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436B1 -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436B1
KR102092436B1 KR1020157030485A KR20157030485A KR102092436B1 KR 102092436 B1 KR102092436 B1 KR 102092436B1 KR 1020157030485 A KR1020157030485 A KR 1020157030485A KR 20157030485 A KR20157030485 A KR 20157030485A KR 102092436 B1 KR102092436 B1 KR 102092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water level
pip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823A (ko
Inventor
요시노리 오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5013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1Level gauges for beverage storage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07Filters for g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비용이 낮고, 위생면에서 우수한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냉수 탱크(2)와, 냉수 탱크(2)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제1 수위 센서(3)와, 제1 수위 센서(3)로 검지되는 수위가 저하하였을 때에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냉수 탱크 급수관(4)과, 버퍼 탱크(6)와, 버퍼 탱크(6)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제2 수위 센서(7)와, 제2 수위 센서(7)로 검지되는 수위가 저하하였을 때에 버퍼 탱크(6)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버퍼 탱크 급수관(8)과, 냉수 탱크(2)를 대기압으로 유지하도록 냉수 탱크(2)에 마련된 대기 연통로(27)와, 냉수 탱크(2)의 공기층과 버퍼 탱크(6)의 공기층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기관(36)과,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이상 수위에 달한 것을 검지하는 이상 수위 센서(34)를 갖는 구성을 워터 서버에 채용한다.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SERVER}
본 발명은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충전한 교환식의 원수 용기로부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의 관심의 고조로 인해,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 서버로서, 교환식의 원수 용기를 케이스 상면에 셋트하고, 그 원수 용기에 충전된 음료수를, 케이스 내에 수용한 냉수 탱크에 중력 낙하시키도록 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워터 서버는, 원수 용기가 케이스 상면에 셋트되어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를 교환할 때에,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를 높게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는, 통상 10리터∼12리터 정도의 음료수가 수용되어 있어, 10 ㎏ 이상의 중량이 있기 때문에, 워터 서버의 사용자(특히 여성이나 고령자 등)에게 있어서, 원수 용기의 교환 작업은 큰일이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원수 용기의 교환 작업을 편안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케이스 하부에 원수 용기를 셋트하는 타입의 워터 서버를 검토하였다.
이 워터 서버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저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61)와,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고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온수 탱크(62)와, 온수 탱크(62)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압출하기 위한 음료수를 수용하는 버퍼 탱크(63)를 갖는다. 냉수 탱크(61)와 버퍼 탱크(63)는, 모두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에 수용하고 있다. 또한, 냉수 탱크(61)와 버퍼 탱크(63)에는, 각각의 탱크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제1 수위 센서(64), 제2 수위 센서(6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냉수 탱크(61)에는, 냉수 탱크(61)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대기 연통용의 개구(66)가 형성되어 있다. 버퍼 탱크(63)에도, 버퍼 탱크(63)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하기 위해, 대기 연통용의 개구(6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66, 67)에는, 도시하지 않는 에어 필터가 부착된다.
냉수 탱크(61) 내의 저온의 음료수는, 냉수 코크(68)의 조작에 의해, 냉수 탱크(61)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냉수 배출관(6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냉수 탱크(61)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리고, 제1 수위 센서(64)로 검지되는 수위가 소정 수위를 하회하면, 원수 용기(70)에 접속된 펌프 설치관(71)의 펌프(72)가 작동하여, 냉수 탱크 급수관(73)으로부터 냉수 탱크(61) 내에 음료수가 도입된다.
또한, 온수 탱크(62) 내의 고온의 음료수는, 온수 코크(74)의 조작에 의해, 온수 탱크(62)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온수 배출관(7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버퍼 탱크(63) 내의 음료수가 그 자기 중량에 의해 온수 탱크 급수관(76)을 통하여 온수 탱크(62) 내에 도입되어, 버퍼 탱크(63)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리고, 제2 수위 센서(65)로 검지되는 수위가 소정 수위를 하회하면, 삼방 밸브(three-way valve)(77)가 전환하며 펌프(72)가 작동하여, 버퍼 탱크 급수관(78)으로부터 버퍼 탱크(63) 내에 음료수가 도입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62318호 공보
그런데, 도 11에 나타내는 워터 서버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였을 때, 제1 수위 센서(64), 제2 수위 센서(65)가 동작 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특히, 천연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내추럴 미네랄 워터를 음료수로서 사용한 경우, 음료수에 포함되는 미네랄 성분이 석출하는 것에 기인하여, 제1 수위 센서(64), 제2 수위 센서(65)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때, 냉수 탱크(61) 또는 버퍼 탱크(63)의 탱크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사태가 발생하여, 워터 서버로부터 누수가 일어날 우려가 생긴다.
