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176B1 - 일회용 환자복 상의 - Google Patents

일회용 환자복 상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176B1
KR102092176B1 KR1020180107113A KR20180107113A KR102092176B1 KR 102092176 B1 KR102092176 B1 KR 102092176B1 KR 1020180107113 A KR1020180107113 A KR 1020180107113A KR 20180107113 A KR20180107113 A KR 20180107113A KR 102092176 B1 KR102092176 B1 KR 102092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ortion
patient
string
diagonal
b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693A (ko
Inventor
박정희
윤진미
Original Assignee
윤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미 filed Critical 윤진미
Priority to KR102018010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1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45Patients' garments for the upper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Closures using straps or t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환자의 양팔이 삽입되며 양팔을 둘러싸는 소매와 상기 소매와 연결되며 환자의 상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 및 상기 소매 및 상기 전면부와 연결되며 환자의 상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환자의 가슴을 일측 방향으로 덮는 제1 전면부와, 상기 제1 전면부를 덮으면서 환자의 가슴을 타측 방향으로 덮는 제2 전면부로 이루어지며, 제1 전면부와 제2 전면부에는 연결끈이 마련되어 서로 다른 방향에서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상의 전면을 2중으로 덮어 신체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환자복 상의{Disposable patient upper cloth}
본 발명은 일회용 환자복 상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상반신을 안정적으로 커버하도록 제작된 일회용 환자복 상의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제공하는 환자복은 다른 환자의 적출물이나 분비물이 묻어있던 환자복을 재세탁하여 입는 것이 통상적이었으며, 최근에는 감염 및 위생 관련 이슈로 일회용 환자복이 채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환자복 상의의 경우 대부분 앞부분만 트인 상태에서 단추를 이용하여 잠그는 것이 대부분이며, 하의의 경우 허리측에 조임끈 또는 탄성재질로 처리하여 쉽게 착의 및 탈의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환자복을 일회용으로 제작하는 경우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환자의 여러 자세에 따라서도 환자복이 벗겨지지 않으면서 쉽게 고정될 수 있는 환자복이 제작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환자에 대한 의료 행위시에 착용하게 되는 환자복이 환자의 특정 신체 부위를 안정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프라이버시를 보호받으면서 대기 및 의료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일회용 환자복 상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환자의 양팔이 삽입되며 양팔을 둘러싸는 소매; 상기 소매와 연결되며 환자의 상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 및 상기 소매 및 상기 전면부와 연결되며 환자의 상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환자의 상의 전면을 일측 방향으로 덮는 제1 전면부와, 상기 제1 전면부를 덮으면서 환자의 가슴을 타측 방향으로 덮는 제2 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면부의 테두리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제1 연결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전면부의 테두리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제3 연결끈이 마련되며,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는 상기 전면부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부착된 제2 연결끈과 상기 전면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부착된 제4 연결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끈과 제2 연결끈이 상호 결속되어 상기 제1 전면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3 연결끈과 제4 연결끈이 상호 결속되어 상기 제2 전면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면부는 환자의 목부분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재단되는 내측 사선테두리와 상기 사선테두리로부터 연장되며 수직방향으로 재단된 내측 수직테두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전면부는 상기 제1 전면부와 교차하는 외측 사선테두리와 상기 외측 사선테두리에서 연장되는 외측 수직테두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연결끈은 상기 내측 사선테두리와 내측 수직테두리의 경계 지점에 부착되고, 상기 제3 연결끈은 상기 외측 사선테두리와 외측 수직테두리의 경계 지점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끈, 제2 연결끈, 제3 연결끈 및 제4 연결끈은 부직포를 적어도 두겹이상 접합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가공된 부재이며, 각각의 연결끈의 단부는 상기 전면부에 초음파 접합을 통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면부와 제2 전면부를 이루는 테두리 부분과, 환자의 목이 접촉하는 테두리 부분은 오버로크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환자에 대한 의료 행위를 실시하는 중에 착용하기 위해 제작되는 것으로, 특히 여성에 있어서 가슴과 같은 민감한 신체 부위를 안정적으로 커버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엑스레이 촬영과 같은 의료 행위를 실시하기 위해 대기하는 과정과 의료 절차를 수행하는 중에도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벼운 재질로 제작되어 취급이 용이하고, 일회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감염과 같은 문제에서 안전하고 위생상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환자복 상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환자복 상의의 후면도
