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362B1 -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362B1
KR102091362B1 KR1020190176498A KR20190176498A KR102091362B1 KR 102091362 B1 KR102091362 B1 KR 102091362B1 KR 1020190176498 A KR1020190176498 A KR 1020190176498A KR 20190176498 A KR20190176498 A KR 20190176498A KR 102091362 B1 KR102091362 B1 KR 102091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information
service
logistics
ware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승
Original Assignee
신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승 filed Critical 신현승
Priority to KR1020190176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류 서비스를 이용하는 화주(consignor)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화주의 화물을 보관하는 물류 창고; 및 상기 물류 창고를 운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물류 창고로 입고된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화물 입고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보관 서비스를 스케줄링 하고, 상기 물류 창고에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된 상기 보관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보관 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LOGISTICS SERVICES PROVIDING METHOD FOR LOGISTICS SYSTEM BASED ON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하여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3자 물류(3PL:Third Party Logistics) 업계에서는 주로 화주를 대신하여 화물을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전달해주는 업무를 맡고 있으며 업무 처리를 위해서 먼저 출발지, 도착지간의 수송 장비, 출발 및 도착 스케줄, 그리고 운임 등을 선정하는 최적 수송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다음으로 선정된 수송 장비의 소유주(선사, 항공사 등)와 협력 업무 등이 진행된다.
이때, 현재까지의 3자 물류 업계에서는 운송 수단이나 수송 수단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3자 물류 업체의 경우 운송 수단이 없이 화주로부터 화물 운송 요청을 받아서 화주 대신 운송 수단을 보유한 운송 업체에게 화물 운송 요청을 하는 업무를 함으로써, 3자 물류 업체 자체적으로 수송 경로에 대한 스케줄 정보를 생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송 수단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3자 물류 업체의 제약사항으로 운송 업체의 수송 수단을 이용하여 화물을 수송하므로 3자 물류 업체 스스로 수송 스케줄을 계획할 수 없다.
한편, 3자 물류 업계에서는 물류 시스템과 같이 체계적인 시스템의 부재로 3자 물류 물량은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여러 많은 국가에 해외 거래 파트너 관계를 형성하기에는 중, 소규모의 3자 물류 업체의 경우에는 어려움이 많다. 3자 물류 업체의 신규 고객을 위한 화물 운송 요청을 받았을 경우, 최적의 운송 경로 및 저렴한 운송비용을 위해 새로운 운송 경로 대안을 즉각적으로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신규 고객 확보 기회가 적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이용하여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류 서비스를 이용하는 화주(consignor)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화주의 화물을 보관하는 물류 창고; 및 상기 물류 창고를 운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물류 창고로 입고된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화물 입고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보관 서비스를 스케줄링 하고, 상기 물류 창고에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된 상기 보관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보관 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입고된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화주가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과 관련하여 요청된 요청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는, 상기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정보, 상기 화물의 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화물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사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 시 요구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 시 요구되는 습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창고에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화물 규모 별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물류 창고에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환경 별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물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상기 물류 창고에 보관된 복수의 화물들 중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화물 출고 메시지를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화주의 서비스 이용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을 확인하여 상기 화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출고 서비스를 스케줄링 하고, 상기 물류 창고에서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 된 출고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출고 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에 대하여 출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기 물류 서비스를 이용하는 화주의 서비스 이용 단말로부터 상기 물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물류 창고로 입고된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화물 입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보관 서비스를 스케줄링 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 창고에서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 된 상기 물류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보관 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한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입고된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고객이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과 관련하여 요청된 요청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는 상기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정보, 상기 화물의 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화물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사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 시 요구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 시 요구되는 습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창고에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화물 규모 별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물류 창고에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환경 별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물 규모 별 공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 중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화물의 크기 및 화물의 무게 별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물 환경 별 공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 중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창고의 온도 및 창고의 습도 별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관 서비스를 스케줄링 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 중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물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상기 물류 창고에 보관된 복수의 화물들 중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화물 출고 메시지를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화주의 서비스 이용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을 확인하여 상기 화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출고 서비스를 스케줄링 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 창고에서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 된 출고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출고 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에 대하여 출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배송이 완료되어야 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기 물류 서비스를 이용하는 화주의 서비스 이용 단말로부터 상기 물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물류 창고로 입고된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화물 입고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보관 서비스를 스케줄링 하고, 그리고 상기 물류 창고에서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 된 상기 물류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보관 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한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도록 실행된다.