그래서, 본원의 발명자는, 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이상 수위를 검지하는 이상 수위 센서를 냉수 탱크(61)와 버퍼 탱크(63)의 각각에 마련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즉, 냉수 탱크(61) 내의 이상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를 제1 수위 센서(64)와는 별도로 냉수 탱크(61)에 마련하는 한편, 버퍼 탱크(63) 내의 이상 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를 제2 수위 센서(65)와는 별도로 버퍼 탱크(63)에 마련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수위 센서의 수가 많아져, 워터 서버의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냉수 탱크(61)와 버퍼 탱크(63)의 탱크마다 대기 연통용의 개구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로부터 탱크 내에 잡균이 침입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아져, 위생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비용이 낮고, 위생면에서 우수한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워터 서버에 채용하였다.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에 수용하는 제1 탱크와,
그 제1 탱크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제1 수위 센서와,
그 제1 수위 센서로 검지되는 수위가 저하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제1 급수관과,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에 수용하며, 상기 제1 탱크 내의 수위와는 독립된 수위를 갖도록 제1 탱크와는 별개로 마련된 제2 탱크와,
그 제2 탱크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제2 수위 센서와,
그 제2 수위 센서로 검지되는 수위가 저하하였을 때에 상기 제2 탱크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제2 급수관과,
상기 제1 탱크를 대기압으로 유지하도록 제1 탱크에 마련된 대기 연통로와,
상기 제1 탱크의 공기층과 상기 제2 탱크의 공기층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기관과,
상기 제1 탱크 내의 수위가 이상 수위에 달한 것을 검지하는 이상 수위 센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탱크 내의 수위가 어떠한 이상에 의해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에, 그 이상을 이상 수위 센서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탱크와 제2 탱크가 통기관을 통해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제2 탱크 내의 수위가 어떠한 이상에 의해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에, 제2 탱크로부터 오버 플로우한 음료수가 통기관을 통하여 제1 탱크에 유입하여, 제1 탱크가 수위가 상승한다. 그 때문에, 제2 탱크 내의 수위가 어떠한 이상에 의해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도, 그 이상을 이상 수위 센서로 검지할 수 있다. 즉, 제1 탱크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뿐만 아니라, 제2 탱크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도, 그 이상을 제1 탱크의 이상 수위 센서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단일의 이상 수위 센서로 제1 탱크와 제2 탱크의 양방을 감시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2 탱크에 이상 수위 센서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저비용이다. 또한, 제1 탱크의 공기층과 제2 탱크의 공기층이 통기관을 통해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제2 탱크에 대기 연통로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대기로부터 잡균이 침입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탱크로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저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를 채용하며, 상기 제2 탱크로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고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온수 탱크의 상측에 배치되어,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배출할 때에 온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압출하기 위한 음료수를 수용하는 버퍼 탱크를 채용한 워터 서버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더욱, 이하의 구성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급수관 및 상기 제2 급수관의 상류측에 상부 삼방 밸브를 통해 접속된 펌프 설치관과, 이 펌프 설치관의 상류측에 하부 삼방 밸브를 통해 접속된 원수 용기 접속관 및 순환용 배관과, 상기 원수 용기 접속관에 접속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와, 상기 순환용 배관에 접속된 상기 온수 탱크를 더 가지고,
상기 상부 삼방 밸브는, 상기 펌프 설치관과 상기 제1 급수관 사이를 연통시키며 또한 상기 펌프 설치관과 상기 제2 급수관 사이를 차단하는 제1 접속 위치와, 상기 펌프 설치관과 상기 제1 급수관 사이를 차단하며 또한 상기 펌프 설치관과 상기 제2 급수관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2 접속 위치 간에 유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 삼방 밸브는, 상기 펌프 설치관과 상기 원수 용기 접속관 사이를 연통시키며 또한 상기 펌프 설치관과 상기 순환용 배관 사이를 차단하는 원수측 접속 위치와, 상기 펌프 설치관과 상기 원수 용기 접속관 사이를 차단하며 또한 상기 펌프 설치관과 상기 순환용 배관 사이를 연통시키는 순환측 접속 위치 간에 유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부 삼방 밸브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며 또한 하부 삼방 밸브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전환한 상태로 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버퍼 탱크와 펌프 설치관을 포함하는 순환 경로에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순환시키는 살균 운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살균 운전을 개시하였을 때에, 상부 삼방 밸브 또는 하부 삼방 밸브의 동작 불량에 의해, 냉수 탱크 또는 버퍼 탱크의 탱크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에도, 그 이상을 이상 수위 센서로 검지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어떠한 이상에 의해 제1 탱크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뿐만 아니라, 제2 탱크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도, 그 이상을 제1 탱크의 이상 수위 센서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단일의 이상 수위 센서로 제1 탱크와 제2 탱크의 양방을 감시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2 탱크에 이상 수위 센서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저비용이다. 또한, 제1 탱크의 공기층과 제2 탱크의 공기층이 통기관을 통해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제2 탱크에 대기 연통로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대기로부터 잡균이 침입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워터 서버의 냉수 탱크 및 버퍼 탱크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홀더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용기 홀더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냉수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하여, 냉수 탱크 급수관으로부터 냉수 탱크 내에 음료수가 도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버퍼 탱크 내의 수위가 저하하여, 버퍼 탱크 급수관으로부터 버퍼 탱크 내에 음료수가 도입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워터 서버의 살균 운전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내는 냉수 탱크 내의 제1 수위 센서가 동작 불량을 일으켜, 냉수 탱크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버퍼 탱크 내의 제2 수위 센서가 동작 불량을 일으켜, 버퍼 탱크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나타내는 상부 삼방 밸브가 동작 불량을 일으켜, 냉수 탱크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나타내는 하부 삼방 밸브가 동작 불량을 일으켜, 버퍼 탱크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발명자가 검토한 참고예의 워터 서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나타낸다. 이 워터 서버는, 케이스(1)와, 케이스(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저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2)와, 냉수 탱크(2)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제1 수위 센서(3)와, 제1 수위 센서(3)로 검지되는 수위가 저하하였을 때에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냉수 탱크 급수관(4)과, 케이스(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고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온수 탱크(5)와, 온수 탱크(5)의 상방에 배치된 버퍼 탱크(6)와, 버퍼 탱크(6)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제2 수위 센서(7)와, 제2 수위 센서(7)로 검지되는 수위가 저하하였을 때에 버퍼 탱크(6)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버퍼 탱크 급수관(8)과, 냉수 탱크 급수관(4) 및 버퍼 탱크 급수관(8)의 상류측에 상부 삼방 밸브(9)를 통해 접속된 펌프 설치관(10)과, 펌프 설치관(10)의 상류측에 하부 삼방 밸브(11)를 통해 접속된 원수 용기 접속관(12) 및 순환용 배관(13)과, 원수 용기 접속관(12)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14)를 갖는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14)는, 중공 통형의 몸통부(15)와, 그 몸통부(15)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16)와, 몸통부(15)의 타단에 어깨부(17)를 통해 마련된 목부(18)를 가지고, 이 목부(18)에 수출구(19)가 마련되어 있다. 원수 용기(14)의 몸통부(15)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수 용기(14)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원수 용기(14)의 용량은 만수 상태에서 10리터∼20리터 정도이다.