도 3은 도 1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환자복 상의에서 연결끈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의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환자복 상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환자복 상의의 후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좌우에 환자의 양팔이 삽입되면서 환자의 양팔을 둘러싸는 소매(10), 상기 소매와 연결되며 환자의 상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40), 상기 소매 및 상기 전면부와 연결되며 환자의 상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는 환자의 가슴을 일측 방향으로 커버하는 제1 전면부(20)와 상기 제1 전면부(20)를 커버하면서 환자의 가슴을 타측 방향으로 커버하는 제2 전면부(3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전면부(30)는 상기 제1 전면부(20)를 덮도록 형성되며, 환자의 가슴은 상기 제1 전면부(20)와 제2 전면부(30)에 의해 2중으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면부(20)와 제2 전면부(30)는 환자의 목을 기준으로 환자의 목부분에서부터 사선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재단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전면부(20)와 제2 전면부(30) 높이의 중간 지점부터는 수직 방향으로 재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전면부(20)가 좌측 사선방향으로 재단되고, 제2 전면부(30)가 우측 사선방향으로 재단되어 환자의 전면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제1 전면부와 제2 전면부의 재단방향이 서로 반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환자가 주로 사용하는 손의 위치(오른손잡이, 왼손잡이)에 따라서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면부(20)는 환자의 목부분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재단된 내측 사선테두리(23)와 상기 내측 사선테두리(23)로부터 연장되며 수직방향으로 재단된 내측 수직테두리(24)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면부(20)의 테두리를 이루는 일지점에는 제1 연결끈(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연결끈(22)은 상기 제1 전면부(20)의 변곡지점(S), 즉 사선방향으로 재단된 내측 사선테두리(23)와 직선방향으로 재단된 내측 수직테두리(24)가 만나는 교차점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의 좌측에 해당하며, 소매(10)의 하부에서 전면부(40)와 후면부(50)의 내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2 연결끈(32)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끈(32)은 상기 전면부(40)와 후면부(50) 경계의 내부(환자의 신체 방향)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연결끈(32)은 상기 제1 연결끈(22)이 부착된 높이와 대응되는 지점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면부(30)는 환자의 목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전면부(20)와 교차하는 사선방향으로 재단된 외측 사선테두리(33)와 상기 외측 사선테두리(33)로부터 연장되며 수직방향으로 재단된 외측 수직테두리(34)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면부(30)의 테두리를 이루는 일지점에는 제3 연결끈(31)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연결끈(31)은 상기 제2 전면부(30)의 변곡지점, 즉 사선방향으로 재단된 외측 사선테두리(33)와 직선방향으로 재단된 외측 직선테두리(34)의 교차점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40)의 우측에 해당하며, 소매(10)의 하부에 위치한 전면부(40)와 후면부(50)의 경계선의 일지점에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4 연결끈(2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연결끈(21)은 상기 전면부(40)와 후면부(50) 경계의 외부 표면에 돌출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 연결끈(21)은 상기 제3 연결끈(31)이 부착된 지점의 높이와 대응되는 지점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끈(22), 제2 연결끈(32)의 부착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전면부(20)는 일회용 환자복을 구성하는 전면부(40)와 후면부(50)의 내부에서 결속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연결끈(31), 제4 연결끈(21)의 부착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전면부(30)는 상기 전면부(40)와 후면부(50)의 외부에서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끈은 상호 결속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결속에 적합하도록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B 영역은 제2 전면부(30)의 