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330B1 -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330B1
KR102092330B1 KR1020130070778A KR20130070778A KR102092330B1 KR 102092330 B1 KR102092330 B1 KR 102092330B1 KR 1020130070778 A KR1020130070778 A KR 1020130070778A KR 20130070778 A KR20130070778 A KR 20130070778A KR 102092330 B1 KR102092330 B1 KR 102092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hooting
input
touch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462A (ko
Inventor
김수형
오훈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330B1/ko
Priority to US14/307,890 priority patent/US9313402B2/en
Publication of KR2014014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62A/ko
Priority to US15/072,510 priority patent/US9591209B2/en
Priority to US15/449,254 priority patent/US1014888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는 프리뷰 상태에서 기준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프리뷰 상태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촬영 모드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카메라 모듈로 하여금 선택한 모드로 객체를 촬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객체 촬영 프리뷰 상태에서 촬영 모드 표시 명령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촬영 모드를 표시부 화면에 표시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촬영 모드 중 하나의 촬영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하나의 촬영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객체를 촬영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METHOD FOR CONTROLING FOR SHOOT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객체 촬영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있다.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 장치는 개개인의 필수 통신 장치로 사용된다. 더욱이, 전자 장치에서 음성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 데이터 통신, 방송, 동영상 재생, 오디오 재생 및 메신저, 일정관리, 알람 기능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카메라 서비스의 경우, 카메라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자 장치는 다양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자동으로 다양한 촬영 및 장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제어하여 촬영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외부의 선택에 의해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 서비스를 사용함에 있어,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환경 설정을 통해 촬영 및 장면 모드를 변경하는 여러 동작을 거쳐야 했다. 순간 포착 촬영을 하거나, 촬영 및 장면 모드를 변경하며 촬영을 하는 상황에는 여러 동작을 조작하는 불편함과, 그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어 원하는 순간을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부 특정 전자 장치의 경우, 전자 장치의 외부에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등의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지만, 제약과 한계가 있어 올바른 해결책이라 보기는 힘들다.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서비스를 사용할 때,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환경 설정의 여러 동작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서비스를 사용할 때,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소요하는 시간을 줄여 짧은 시간 내에 촬영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서비스를 사용할 때,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여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서비스를 사용할 때, 카메라 장치 또는 동작 감지 센서를 사용하여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카메라 동작 방법에 있어서, 프리뷰 화면에서 촬영 지시에 따라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과, 촬영 모드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과 선택한 촬영 모드에 대응하여 촬영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촬영 지시에 따라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을 상기 전자 장치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과, 촬영 모드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과 카메라 장치 또는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제 2 전자 장치로 하여금 선택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촬영 모드를 기반으로 촬영하도록 명령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및 터치 스크린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촬영 지시에 따라 촬영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과 촬영 모드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복수 개의 촬영 모드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과 선택한 촬영 모드에 대응하여 촬영 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객체를 촬영하는 경우,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 여러 설정 동작을 통해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동작 없이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여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고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원하는 모드로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프로세서 동작의 처리 구성을 도시한다.
도 3a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b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c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d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e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e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b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a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b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6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7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동작과, 표시부를 통한 표시 동작을 물리적인 한 화면에서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장치 구성에서 표시부와 입력 장치는 따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표시부를 표현하는 경우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있거나, 입력장치를 표시부로 나타낼 수도 있다.
물론, 본 개시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만 국한되지 않고, 표시부와 입력 장치가 물리적으로 분리, 구분되어 있거나, 표시부와 입력 장치 중에서 하나만을 포함하는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터치 스크린으로 표시되는 장치는 터치 입력 장치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터치 입력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표시부,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부 등으로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100)는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C(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TV(Smart TV),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C),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및 MPEG-1 Audio Layer-3 Player(MP3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을 포함하고, 주변 장치로는 입출력 처리부(130), 표시부(131), 입력 장치(132), 오디오 처리부(140), 통신 시스템(미도시) 및 다른 주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으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저장부(112)에는 카메라 프로그램을 동작하고 있을 때 외부 제어를 감지하고,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고, 선택된 촬영 및 장면 모드로 촬영하는 동작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고, 표시부(131)에 표시하는 동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I) 동작을 구성하는 정보 등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113)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프로그램(116),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11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은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 장치(150) 또는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는 카메라 프로그램(미도시)을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장치(150)를 사용하는 동작에서,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기준 입력을 수행하면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제 2 표시부(미도시) 또는 터치 스크린(133)의 표시부(131)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동작에서,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정보에 따라 표시하는 동작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여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을 