원수 용기(14)로서, 수출구(19)를 갖는 접속구를 수지 필름제의 주머니에 열 용착 등으로 접착한 것을 마분지 상자 등의 하우징에 수용한 것(소위 백 인 박스)을 채용하여도 좋다.
원수 용기(14)는 용기 홀더(20)로 지지되어 있다. 용기 홀더(20)는, 케이스(1) 내에 원수 용기(14)가 수용되는 수용 위치(도 1의 위치)와, 케이스(1)로부터 원수 용기(14)가 나가는 인출 위치(도 3의 위치) 사이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원수 용기(14)는, 수출구(19)가 수평을 향하는 자세로 용기 홀더(20)에 지지되어 있다.
원수 용기 접속관(12)의 원수 용기(14)측의 단부(12a)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홀더(20)를 인출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14)의 수출구(19)로부터 분리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홀더(20)를 수용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14)의 수출구(19)에 접속하도록 케이스(1) 내에 고정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설치관(10)에는, 펌프 설치관(10) 내의 음료수를 하부 삼방 밸브(11)의 측으로부터 상부 삼방 밸브(9)의 측으로 이송하는 펌프(21)가 마련되어 있다. 펌프(21)로서는, 예컨대 다이어프램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펌프는, 왕복 운동하는 도시하지 않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의 왕복 운동에 의해 용적이 증감하는 펌프실과, 이 펌프실에 마련된 흡입구 및 토출구와, 펌프실 내에 유입하는 방향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흡입구에 마련된 흡입측 체크 밸브와, 펌프실로부터 유출하는 방향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토출구에 마련된 토출측 체크 밸브를 가지고, 다이어프램의 왕동(往動)에 의해 펌프실의 용적이 증가할 때에 흡입구로부터 음료수를 흡입하고, 다이어프램의 복동(復動)에 의해 펌프실의 용적이 감소할 때에 토출구로부터 음료수를 토출하는 것이다.
또한, 펌프(21)로서 기어 펌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어 펌프는, 도시하지 않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 내에 수용된 서로 맞물리는 한쌍의 기어와, 이 한쌍의 기어의 맞물림 부분을 통해 구획된 케이싱 내의 흡입실 및 토출실을 가지고, 각 기어의 이홈과 케이싱의 내면 사이에 갇힌 음료수를 기어의 회전에 의해 흡입실측으로부터 토출실측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펌프 설치관(10)의 펌프(21)의 토출측에는, 유량 센서(22)가 마련되어 있다. 유량 센서(22)는, 펌프(21)의 작동 시에 펌프 설치관(10) 내의 음료수의 흐름이 없어지면, 그 상태를 검지한다. 이때, 케이스(1)의 정면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용기 교환 램프가 점등하여, 원수 용기(14)의 교환 시기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부 삼방 밸브(9)는, 펌프 설치관(10)과 냉수 탱크 급수관(4) 사이를 연통시키며 또한 펌프 설치관(10)과 버퍼 탱크 급수관(8) 사이를 차단하는 냉수측 접속 위치(도 1 참조)와, 펌프 설치관(10)과 냉수 탱크 급수관(4) 사이를 차단하며 또한 펌프 설치관(10)과 버퍼 탱크 급수관(8) 사이를 연통시키는 버퍼측 접속 위치(도 6 참조) 간에 유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삼방 밸브(9)는, 통전함으로써 냉수측 접속 위치로부터 버퍼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고, 통전을 해제함으로써 버퍼측 접속 위치로부터 냉수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는 전자 밸브를 채용하고 있다.
하부 삼방 밸브(11)는, 펌프 설치관(10)과 원수 용기 접속관(12) 사이를 연통시키며 또한 펌프 설치관(10)과 순환용 배관(13) 사이를 차단하는 원수측 접속 위치(도 1 참조)와, 펌프 설치관(10)과 원수 용기 접속관(12) 사이를 차단하며 또한 펌프 설치관(10)과 순환용 배관(13) 사이를 연통시키는 순환측 접속 위치(도 6 참조) 간에 유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 삼방 밸브(11)는, 상부 삼방 밸브(9)와 마찬가지로, 통전함으로써 원수측 접속 위치로부터 순환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고, 통전을 해제함으로써 순환측 접속 위치로부터 원수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는 전자 밸브를 채용하고 있다. 순환용 배관(13)은, 하부 삼방 밸브(11)와 온수 탱크(5)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에 수용하고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소정의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는 냉각 장치(23)가 부착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바닥면에는,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수 배출관(24)이 접속되어 있다. 냉수 배출관(24)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냉수 코크(25)가 마련되고, 이 냉수 코크(25)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2)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음료수의 용량은, 원수 용기(14)의 용량보다 작으며, 1리터∼3리터 정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2)의 상면(2a)에는, 냉수 탱크(2)의 공기층을 공기 살균 챔버(26)를 통해 대기에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27)가 접속되어 있다. 공기 살균 챔버(26)는, 대기 개방구(28)가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29)와, 케이스(29) 내에 마련된 오존 발생체(30)로 이루어진다. 오존 발생체(30)로서는, 예컨대, 공기 중의 산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저압 수은등이나, 절연체로 덮힌 대향 한쌍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부하하여 전극 사이의 산소를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무성 방전 장치(silent discharge de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기 살균 챔버(26)는, 일정 시간마다 오존 발생체(30)에 통전하여 오존을 발생함으로써, 항상, 케이스(29) 내에 오존이 저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대기 연통로(27)는, 냉수 탱크(2) 내의 공기층을 대기에 연통시킴으로써, 냉수 탱크(2)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하고 있다. 