사선테두리(33)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테두리 부분이 오버로크 처리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의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제1 전면부(20)와 제2 전면부(30)를 이루는 테두리 부분과 이를 연결되며 환자의 목이 접촉하는 테두리 부분이 오버로크 처리되어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면부(20)에 포함된 내측 사선테두리(23), 내측 수직테두리(24)와, 제2 전면부(30)에 포함된 외측 사선테두리(33), 외측 수직테두리(34)와, 상기 외측 사선테두리(33)와 내측 사선테두리(23)을 연결하는 목부분의 테두리는 모두 오버로크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부직포를 사용한 얇은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환자가 일회용 환자복 상의를 착용시에 테두리 부분은 바깥방향 또는 안쪽방향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실시예의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테두리 부분을 오바로크 처리함에 따라서, 제1 전면부(20)와 제2 전면부(30)의 가장자리 영역에 무게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전면부(20)와 제2 전면부(30)의 테두리 부분이 평평하게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특히 환자의 목부분에 닿는 테두리 부분이 휘어지지 않고 평평하게 유지됨에 따라 일회용 환자복 상의의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제2 전면부(30)의 테두리 부분에 부착된 제3 연결끈(31)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 연결끈(31)의 단부는 제2 전면부(30)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부착 방식은 초음파 접착이 채용될 수 있다. 제3 연결끈(31)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는 제1 내지 제4 연결끈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제1 연결끈 내지 제4 연결끈은 제1 전면부(20)와 제2 전면부(3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서로 묶여지는 구성으로, 각 연결끈을 미싱이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2 전면부(30)에 부착하면 각 연결끈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실이 ?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접착력이 점차 약해져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초음파를 사용하여 각 연결끈을 제1 전면부(20)와 제2 전면부(30)에 접착시키는 방식을 사용하면, 원단과 원단 사이 테이프만 순간적으로 녹여 붙이기 때문에 원단에는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는 이음새의 모양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접착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회용 환자복 상의의 사용예에 대해 살펴본다.
일회용 환자복 상의의 양쪽 소매(10)에 양팔을 삽입하면, 착용한 환자의 가슴 부위에는 제1 전면부(20)와 제2 전면부(30)가 오픈된다. 제1 전면부(20)와 제2 전면부(30)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환자의 가슴을 가리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환자의 옆구리쪽에 신체방향으로 돌출된 제2 연결끈(32)이 있는 쪽이 제1 전면부(20)이다.
우선, 제1 전면부(20)를 환자의 가슴쪽으로 덮은 후에, 제1 전면부(20)의 테두리에 부착된 제1 연결끈(22)과 환자복 상의의 내부로 돌출된 제2 연결끈(32)을 결속한다.
이어서, 제1 전면부(20) 위로 제2 전면부(30)가 교차하도록 환자의 가슴을 덮은 후에 제2 전면부(30)의 테두리에 부착된 제3 연결끈(31)과 환자복 상의의 외부로 돌출된 제4 연결끈(21)을 결속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의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환자의 상의 전면을 제1 전면부(20)와 제2 전면부(30)가 2중으로 덮는 구조이며, 제1 전면부(20)는 안쪽에 마련된 연결끈에 의해 결속되고 제2 전면부는 바깥쪽에 마련된 연결끈에 의해 결속되기 때문에 환자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바람직하게 부직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부직포는 열과 수지를 이용하여 섬유가 서로 얽히도록 기계적인 처리를 하여 제조한 것으로 질감이 종이와 같으며 가볍고 공기가 잘통하여 습기가 차지 않고 세균의 번식이나 증식이 어려워 환자의 수술이나 시술시 간편하게 입기에 적합한 소재이다. 또한, 절단 부분이 풀리지 않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이를 소재로 한 환자복 착용시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환자복 상의에서 연결끈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회용 환자복 상의에서 제4 연결끈(21)을 예시로 도시하였으나, 제1 내지 제4 연결끈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연결끈이라 통칭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끈(21)은 (a), (b)와 같이 두가지의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연결끈(21)은 전면부(40), 후면부(50)와 동일한 소재인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직포는 얇은 소재이기 때문에 한겹으로 연결끈(21) 간의 결속을 수행하면 묶인 결속라인이 얇아, 세게 묶었을 경우 이를 다시 풀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연결끈(21)은 부직포를 적어도 2겹이상으로 접합하여 일정두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는 부직포를 일정한 두께와 폭이 되도록 접어서 연결끈의 외형을 형성한 후에, 상기 연결끈의 연장방향에 따라 상기 연결끈의 중앙 영역을 따라서 실로 재봉선(21)을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연결끈(21)이 제작한 예시를 나타낸다.