재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 상태 확인 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의 프로그램 또는 구성 장치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상태 프로그램(115)은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기준 입력을 전자 장치(100)에 수행하는 것을 확인하고,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을 사용하여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UI 동작을 구성하고 터치 스크린(133)의 표시부(131) 또는 제 2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하는 동작에서 오류 발생 여부 등의 서비스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상태 프로그램(115)은 표시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감지하고, 선택한 촬영 및 장면 모드의 정보대로 객체를 촬영하는 동작에서, 카메라 장치(150)가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 또는 카메라 프로그램(미도시)의 제어에 대응하여 명령을 수행하도록 서비스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명령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객체 촬영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동작에서, UI 프로그램(116)으로 하여금 터치(Touch) 유지 동작을 감지하면 촬영 예비 동작을 수행하거나,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동작으로 구성하여 표시부(131)에 표시하는 동작 등 명령어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117)은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표시부(131)에 표시하고, 입력 장치(132)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통신 제어 프로그램(미도시)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신 시스템(미도시)을 이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2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제 2 전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만일, 통신 연결을 위한 제 2 전자 장치가 검색된 경우, 통신 제어 프로그램(미도시)은 제 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위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통신 제어 프로그램(미도시)은 연결된 제 2 전자 장치와의 성능 검색 및 세션 성립 절차를 수행하여 통신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제 2 전자 장치와 알람 정보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113)은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에 설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메모리(110)는 한 개 이상,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용도에 대응하여 프로그램 저장부(111)만의 기능을 할 수도, 데이터 저장부(112)만의 기능을 할 수도, 두 가지 모두의 기능을 할 수도 있으며, 장치 특성상 메모리(110) 내부의 물리적 영역 구분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1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1)는 프로세서(1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21)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입출력 처리부(130)을 통해 표시부(131)로 전자 장치의 UI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입력 장치(132)로 전자 장치(100) 외부로부터의 명령을 입력받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스피커(141) 및 마이크로폰(14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미도시)은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시스템(미도시)은 기지국을 통하는 등의 이동 통신, 적외선 무선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저 에너지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무선랜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유선 통신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출력 처리부(130)는 표시부(131) 및 입력 장치(132)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장치(132)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처리부(13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장치(132)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서 제어 버튼만으로 구성되거나,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컨대, 입력 장치(132)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133)과 같이 표시부(132)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133)의 입력 장치(132)는 예컨대,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압력 감지)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초음파 방식, 이미지 센서, 호버링(Horvering) 방식, 모션 센서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131)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외부에서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Image) 또는 정화상(Still Image)(동화상 또는 정화상, 이하 이미지) 등을 프로세서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받아 UI 동작을 구성하여 입출력 제어부(131)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객체 촬영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상태에서, 촬영 및 장면 모드 선택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선택 가능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UI 동작을 구성하여 표시부(13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3)은 물리적으로 표시부(131) 상에 터치 입력 장치(132)를 결합한 장치로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있어서 표시부(131)에 표시하고 있는 화면 구성을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133)은 전자 장치(100)의 UI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131)와, 외부의 명령을 전자 장치(100)에 입력하는 입력 장치(132)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 설명에서, 터치 스크린(133)의 표시부(131)와, 터치 스크린(133)의 입력 장치(132)를 터치 스크린(133)으로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50)는 광학부, 동작 감지 센서(모션 센서), 이미지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동작 감지 모듈, 카메라 모듈 등의 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광학부는 메커 셔터(Mecha-Shutter), 모터(Motor) 또는 액추에이터(Actuator)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으며, 액추에이터에 의해 줌(Zoom) 기능 및 포커싱(Focusing)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광학부는 주변의 객체를 촬영하며, 이미지 센서는 광학부에 의해 촬영하는 이미지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CMOS) 또는 Charged Coupled Device(CCD) 등의 센서가 될 수 있으며, 다른 고해상도의 이미지 센서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는 글로벌 셔터(Global Shutter)를 내장할 수도 있다. 상기 글로벌 셔터는 센서에 내장된 메카 셔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감지 장치(미도시) 또는 깊이 감지 장치(Depth Sensor)는 객체가 위치하는 Three Dimensions(3 Dimensions, 3D) 공간에서 객체의 3D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객체의 동작을 인식하는 장치의 특성에 있어서, 기계식, 자기식, 광학식, 적외선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동작 감지 장치는 카메라 장치(150)에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프로세서 동작의 처리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2)는 스마트 이미지 관리부(214), 서비스 상태 확인부(215), UI 제어부(216), 입출력 제어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이미지 관리부(214)는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을 통해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카메라(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객체 촬영 프로그램의 촬영 대기 상태에서 스마트 이미지 관리부(214)는 서비스 상태 확인부(215)로부터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기준 입력을 확인하고, UI 제어부(216)로 하여금 메모리(110)의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31)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이미지 관리부(214)는 서비스 상태 확인부(215)로부터 표시부(131)에 표시하는 촬영 및 장면 모드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확인하고,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비스 상태 확인부(215)는 서비스 상태 확인 프로그램(115)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 내부의 프로그램들과 장치들의 유기적인 관계 및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상태 확인부(215)는 입출력 제어부(217)로부터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기준 입력을 확인하고, 스마트 이미지 관리부(214)로 하여금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정보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상태 확인부(215)는 스마트 이미지 관리부(214)가 UI 제어부(216)로 하여금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131)에 표시하는 UI 동작을 구성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비스 상태 확인부(215)는 UI 제어부(216)가 입출력 제어부(217)로 하여금 표시부(131)에 표시하도록 하는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의 UI 동작 구성이 표시부(131)에서 오류 없이 표시되고 있는지 등의 서비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비스 상태 확인부(215)는 입출력 제어부(217)로부터 촬영 및 장면 모드 