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602A - 영상분석을 활용한 가상 실제(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분석을 활용한 가상 실제(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602A
KR20170126602A KR1020160056835A KR20160056835A KR20170126602A KR 20170126602 A KR20170126602 A KR 20170126602A KR 1020160056835 A KR1020160056835 A KR 1020160056835A KR 20160056835 A KR20160056835 A KR 20160056835A KR 20170126602 A KR20170126602 A KR 20170126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gistics
cps
integrated contro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준
Original Assignee
박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준 filed Critical 박석준
Priority to KR102016005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6602A/ko
Publication of KR2017012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59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of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 CCTV, 캠코더, 드론을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로 제품의 형태와 크기와 같은 각 생산 제품 정보와, 물류창고 정보, 야적장 정보 및 차량 내부의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실제(Physical)와 가상(Cyber) 시스템간의 연동하고 영상 데이터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분석하여 물류 추적, 물류 현황, 재고 현황의 각종 정보 및 통계 정보를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정확한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고,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통합 모니터링 관제를 통해 물류 현황, 운송 정보, 판매 현황, 상품 판매 현황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수량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운송하여 유통 비용 및 분실 위험의 절감을 통해 고객서비스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CCTV, 각종 캠코더, 드론,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으로 촬영하여 수집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영상저장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재고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재고현황을 통한 재고관리를 할 수 있고,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생산, 유통, 판매 및 재고관리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각종 통계정보를 각종 업무시스템에 활용하여 기업의 전사적인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분석을 활용한 가상 실제(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Cyber physical logistics Integration control system using image analysis}
본 발명은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 CCTV, 캠코더, 드론을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로 제품의 형태와 크기와 같은 각 생산 제품 정보와, 물류창고 정보, 야적장 정보 및 차량 내부의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실제(Physical)와 가상(Cyber) 시스템간의 연동하고 영상 데이터를 CPS(Cyber Physical; 가상 실제)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분석하여 물류 추적, 물류 현황, 재고 현황의 각종 정보 및 통계 정보를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정확한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고,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통합 모니터링 관제를 통해 물류 현황, 운송 정보, 판매 현황, 상품 판매 현황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수량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운송하여 유통 비용 및 분실 위험의 절감을 통해 고객서비스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CCTV, 각종 캠코더, 드론,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으로 촬영하여 수집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영상저장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재고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재고현황을 통한 재고관리를 할 수 있고,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생산, 유통, 판매 및 재고관리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각종 통계정보를 각종 업무시스템에 활용하여 기업의 전사적인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가상 실제(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고객을 대상으로 상품의 판매, 서비스 제공을 하는 기업들은 고객을 유치하고, 기존 고객의 만족도를 높여 계속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고객 관계 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의 방법론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CRM은 현재의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 자료를 정리, 분석해 마케팅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고객의 구매 관련 행동을 지수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 실현, 수정하는 고객 중심의 경영 기법을 의미한다.
기업의 입장에서 CRM은 기존 고객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우수고객을 추출하고 이러한 우수고객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CRM은 지리적 고객관계관리(Geographic-CRM: gCRM) 시스템으로 발전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과 CRM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gCRM 솔루션은 지리적 정보와 관련한 인구통계와 같은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어, 특정 지역의 상권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 제공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에는 지역상권, 지역 경제 분석, 입지선정, 물류정보 관리 등의 마케팅과 창업에 대한 지원 기술로서 통계적인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상권과 물류정보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산업 및 교통이 발전하고 복잡화됨에 따라 물건들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물류의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인터넷 또는 유선방송 등을 이용하는 전자상거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서 각각의 상품들을 안전하며 신속하게 구매자에게 배달하는 문제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종래의 화물 운송은 물품의 최적이송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고, 배달 의뢰 요청이 들어오게 되면, 이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재래적인 방법이 있으며, 또한 일부 대규모 운송업체를 제외한 소규모 운송비용의 비율이 높고, 복화 운송도 이루어지지 않아 반수 이상의 차량이 공차로 운영되고 있으며, 운송 상거래가 다단계 조직을 거치면서 중개 수수료가 과다하게 