(b)는 부직포를 일정한 두께와 폭이 되도록 접어서 연결끈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끈의 연장 방향을 따라 노출된 테두리 영역을 따라 초음파 접합을 수행하여 하나의 연결끈(21)을 제작한 예시를 나타낸다.
실시예의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상술한 두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된 연결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작된 연결끈은 적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강도가 보강됨에 따라 결속시 끊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의 방법은 실로 재봉을 수행하는 것으로 (b)의 초음파 접합 방법에 비해 제작 단가가 더욱 저렴한 장점이 있고, (b)의 방법은 초음파로 많은 부분을 순간 접착하기 때문에 (a)에 비해 연결끈의 접합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실밥도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환자복 상의는 환자에 대한 의료 행위를 실시하는 중에 착용하기 위해 제작되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상의 전면을 내부와 외부에서 2중으로 커버하면서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외피의 결속이 풀리는 경우에도 내피가 환자의 상의 전면을 커버하고 있으므로 환자의 상의 전면이 노출되지 않는다.
특히, 여성에 있어서는 의료행위의 수행을 위해 환자복으로 환복시 주변의 상황을 의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의 일회용 환자복 상의는 특히 여성의 민감한 신체 부위를 안정적으로 커버하는데 유리한 장점을 가지며,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의료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부직포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볍고, 일회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감염과 같은 문제에서 안전하고 위생상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소매
20: 제1 전면부
21: 제4 연결끈
22: 제1 연결끈
23: 내측 사선테두리
24: 내측 수직테두리
30: 제2 전면부
31: 제3 연결끈
32: 제2 연결끈
33: 외측 사선테두리
34: 외측 수직테두리
40: 전면부
50: 후면부

Claims (5)

  1. 환자의 양팔이 삽입되며 양팔을 둘러싸는 소매;
    상기 소매와 연결되며 환자의 상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부; 및
    상기 소매 및 상기 전면부와 연결되며 환자의 상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환자의 상의 전면을 일측 방향으로 덮는 제1 전면부와, 상기 제1 전면부를 덮으면서 환자의 가슴을 타측 방향으로 덮는 제2 전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전면부의 테두리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제1 연결끈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전면부의 테두리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제3 연결끈이 마련되며,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는 상기 전면부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부착된 제2 연결끈과 상기 전면부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부착된 제4 연결끈이 마련되고,
    상기 제1 연결끈과 제2 연결끈이 상호 결속되어 상기 제1 전면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3 연결끈과 제4 연결끈이 상호 결속되어 상기 제2 전면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소매, 전면부, 및 후면부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끈, 제2 연결끈, 제3 연결끈 및 제4 연결끈은 부직포를 적어도 두겹이상 접합하여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가공된 부재이며, 각각의 연결끈의 단부는 상기 전면부에 초음파 접합을 통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전면부와 제2 전면부를 이루는 테두리 부분과, 환자의 목이 접촉하는 테두리 부분은 오버로크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환자복 상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면부는 환자의 목부분을 기준으로 사선방향으로 재단되는 내측 사선테두리와 상기 사선테두리로부터 연장되며 수직방향으로 재단된 내측 수직테두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전면부는 상기 제1 전면부와 교차하는 외측 사선테두리와 상기 외측 사선테두리에서 연장되는 외측 수직테두리로 형성된 일회용 환자복 상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끈은 상기 내측 사선테두리와 내측 수직테두리의 경계 지점에 부착되고, 상기 제3 연결끈은 상기 외측 사선테두리와 외측 수직테두리의 경계 지점에 부착되는 일회용 환자복 상의.