중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확인하고, 스마트 이미지 관리부(214)로 하여금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 블록으로 구성되는 프로세서(122)의 스마트 이미지 관리부(214), 서비스 상태 확인부(215), UI 제어부(216), 입출력 제어부(217)는 프로세서(122) 동작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구분으로서, 프로세서(122)의 내부는 도 2와 같이 물리적으로 명확하지 나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의 객체 촬영 프로그램 동작 중에 터치 스크린(133)을 통해 촬영 및 장면 모드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실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객체 촬영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촬영 및 장면 모드를 변경하기 위해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서 정하여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고 있는 촬영 아이콘(Icon)을 터치하면, 통상적인 객체 촬영 프로그램의 경우, 촬영 예비 동작을 진행하고 카메라 프로그램(미도시)에 프로그램된 명령어에 대응하여 카메라의 상태를 제어하고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 예비 동작이라 함은 예컨대, 카메라 프로그램이 객체를 촬영하기 전에 초점(Focus)을 맞추는 동작 또는 조리개(Diaphragm)를 제어하는 동작, 화각(Angle of View)를 제어하는 동작, 줌(Zoom, 초점 거리)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 일정 시간 이상을 대기하는 동작, 얼굴 또는 생체 인식 동작, 뇌파 인식 동작, 음성 인식 동작, 제 2 전자 장치로부터의 제어 입력 대기 동작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촬영 예비 동작의 일 예로서, 전자 장치(100)의 카메라 서비스(미도시)를 사용하는 프리뷰(Preview) 상태에서 촬영 아이콘을 터치하면, 카메라 장치(150)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싱(Focusing)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프리뷰는 카메라 장치(150)로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은 상태, 카메라 장치(150)를 통해 보여지는 객체를 터치 스크린(133) 또는 제 2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하는, 예비 촬영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기준 입력에 대한 실시 예로,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고 있는 촬영 아이콘(Icon)을 터치하여 기준 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기준 시간을 촬영 예비 동작을 수행할 때까지 터치를 유지하는 것으로 정한다면,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은 카메라 프로그램(미도시)이 촬영 예비 동작을 수행하고,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기준 입력에 대한 다른 실시 예로,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고 있는 촬영 아이콘을 터치하고 기준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으로 정한다면,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은 카메라 프로그램(미도시)이 촬영 예비 동작을 수행하고 촬영하기 전에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입력들에 대한 실시 예에서, 촬영 예비 동작은 다른 동작(기준 입력 이전 또는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표시 동작 이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기준 입력과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표시 동작 사이에는 촬영 예비 동작 이외에 다른 동작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준 입력을 수행한 후 촬영 예비 동작과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터치 스크린(133)의 촬영 아이콘을 터치하는 동작을 유지하지 않고 짧은 터치 동작(클릭)을 수행한다면, 카메라 프로그램(미도시)은 통상적인 촬영 방법에 대응하여 기존의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유지하고 촬영 예비 동작을 수행하고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도 3a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수행하는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기준 입력 또는 촬영 및 장면 모드의 선택 등의 입력은 예컨대, 터치 스크린(133), 입력 장치(미도시) 또는 카메라 장치(150) 또는 동작 감지 장치(미도시)를 통한 객체의 동작 입력 등을 사용하는 방법 외에도, 전자 장치(100)에 미리 약속된 명령어를 마이크로폰(142)을 통해 음성으로 입력하는 음성 명령(또는 음성 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고,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복수의 방법들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에 따른 전자 장치(100)가 수행한 결과에 대해서도 예컨대,터치 스크린(133) 또는 제 2 표시부(미도시)에 UI 동작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방법 외에도 스피커(141)를 통한 음성 출력 또는 정해진 신호를 출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b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객체 촬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촬영 대기 상태에서 촬영 및 장면 모드 표시 명령(기준 입력)을 입력하면,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서 정하여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UI 동작 구성에 대응하여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터치 스크린(133)의 일부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촬영 및 장면 모드라 함은, 카메라 장치를 사용해 객체를 촬영함에 있어서 예컨대, 만화, 스케치, 파노라마, 스포츠 등의 객체를 촬영하는 스타일, 주간 풍경, 주간 인물, 야간 풍경, 야간 인물, 스마일, 근접 촬영, HDR(High Dynamic Range) 촬영, 3D 촬영 등의 객체를 촬영하는 대상 또는 노출 제어, 초점 제어, 셔터 스피드 제어, 이미지 감도 제어 등의 객체를 촬영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기능들을 아이콘 또는 리스트를 통해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표시하는 실시 예로, 도 3b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카메라 촬영 대기 상태의 UI 동작 구성에서, 촬영 아이콘을 중심으로 기준 거리에 반원형으로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표시하는 실시 예에서, 반원형으로 표시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 예로서,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프로그램된 정보에 대응하여 예컨대, 반원형, 원형, 삼각형, 사각형, 마름모 등의 다양한 도형 모양에 적용할 수 있고, 일정한 모양을 정하지 않고도 표시할 수 있다.
촬영 및 장면 모드 표시 명령에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133)에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아이콘 등의 방법으로 표시하면, 표시된 촬영 및 장면 모드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하는 실시 예로, 도 3b는 카메라 서비스(미도시)의 촬영 대기 상태에서 예컨대, 터치 스크린(133)의 촬영 아이콘을 기준 시간 이상 터치(315)하는 동작을 기준 입력(도 3a의 실시 예들 중에서 하나)으로 정하여, 기준 입력을 수행하고 촬영 대기 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터치 스크린(133)에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면, 터치를 해제하지 않은 상태로 드래그하여 촬영을 원하는 촬영 및 장면 모드(예컨대, 풍경을 촬영하는 풍경 모드) 아이콘에서 터치를 해제하는 방법으로 풍경 모드 를 선택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선택하는 다른 실시 예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면 예컨대, 터치를 해제하고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고 있는 촬영을 원하는 촬영 및 장면 모드 아이콘들 중에서 하나를 터치해서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하는 또 다른 실시 예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면, 터치를 해제하고 촬영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촬영 및 장면 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지 않고 기존의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유지한 상태로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다양한 실시 예 이외에 예컨대, 음성 인식, 얼굴 또는 생체 인식, 이미지 인식, 호버링 인식, 뇌파 인식, 제 2 전자 장치로부터의 제어 등의 방법을 통해 표시된 장면 및 촬영 모드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c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c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의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중에서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모드가 제어하는 변수들 중에서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경우, 선택한 촬영 모드의 변경 가능한 설정 값을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실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하는 실시 예로,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아이콘들 중에서 하나(풍경 모드, 305)를 선택하고, 풍경 모드(305)는 제어하는 다양한 변수들 중에서 카메라 장치(150)를 사용하여 줌(Zoom)기능의 배율(변수)을 제어할 수 있는 설정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여 줌(Zoom)기능의 배율을 설정하는 설정 값(331 내지 337)의 UI 동작을 구성하고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도 3b, 607 또는 703에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c를 참고하면,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고 있는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아이콘들 중에서 풍경 모드(305)를 선택(317)하고, 풍경 모드(305)로 객체를 촬영 하는 경우, 풍경 모드가 제어하는 변수들 중에서 카메라 장치(150)의 줌(Zoom)기능에서 변경 가능한 배율의 리스트(x1.5, x3, x7, x10 등의 설정값)를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여 UI 동작을 구성하고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331, 333, 335, 337)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고 있는 풍경 모드(305)의 변경 가능한 설정 값 메뉴 아이콘들 중에서 3배 확대에 해당하는 x3(333) 모드를 선택(319)할 수 있다.
