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327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327B1
KR102370327B1 KR1020200010226A KR20200010226A KR102370327B1 KR 102370327 B1 KR102370327 B1 KR 102370327B1 KR 1020200010226 A KR1020200010226 A KR 1020200010226A KR 20200010226 A KR20200010226 A KR 20200010226A KR 102370327 B1 KR102370327 B1 KR 10237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t water
buffer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771A (ko
Inventor
정하익
Original Assignee
정하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하익 filed Critical 정하익
Priority to KR1020200010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3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4Shape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수도와 직결되어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필터링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와 필터 사이에서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와, 상기 온수탱크 외측에 연결관으로 연통되게 별도로 구비되고, 온수탱크의 물 부피 증가시 내부로 수용하여 저장하며,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경유시켜 안내하는 버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버퍼탱크가 온수탱크 외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퍼탱크를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소재로 제조하여 가벼우면서도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퍼탱크를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소재로 제조하여 열전도율을 낮춤으로써 스케일 생성량을 현저히 줄임과 동시에 버퍼탱크 내부의 스케일 고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퍼탱크를 캡과 바디로 구성하여 결합하되, 바디 내부에 형성된 버퍼공간이 온수탱크 내부와 연통하도록 다목적홀을 구비하여 버퍼공간의 물이 온수탱크 또는 냉각유닛 내부로 회수되게 하거나, 정수기 외부로 출수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의 체적 변화로 인한 넘침이나, 물의 장시간 고임으로 인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각유닛 외부에 독립적으로 버퍼탱크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속에 함유된 중금속이나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정수기에는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냉수탱크와 온수탱크가 포함될 수 있다.
냉수탱크에는 여과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배치되고, 온수탱크의 내부에는 여과된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장치가 배치된다.
가열장치로는 밴드히터나 시쓰히터(sheath geater)가 적용되는데, 시쓰히터는 파이프의 내부에 열선이 배치되고, 열선은 절연재질에 의해 파이프와 절연되는 구조를 가지며, 파이프는 스테인리스 또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정수기는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따로 구비하고, 필요시 온수탱크로 공급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한 저장탱크식정수기와, 정수시킨 물을 저장탱크에 보관하지 않고 바로 가열하여 공급하는 직수식 정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탱크식정수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며, 시간당 온수추출량은 많으나 반드시 저장탱크가 설치되어야 하며, 온수탱크 내부에 버퍼탱크(buffer tank)가 구비되어 스케일이 발생하게 되므로, 막힘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런 경우 온수탱크 자체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직수식정수기는 필터를 통과한 물을 80℃이상으로 순간 가열시켜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2000와트 이상의 고출력 히터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출력 히터는 100~115볼트의 전압을 사용하는 일본이나 미국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직수식 정수기는 베르누이 법칙이 적용된 직수식 격판을 구비하여 히터로 가열함으로써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직수식정수기도 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수식정수기는 다수 격판 및 파이프 등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므로 작업이 어렵고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 작업으로 인한 소재의 열변형으로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베르누이 법칙을 구현하기 위한 압력 차이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작은 구멍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는데, 물에 함유된 중금속이나 이물질들은 스테인리스나 구리재질과 금속으로 이루어진 작은 구멍과 열접촉에 의해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변화되어 고착됨으로써 스케일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스케일은 구멍을 서서히 막아 출수를 불가능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스케일이 발생하는 경우 온수탱크 자체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7208호에는 도 1과 같이 온수조에 자기장을 발생하여 온수조의 내부에 형성되는 스케일 및 녹의 발생을 억제하는 자기력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수기용 온수조 청정 유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 각종 미네랄 성분의 화학적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스케일의 생성을 차단하는데 무리가 있으므로, 스케일에 의한 좁은 유로의 막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퍼탱크가 온수탱크 외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퍼탱크를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소재로 제조하여 