즉, 대기 연통로(27)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저하할 때, 그 저하에 따라 대기로부터 공기 살균 챔버(26)를 통해 냉수 탱크(2) 내에 공기를 도입하여, 냉수 탱크(2)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한다. 이때 냉수 탱크(2) 내에 도입되는 공기는, 공기 살균 챔버(26)를 통과하여 오존 살균된 공기이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공기는 청정하게 유지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냉수 탱크(2) 내의 위생을 높이기 위해, 공기를 오존 살균하는 공기 살균 챔버(26)를 갖는 대기 연통로(27)를 채용하고 있지만, 대기 연통로(27)로서, 냉수 탱크(2)의 상면(2a)에 대기 연통용의 개구를 형성하고, 그 개구에 에어 필터를 부착한 것뿐인 간이한 것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수 탱크(2)의 상면(2a)에는, 제1 수위 센서(3)가 부착되어 있다. 제1 수위 센서(3)는, 복수 단계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는 타입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수위 미만인지, 설정 수위 이상인지를 검지하는 2치식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제1 수위 센서(3)로서, 음료수보다 작은 비중을 갖는 플로우트(31)와, 플로우트(31)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스템(32)을 가지고, 플로우트(31)에는 자석을 내장하며, 스템(32)에는 리드 스위치를 내장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제1 수위 센서(3)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의 상하에 연동하여 플로우트(31)가 승강하였을 때에, 플로우트(31) 내의 자석과 스템(32) 내의 리드 스위치의 상대 이동에 의해, 리드 스위치의 ON과 OFF가 전환된다.
냉수 탱크 급수관(4)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는, 냉수 탱크(2)의 상면(2a)에 접속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내부에는, 냉수 탱크 급수관(4)으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도입할 때에, 냉수 탱크(2) 내에 유입하는 연직 방향의 음료수의 흐름을 수평 방향의 흐름으로 바꾸는 안내판(33)이 마련되어 있다. 안내판(33)은, 냉수 탱크(2)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 급수관(4)으로부터 냉수 탱크(2) 내에 유입하는 상온의 음료수로 교반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수 탱크(2)에는, 제1 수위 센서(3)와는 별도로, 이상 수위 센서(34)가 부착되어 있다. 이상 수위 센서(34)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이상 수위에 달하였을 때에 그것을 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이상 수위 센서(34)로서,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이상 수위 미만인지, 이상 수위 이상인지를 검지하는 2치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수위는, 제1 수위 센서(3)의 설정 수위보다 높은 위치[예컨대, 제1 수위 센서(3)의 설정 수위보다 10 ㎜∼20 ㎜ 높은 위치]에 미리 설정된 수위이다. 이상 수위 센서(34)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2)의 상면(2a)에 형성한 센서 수용 오목부(35)에 부착하면, 케이스(1) 내에 차지하는 냉수 탱크(2)의 점유 스페이스를 억제하여, 케이스(1)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기 연통로(27)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이상 수위까지 상승하였을 때에 음료수가 대기 연통로(27)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막기 위해, 센서 수용 오목부(35) 내에 개구하고 있다.
버퍼 탱크(6)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에 수용하고 있다. 이 버퍼 탱크(6)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와는 독립된 수위를 갖도록 냉수 탱크(2)와는 별개로 마련되어 있다. 즉, 버퍼 탱크(6) 내의 음료수층과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층은 연통하고 있지 않아, 버퍼 탱크(6) 내의 수위와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따로따로 변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버퍼 탱크(6)에는, 공기의 유출 및 유입을 허용하는 통기관(36)이 접속되어 있다. 통기관(36)은, 일단이 버퍼 탱크(6)의 상면(6a)에 접속되고, 타단이 냉수 탱크(2)의 상면(2a)에 접속되어 있으며, 버퍼 탱크(6) 내의 공기층과 냉수 탱크(2) 내의 공기층 사이를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통기관(36)은, 버퍼 탱크(6)와 냉수 탱크(2) 사이의 흐름을 허용하고, 그 이외의 유로가 생기지 않도록 기밀성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버퍼 탱크(6) 내의 공기층은, 통기관(36)의 내부와 냉수 탱크(2) 내의 공기층을 순서대로 통해 대기 연통로(27)에 연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저하할 때, 그 수위의 저하에 따라 냉수 탱크(2)로부터 버퍼 탱크(6) 내에 통기관(36)을 통해 공기가 도입되어, 버퍼 탱크(6) 내가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이때, 냉수 탱크(2)로부터 버퍼 탱크(6) 내에 도입된 공기와 동량의 공기가 대기 연통로(27)를 통하여 냉수 탱크(2)에 도입된다.
버퍼 탱크(6)의 상면(6a)에는, 제2 수위 센서(7)가 부착되어 있다. 제2 수위 센서(7)는,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설정 수위 미만인지, 설정 수위 이상인지를 검지하는 2치식의 것이다. 이러한 제2 수위 센서(7)로서, 제1 수위 센서(3)와 같이 음료수보다 작은 비중을 갖는 플로우트(37)와, 플로우트(37)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스템(38)을 가지고, 플로우트(37)에는 자석을 내장하며, 스템(38)에는 리드 스위치를 내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버퍼 탱크 급수관(8)의 버퍼 탱크(6)측의 단부는, 버퍼 탱크(6)의 상면(6a)에 접속되어 있다.