도 3d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d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의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중에서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한 모드가 제어하는 변수의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경우, 선택한 촬영 모드의 변경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변수에 대한 설정 값을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하는 실시 예로,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아이콘들 중에서 하나(풍경 모드, 305)를 선택하고, 풍경 모드는 제어하는 다양한 변수들 중에서 카메라 장치(150)를 사용하여 줌(Zoom)기능의 배율을 제어할 수 있는 설정 값, 파노라마 촬영 서비스를 결정하는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여 줌(Zoom)기능의 배율을 설정하는 설정 값(331 내지 337)과 파노라마 기능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설정 값(339)의 UI 동작을 구성하고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d에서는 도 3c에서 촬영 모드 또는 설정 값을 선택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풍경 모드(305)를 선택하고 파노라마 기능(339)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3c에서 줌(Zoom)기능의 배율을 제어할 수 있는 설정 값 x3(333)을 선택하는 것을 확인(도 3c의 305와 같이 선택하는 아이콘은 색이 변하는 등)하고, 연속해서 파노라마 기능(339)을 선택하는 방법 등으로,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설정 값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3e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e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 또는 선택한 촬영 모드(풍경 모드, 305) 또는 3배 확대 촬영(x3, 333) 등의 정보대로 카메라 장치(150)를 제어하여 객체를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110)에 저장하고, 촬영한 정보에 대해서 터치 스크린(133)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341)하고,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341)하는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카메라 장치(150)를 사용하여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들을 확인할 수 있는 사진첩(Gallery, Album) 프로그램(미도시)을 실행하도록 정할 수도 있다.
촬영한 정보에 대한 표시는 도 3e의 실시 예와 같이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도 있고, 제 2 표시부(미도시) 또는 스피커 장치(141)을 통한 음성 출력 또는 정해진 신호를 출력하는 등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더하여, 촬영은, 촬영 모드 또는 설정 값을 결정하면 별도의 촬영 동작 없이 자동으로 카메라 장치(150)의 상태를 제어하여 촬영할 수 있고, 촬영 모드 또는 설정 값을 결정하고, 별도의 촬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카메라 장치(150)의 상태를 제어하여 촬영할 수도 있다.
도 3f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f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의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중에서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고, 다른 장면 모드를 더 선택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성정하는 메뉴 아이콘들 중에서 하나(예컨대, 야간 풍경 모드, 303)를 선택하고, 다른 장면 모드(스포츠 모드, 309)를 더 선택할 수 있다.
야간 풍경 모드(303)는 카메라 장치(150)를 사용하여 줌(Zoom)기능의 배율(변수), 조리개(Diaphragm) 값 등의 변수 값을 제어할 수 있는 설정 값들을 포함할 수 있고, 스포츠 모드(309)는 카메라 장치(150)를 사용하여 줌(Zoom)기능의 배율(변수), 조리개(Diaphragm), 셔터 스피드 등의 변수 값을 제어할 수 있는 설정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선택한 야간 풍경 모드(303)와 스포츠 모드(309)가 제어할 수 있는 줌(Zoom)기능의 배율(변수), 조리개(Diaphragm) 등의 설정 값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병행하여 카메라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고, 촬영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야간 풍경 모드(303) 또는 스포츠 모드(309)가 제어할 수 있는 변수들 중에서 변경할 수 있는 설정 값을 포함할 수 있고, 도 3d의 331내지 339와 같이 야간 풍경 모드(303) 또는 스포츠 모드(309)가 제어할 수 있는 변수들 중에서 변경할 수 있는 설정 값들에 대응하는 UI 동작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전자 장치(100)는 표시하고 있는 촬영 모드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에서 복수 개의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실시 예로 터치, 드래그, 릴리즈 동작으로 복수 개의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동작으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고, 드래그를 통해 제 1 촬영 및 장면 모드(야간 풍경 모드, 303)를 선택하여 활성화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터치 스크린에서 터치를 릴리즈 하지 않고 드래그하여 제 2 촬영 및 장면 모드(스포츠 모드, 303)를 선택하여 활성화 할 수 있고, 터치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선택한 두 개의 촬영 및 장면 모드에 대응하여 촬영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선택한 두 개의 촬영 및 장면 모드가 제어할 수 있는 변수 값에 대하여 변경 가능한 설정 값을 제공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0)는 UI 동작을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선택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활성화 하는 동작 등에서 표시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촬영 및 장면 모드 선택을 종료하는 터치 릴리즈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변경하고자 하는 설정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카메라 장치(150)를 통해 프리뷰를 표시하고, 기준 입력 수행에 의해서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여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도 3b에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과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로, 도 4a에서 기준 입력은 촬영 아이콘을 터치하고 유지하는 동작(도 3a의 기준 입력 실시 예) 외에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되는 카메라 장치(150)를 통한 프리뷰에서 초점 맞추기를 원하는 곳을 터치하여 포커싱(Focusing)하고, 터치 상태를 기준 시간 이상 유지하는 동작을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기준 입력으로 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준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촬영 예비 동작에서 카메라 장치(150)가 터치를 중심으로 포커싱(Focusing)하도록 제어하고, 표시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로서, 터치 스크린(133)의 터치 주위에 촬영 및 장면 모드 아이콘들이 위치하도록 UI 동작을 구성하여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b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카메라 장치(150)를 통해 프리뷰를 표시하고, 기준 입력 수행에 의해서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정보에 때라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도 3b, 도4a에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방법과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로, 도 4b는 터치 스크린의 임의 영역 터치 상태를 기준 시간 이상 유지하는 동작을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기준 입력으로 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준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터치 스크린(133)의 터치 점 주위에 촬영 및 장면 모드 아이콘들이 위치하도록 UI 동작을 구성하고, 도 4a와 같이 터치 스크린(133)의 터치 주위에 아이콘들을 위치시킬 수 없는 상태의 경우,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은 정해진 정보대로, 도 4b와 같이 아이콘들의 위치를 재설정하도록 처리하고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동작에 있어서, 촬영 예비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더하여, 도 3b, 도 3c, 도 4a, 도 4b 등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에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컨대, 실시 예에서는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아이콘(Icon)으로 설명하였으나, 목록(리스트, List)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의 UI 동작을 구성함에 있어서, 표시하는 모드의 크기, 위치, 배열, 투명도 등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5a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장치(150) 또는 동작 감지 장치(미도시)를 사용하여 카메라 서비스(미도시)의 프리뷰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133)의 프리뷰 화면에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서비스의 프리뷰를 표시하는 표시부(131)에 UI 동작을 구성하여 표시(예컨대, 촬영 버튼 아이콘)하고, 카메라 장치(150)를 사용해서 예비 촬영하고 있는 프리뷰 화면을 통해서, 촬영 버튼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누르는 동작 등의 기준 입력을 수행하면 표시부(131)에 표시하고 있는 UI 동작 구성을 모션 캡쳐(Motion Capture)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또는 동작 감지 센서는 객체의 동작에서 기준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촬영 버튼 아이콘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전자 장치(100)의 프리뷰 화면에 UI 동작을 구성하여 표시하는 가장 장치일 수 있다.