가벼우면서도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퍼탱크를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소재로 제조하여 열전도율을 낮춤으로써 스케일 생성량을 현저히 줄임과 동시에 버퍼탱크 내부의 스케일 고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퍼탱크를 캡과 바디로 구성하여 결합하되, 바디 내부에 형성된 버퍼공간이 온수탱크 내부와 연통하도록 다목적홀을 구비하여 버퍼공간의 물이 온수탱크 내부로 회수되게 하거나, 정수기 외부로 출수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의 체적 변화로 인한 넘침이나, 물의 장시간 고임으로 인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냉각유닛 외부에 독립적으로 버퍼탱크가 구비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수도와 직결되어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필터링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와 필터 사이에서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와, 상기 온수탱크 외측에 연결관으로 연통되게 별도로 구비되고, 온수탱크의 물 부피 증가시 내부로 수용하여 저장하며,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경유시켜 안내하는 버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퍼탱크는, 상기 온수탱크 내부와 연통하는 물저장공간과,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물저장공간과 연결관이 연통되게 하는 안내관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와 결합하여 물저장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버퍼탱크를 경유한 물을 외부로 취출하는 취수코크와 연통하는 취수관로와 연통하는 취수관로와, 상기 버퍼탱크 외부와 연통하여 기체의 입출을 허용하는 기류관로가 형성된 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수관로의 하부에는 물저장공간과 취수관로를 연통하는 회수홀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안내관의 내경보다 작게 천공된 유속증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속증가부는, 상기 취수관로와 안내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퍼탱크는, 비금속 재료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와 취수코크 사이에는, 필터링된 물을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각유닛과, 상기 냉각유닛 내부의 물 부피 증가시 수용하여 저장하며, 냉각유닛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경유시켜 안내하는 버퍼탱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서는 버퍼탱크가 온수탱크 외부에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정수기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버퍼탱크가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소재로 제조된다. 따라서 가벼우면서도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버퍼탱크를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소재로 제조하여 열전도율을 낮춤으로써 스케일 생성량을 현저히 줄임과 동시에 버퍼탱크 내부의 스케일 고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버퍼탱크를 캡과 바디로 구성하여 결합하되, 바디 내부에 형성된 버퍼공간이 온수탱크 내부와 연통하도록 다목적홀을 구비하여 버퍼공간의 물이 온수탱크 내부로 회수되게 하거나, 정수기 외부로 출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체적 변화로 인한 넘침이나, 물의 장시간 고임으로 인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냉각유닛 연통하되 냉각유닛 외부에 독립적으로 버퍼탱크가 구비되도록 하여 냉각유닛 내부의 물 부피 변화시 이를 수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7208호에 개시된 정수기용 온수조 청정 유지장치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일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보인 개요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서 요부 구성인 버퍼탱크의 외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서 요부 구성인 버퍼탱크의 세부 구조를 보인 상면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서 요부 구성인 버퍼탱크의 세부 구조를 보인 저면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서 온수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부피가 증가시 버퍼탱크 내부에 수집되는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서 버퍼탱크 내부에 수집된 물이 온수탱크 내부로 유입되는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에서 온수 취출시 버퍼탱크 내부에 수집된 물의 흐름을 보인 개요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보인 개요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보인 개요도.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00)의 일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00)는 직수형 정수기(100)로서, 수도와 직결되어 이물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여 취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정수기(100)는 수도와 직결되어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110)와, 상기 필터(110)를 경유하면서 필터링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120), 필터링된 물을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각유닛(130)과, 상기 온수탱크(120) 및 냉각유닛(130)과 필터(110) 사이에서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140)와, 상기 온수탱크(120) 외측에 각각 연결관(145)으로 연통되게 별도로 구비되고, 온수탱크(120)의 물 부피 증가시 내부로 수용하여 저장하며, 온수탱크(120)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경유시켜 안내하는 버퍼탱크(150)와, 상기 버퍼탱크(150)를 경유한 물을 외부로 취출하는 취수코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110)는 수도물에 포함된 잔류염소, 중금속 뿐만 아니라 냄새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서로 상이한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필터(110)를 직렬로 연통되게 연결하여 정화할 수 있다.