여기서, 상기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입고된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고객이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과 관련하여 요청된 요청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는 상기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정보, 상기 화물의 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화물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 사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 시 요구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 시 요구되는 습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창고에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화물 규모 별 공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물류 창고에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환경 별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물 규모 별 공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 중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화물의 크기 및 화물의 무게 별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물 환경 별 공간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 중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창고의 온도 및 창고의 습도 별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보관 서비스를 스케줄링 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 중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스케줄링 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물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상기 물류 창고에 보관된 복수의 화물들 중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화물 출고 메시지를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화주의 서비스 이용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을 확인하여 상기 화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출고 서비스를 스케줄링 하고, 그리고 상기 물류 창고에서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 된 출고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출고 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에 대하여 출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하도록 더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배송이 완료되어야 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3자 물류 서비스를 가장 합리적이고 저렴한 운임으로 제공하여 고객에게 원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운송 구간과 방법에 관계없이 단일 청구 운임으로 업무의 효율성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체적인 물류 비용의 절감과 물류 서비스가 수행되는 시간의 단축, 재고 파악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 및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항공과 선박을 이용한 체계적이고 능률적인 배송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출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140), 출력 인터페이스(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및/또는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복수의 단계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와 저장 장치(16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를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복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가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방법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단말은 물류 서비스와 관련하여 화물에 대하여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 단말 및 물류 서비스와 관련하여 화물에 대하여 출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물류 서비스를 이용하는 화주의 사용자 단말(또는 서비스 이용 단말)로부터 물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물류 창고로 입고된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화물 입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여기서,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는 입고된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 및 고객이 입고된 화물의 보관과 관련하여 요청된 요청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는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는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정보로서 화물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의 길이에 대한 정보), 화물의 수에 대한 정보 및 화물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청 사항에 대한 정보는 입고된 화물의 보관 시 요구되는 온도에 대한 정보 및 입고된 화물의 보관 시 요구되는 습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 및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보관 서비스를 스케줄링 할 수 있다(S200).
여기서,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물류 창고에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화물 규모 별 공간에 대한 정보 및 물류 창고에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환경 별 공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화물 규모 별 공간에 대한 정보는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 중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화물의 크기 및 화물의 무게 별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화물 환경 별 공간에 대한 정보는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 중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창고의 온도 및 창고의 습도 별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 및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 중 입고된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은 화물 규모 별 공간 및 환경 별 공간으로 미리 구분된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 중 현재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공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고된 화물의 보관 가능한 공간을 결정함으로써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물류 창고에서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 된 물류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보관 서비스 메시지를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입고된 화물에 대한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300).
여기서,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물류 창고에서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 된 물류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보관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단말은 보관 서비스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물류 창고에 입고된 화물이 보관되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단말을 사용하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물류 창고에 입고된 화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화물이 보관되는 공간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물을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물류 창고에 보관되고 있는 화물에 대하여 출고가 요청되는 경우, 해당 화물에 대하여 출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출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이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출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물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물류 창고에 보관된 복수의 화물들 중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화물 출고 메시지를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화주의 사용자 단말(또는 서비스 이용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400).
여기서,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는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배송이 완료되어야 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는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는 화물의 크기에 대한 정보로서 화물의 가로의 길이, 세로의 길이, 높이의 길이에 대한 정보), 화물의 수에 대한 정보 및 화물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출고가 요청된 화물을 확인하여 화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출고 서비스를 스케줄링 할 수 있다(S500).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화물의 출고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화물이 출고된 후 화물을 목적지까지 배송하기 위한 교통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되는 화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고, 화물의 배송이 완료되어야 하는 시간 및 현재 시각을 기반으로 화물의 배송에 소요 가능한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화물의 양 및 화물의 배송에 소요 가능한 시간에 기초하여 화물을 배송하기 위한 교통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수단은 차량, 열차, 항공, 선박 등의 교통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물류 창고에서 출고가 요청된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 된 출고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출고 서비스 메시지를 물류 시스템을 기반으로 출고가 요청된 화물에 대하여 출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600).
