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667B1 -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667B1
KR102091667B1 KR1020180075347A KR20180075347A KR102091667B1 KR 102091667 B1 KR102091667 B1 KR 102091667B1 KR 1020180075347 A KR1020180075347 A KR 1020180075347A KR 20180075347 A KR20180075347 A KR 20180075347A KR 102091667 B1 KR102091667 B1 KR 102091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cheonggukjang
increased
hours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156A (ko
Inventor
백진수
강향린
이현순
배정민
손석준
김선영
김나영
정영재
Original Assignee
제너럴네이처주식회사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네이처주식회사,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filed Critical 제너럴네이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11/09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 일반 청국장에 비해 청국장 기능성 성분인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현미를 수침하고 증자시킨 후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현미 발효물을 얻는 단계와; b) 콩을 수침하고 증자시킨 후 고초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청국장을 얻는 단계와; c) 상기 현미 발효물 및 청국장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현미 청국장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Brown rice fermented soybean with increased isoflavone aglycone content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 일반 청국장에 비해 청국장 기능성 성분인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국장이란 콩(대두)을 쪄서 발효시킨 전통 장류식품으로, 물에 수침하여 불린 콩을 증자시킨 후 고초균을 접종한 단기 발효 장류식품이다. 숙성기간동안 삶은 콩에 '바실러스(Bacillus)'라는 고초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고 여기서 효소가 발생하여 끈적한 청국장이 완성된다.
영양학적으로 청국장은 일반 콩보다 훨씬 더 소화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으며 콩 자체만으로도 풍부한 영양소(단백질 40%, 탄수화물 30%, 지질 20% 이외에 각종 비타민과 칼슘, 인, 철, 칼륨 등)를 보유하고 있지만 발효되어 청국장이 된 콩은 바실러스 균이 만든 효소에 의해 소화율이 증가된다.
청국장의 효능으로서 정장작용, 항암효과, 당뇨병 예방 효과 등 다양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며, 특히 대두에 존재하는 이소플라본(isoflavones)은 항산화 물질로서 phytoestrogen에 속하며 대두류, 칡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대두에는 이소플라본이 약 0.1~0.4%정도 함유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소플라본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로 그 구조는 3가지의 비배당체 형태와 9가지의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는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당의 결합 유무에 따라 나뉘게 된다. 대두의 이소플라본은 대부분 배당체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형태는 인체의 소화기관에서는 nonionic passive diffusion 기작에 의해 혈액으로의 흡수가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이소플라본이 비배당체 형태로 변형되면 배당체 이소플라본에 비하여 체내 흡수율이 매우 증가한다.
한편, 청국장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0001 및 0002가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폴리글루탐산이 증가된 청국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대두를 수세한 후 증숙시키는 단계; 및 (B) 표면이 70 내지 80 인 상기 증숙된 대두에 볏짚에서 분리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균주를 접종시켜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분자량이 200 kDa 이상인 고분자량 폴리글루탐산이 생성되며, 생성되는 폴리글루탐산의 함량이 종래에 비하여 1.5 내지 2.5배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0002는 시 오가피의 추출액을 제조하여 이의 추출액에 대두를 침지한 후 청국장을 제조함으로 가시오가피의 효능과 청국장의 효능을 동시에 가지도록 하여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KR10-2017-0069699A (2017.06.21) KR10-1775684B1(2017.08.31)
본 발명은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율을 높이는 방법을 구축하고, 체내 흡수율을 높여 장건강 관련 효능이 증가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현미를 수침하고 증자시킨 후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현미 발효물을 얻는 단계와;
b) 콩을 수침하고 증자시킨 후 고초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청국장을 얻는 단계와;