버퍼 탱크(6)의 음료수의 용량은, 온수 탱크(5)의 용량보다 작고, 0.2리터∼0.5리터 정도이다. 버퍼 탱크(6) 내의 음료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수 탱크(5)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배출할 때에 온수 탱크(5)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압출하기 위한 역할을 갖는다. 그 때문에, 버퍼 탱크(6)는, 상하로 가늘고 긴 형상(예컨대, 높이가 직경보다 큰 원통 형상)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버퍼 탱크(6)의 음료수의 용량이 적어도, 버퍼 탱크(6)의 하부에 비교적 높은 수압이 발생하기 때문에, 온수 탱크(5)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압출하는 힘을 효과적으로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퍼 탱크(6)의 바닥면에는, 버퍼 탱크(6)와 온수 탱크(5) 사이를 접속하는 온수 탱크 급수관(39)의 버퍼 탱크(6)측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온수 탱크 급수관(39)의 버퍼 탱크(6)측의 단부에는, 체크 밸브(39a)가 마련되어 있다. 체크 밸브(39a)는, 버퍼 탱크(6)측으로부터 온수 탱크(5)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은 허용하지만, 온수 탱크(5)측으로부터 버퍼 탱크(6)측으로의 음료수의 흐름은 방지하는 것이다. 이 체크 밸브(39a)를 온수 탱크 급수관(39)에 마련함으로써, 온수 탱크(5)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열 대류에 의해 상승하여 버퍼 탱크(6)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온수 탱크(5)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있다.
온수 탱크(5)는, 음료수로 완전히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온수 탱크(5)에는, 온수 탱크(5)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소정의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하는 히터(40)가 부착되어 있다.
온수 탱크(5)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5) 내의 상부에 모인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온수 배출관(41)이 접속되어 있다. 온수 배출관(41)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온수 코크(42)가 마련되고, 이 온수 코크(42)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5)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수 탱크(5)로부터 음료수를 배출하면, 버퍼 탱크(6) 내의 음료수가 그 자기 중량으로 온수 탱크 급수관(39)을 통하여 온수 탱크(5) 내에 도입되어, 온수 탱크(5)는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온수 탱크(5)의 음료수의 용량은 1리터∼2리터 정도이다.
또한, 온수 탱크(5)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5)와 하부 삼방 밸브(11) 사이를 연통시키는 순환용 배관(13)의 온수 탱크(5)측의 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온수 탱크(5)의 바닥면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 연장되는 드레인관(43)이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관(43)의 출구는 플러그(44)로 폐쇄되어 있다. 플러그(44) 대신에 개폐 밸브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 워터 서버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코크(25)를 조작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가 그 자기 중량으로 냉수 배출관(2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리고, 제1 수위 센서(3)가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 미만이 된 것을 검지하면, 상부 삼방 밸브(9)를 냉수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고 또한 하부 삼방 밸브(11)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전환한 상태로, 펌프(21)가 작동한다. 이에 의해, 원수 용기(14) 내에 충전된 음료수가, 원수 용기 접속관(12), 하부 삼방 밸브(11), 펌프 설치관(10), 상부 삼방 밸브(9), 냉수 탱크 급수관(4)을 순서대로 통하여, 냉수 탱크(2)에 유입한다. 그 후, 제1 수위 센서(3)가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으로 된 것을 검지하면, 펌프(21)가 정지한다. 이와 같이, 제1 수위 센서(3)로 검지되는 수위에 따라 펌프(21)를 작동시킴으로써, 냉수 탱크(2) 내의 수위를 일정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으로 된 것을 제1 수위 센서(3)로 검지하였을 때, 즉시에 펌프(21)를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후도 계속해서 소정 시간 펌프(21)를 구동시키고 나서, 펌프(21)를 정지시키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냉수 탱크(2) 내의 수면의 물결침에 의한 채터링 현상[펌프(21)의 기동과 정지가 단시간에 미세하게 반복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위 센서(3)로서, 복수 단계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는 타입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소정의 상한 수위에 달한 것을 제1 수위 센서(3)로 검지하였을 때에, 펌프(21)를 정지시키면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 코크(42)를 조작하면, 온수 탱크(5)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온수 배출관(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버퍼 탱크(6) 내의 음료수가 그 자기 중량에 의해 온수 탱크 급수관(39)을 통하여 온수 탱크(5) 내에 도입된다. 여기서, 버퍼 탱크(6) 내의 음료수는, 온수 탱크(5)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압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버퍼 탱크(6) 내의 음료수가 온수 탱크(5) 내에 도입되면,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내려간다. 그리고, 제2 수위 센서(7)가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 미만이 된 것을 검지하면, 상부 삼방 밸브(9)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고 또한 하부 삼방 밸브(11)를 원수측 접속 위치로 전환한 상태에서, 펌프(21)가 작동한다. 이에 의해, 원수 용기(14) 내에 충전된 음료수가, 원수 용기 접속관(12), 하부 삼방 밸브(11), 펌프 설치관(10), 상부 삼방 밸브(9), 버퍼 탱크 급수관(8)을 순서대로 통하여, 버퍼 탱크(6)에 유입한다. 그 후, 제2 수위 센서(7)가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이 된 것을 검지하면, 펌프(21)가 정지한다. 이와 같이, 제2 수위 센서(7)로 검지되는 수위에 따라 펌프(21)를 작동시킴으로써, 버퍼 탱크(6) 내의 수위를 일정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도,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이 된 것을 제2 수위 센서(7)로 검지하였을 때, 즉시에 펌프(21)를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후도 계속해서 소정 시간 펌프(21)를 구동하고 나서, 펌프(21)를 정지시키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버퍼 탱크(6) 내의 수면의 물결침에 의한 채터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위 센서(7)로서, 복수 단계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는 타입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소정의 상한 수위에 달한 것을 제2 수위 센서(7)로 검지하였을 때에, 펌프(21)를 정지시키면 좋다.