여기서, 출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물류 창고에서 보관되고 있는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 된 출고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출고 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단말은 출고 서비스 메시지를 확인함으로써 물류 창고에서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출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단말을 사용하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물류 창고에 화물이 입고되는 것은 일반 지게차 또는 스마트 지게차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지게차 및/또는 스마트 지게차는 바퀴 개수에 따라 4륜과 3륜이 있을 수 있으며, 전기 모터로 구동되는 전기 지게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물류 창고는 안내 전광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전광판은 지게차의 운전자가 상기 지게차에 탑승한 상태에서의 눈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에 상기 물류 창고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전광판은 지게차의 방향 안내를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진, 좌회전, 우회전, 후진, 정지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움직임 감지 등을 더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물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물류 창고의 천정 또는 입구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 관찰 카메라를 제어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객체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 관찰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에서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객체 인식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에서 영상 내 객체의 윤곽선 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또는 식별번호 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지게차의 식별 번호(예; 지게차 번호판) 또는 지게차의 외형(예; 지게차의 뼈대)을 식별할 수 있고, 프로세서(110)는 상기 식별된 식별 번호 및/또는 외형에 기반하여 상기 안내 전광판에 출력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20)는 상기 식별 번호 및/또는 외형에 대응하는 차량 타입(typ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타입에 대한 정보는 차량의 크기, 차량의 바퀴의 크기, 차량의 회전율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20)는 상기 식별 번호, 외형에 대응하는 차량 타입(type)에 대한 매핑 테이블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지게차가 물류 창고의 입구(즉, 시작점)에서부터 화물을 놓게 될 위치(즉, 목표 지점)까지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차량의 타입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게차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명령어, 예를 들면, 전진, 좌회전, 우회전, 후진, 정지 등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안내 전광판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지게차의 색상(예; 적색, 청색, 황색, 흰색, 검은색 등)을 더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상기 색상에 대응하는 차량 타입(type)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식별 번호에 기반하여 식별한 제1 차량 타입과 외형에 기반하여 식별한 제2 차량 타입과 색상에 기반하여 식별한 제3 차량 타입이 상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차량 타입, 제2 차량 타입, 제3 차량 타입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제3 차량 타입을 제1 순위로, 제1 차량 타입을 제2 순위로, 제2 차량 타입을 제3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차량 타입, 제2 차량 타입, 제3 차량 타입이 상이하면, 프로세서는 제1 차량 타입을 지게차의 차량 타입으로 간주하고, 상기 간주된 차량 타입(즉, 제1 차량 타입)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시스템의 지게차는 구별되기 쉬운 색상으로 칠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크기가 유사한 지게차 마다 적색, 청색, 황색 중 하나의 단색으로 표시되어, 카메라 모듈이 지게차의 색상을 식별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카메라 모듈이 색상을 식별하는 동작, 이동 명령어를 생성하는 동작의 정확성을 더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지게차가 물류 창고의 입구(즉, 시작점)에서부터 화물을 놓게 될 위치(즉, 목표 지점)까지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간주된 차량의 타입(예; 제1 차량 타입)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게차를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명령어를 생성하여, 상기 안내 전광판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잔류 전력에 기반하여 카메라 모듈의 식별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장치의 잔류 전력이 전력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지게차의 색상 만을 고려하여 차량 타입(예; 제3 차량 타입)을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전류 전력이 상기 전력 임계값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에는 지게차의 식별 번호, 외형, 색상을 모두 고려하여 차량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물류 창고는 출입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게차의 출입에 따라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시 카메라, 관찰 카메라는 지게차가 물류 창고 및/또는 출입문에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을 촬영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10)는 상기 지게차가 물류 창고 및/또는 출입문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출입문이 열리거나 닫히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창고의 출입문은 미닫이 형식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한편, 출입문이 절반만 열린 상태에서 지게차가 가속하는 것이 카메라 모듈 및/또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지게차가 출입문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예를 