c) 상기 현미 발효물 및 상기 청국장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현미 청국장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a)단계는 현미를 20~40분 동안 수침하고, 115~125℃에서 20~40분간 증자시킨 후 유산균을 접종하고 20~2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콩을 20~28시간 동안 수침하고, 115~125℃에서 20~40분간 증자시킨 후 고초균을 접종하고 10~14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현미 발효물 및 상기 청국장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14시간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현미 청국장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의 제조방법은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한 현미 발효물에 청국장을 혼합하여 추가 발효함으로서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율을 높여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체내 흡수율을 높여 장건강 관련 효능이 증대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현미발효물, 미발효 현미청국장 및 혼합발효 현미청국장에 대한 유산균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청국장 단독 발효물, 미발효 현미청국장 및 혼합발효 현미청국장에 대한 고초균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현미발효물, 청국장 단독 발효물, 미발효 현미청국장 및 혼합발효 현미청국장에 대한 pH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청국장 단독 발효물 및 혼합발효 현미청국장에 대한 이소플라본 함량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의 제조방법은 a) 현미를 수침하고 증자시킨 후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현미 발효물을 얻는 단계와; b) 콩을 수침하고 증자시킨 후 고초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청국장을 얻는 단계와; c) 상기 현미 발효물 및 상기 청국장을 혼합한 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선별된 현미를 수침하고 증자시킨 후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현미 발효물을 얻는다. 상기 현미의 품종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아미 4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현미를 효과적으로 유산균 발효시키기 위해, 현미를 20~40분 동안 수침하고, 115~125℃에서 20~40분간 증자시킨 후 유산균을 접종하고 37℃에서 20~2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현미 발효물의 제조와 별도로 콩을 수침하고 증자시킨 후 고초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청국장을 제조한다. 이때 콩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고초균의 발효를 증진시키기 위해 콩을 20~28시간 동안 수침하고, 115~125℃에서 20~40분간 증자시킨 후 고초균을 접종하고 10~14시간 동안 37℃, 상대습도 80% 조건에서 발효시키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현미 발효물 및 상기 청국장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을 제조한다. 유산균 발효된 상기 현미 발효물과 상기 청국장을 혼합한 후 발효할 경우 상기 현미 발효물에 의한 유산균 발효에 따른 beta-glucosidase에 의해 배당체 이소플라본 내의 glucoside결합이 제거되어 비배당체 이소플라본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비배당체 이소플라본함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현미 발효물 및 상기 청국장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14시간동안 37℃, 상대습도 80% 조건에서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미 발효물의 혼합비가 적을 경우 beta-glucosidase에 의해 배당체 이소플라본 내의 glucoside결합의 제거가 미비하여 비배당체 이소플라본함량의 증가가 저조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은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한 현미 발효물에 청국장을 혼합하여 추가 발효함으로서 배당체 형태의 이소플라본을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으로 전환율을 높여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체내 흡수율을 높여 장건강 관련 효능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실험에 사용된 대두는 메주 제조용 백태를 순창농협에서 구입하였고, 현미는 고아미 4호로써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전남 장흥 재배)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고초균과 유산균은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ry, MIFI)로부터 제공받아서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먼저, 고아미 4호인 현미를 30분 동안 수침한 후 121℃에서 30분간 증자 후 클린벤치에서 냉각시킨 다음 유산균을 접종하여 24시간 발효하여 현미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순창농협에서 구입한 대두를 선별하여 물에 24시간 동안 수침시킨 후, 121℃, 30분간 증자하고, 클린벤치에서 냉각시킨 후 고초균을 접종하여 인큐베이터(37℃, 상대습도 80%)에서 24시간동안 발효시켜 청국장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현미 발효물과 청국장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2시간을 추가적으로 발효하여 실시예 1인 청국장을 제조하였다.
[생균수 측정]
유산균 생균수의 측정은 시료 1g을 멸균생리식염수로 10진 희석법에 의해 희석한 다음, 희석액을 일반세균용 3M petrifilm (aerobic count plate, 3M Health Care, MN, USA)을 이용하여 배양(37℃, 24시간)한 후 결과를 계수하여 측정하였다. 고초균 생균수의 측정은 시료 1g을 멸균생리식염수로 10진 희석법에 의해 희석한 다음, 희석액을 BHI agar plate에 도말하여 배양(37℃, 24시간)한 후 결과를 계수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로 나타냈다.