도 5b는 본 개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고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UI 동작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장치(150) 또는 동작 감지 장치(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고, 카메라 서비스(미도시)의 프리뷰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133)의 프리뷰 화면에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장치(150) 또는 동작 감지 장치(미도시)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식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 방식은 예컨대, 적외선 무선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BLE, Wireless Fidelity(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등을 사용하여 약속된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송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50) 또는 동작 감지 장치(미도시)는 전자 장치(100)와 탈부착 가능한 모듈형으로 또는 제 2 전자 장치에 포함되어 구성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장치(150)로부터 프리뷰 이미지를 수신하고 UI 동작을 구성하여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50)를 사용해서 객체를 예비 촬영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하는 프리뷰 화면의 범위 또는 동작 감지 장치(미도시)의 작동 범위에서 객체의 팔을 일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등의 미리 약속된 기준 입력을 수행하면, 표시부(131)에 표시하고 있는 UI 동작 구성을 모션 캡쳐(Motion Capture)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또는 동작 감지 센서는 객체의 동작에서 기준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카메라 서비스의 촬영 대기 상태에서 기준 입력을 수행하면,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촬영 대기 상태의 UI 동작을 구성하여 카메라 장치(150)를 통한 프리뷰를 표시하고 있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고, 선택된 모드로 객체를 촬영하는 일련의 동작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동작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603 동작(Operation)은, 카메라 서비스를 실행하면 터치 스크린(133)에 촬영 대기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기준 입력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기준 입력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3)에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명령어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제스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법으로 기준 입력을 정할 수 있다.
기준 입력의 한 실시 예로, 카메라 서비스를 사용함에 있어,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고 있는 프리뷰에서 초점(Focus)을 맞추기 원하는 대상을 터치하는 동작에서 터치를 해제하지 않고 기준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으로 정할 수 있고, 기준 입력 방법은 상술한 한 실시 예의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더하여, 도 3a에서 설명한 기준 입력들 중에서 하나를 정할 수도 있고, 또 다른 방법을 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하는 제스처가 상기 정한 기준 입력을 수행하면 605 동작을 진행할 수 있고, 기준 입력을 수행하지 않으면 도 6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605 동작은, 전자 장치(100)의 촬영 대기 상태에서 기준 입력을 결정하면, 촬영 예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촬영 예비 동작의 한 실시 예로는, 초점을 맞추고자 터치 스크린(133)의 프리뷰 일정 부분을 터치한 603 동작에서의 입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장치(150)를 사용하여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포커싱(Focusing)할 수 있다.
605 동작을 참고하면, 촬영 예비 동작은 기준 입력과 동시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음을 보이기 위함이며, 도 3a의 설명과 같이 다른 동작(기준 입력 이전,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 표시 동작과 동시 또는 이후 등)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기준 입력을 수행(603)한 후 촬영 예비 동작과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동작(607) 또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607 동작은, 전자 장치(100)가 기준 입력을 수행하면,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미리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여 UI 동작을 구성하고, 카메라 장치(150)를 이용하여 획득한 프리뷰를 표시하고 있는 터치 스크린(133)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하는 기준 입력의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b, 도 4a 또는 도 4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기준 입력을 수행하는 입력 제스처(315, 317, 319, 323 또는 325의 터치 영역)에 대응하여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예컨대, 원, 반원 또는 반타원, 부채꼴 등의 형태로 촬영 및 장면 모드 아이콘들이 위치하도록 UI 동작을 구성하여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컨대, 터치 스크린(133)을 통해서 선택한 촬영 및 장면 모드에 대응하여 선택한 촬영 및 장면 모드의 하위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c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선택한 촬영 및 장면 모드가 제어하는 변수들의 변경 가능한 설정 값을 표시하는 메뉴 아이콘들을 UI 동작을 구성하여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609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에서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 도 3b와 같이 표시된 터치 스크린(133)에서 풍경 모드(305) 를 선택(317)하고자 할 때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서 드래그(Drag, 끌기)를 사용하도록 정해진 경우에는, 도 3a에서 터치 스크린(133) 상에 기준 입력(315)을 수행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 3b의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301 내지 313)를 표시하고, 풍경 모드(305) 아이콘 위로 드래그하여 선택(317)하고 터치를 해제하는 터치 스크린(133)에서 사용하는 터치(Touch), 드래그(Drag), 릴리즈(Release)의 통상적인 드래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더하여, 풍경 모드(305) 의 하위 메뉴로 줌(Zoom)기능의 배율을 제어할 수 있고 3배의 확대를 선택하는 경우, 풍경 모드를(305)를 선택하고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풍경 모드(305)의 하위 메뉴로 줌(Zoom)기능의 배율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331 내지 337)를 표시하고, 3배 확대 모드(333) 아이콘 위로 드래그 하여 선택(219)하고 터치를 해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들에서,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에는 터치 후 드래그만을 한정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133)에 촬영 및 장면 모드를 표시하고 예컨대, 한번 