들면, 안전 거리 만큼 떨어진 지점에 도착하기 전에 상기 출입문이 완전히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출입문이 열리는 속도를 더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는 안전 거리(X1), 출입문으로부터 지게차 위치 사이의 거리(X2), 지게차의 속도(V1), 출입문이 완전히 열리기 위해 미닫이 문이 이동해야하는 거리(X3)를 고려하여 출입문이 열리는 속도(V2=(X3*V1)/(X2-X1)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지게차 위치는 지게차의 앞 번호판 위치, 카메라 모듈이 인식(또는 식별한) 지게차를 나타내는 객체의 제일 앞 위치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물류 창고 내 특정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물류 창고의 출입문이 안 닫히도록 제어하거나, 출입문이 다시 열리도록 제어하거나, 알람 신호를 스피커, LED 램프, 비상벨 등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물류 창고의 바닥에 설치된 중량 인식 센서를 통하여 특정 객체의 중량이 인식되거나 물류 창고 내에 설치된 온도 센서를 통하여 상기 물류 창고 내 온도의 변화가 감지되면 물류 창고의 출입문이 안 닫히도록 제어하거나, 출입문이 다시 열리도록 제어하거나, 알람 신호를 스피커, LED 램프, 비상벨 등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물류 창고 내에서 화물이 빠져나가는 시간, 화물이 들어오는 시간, 지게차가 들어오는 시간, 지게차가 나가는 시간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들 외의 시간에 객체의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특정 객체의 중량이 인식되거나, 물류 창고 내 온도의 변화가 감지되면 알람 신호를 스피커, LED 램프, 비상벨 등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시간들 외에 물류 창고 내에서 변화가 감지된다는 것은 화물의 도난이 발생하거나 화물 내에 포함된 음식물, 과일, 생물, 동식물 등에 문제(예; 부식, 부패)가 발생한 경우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0)는 출입문의 개폐 여부, 개폐 정도(즉, 출입문이 열리고 닫히는 정도), 물류 창고의 감시 카메라, 관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류 서비스와 관련된 보관 서비스나 출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제공 단말로 보관 서비스나 출고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물류 시스템을 통해 보관 및 출고되는 화물에 대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류 서비스를 이용하는 화주(consignor)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화주의 화물을 보관하는 물류 창고; 및
    상기 물류 창고를 운영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물류 창고로 입고된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화물 입고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보관 서비스를 스케줄링 하고,
    상기 물류 창고에 상기 입고된 화물에 대하여 스케줄링된 상기 보관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보관 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물류 창고에 보관된 상기 화물에 대한 출고를 요청하는 화물 출고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의 배송이 완료되어야 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고가 요청된 화물을 확인하여 상기 화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출고 서비스를 스케줄링 하고,
    상기 출고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출고 서비스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입고된 화물의 가로 길이, 상기 입고된 화물의 세로 길이, 및 상기 입고된 화물의 높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의 관리에 대한 정보는, 상기 화물의 규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화주의 요청 사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화주의 요청 사항은 상기 화물의 보관 시 요구되는 희망 습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물류 창고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 창고에 대한 전체 공간들 중 상기 물류 창고의 측정 습도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상기 입고된 화물의 보관이 가능한 공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물류 창고에 보관이 가능한 화물을 운송하고, 외장이 적색, 청색, 또는 황색으로 색칠되는 스마트 지게차(smart forklift);
    상기 물류 창고의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 지게차에 탑승하는 운전자의 눈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설치되는 안내 전광판; 및
    상기 물류 창고의 입구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객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에서 상기 스마트 지게차의 번호판, 상기 스마트 지게차의 외형, 및 상기 스마트 지게차의 색상을 추출하는 카메라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추출된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제1 차량 타입을 판단하고,
    상기 추출된 외형에 상응하는 제2 차량 타입을 판단하고,
    상기 추출된 색상에 상응하는 제3 차량 타입을 판단하고,
    상기 제1 차량 타입, 상기 제2 차량 타입, 및 상기 제3 차량 타입이 상이하게 판단되는 경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차량 타입, 상기 제2 차량 타입, 또는 상기 제3 차량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스마트 지게차의 차량 타입으로 결정하되,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제3 차량 타입, 상기 제1 차량 타입, 및 상기 제2 차량 타입 순으로 설정되고,
    상기 결정된 스마트 지게차의 차량 타입에 상응하는 차량의 크기, 차량의 바퀴의 크기, 및 차량의 회전반경에 기반하여 이동 명령어를 생성하되,
    상기 이동 명령어는, 상기 입구에서부터 상기 화물을 위치시키는 장소로 상기 스마트 지게차를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전진, 좌회전, 우회전, 후진, 및 정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이동 명령어를 상기 안내 전광판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Figure 112020025101241-pat00004
    에 기반하여 상기 물류 창고의 입구의 미닫이 문이 열리는 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V1은 상기 스마트 지게차의 속도를 나타내고, 상기 V2는 상기 미닫이 문이 열리는 속도를 나타내고, 상기 X1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의 안전 거리, 상기 X2는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스마트 지게차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X3은 상기 미닫이 문이 완전히 열리기 위해 상기 미닫이 문이 더 열려야 하는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스마트 지게차의 위치는, 상기 영상 내에서 상기 지게차의 번호판에 상응하는 객체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판단되고,