청국장과 혼합 발효할 목적으로 제조한 현미 단독 발효 24시간 시료에서 시료 g당 8.60 log CFU로 현미를 발효시켜 충분한 수의 유산균수를 확보하였다. 본 현미 발효물을 청국장과 혼합한 직후(0시간)에서는 시료 g당 8.29 log CFU에서 12시간 발효 후 7.89 log CFU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도 2에서와 같이 청국장에 존재하는 고초균 수가 증가함에 따른 고초균 유래 효소 등에 의해 유산균 생육조건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pH 측정]
pH 측정은 시료 1g을 멸균생리식염수에 5배(w/v) 희석하여 측정하였고, 시료제조방법이 서로 다른 현미발효 및 혼합 청국장을 제조하여 pH를 분석한 결과를 도 3으로 나타냈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시료인 청국장 단독 발효 24시간시료에서 pH 6.89±0.04로 측정되어 중성조건으로, 현미 단독 발효 24시간 시료에서는 pH 4.45±0.07 감소하여 산성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미와 청국장을 혼합한 직후(발효 0시간)에 5.91±0.03에서 12시간 추가 발효(현미 청국장 혼합발효 12시간) 시 5.97±0.05 5.97로 다소 증가 한 경향과, 고초균이 증가한 결과를 검토해 보았을 때 고초균 생육 증가로 인해 pH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소플라본 추출 및 분석]
이소플라본 추출 및 분석은 발효가 종료된 청국장을 동결건조 분말화하여 본 실험의 이소플라본 함량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먼저 시료 1~10g을 정밀히 취하고, 위의 시료를 250mL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여기에 80% 메탄올 40mL를 넣은 후 호일을 씌운다. 항온수조에서 2시간 추출한다. 냉각시킨 후 2M 수산화나트륨용액 3mL를 넣는다. 이를 상온에서 10분간 회전 교반한 후 초산 1mL를 넣는다. 80% 메탄올을 사용하여 50mL로 하여 하고 혼합한다. 여액 5mL에 증류수 4mL를 넣고 메탄올을 사용하여 10mL로 한다. 원심분리(5,000rpm, 5분)한 상등액을 0.45㎛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C18칼럼을 사용하여 HLPC 분석을 실시하였다.
HLPC 분석조건-기기 및 컬럼
Column Luna C18
(250 X 4.6mm, 5㎛, Phenomenex, USA)
Flow rate 1 mL/min
Injection Volume 5 μL
Detector UV 260nm
Column temperature 40℃
Mobile phase A: D.W: MeOH: Acetic acid(88:10:2)
B: MeOH: Acetic acid(98:2)
HLPC 분석조건- 이동상
Time A(%) B(%)
0 90 10
21 60 40
32 60 40
35 40 60
36 90 10
40 90 10
본 발명 기능성 성분(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의 증대를 위한 제조공정에 독자적인 특이성을 부여하기 위해 일반 청국장(청국장 단독 24시간 발효)과 실시예 1인 현미 청국장의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을 HLPC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도 4로 나타냈다.