예컨대, 흙, 모래 등을 걸러내는 필터, 유기화학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필터, 미세기공 또는 정전흡착방식을 이용하여 중금속, 환경호르몬,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을 제거하는 필터, 가스와 냄새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등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터(110) 우측에는 밸브(140)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140)는 필터(110)를 경유하면서 정화된 물이 온수탱크(120) 또는 냉수유닛(130)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140)는 필터(110)에 결합된 토출관(112) 단부에 구비되어 토출관(112) 내부를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밸브(140)는 탱크급수관(142)과 연결되어 온수탱크(120) 또는 냉수유닛(130) 내부와 토출관(112)이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140)의 우측단에는 탱크급수관(142)이 연결되고, 탱크급수관(142)의 단부에는 온수탱크(120)와 냉수유닛(130)이 각각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온수탱크(120) 내부에는 전원 인가시 발열하는 발열체(122)가 구비되어 온수탱크(120)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냉각유닛(130)은 냉수조를 냉각하고, 탱크급수관(142)을 통해 냉수조 내부로 유입된 식수는 나선형태로 유동하면서 냉각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의 냉각유닛(130)은 냉매싸이클 중 증발기가 냉수조 외면에 권취되도록 적용한 것이다.
상기 온수탱크(120)의 상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버퍼탱크(150)가 구비된다. 상기 버퍼탱크(15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부가 연결관(14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145)의 하단부는 온수탱크(1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버퍼탱크(150) 내부에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물저장공간(15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퍼탱크(150) 내부는 연결관(145)에 의해 온수탱크(120) 내부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온수탱크(120) 내부의 물 부피가 증가시 버퍼탱크(150)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됨으로써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퍼탱크(150)의 상측에는 취수관(170)이 연결된다. 상기 취수관(170)은 양단부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게 될 취수관로(도 3의 도면부호 156 참조)와 취수코크(16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온수탱크(120) 내부에 저장된 물과 물저장공간(152)에 저장된 물이 취수코크(16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취수관(170)의 단부에는 취수코크(16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취수코크(160)는 단일로 구성하여 온수와 냉수를 선택적으로 취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온수탱크(120)와 냉각유닛(130)에 각각 연통하는 취소코크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온수와 냉수를 택일하여 취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버퍼탱크(15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00)에서 요부 구성인 버퍼탱크(150)의 외관 구조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00)에서 요부 구성인 버퍼탱크(150)의 세부 구조를 보인 상면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00)에서 요부 구성인 버퍼탱크(150)의 세부 구조를 보인 저면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버퍼탱크(150)는 스케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비금속재료로 제조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이 적용되었다.
그리고 상기 버퍼탱크(150)는 상기 온수탱크(120) 내부와 연통하는 물저장공간(152)이 형성된 바디(151)와, 상기 바디(151)와 결합하여 물저장공간(152)을 차폐하는 캡(1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51)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는 안내관(153)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내관(153)은 상기 연결관(145)과 연결되어 물저장공간(152)과 연결관(145)이 연통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바디(151)의 저면에서 하측 방향으로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바디(151)의 상측에는 캡(155)이 결합된다. 상기 캡(155)은 가장자리 하부가 상기 바디(151)의 상단부와 끼움 결합된 후 접착부재 또는 열융착 방식으로 접합됨으로써 물저장공간(152)의 상부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캡(155)의 상면 중앙부에는 취수관로(156)가 상향 돌출된다. 