이 워터 서버는, 내부의 위생을 유지하기 위해, 살균 운전을 행할 수 있다. 살균 운전은, 버퍼 탱크(6)와 펌프 설치관(10)을 포함하는 순환 경로(50)에 온수 탱크(5)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순환 경로(50)를 고온 살균하는 운전이다. 이 살균 운전은, 케이스(1)의 정면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개시된다. 다음번 이후의 살균 운전은, 첫회의 살균 운전을 행한 시각부터의 경과 시간을 워터 서버 내장의 타이머로 카운트하여, 1일이 경과할 때마다 자동으로 행한다.
이 살균 운전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상부 삼방 밸브(9)를 버퍼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고 또한 하부 삼방 밸브(11)를 순환측 접속 위치로 전환한다. 다음에, 펌프(21)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온수 탱크(5)의 고온의 음료수가, 순환용 배관(13), 하부 삼방 밸브(11), 펌프 설치관(10), 상부 삼방 밸브(9), 버퍼 탱크 급수관(8), 버퍼 탱크(6), 온수 탱크 급수관(39)을 순서대로 통하여 순환한다. 이때, 온수 탱크(5)의 히터(40)는, 온수 탱크(5)를 통과하는 음료수를 가열함으로써, 순환 경로(50)[여기서는 온수 탱크(5), 순환용 배관(13), 하부 삼방 밸브(11), 펌프 설치관(10), 상부 삼방 밸브(9), 버퍼 탱크 급수관(8), 버퍼 탱크(6), 온수 탱크 급수관(39)으로 이루어지는 유로]를 순환하는 음료수의 온도를 전체로서 살균 온도(예컨대 80℃)까지 상승시킨다.
상기 살균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 고온의 음료수는 냉수 탱크(2)를 통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살균 운전 시에 고온의 음료수가 냉수 탱크(2)를 통하도록 하면, 살균 운전 시에 냉수 코크(25)를 조작하였을 때에, 냉수 코크(25)로부터 고온의 음료수가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이에 대하여, 이 워터 서버에서는, 살균 운전 시의 순환 경로(50)가 냉수 탱크(2)를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살균 운전 시에도, 사용자는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배출 가능하여, 화상의 우려가 없다.
그런데, 상기 워터 서버는,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였을 때에, 제1 수위 센서(3), 제2 수위 센서(7), 상부 삼방 밸브(9), 하부 삼방 밸브(11) 등이 동작 불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특히, 천연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내추럴 미네랄 워터를 음료수로서 사용한 경우, 음료수에 포함되는 미네랄 성분이 석출하는 것에 기인하여, 제1 수위 센서(3)의 플로우트(31) 혹은 제2 수위 센서(7)의 플로우트(37)가 움직이기 어려워지거나, 상부 삼방 밸브(9) 혹은 하부 삼방 밸브(11)를 전환하기 어려워지거나 하는 이상이 상정된다. 이러한 이상이 생겼을 때에, 그 이상 발생을 검지할 수 없으면, 냉수 탱크(2) 또는 버퍼 탱크(6)의 탱크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하는 사태가 발생하여, 워터 서버로부터 누수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워터 서버에서는, 제1 수위 센서(3), 제2 수위 센서(7), 상부 삼방 밸브(9), 하부 삼방 밸브(11) 등의 동작 불량이 일어났을 때는, 이상 수위 센서(34)로 이상을 검지하여, 펌프(21)를 정지하며, 케이스(1) 정면에 배치한 램프(도시하지 않음)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이상을 알리도록 하고 있다. 이하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수위 센서(3)에 동작 불량이 생겨, 냉수 탱크(2)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펌프(21)가 작동하고 있는데, 제1 수위 센서(3)의 플로우트(31)가 상승하지 않는 케이스를 상정한다. 이때, 제1 수위 센서(3)가 냉수 탱크(2) 내의 수위 상승을 검지하지 않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으로 되어도 펌프(21)가 정지하지 않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한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이상 수위에 달하였을 때에, 이상 수위 센서(34)가 그것을 검지한다. 이때, 펌프(21)를 정지시키며 램프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이상을 알린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수위 센서(3)의 동작 불량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수위 센서(7)에 동작 불량이 생겨, 버퍼 탱크(6) 내의 수위 저하에 따라 펌프(21)가 작동하고 있는데, 제2 수위 센서(7)의 플로우트(37)가 상승하지 않는 케이스를 상정한다. 이때, 제2 수위 센서(7)가 버퍼 탱크(6) 내의 수위 상승을 검지하지 않기 때문에,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이 되어도 펌프(21)가 정지하지 않아,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한다. 그 후,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버퍼 탱크(6)의 상면(6a)에 달하면, 버퍼 탱크(6)로부터 오버 플로우한 음료수가 통기관(36)을 통하여 냉수 탱크(2)에 유입하여, 냉수 탱크(2)가 수위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이상 수위에 달하였을 때에, 이상 수위 센서(34)가 그것을 검지한다. 이때, 펌프(21)를 정지시키며 램프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이상을 알린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수위 센서(7)의 동작 불량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삼방 밸브(9)에 동작 불량이 생겨, 살균 운전을 개시하였을 때에, 상부 삼방 밸브(9)가 냉수측 접속 위치로부터 버퍼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지 않은 케이스를 상정한다. 이때, 버퍼 탱크(6)로부터 유출한 음료수가 버퍼 탱크(6)로 되돌아가야 하는 바, 버퍼 탱크(6)로부터 유출한 음료수가 버퍼 탱크(6)에 되돌아가지 않고 냉수 탱크(2)에 유입하기 때문에, 펌프(21)의 작동에 의해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저하하여,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한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이상 수위에 달하였을 때에, 이상 수위 센서(34)가 그것을 검지한다. 이때, 펌프(21)를 정지시키며 램프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이상을 알린다. 이와 같이 하여, 상부 삼방 밸브(9)의 동작 불량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삼방 밸브(11)에 동작 불량이 생겨, 살균 운전을 개시하였을 때에, 하부 삼방 밸브(11)가 원수측 접속 위치로부터 순환측 접속 위치로 전환하지 않은 케이스를 상정한다. 이때, 음료수가 순환 경로(50)를 순환하여야 하는 바, 음료수가 순환 경로(50)를 순환하지 않고, 원수 용기(14)로부터 순환 경로(50)에 음료수가 유입하기 때문에, 펌프(21)의 작동에 의해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한다. 