  4. 삭제
  5. 삭제
KR1020180107113A 2018-09-07 2018-09-07 일회용 환자복 상의 KR102092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113A KR102092176B1 (ko) 2018-09-07 2018-09-07 일회용 환자복 상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113A KR102092176B1 (ko) 2018-09-07 2018-09-07 일회용 환자복 상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693A KR20200028693A (ko) 2020-03-17
KR102092176B1 true KR102092176B1 (ko) 2020-03-26

Family

ID=6995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113A KR102092176B1 (ko) 2018-09-07 2018-09-07 일회용 환자복 상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304B1 (ko) * 2022-02-15 2022-06-02 주식회사 메딕프로헬스케어 일회용 의료용 상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705B2 (ja) 1996-07-26 2001-09-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エットワイプスの製造方法
JP2002220712A (ja) 2001-01-19 2002-08-09 Uni Charm Corp 使い捨て手術用外衣
JP2002317313A (ja) * 2001-04-25 2002-10-31 Hirose Shokai:Kk リバーシブル寝衣
KR200437659Y1 (ko) 2007-02-14 2007-12-14 오순애 영.유아 개방형 상의
KR101744050B1 (ko) 2015-11-16 2017-06-20 박주현 상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402A (ja) * 1994-02-21 1995-09-12 Unitika Ltd エプロン
JPH07238403A (ja) * 1994-02-21 1995-09-12 Unitika Ltd エプロン
JP3205705U (ja) * 2016-05-26 2016-08-12 株式会社廣瀬商会 衣類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705B2 (ja) 1996-07-26 2001-09-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エットワイプスの製造方法
JP2002220712A (ja) 2001-01-19 2002-08-09 Uni Charm Corp 使い捨て手術用外衣
JP2002317313A (ja) * 2001-04-25 2002-10-31 Hirose Shokai:Kk リバーシブル寝衣
KR200437659Y1 (ko) 2007-02-14 2007-12-14 오순애 영.유아 개방형 상의
KR101744050B1 (ko) 2015-11-16 2017-06-20 박주현 상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693A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8984B2 (ja) 抗ウイルス性衛生マスク
KR200489311Y1 (ko) 통기성 천과 비닐을 이용한 일회용 감염방지 가운
JP3115816B2 (ja) 肩および上肢部保護衣料
KR101365593B1 (ko) 착용이 용이한 수술가운
KR102092176B1 (ko) 일회용 환자복 상의
KR200492525Y1 (ko) 속옷 일체형 의류
JP6336892B2 (ja) 敏感肌に好適な肌着
JP7154993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US3249948A (en) Disposable cap
KR101361158B1 (ko) 손가락의 욕창방지기능이 구비되는 치매환자용 보호복
CN207544392U (zh) 一种提高医生着装舒适度的手术衣
JP510625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773490B2 (ja) 医療用ガウン
JP2010121235A (ja) 上半身用衣類
JP7023017B1 (ja) 予防衣
JP4997653B2 (ja) 付け袖
CN211483081U (zh) 防辐射手术衣、复合布材,以及用后即弃型手术衣与防辐射罩件
TWI695689B (zh) 複合布材及其製成之防輻射手術衣與防輻射罩件
KR200492772Y1 (ko) 기능성 속치마 바지
JP3061091U (ja) 幼児被服
JP3201199U (ja) 肌着
JP2018040073A (ja) 上半身用衣類
JP3189672U7 (ko)
JP2017214666A (ja) 医療用ガウン
JP6093813B2 (ja) 衣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