상기 취수관로(156)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캡(155)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취수관로(156)는 취수관(170)과 결합하여 상기 취수코크(160)와 연통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온수탱크(120) 또는 냉각유닛(130) 내부의 물이 취수코크(16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취수관로(156)의 내부는 하단부가 물저장공간(152)과 연통하도록 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수관로(156)의 좌측에는 기류관로(15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기류관로(157)는 버퍼탱크(150) 외부와 연통하여 기체의 입출을 허용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기류관로(157)는 물저장공간(152)에 물이 채워지거나 배수될 때 물저장공간(152)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거나 물저장공간(15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기류관로(157)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되, 하단부는 상기 물저장공간(152) 내부와 연통하도록 천공되며, 상기 캡(155)과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캡(155)의 저면에는 도 5와 같이 회수홀(158)이 구비된다. 상기 회수홀(158)은 취수관로(156)의 하단부에서 측방향으로 2개소를 절제하여 형성한 것으로, 상기 캡(155)과 바디(151)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저장공간(152)과 취수관로(156)가 연통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 바디(151)의 내부 바닥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안내관(153)의 내경보다 작게 천공된 유속증가부(154)가 구비된다. 상기 유속증가부(154)는 안내관(153)의 상단부에 위치하되, 안내관(153)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협소하게 형성되어 온수탱크(120) 내부의 물이 안내관(153)을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하다가 유속증가부(154)를 지나면서 유속이 증가하도록 하고 유체의 압력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도록 한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내관(153)을 따라 이동하는 물이 유속증가부(154)를 지나가면서 속도가 증가하고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물저장공간(152)에 저장되어 있던 물은 회수홀(158)을 통해 취수관로(156)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안내관(153)을 따라 이동하는 물과 합쳐져 취수관(170)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벤츄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유속증가부(154)는 안내관(153) 뿐만 아니라 취수관로(156)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바디(151)의 내부 바닥면을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고, 바닥면 중앙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59)에 형성된 함몰부(159)의 중앙에 형성됨으로써 물저장공간(152)에 저장된 물이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버퍼탱크(15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00)에서 온수탱크(120) 내부에 저장된 물의 부피가 증가시 버퍼탱크(150) 내부에 수집되는 작용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00)에서 버퍼탱크(150) 내부에 수집된 물이 온수탱크(120) 내부로 유입되는 작용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100)에서 온수 취출시 버퍼탱크(150) 내부에 수집된 물의 흐름을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의 버퍼탱크(150)는 온수탱크(120)에 연결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온수탱크(120) 내부에 물이 가열되어 부피가 늘어나는 경우 안내관(153)을 따라 물저장공간(152)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
즉, 상기 안내관(153)을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한 물은 유속증가부(154)를 지나 회수홀(158)을 통해 물저장공간(152) 내부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기류관로(157)는 물저장공간(152) 내부의 공기를 화살표와 같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도 7과 같이 상기 온수탱크(120) 내부의 물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 물저장공간(152)에 저장된 물은 다시 온수탱크(120) 내부로 회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저장공간(152) 내부의 물은 회수홀(158)을 통해 안내관(153)으로 유입되고, 안내관(153)을 경유한 후 다시 온수탱크(120) 내부로 회수된다.
이때 상기 물저장공간(152)에 저장된 물의 감소량만큼 상기 기류관로(157)로는 외부의 공기가 물저장공간(152)에 채워지게 된다.