그 후,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버퍼 탱크(6)의 상면(6a)에 달하면, 버퍼 탱크(6)로부터 오버 플로우한 음료수가 통기관(36)을 통하여 냉수 탱크(2)에 유입하여, 냉수 탱크(2)의 수위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이상 수위에 달하였을 때에, 이상 수위 센서(34)가 그것을 검지한다. 이때, 펌프(21)를 정지시키며 램프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이상을 알린다. 이와 같이 하여, 하부 삼방 밸브(11)의 동작 불량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워터 서버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어떠한 이상에 의해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에, 그 이상을 이상 수위 센서(34)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냉수 탱크(2)와 버퍼 탱크(6)가 통기관(36)을 통해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어떠한 이상에 의해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에, 버퍼 탱크(6)로부터 오버 플로우한 음료수가 통기관(36)을 통하여 냉수 탱크(2)에 유입하여, 냉수 탱크(2)가 수위가 상승한다. 그 때문에,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어떠한 이상에 의해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도, 그 이상을 이상 수위 센서(34)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어떠한 이상에 의해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뿐만 아니라, 버퍼 탱크(6) 내의 수위가 계속해서 상승하였을 때도, 그 이상을 냉수 탱크(2)의 이상 수위 센서(34)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단일의 이상 수위 센서(34)로 냉수 탱크(2)와 버퍼 탱크(6)의 양방을 감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버퍼 탱크(6)에 이상 수위 센서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저비용이다. 또한, 냉수 탱크(2)의 공기층과 버퍼 탱크(6)의 공기층이 통기관(36)을 통해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버퍼 탱크(6)에 대기 연통로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대기로부터 잡균이 침입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어, 위생적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수위 센서(3)와 제2 수위 센서(7)를 마련하는 탱크로서, 냉수 탱크(2)와 버퍼 탱크(6)를 채용한 워터 서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워터 서버에 채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를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에 각각 제1 수위 센서와 제2 수위 센서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대기 연통로는 냉수 탱크에 마련하고, 통기관은, 냉수 탱크의 공기층과 온수 탱크의 공기층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마련하며, 이상 수위 센서는 냉수 탱크에 마련할 수 있다.
2 냉수 탱크
3 제1 수위 센서
4 냉수 탱크 급수관
5 온수 탱크
6 버퍼 탱크
7 제2 수위 센서
8 버퍼 탱크 급수관
9 상부 삼방 밸브
10 펌프 설치관
11 하부 삼방 밸브
12 원수 용기 접속관
13 순환용 배관
14 원수 용기
27 대기 연통로
34 이상 수위 센서
36 통기관

Claims (3)

  1.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에 수용하는 제1 탱크(2)와,
    상기 제1 탱크(2)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제1 수위 센서(3)와,
    상기 제1 수위 센서(3)로 검지되는 수위가 저하하였을 때에 상기 제1 탱크(2)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제1 급수관(4)과,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에 수용하며, 상기 제1 탱크(2) 내의 수위와는 독립된 수위를 갖도록 제1 탱크(2)와는 별개로 마련된 제2 탱크(6)와,
    상기 제2 탱크(6)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제2 수위 센서(7)와,
    상기 제2 수위 센서(7)로 검지되는 수위가 저하하였을 때에 상기 제2 탱크(6)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제2 급수관(8)과,
    상기 제1 탱크(2)를 대기압으로 유지하도록 제1 탱크(2)에 마련된 대기 연통로(27)와,
    상기 제1 탱크(2)의 공기층과 상기 제2 탱크(6)의 공기층 사이를 연통시키는 통기관(36)과,
    상기 제1 탱크(2) 내의 수위가 이상 수위에 달한 것을 검지하는 이상 수위 센서(34)
    를 포함하는 워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2)는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저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이고,
    상기 제2 탱크(6)는,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고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온수 탱크(5)의 상방에 배치되어, 온수 탱크(5)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배출할 때에 온수 탱크(5)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압출하기 위한 음료수를 수용하는 버퍼 탱크인 것인 워터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수관(4) 및 상기 제2 급수관(8)의 상류측에 상부 삼방 밸브(9)를 통해 접속된 펌프 설치관(10)과, 이 펌프 설치관(10)의 상류측에 하부 삼방 밸브(11)를 통해 접속된 원수 용기 접속관(12) 및 순환용 배관(13)과, 상기 원수 용기 접속관(12)에 접속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14)와, 상기 순환용 배관(13)에 접속된 상기 온수 탱크(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삼방 밸브(9)는, 상기 펌프 설치관(10)과 상기 제1 급수관(4) 사이를 연통시키며 또한 상기 펌프 설치관(10)과 상기 제2 급수관(8) 사이를 차단하는 제1 접속 위치와, 상기 펌프 설치관(10)과 상기 제1 급수관(4) 사이를 차단하며 또한 상기 펌프 설치관(10)과 상기 제2 급수관(8)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2 접속 위치 간에 유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 삼방 밸브(11)는, 상기 펌프 설치관(10)과 상기 원수 용기 접속관(12) 사이를 연통시키며 또한 상기 펌프 설치관(10)과 상기 순환용 배관(13) 사이를 차단하는 원수측 접속 위치와, 상기 펌프 설치관(10)과 상기 원수 용기 접속관(12) 사이를 차단하며 또한 상기 펌프 설치관(10)과 상기 순환용 배관(13) 사이를 연통시키는 순환측 접속 위치 간에 유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인 워터 서버.