터치(클릭) 또는 복수의 터치(예컨대, 더블 클릭), 플릭(Flick), 호버링(Hovering) 등의 통상적으로 터치 스크린(133)에서 선택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호버링(Hovering)이라 함은, 터치를 통해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터치펜 등의 물체로 터치 입력 장치(132)가 위치하는 터치 스크린(133)을 터치함으로써 입력을 결정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133)으로부터 기준 거리 내에 위치함으로써 터치입력 장치(132)의 입력을 결정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호버링(Hovering)의 명칭 외에도, 트루 터치(True Touch), 플로팅 터치(Floating Touch), 공간 터치 등의 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609 동작에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선택하면 613 동작을 진행하고, 선택하지 않는 경우 611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611 동작에서,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카메라 장치(150)를 제어하고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609 동작의 촬영 및 장면 모드 설정 메뉴에서 풍경 모드(305)를 선택하고, 하위 배율 메뉴에서 3배 확대(333)를 선택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장치(150)의 특성을 고려하여 풍경 모드(305)에 미리 프로그램된 정보에 대응하여 카메라 장치(150)를 제어하고, 카메라 장치(150)의 줌(Zoom) 기능의 배율을 3배로 제어하고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609 동작의 촬영 및 장면 모드 설정 메뉴에서 스마일 모드(311)를 선택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장치(150)의 특성을 고려하여 스마일 모드(311)에 미리 프로그램된 정보에 대응하여 카메라 장치(150)를 제어하고, 카메라 장치(150)에서 웃는 표정을 감지하면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하면, 도 6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611 동작은, 609 동작에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에서 선택을 하지 않고 모드 선택 동작의 취소 또는 종료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a를 참고하여, 터치 스크린(133)의 프리뷰 일정 부분을 터치하여 터치 부분의 카메라 장치(150) 초점을 맞추는 촬영 예비 동작을 수행하고, 기준 입력을 수행하여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찰영 및 장면 모드 설정을 취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설정을 취소하는 동작을 감지하면,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 해제하고 615 동작을 진행하거나, 615 동작을 진행하지 않은 채로 종료할 수 있다.
615 동작은, 촬영 및 장면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의 모드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촬영 및 장면 모드 설정을 취소하면, 기존의 촬영 및 장면 모드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하도록 명령어를 프로그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611 동작에서, 촬영 및 장면 모드 설정을 취소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기존의 촬영 및 장면 모드에 프로그램된 정보에 대응하여 카메라 장치를 제어하거나, 제어 없이 객체를 촬영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존의 모드에 대응하여 객체를 촬영하면, 도 6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7를 참고하면, 촬영 및 장면 모드 설정 동작을 표시하도록 명령할 수 있는 기준 입력과,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제 2 표시부(미도시) 또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동작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701 동작은, 입력한 제스처가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프로그램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하는 기준 입력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로, 도 3a 또는 603 동작에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준 입력들 중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기준 입력으로 정할 수 있고,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기준 입력을 정하는 다른 실시 예로, 터치 스크린(133)의 터치 입력 장치(132)는 터치 스크린(133)을 터치함으로써 입력을 결정하는 방식 외에도 예컨대, 직접 터치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133)으로부터 기준 거리 내의 호버링(Hovering) 상태에서의 자기장을 통한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입력 장치(132)의 입력을 결정하는 기준 입력으로 정할 수도 있다.
기준 입력을 정하는 또 다른 실시 예로, 터치 스크린(133) 또는 입력 장치(미도시)를 사용하는 방법 외에도, 전자 장치(100)에 미리 약속된 명령어를 마이크로폰(142)을 통해 음성으로 입력하는 음성 명령(또는 음성 입력), 일정 시간이상 대기, 얼굴 또는 생체 인식, 뇌파 인식, 제 2 전자 장치로부터의 제어 등의 방식을 기준 입력으로 정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44)의 기준 입력을 호버링으로 정하는 경우, 호버링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기준 입력을 정하는 또 다른 실시 예로, 카메라 장치(150)를 통한 프리뷰를 터치 스크린(133) 또는 제 2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하고, 표시하는 프리뷰의 기준 영역과 카메라 장치(150) 또는 동작 감지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미리 정한 제스처를 연동하여 터치입력 장치(132)의 입력을 결정하는 기준 입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a를 참고하면,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의 기준 입력을 터치 스크린(133) 또는 제 2 표시부에 표시되는 버튼 아이콘(511)과, 카메라 장치(150) 또는 동작 감지 장치(미도시)를 사용하는 제스처를 연동하여 정하는 경우, 카메라 장치(150) 또는 동작 감지 장치(미도시)를 통해 획득하는 제스처가 터치 스크린(133) 또는 제 2 표시부에 표시되는 프리뷰상의 기준 영역에 표시되는 버튼 아이콘(511)을 터치 또는 누르는 듯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703 동작은,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미리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여 UI 동작을 구성하고, 카메라 장치(150)를 이용하여 획득한 프리뷰를 표시하고 있는 터치 스크린(133)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a, 3b, 3c의 터치 스크린(133) 화면에 구성하는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301내지 313) 또는 607 동작에서 설명한 실시 예의 표시들 중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표시 방법으로 정할 수 있고,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 방법의 다른 실시 예로, 카메라 장치(150)를 전자 장치(100) 외부에 유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BLE, WIFI Dirrect 등의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고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카메라 장치(150)로부터 약속된 명령어에 대응하여 프리뷰를 수신하고,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미리 정해진 정보에 대응하여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UI 동작을 구성하고,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 장치(150)는 제 2 전자 장치(미도시)의 구성일 수 있다.