사용자가 취수코크(160)를 동작하여 온수를 취출하는 경우 상기 온수탱크(120) 내부의 온수는 연결관(145) 및 안내관(153)을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유속증가부(154)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속증가부(154)는 안내관(153) 및 연결관(145)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므로 유속을 증가시키고 압력을 낮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저장공간(152)에 물이 저장된 상태라면 상기 회수홀(158)을 통해 취수관로(156)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안내관(153)을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와 합류하여 상기 취수관로(156)를 통해 취수관(170)으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따라 상기 물저장공간(152)의 물은 장시간 고여있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유닛(130)은 냉수조 외면에 권취된 나선 형태의 증발기가 적용되었으나, 도 9와 같이 냉수탱크 우측에 콜드플레이트와 열전소자 및 히트싱크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히트싱크 인근에 팬을 설치하여 송풍으로 인해 흡열함으로써 냉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탱크 내부는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가 형성되어 식수가 지그재그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냉각유닛(130)에는 도 2 및 도 9와 같이 버퍼탱크(150)가 연결되지 않은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도 10과 같이 냉수탱크 외면에 증발기가 권취된 형태의 냉각유닛(130)의 경우 내부의 물이 결빙할 수 있으므로, 냉각유닛(130) 상측에 버퍼탱크(150)를 연통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00. 정수기 110. 필터
112. 토출관 120. 온수탱크
122. 발열체 130. 냉각유닛
140. 밸브 142. 탱크급수관
145. 연결관 150. 버퍼탱크
151. 바디 152. 물저장공간
153. 안내관 154. 유속증가부
155. 캡 156. 취수관로
157. 기류관로 158. 회수홀
159. 함몰부 160. 취수코크
170. 취수관

Claims (6)

  1. 수도와 직결되어 이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와,
    필터링된 물을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와 필터 사이에서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와,
    상기 온수탱크 외측에 연결관으로 연통되게 별도로 구비되고, 온수탱크의 물 부피 증가시 내부로 수용하여 저장하며,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경유시켜 안내하는 버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퍼탱크는,
    상기 온수탱크 내부와 연통하는 물저장공간과,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물저장공간과 연결관이 연통되게 하는 안내관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와 결합하여 물저장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버퍼탱크를 경유한 물을 외부로 취출하는 취수코크와 연통하는 취수관로와, 상기 버퍼탱크 외부와 연통하여 기체의 입출을 허용하는 기류관로가 형성된 캡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로의 하부에는 물저장공간과 취수관로를 연통하는 회수홀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안내관의 내경보다 작게 천공된 유속증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증가부는,
    상기 취수관로와 안내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탱크는, 비금속 재료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와 취수코크 사이에는,
    필터링된 물을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각유닛과,
    상기 냉각유닛 내부의 물 부피 증가시 수용하여 저장하며, 냉각유닛에 저장된 물을 내부로 경유시켜 안내하는 버퍼탱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200010226A 2020-01-29 2020-01-29 정수기 KR102370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226A KR102370327B1 (ko) 2020-01-29 2020-01-29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226A KR102370327B1 (ko) 2020-01-29 2020-01-29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771A KR20210096771A (ko) 2021-08-06
KR102370327B1 true KR102370327B1 (ko) 2022-03-04

Family

ID=7731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226A KR102370327B1 (ko) 2020-01-29 2020-01-29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3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6207A (ja) 2010-08-26 2012-03-08 Fujiyama Corp 液体貯留装置
JP5229329B2 (ja) 2009-01-08 2013-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1218B1 (ja) * 2013-03-26 2014-08-13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117586B2 (ja) * 2013-03-27 2017-04-19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9329B2 (ja) 2009-01-08 2013-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2046207A (ja) 2010-08-26 2012-03-08 Fujiyama Corp 液体貯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771A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619B1 (ko) 냉수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처리 기기
US9045359B2 (en) Reverse osmosis negative-ion water dispenser
CN102822610B (zh) 冷水箱
US20110048038A1 (en) Multipurpose adiabatic potable water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DE50308772D1 (de) Flüssigkeitsfilter-Wärmetauscher-Einheit
CN107343755A (zh) 净水器
AU2017245321A1 (en) Cold water genera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RU2011133560A (ru) Термо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CN103300721A (zh) 反渗透空气能热泵饮水机
CN102395416A (zh) 净水装置
KR102370327B1 (ko) 정수기
KR101262719B1 (ko) 정수기용 열전소자를 이용한 유체 냉각 유니트
KR102177297B1 (ko) 필터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RU200810250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охлажденной или подогретой жидкости на борту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KR20130014113A (ko)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581580B1 (ko) 제빙기용 증발기
JP2007010241A (ja) 給湯装置
KR20160027722A (ko) 정수기용 온수 가열 장치
KR101564263B1 (ko) 온수가열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US7207182B1 (en) Swamp cooler cooling system
KR20090080780A (ko) 정수기의 증기배출장치
KR102670628B1 (ko) 냉수기
KR20040082361A (ko) Te 소자를 이용한 순간 냉/온 정수장치
KR100487799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용 히팅장치
KR102670633B1 (ko) 냉수 및 온수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