KR1020157030485A 2013-03-26 2013-12-19 워터 서버 KR102092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3771 2013-03-26
JP2013063771A JP5571218B1 (ja) 2013-03-26 2013-03-26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CT/JP2013/084073 WO2014155871A1 (ja) 2013-03-26 2013-12-19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23A KR20150133823A (ko) 2015-11-30
KR102092436B1 true KR102092436B1 (ko) 2020-03-23

Family

ID=5142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485A KR102092436B1 (ko) 2013-03-26 2013-12-19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046478A1 (ko)
EP (1) EP2980012A4 (ko)
JP (1) JP5571218B1 (ko)
KR (1) KR102092436B1 (ko)
CN (1) CN105050937B (ko)
TW (1) TWI624632B (ko)
WO (1) WO2014155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6938B2 (ja) * 2013-08-02 2018-02-07 ネビオット−ネイチャー オブ ガリラヤ リミテッドNeviot−Nature Of Galilee Ltd. 箱に入った袋のユニットを有するウォーターディスペンサ
CA3038305A1 (en) * 2016-09-30 2018-04-05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ing systems
JP6814052B2 (ja) * 2017-01-18 2021-01-13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2669901B1 (ko) * 2018-04-02 2024-05-29 코웨이 주식회사 냉수탱크를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1685597A (zh) * 2019-03-13 2020-09-22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饮水机和饮水机的控制方法
KR102370327B1 (ko) * 2020-01-29 2022-03-04 정하익 정수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2059A (en) 1987-02-04 1988-12-20 United States Thermoelectric Corporation Sealed hot, cold and room temperature pure water dispenser
US6868986B1 (en) 2003-02-10 2005-03-22 Christopher Paul Arnold Bottled water pump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0400U (ko) * 1974-05-29 1975-12-13
US3960295A (en) * 1974-08-19 1976-06-01 Vladimir Horak Continuous liquid proportioning system
US4284210A (en) * 1977-12-21 1981-08-18 Vladimir Horak Static metering pump
US4958747A (en) * 1988-08-15 1990-09-25 Sheets Kerney T Bottled water dispenser
GB2236736A (en) * 1989-09-27 1991-04-17 Isoworth Ltd Carbonation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s, with plural carbonation chambers
JPH0485091A (ja) * 1990-07-27 1992-03-18 Kobayashi Kirokushi Kk ラベル付き帳票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ラベル付き帳票
JPH0485091U (ko) * 1990-11-30 1992-07-23
JP3601012B2 (ja) * 1994-09-08 2004-12-1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貯湯タンクの給水装置
JP2001029981A (ja) * 1999-07-26 2001-02-06 Cosmo Life Kk 有機性排水処理方法及び装置
TW501713U (en) * 2001-08-28 2002-09-01 Ming-De Jang Water supply device for drinking water dispenser
JP3873852B2 (ja) * 2002-09-09 2007-01-31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温水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飲料供給装置
WO2004102089A1 (ja) * 2003-05-14 2004-11-25 Kyusyu Kaihatsu Kikaku Co., Ltd. 飲料用給水機及び飲料用給水機に用いられる水タンク収容容器
JP4549037B2 (ja) * 2003-06-16 2010-09-22 サントリーフーズ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及び飲料供給方法
DE602005008329D1 (de) * 2004-10-06 2008-09-04 Cosmo Life Kk Kartusche für Getränkespender und Stützvorrichtung dafür
JP2006115866A (ja) * 2004-10-19 2006-05-11 Kyushu Kaihatsu Kikaku:Kk 飲料用給水機
US8281821B2 (en) * 2006-08-30 2012-10-09 MTN Products, Inc Leak stop seal for water cooler
CN101221062A (zh) * 2007-01-10 2008-07-16 陞达科技股份有限公司 液位检测模组及液体供应系统
US20120189502A1 (en) * 2008-07-11 2012-07-26 George Yui Bottom-loading water coolers with ozone sterilizing devices
CN201530719U (zh) * 2009-09-21 2010-07-21 邬志坚 一种啤酒机
JP5387974B2 (ja) * 2009-11-18 2014-01-15 株式会社九州開発企画 給水機
JP5681514B2 (ja) 2011-02-09 2015-03-11 エア・ウォーター株式会社 飲料水サー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2059A (en) 1987-02-04 1988-12-20 United States Thermoelectric Corporation Sealed hot, cold and room temperature pure water dispenser
US6868986B1 (en) 2003-02-10 2005-03-22 Christopher Paul Arnold Bottled water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50937A (zh) 2015-11-11
EP2980012A1 (en) 2016-02-03
JP5571218B1 (ja) 2014-08-13
JP2014189281A (ja) 2014-10-06
US20160046478A1 (en) 2016-02-18
WO2014155871A1 (ja) 2014-10-02
TW201447193A (zh) 2014-12-16
EP2980012A4 (en) 2016-09-21
TWI624632B (zh) 2018-05-21
CN105050937B (zh) 2017-03-08
KR20150133823A (ko)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436B1 (ko) 워터 서버
KR102089823B1 (ko) 워터 서버
KR102086881B1 (ko) 워터 서버
KR102092434B1 (ko) 워터 서버
JP6084484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20160052769A1 (en) Water dispenser
JP2013199277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20150058142A (ko) 워터 서버
JP5529201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20150070188A (ko) 워터 서버
KR20180085348A (ko) 워터 서버
KR20140130468A (ko) 워터 서버
JP5520404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