표시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터치 스크린(133) 또는 제 2 표시부(미도시)를 전자 장치(100) 외부에 유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BLE, WIFI Dirrect 등의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고 있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약속된 명령어에 대응하여 프리뷰와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미리 정해진 정보대로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UI 동작을 구성하고, 전자 장치(100) 외부의 터치 스크린(133) 또는 제 2 표시부(미도시)로 송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스크린(133) 또는 제 2 표시부(미도시)는 제 2 전자 장치(미도시)의 구성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카메라 장치(150)와 터치 스크린 또는 제 2 표시부이 서로 다른 장치의 구성으로 가능한 실시 예를 도 5b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5b의 터치 스크린(133)은 터치 입력 장치(132)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표시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705 동작은, 선택한 촬영 및 장면 모드가 제어하는 변수들 중에서 변경 가능한 설정 값을 포함하고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선택한 촬영 및 장면 모드의 변수가 변경 가능한 설정 값을 포함하면 707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도 7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707 동작은, 선택한 촬영 및 장면 모드가 제어하는 변수들 중에서 변경 가능한 설정 값을 포함하는 경우, 설정 값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촬영 및 장면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133)의 일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b와 도3c를 참고하면, 도 3b에서 풍경 모드(305)를 선택하고, 풍경 모드는 카메라 장치(150)의 줌(Zoom) 기능의 배율을 선택할 수 있는 설정 값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이미지 프로그램(114)에 정해진 방법에 대응하여 풍경 모드의 줌(Zoom) 기능의 배율을 선택할 수 있는 설정 값에 대한 UI 동작을 구성하여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707 동작을 수행하면 도 7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100)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100)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예컨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7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카메라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프리뷰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카메라 셔터 기능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터치가 유지되면서 드래그되는 것을 감지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가 감지된 것에 기반하여, 촬영 방법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표시하는 동작;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촬영 방법에 관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로 드래그 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 방법을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선택된 촬영 방법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촬영 방법으로 이미지 촬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방법은,
    상기 카메라의 노출 값, 셔터 스피드 설정 값, 조리개 설정 값, ISO 감도 설정 값, 초점 거리 설정 값, 촬영 거리 설정 값, 줌 기능 배율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변수로 포함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 값은 고정 또는 변경 가능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호버링 입력, 터치로 입력, 두 번 터치 입력, 세 번 터치 입력, 터치 및 홀드 입력, 터치 및 드래그 및 릴리즈 입력, 얼굴 또는 생체 인식을 통한 입력, 뇌파 인식을 통한 입력, 음성 입력, 제 2 전자 장치에서 입력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수행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또는 상기 프리뷰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촬영 방법에 관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위치, 크기, 투명도, 밝기, 색상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화면 또는 상기 촬영 방법에 관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상기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 전자 장치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해 획득된 프리뷰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의 동작 감지 장치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동작,
    상기 물체의 움직임이 인식된 것에 응답하여 촬영 방법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 및
    상기 카메라 장치 또는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제2 전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촬영 방법으로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명령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카메라 장치 또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유선 통신 방식,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이동 통신, 적외선 무선통신, 블루투스, WIFI, BLE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연결하는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방법은,
    상기 카메라 장치의 셔터 스피드 설정 값, 조리개 설정 값ISO 감도 설정 값, 초점 거리 설정 값, 촬영 거리 설정 값 중의 둘 이상을 변수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 또는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변수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을 상기 전자 장치에서 수신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고정 또는 변경하는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은,
    동작 감지 장치 또는 상기 카메라 장치의 정해진 범위에서 입력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동작 감지 장치는 센싱 범위에서 수행하는 객체의 동작을,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하는 상기 객체의 제스처 및/또는 모션을 모션 캡쳐로 획득하는 방법.
  15.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된 프리뷰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카메라 셔터 기능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감지된 터치 입력의 터치가 유지되면서 드래그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의 드래그가 감지된 것에 기반하여, 촬영 방법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촬영 방법에 관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위치로 드래그된 것이 감지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촬영 방법을 선택하고,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선택된 촬영 방법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된 것을 감지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선택된 촬영 방법으로 이미지 촬영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 방법의 선택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방법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노출 값, 셔터 스피드 설정 값, 조리개 설정 값, ISO 감도 설정 값, 초점 거리 설정 값, 촬영 거리 설정 값, 줌 기능 배율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변수로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스처를 통한 입력, 모션을 통한 입력, 얼굴 또는 생체 인식을 통한 입력, 뇌파 인식을 통한 입력, 음성 입력, 제 2 전자 장치에서 입력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뷰 화면에 표시하는 상기 촬영 방법에 관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의 위치, 크기, 모양, 배열, 투명도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재설정하고 터치 스크린의 프리뷰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리뷰 화면 또는 상기 촬영 방법에 관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상기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2 전자 장치에 표시하도록 더 설정되는 전자 장치.
