20회의 감도 및 특이도 시험을 진행하였다. 감도 시험을 위해서는 양성 검출 한계 농도에서, 특이도 시험을 위해서는 검체희석액을 음성검체로 하여 실험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으며, 모두 재현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6] - 가속 안정성 시험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탐지키트의 유효기간 설정을 위해, 스트립을 55℃, 7주간 보관한 후 1주차 간격으로 꺼내 실온 보관한 스트립과의 감도 및 특이도 비교시험을 실시하였다.
감도 시험을 위해서는 양성 검출 한계 농도에서, 특이도 시험을 위해서는 검체희석액을 음성 검체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7주간의 가속 안정성 시험 이후에도 감도와 특이도 모두 이상 없음을 확인하였다.
기탁기관명 : 한국세포주연구재단
수탁번호 : KCLRFBP00425
수탁일자 : 20180417
기탁기관명 : 한국세포주연구재단
수탁번호 : KCLRFBP00428
수탁일자 : 20180417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기탁번호 KCLRF-BP-00425로 기탁된 세포주 Ricin 2h 20-1 또는 기탁번호 KCLRF-BP-00428로 기탁된 세포주 Ricin 2k 4-1에 의하여 생성되고, 리신독소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클론 항체.
  4. 기탁번호 KCLRF-BP-00425로 기탁된 세포주 Ricin 2h 20-1 또는 기탁번호 KCLRF-BP-00428로 기탁된 세포주 Ricin 2k 4-1.
  5. 제4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주:
    (i) 피마자씨로부터 리신 독소를 정제하여 항원을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항원을 마우스에게 주입하여 면역을 진행한 후 마우스의 비장을 획득하는 단계;
    (iii) 상기 비장에서 수득한 B 림프구와 미엘로마(Myeloma) 세포를 융합하는 단계; 및
    (iv) 상기에서 융합된 세포를 선별하는 단계.
  6. 제3항의 단일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리신 독소의 탐지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클론 항체는 나이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에 코팅되거나 컨쥬게이트 패드에 컨쥬게이트 원료로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신 독소의 탐지키트.
  8. 제6항에 있어서, 검체패드, 흡습패드 및 컨쥬게이트 패드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신 독소의 탐지키트.
KR1020180108600A 2018-09-11 2018-09-11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리신 독소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KR10209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00A KR102092468B1 (ko) 2018-09-11 2018-09-11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리신 독소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00A KR102092468B1 (ko) 2018-09-11 2018-09-11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리신 독소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956A KR20200029956A (ko) 2020-03-19
KR102092468B1 true KR102092468B1 (ko) 2020-04-23

Family

ID=6995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600A KR102092468B1 (ko) 2018-09-11 2018-09-11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리신 독소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4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286B1 (ko) * 2004-04-14 2006-06-26 (주)에니젠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에 의한 개 디스템퍼 바이러스 항체 진단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956A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1907B1 (en) Method of detecting allergen
KR101782862B1 (ko) 메르스바이러스 진단용 단세포군 항체 및 면역크로마토그래피 진단키트
KR20080040942A (ko)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항원 진단키트 및 진단 방법
KR102092468B1 (ko)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리신 독소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EP3988564A1 (en) Leptin immunogen, hybridoma cell, monoclonal antibody, polyclonal antibody and use thereof
KR102124258B1 (ko)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황색 포도알균 장독소 b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KR20120132227A (ko) 다중 타입 구제역 바이러스 검출용 단일클론 항체 및 이를 이용한 구제역 바이러스 검출방법
KR100957675B1 (ko) 폐흡충 특이 항원의 생산을 위한 단클론 항체 및 폐흡충증신속 진단 키트
CN108342397A (zh) 检测sa肠毒素sei的试剂及制备方法和试剂盒
KR102092465B1 (ko)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탄저균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KR102092466B1 (ko)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페스트균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JP2007527523A (ja) 飼料用酵素を検出するための試薬、方法、及びキット
KR102092467B1 (ko)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보툴리눔 독소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KR101806522B1 (ko) 병원성 대장균에 특이적인 신규한 단클론 항체, 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이를 포함하는 검출용 조성물, 검출 방법 및 검출 키트
KR102149249B1 (ko)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야토균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KR102124260B1 (ko)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콜레라균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KR101793267B1 (ko) 소 류코시스 진단용 래피드 키트
JP2014066641A (ja) 大腸菌o157の検出方法
KR102264146B1 (ko) 락토코커스 가비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락토코커스 가비에 검출용 조성물
KR102124259B1 (ko)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브루셀라균 진단·탐지 키트 및 이를 위한 특이항체와 항체생산세포주
TWI532838B (zh) 蓖麻子毒素融合瘤細胞株、其單株抗體、及包含該單株抗體的免疫檢測試劑及套組
KR102163241B1 (ko) 돌돔의 면역글로불린 m에 특이적인 단클론 항체 및 이의 용도
CN117169499B (zh) 一种盖他病毒的双抗体夹心elisa检测试剂盒以及应用
CN109884310A (zh) 肠道菌外膜多肽、抗体捕获器件及试剂盒
US6936423B1 (en) Anti-LTNF for in vitro assay of biological tox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