총 이소플라본함량은 청국장 단독발효에서는 시료 g당 1102.48±21.08, 혼합발효 12시간 시료에서는 1056.96±98.44로 약간 감소하였지만, 비배당체(daidzein과 genistein의 합)는 g당 39.36±0.94에서 51.14±2.54로 약 1.4배 증가하였다. 이는 혼합발효 시 유산균 발효에 따른 beta-glucosidase에 의해 배당체 내 glucoside결합이 제거되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5)

  1. a) 현미를 20~40분 동안 수침하고, 115~125℃에서 20~40분간 증자시킨 후 유산균을 접종하고 20~28시간 동안 발효시켜 현미 발효물을 얻는 단계와;
    b) 콩을 10~14시간 동안 수침하고, 115~125℃에서 20~40분간 증자시킨 후 고초균을 접종하고 10~14시간 동안 발효시켜 청국장을 얻는 단계와;
    c) 상기 현미 발효물 및 상기 청국장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14시간동안 발효시켜 현미 청국장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청국장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5347A 2018-06-29 2018-06-29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09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47A KR102091667B1 (ko) 2018-06-29 2018-06-29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47A KR102091667B1 (ko) 2018-06-29 2018-06-29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56A KR20200002156A (ko) 2020-01-08
KR102091667B1 true KR102091667B1 (ko) 2020-03-20

Family

ID=6915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347A KR102091667B1 (ko) 2018-06-29 2018-06-29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6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90B1 (ko) * 2008-05-09 2010-10-1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쌀겨-황국균-청국장균 배양혼합물의 제조 방법 및 그배양물의 가공 방법
KR101487847B1 (ko) 2013-10-08 2015-02-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기간이 단축된 저온 숙성 된장
KR101703989B1 (ko) 2014-03-20 2017-02-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를 이용한 이소플라본과 균체외 다당류가 증가된 장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659A (ko) * 2014-11-27 2016-06-07 (주)해나눔 효소 전처리를 이용한 유산균의 곡물 이용성 및 보존성을 높여주는 유산균 발효곡물의 제조방법
KR101775684B1 (ko) 2015-03-26 2017-09-06 우경제 가시오가피 청국장 제조방법
KR20170069699A (ko) 2015-12-11 2017-06-21 해남자연농업영농조합법인 폴리글루탐산의 함량이 증가된 청국장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90B1 (ko) * 2008-05-09 2010-10-18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쌀겨-황국균-청국장균 배양혼합물의 제조 방법 및 그배양물의 가공 방법
KR101487847B1 (ko) 2013-10-08 2015-02-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기간이 단축된 저온 숙성 된장
KR101703989B1 (ko) 2014-03-20 2017-02-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를 이용한 이소플라본과 균체외 다당류가 증가된 장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56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076B1 (ko) 발효오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97472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혼합발효되고 우수한 기호성과 증진된 가바 함량 및 증진된 기능성을 갖는 여주-과채 발효음료
Lan et al. Effects of different strains and fermentation method on nattokinase activity, biogenic amin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natto
KR101799424B1 (ko) 황기 발효산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im et al. In vitro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actic acid bacteria-biotransformed mulberry (Morus alba Linnaeus) fruit extract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KR102044602B1 (ko) 가바, 공액리놀레산 및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이 증진된 콩 발효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이용되는 복합 생균제제 및 이 콩 발효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비만 기능성식품
KR101098467B1 (ko) 2단계 발효 방식에 의한 발효 홍삼 및 그 제조 방법
CN106472711A (zh) 一种富含异黄酮的水果味酸豆乳酪的发酵方法
KR101193634B1 (ko) 보리된장 제조방법
KR102065584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2223 균주를 이용한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이 증진된 토마토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1091833B1 (ko) 유산균을 이용한 sac 고함량 마늘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20064791A (ko) 콩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식초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식초
KR102091667B1 (ko)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WO2017038793A1 (ja) 大豆発酵物及び大豆発酵物の製造方法
KR100832231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로부터 불쾌취가 적고기능성이 강화된 청국장의 제조방법
KR101839970B1 (ko) 우수한 영양성과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성 소스 및 그 제조방법
CN110574926A (zh) 一种高值化利用无名葵的工艺
KR100795239B1 (ko)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식품·음료의 제조방법
KR20120041033A (ko) 대추 발효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37942A (ko) 현미를 주원료로하는 기능성 현미식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96206A (ko) 에쿠올이 생성된 발효커피생두, 그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
KR102189342B1 (ko) β-글루코시다아제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RCM10371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73055B1 (ko) 신규한 스타터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두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KR100311256B1 (ko) 검정콩을 이용한 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8204A (ko) 홍국템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