KR1020130070778A 2013-06-20 2013-06-20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9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78A KR102092330B1 (ko) 2013-06-20 2013-06-20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307,890 US9313402B2 (en) 2013-06-20 2014-06-18 Method for photographing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5/072,510 US9591209B2 (en) 2013-06-20 2016-03-17 Method for photographing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5/449,254 US10148886B2 (en) 2013-06-20 2017-03-03 Method for photographing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778A KR102092330B1 (ko) 2013-06-20 2013-06-20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62A KR20140147462A (ko) 2014-12-30
KR102092330B1 true KR102092330B1 (ko) 2020-03-23

Family

ID=5211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778A KR102092330B1 (ko) 2013-06-20 2013-06-20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9313402B2 (ko)
KR (1) KR102092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3954A1 (zh) 2011-09-09 2013-03-1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陀螺式动态自平衡云台
KR102063915B1 (ko) * 2013-03-14 2020-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14155474A1 (ja) * 2013-03-25 2014-10-02 株式会社 東芝 電子機器、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メニュー表示プログラム
KR102092330B1 (ko) * 2013-06-20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8903568B1 (en) * 2013-07-31 2014-12-02 SZ DJI Technology Co., Ltd Remote control method and terminal
US10540073B2 (en) * 2013-09-24 2020-01-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mounted external device
CN104903790B (zh) 2013-10-08 2018-07-24 深圳市大疆灵眸科技有限公司 用于增稳和减振的装置和方法
JP6231869B2 (ja) * 2013-12-12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通信機器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503612B1 (en) * 2014-10-20 2016-11-22 Evernote Corporation Glare mitigation for dynamic document scanning
CA2965354C (en) * 2014-10-24 2023-03-28 Beezbutt Pty Limited Camera application
KR101662560B1 (ko) * 2015-04-23 2016-10-05 김상진 카메라 기능 설정과 영상 촬영을 동시에 수행하는 카메라 셔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8353126B (zh) 2015-04-23 2019-08-23 苹果公司 处理相机的内容的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101889A3 (en) 2015-06-02 2017-03-0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16211A (ko) * 2015-08-03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A2997029A1 (en) * 2015-09-02 2017-03-09 Thumbroll Llc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images and presenting a series of aligned images
KR102399764B1 (ko) 2015-09-22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촬영 방법
JP6700708B2 (ja) * 2015-10-09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170055869A (ko) * 2015-11-12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831337B2 (en) * 2016-01-05 2020-11-1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radial menu system
USD797786S1 (en) * 2016-02-19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1582732S (ko) 2016-05-17 2017-07-31
JP1582752S (ko) * 2016-05-17 2017-07-31
US9854156B1 (en) 2016-06-12 2017-12-2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US10303333B2 (en) * 2016-09-21 2019-05-28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method for camera user interfa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317619B1 (ko) * 2016-09-23 2021-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41366A (ko) * 2016-10-14 201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00059597A1 (en) * 2016-10-29 2020-02-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hooting method and terminal
JP6783640B2 (ja) * 2016-11-30 2020-11-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873695B2 (en) * 2016-12-27 2020-12-22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983687B1 (en) * 2017-01-06 2018-05-29 Adtile Technologies Inc. Gesture-controlle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6815886B2 (ja) * 2017-02-14 2021-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586316B2 (en) 2017-08-07 2020-03-10 Morphotrust Usa, Llc Reduction of glare in imaging documents
CN109510937A (zh) * 2017-09-15 2019-03-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拍照模式的切换方法及终端
US10733469B2 (en) 2017-12-29 2020-08-04 Idemia Identity & Security USA LLC Capturing digital images of documents
US11112964B2 (en) 2018-02-09 2021-09-07 Apple Inc. Media capture lock affordance for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833781B (zh) * 2018-06-15 2021-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预览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770601B2 (en) 2019-05-06 2023-09-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706521B2 (en) 2019-05-06 2023-07-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212449B1 (en) * 2020-09-25 2021-12-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edia capture and management
CN113727018B (zh) * 2021-06-24 2022-12-02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设备
US20240114236A1 (en) * 2022-09-29 2024-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photographer with semantic intelligen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0991A (ja) * 2003-05-13 2004-12-0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JP2007081537A (ja) * 2005-09-12 2007-03-29 Sony Corp 撮像装置
US20070103543A1 (en) 2005-08-08 2007-05-10 Polar Industries, Inc. Network panoramic camera system
JP2010067260A (ja) * 2008-08-11 2010-03-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10194010A1 (en) 2010-02-05 2011-08-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arch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2079138A (ja) * 2010-10-04 2012-04-19 Olympus Corp ジェスチャ認識装置
US20120274796A1 (en) 2011-04-29 201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3034237A (ja) * 2012-10-17 2013-02-1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2359B2 (ja) 2004-08-24 2011-01-12 Hoya株式会社 表示機能を備えたカメラ
KR20060037788A (ko) 2004-10-28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 장치와 방법
US20060125928A1 (en) 2004-12-10 2006-06-15 Eastman Kodak Company Scene and user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
KR20060072686A (ko) 2004-12-23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구동 및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US8149277B2 (en) * 2006-07-13 2012-04-03 Nikon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system, and television set
KR101448617B1 (ko) * 2007-06-04 201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신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방법
KR101354899B1 (ko) 2007-08-29 2014-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사진 촬영 방법
KR101505681B1 (ko) 2008-09-05 201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방법
KR20100088248A (ko) 2009-01-30 2010-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594295B1 (ko) 2009-07-07 201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촬영 방법
KR101599886B1 (ko) * 2009-09-29 2016-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장면 모드 표시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38033B1 (ko) 2011-11-25 2018-03-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의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1343591B1 (ko) 2012-09-03 201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92330B1 (ko) * 2013-06-20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0991A (ja) * 2003-05-13 2004-12-0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
US20070103543A1 (en) 2005-08-08 2007-05-10 Polar Industries, Inc. Network panoramic camera system
JP2007081537A (ja) * 2005-09-12 2007-03-29 Sony Corp 撮像装置
JP2010067260A (ja) * 2008-08-11 2010-03-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10194010A1 (en) 2010-02-05 2011-08-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arch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2079138A (ja) * 2010-10-04 2012-04-19 Olympus Corp ジェスチャ認識装置
US20120274796A1 (en) 2011-04-29 201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3034237A (ja) * 2012-10-17 2013-02-1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13402B2 (en) 2016-04-12
US20160198086A1 (en) 2016-07-07
US10148886B2 (en) 2018-12-04
US20170180649A1 (en) 2017-06-22
US20140375862A1 (en) 2014-12-25
KR20140147462A (ko) 2014-12-30
US9591209B2 (en)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330B1 (ko) 촬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180908B1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image photographing system for performing photographing by using multipl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es, and image photographing methods thereof
JP7005646B2 (ja) 撮影方法及び端末
KR101983725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1016518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975838B1 (en) Image shooting parameter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KR10221624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60165133A1 (en) Method of controlling camera of device and device thereof
EP3672227B1 (en) Dynamic region of interest adaptation and image capture device providing same
KR101969424B1 (ko)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EP3154255B1 (en) Imaging device and video generation method
US10855911B2 (en) Method for setting image capture conditions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EP2887648B1 (en) Method of performing previewing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US9811246B2 (en) Method for setting image capture conditions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the same
JP7321886B2 (ja) 撮像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711316A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60096853A (ko) 전자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6978826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9205161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84887B2 (ja) ズーム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257255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639329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撮像制御装置、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2081659B1 (ko)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
JP2018132961A (ja) 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