    상기 미닫이 문의 개폐 여부 및 상기 미닫이 문의 개폐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화물이 상기 물류 창고로부터 빠져나가는 제1 시간, 상기 화물이 상기 물류 창고로 들어오는 제2 시간, 상기 스마트 지게차가 들어오는 제3 시간, 및 상기 스마트 지게차가 나가는 제4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시간 내지 상기 제4 시간 외에 상기 물류 창고 내에 설치되는 중략 인식 센서를 통하여 소정의 중량이 인식되는 경우 알람 신호(alarm signal)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90176498A 2019-12-27 2019-12-27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91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98A KR102091362B1 (ko) 2019-12-27 2019-12-27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98A KR102091362B1 (ko) 2019-12-27 2019-12-27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362B1 true KR102091362B1 (ko) 2020-03-19

Family

ID=69957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498A KR102091362B1 (ko) 2019-12-27 2019-12-27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3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122B1 (ko) * 2021-06-17 2021-10-27 (주)헤이트럭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물류관제장치 및 물류관제방법
CN113762887A (zh) * 2021-08-13 2021-12-07 江西省智能产业技术创新研究院 一种平面仓库智能物流系统
KR20210156474A (ko) * 2020-06-18 2021-12-27 코코넛사일로(주) 하역장 상태에 기초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7496697A (zh) * 2023-10-23 2024-02-02 东莞市佰增软件科技有限公司 基于车联网技术的智能管理系统及方法
CN117974015A (zh) * 2024-04-02 2024-05-03 深圳市华安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工具管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904A (ko) * 2002-12-31 2004-07-07 (주)티엘코리아 물류 공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3018B1 (ko) * 2019-04-16 2019-05-28 이기성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물류 창고 배치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1904A (ko) * 2002-12-31 2004-07-07 (주)티엘코리아 물류 공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3018B1 (ko) * 2019-04-16 2019-05-28 이기성 콜드 체인 관리 기능을 구비하는 물류 창고 배치 및 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474A (ko) * 2020-06-18 2021-12-27 코코넛사일로(주) 하역장 상태에 기초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71984B1 (ko) * 2020-06-18 2022-11-29 코코넛사일로(주) 하역장 상태에 기초하여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18122B1 (ko) * 2021-06-17 2021-10-27 (주)헤이트럭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물류관제장치 및 물류관제방법
CN113762887A (zh) * 2021-08-13 2021-12-07 江西省智能产业技术创新研究院 一种平面仓库智能物流系统
CN117496697A (zh) * 2023-10-23 2024-02-02 东莞市佰增软件科技有限公司 基于车联网技术的智能管理系统及方法
CN117974015A (zh) * 2024-04-02 2024-05-03 深圳市华安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工具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362B1 (ko) 통신 네트워크 기반의 물류 시스템을 위한 물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Harris et al. ICT in multimodal transport and technological trends: Unleashing potential for the future
Mejjaouli et al. RFID-wireless sensor networks integration: Decision models and optimization of logistics systems operations
Agatić et al. Improving the seaport service quality by implementing digital technologies
CN111491874B (zh) 派车管理装置、派车管理系统、派车管理方法、程序和存储介质
EP27655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rgo transfer operations at a cargo distribution terminal
CN109523212A (zh) 基于物联网技术的港口运营管理作业方法
CN102930413A (zh) 冷链物流的管理、运输监控系统及方法
US11392815B1 (en) Integrated RFID tags in passenger aircraft
CN108776482A (zh) 无人配送车、用于无人配送车的配送控制方法和装置
CN108182561A (zh) 无人智能零售终端的库存补给方法和装置
JP7382584B2 (ja) 投影指示装置および投影指示システム
WO20190901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delivery prioritization at a distribution center
CN114862226A (zh) 一种仓储物流智能调度及装卸货管理方法及系统
US20230114688A1 (en) Edge computing device and system for vehicle, container, railcar, trailer, and driver verification
KR20170126602A (ko) 영상분석을 활용한 가상 실제(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KR101716427B1 (ko) 정보망을 이용한 해운 항만 스케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8573362A (zh) 无人售货设备的物流配送管理方法和装置和系统
CN205080572U (zh) 一种自动化物流管理记录仓库
KR102402417B1 (ko) 물류배송 서비스에서 수하물 운반을 위해 여객 운송수단의 승객과 수하물 정보를 매칭시키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Becha et al. Smart Containers and Situational Awareness
Alιm et al. Smart warehouses in logistics 4.0
Wang et al. Digitalization Solutions in the Competitive CEP Industry–Experiences from a Global Player in China
CN116468354B (zh) 一种跨境运输的系统、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60132697A (ko) 유통 물류 산업의 온실가스 저감형 그린 체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