발생하여 화주는 고가의 운임을 지불함에도 불구하고 화물 차량 기사는 적은 운송을 받게 되고 이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물류 운송서비스는 통상적으로 접수, 배차, 차량관리가 단방향으로 진행되고 있고, 비용과 정보의 정확성에 있어서 운송사 및 일반 이용자들에게 많은 부담과 위치 정보의 부정확성을 안겨주며, 주고객인 화물 차량 기사들에게 편리성보다는 업무를 감독하는 기능이 대부분이고, 운행차량 정보부재에 따른 비효율적 배치, 부정확한 화물정보에 따른 고객 서비스 낙후 및 불합리한 정보 전달체계로 납기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종래의 물류 운송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 화물 차량의 적재칸에 화물이 반 정도만 적재되면, 소속된 화물영업소에서 시간 내에 남은 반차분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기다리거나 타 화물 영업소를 통해 화물을 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화물 차량 기사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목적지에 화물을 도착시키기 위해 무리하게 과속을 하게 되고, 수면 부족으로 인해 고속도로에서의 대형사고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로서는 아직까지 CCTV, 캠코더, 드론을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로 각 생산 제품 정보, 물류창고 정보, 야적장 정보 및 차량 내부의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실제(Physical)와 가상(Cyber) 시스템간의 연동하고 영상 데이터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분석하여 물류 추적, 물류 현황, 재고 현황의 각종 정보, 상품 판매 현황 및 통계 정보를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정확한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통합 모니터링 관제를 통해 물류 현황, 운송 정보, 판매 현황, 상품 판매 현황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수량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운송하여 유통 비용 및 분실 위험의 절감을 통해 고객서비스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 CCTV, 캠코더, 드론을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로 제품의 형태와 크기와 같은 각 생산 제품 정보와, 물류창고 정보, 야적장 정보 및 차량 내부의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실제(Physical)와 가상(Cyber) 시스템간의 연동하고 영상 데이터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분석하여 물류 추적, 물류 현황, 재고 현황의 각종 정보 및 통계 정보를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정확한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고,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통합 모니터링 관제를 통해 물류 현황, 운송 정보, 판매 현황, 상품 판매 현황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수량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운송하여 유통 비용 및 분실 위험의 절감을 통해 고객서비스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09-0116007(2009. 11. 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 CCTV, 캠코더, 드론을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로 제품의 형태와 크기와 같은 각 생산 제품 정보, 물류창고 정보와, 야적장 정보 및 차량 내부의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실제(Physical)와 가상(Cyber) 시스템간의 연동하고 영상 데이터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분석하여 물류 추적, 물류 현황, 재고 현황의 각종 정보 및 통계 정보를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정확한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통합 모니터링 관제를 통해 물류 현황, 운송 정보, 판매 현황, 상품 판매 현황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수량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운송하여 유통 비용 및 분실 위험의 절감을 통해 고객서비스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CCTV, 각종 캠코더, 드론,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으로 촬영하여 수집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영상저장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재고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재고현황을 통한 재고관리를 할 수 있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생산, 유통, 판매 및 재고관리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각종 통계정보를 각종 업무시스템에 활용하여 기업의 전사적인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은 바코드와 상품형태 및 상품정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영상저장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CCTV와; 바코드와 상품형태 및 상품정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영상저장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각종 캠코더와; 물류창고와 야적장을 촬영한 물류창고정보 및 야적장정보를 영상저장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드론과; 제품의 바코드에 센서를 접촉시켜 촬영한 제품의 형태와 크기 정보를 영상저장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과; 상기 CCTV, 각종 캠코더, 드론, 구글 안경과 센서의 조합으로부터 전송받은 상품정보, 물류창고정보 및 야적장정보 관련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능과, 각종 물류정보 관련 실시간 영상분석 데이터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영상저장서버와; GPS 정보 및 물류현황정보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차량용 캠코더와; 상기 영상저장서버로부터 각종 물류정보 관련 실시간 영상분석 데이터를 전송받고, 차량용 캠코더로부터 GPS 정보 및 물류현황정보 전송받은 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물류 추적, 물류 현황, 재고 현황의 각종 정보와, 운송정보와, 상품판매정보 및 통계정보를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갖으며, IOT 통합플랫폼을 포함하는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와;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와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로부터 GPS 정보, 운송정보, 판매정보, 재고정보, 물류창고정보, 야적장정보, 물류현황정보, 통계정보를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과 실시간 동기화하여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물류 관리자 단말기(또는 서버)와;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로부터 GPS 정보, 운송정보, 판매정보, 재고정보, 물류창고정보, 야적장정보, 물류현황정보, 통계정보를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과 실시간 동기화하여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기능과, 창고비용과 결제 및 이동경로가 표시되는 기능을 갖는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와; 상기 CCTV, 각종 캠코더, 드론, 구글 안경과 센서의 조합으로부터 영상정보가 입력되어 출발한 시간과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부터의 이동경로로부터 제품의 도착시간의 정보를 시뮬레이션하여 예정시간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시뮬레이터;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OT 통합플랫폼은 서비스 레이어부와, 제어 레이어부와, 전송 레이어부와, 인터페이스 레이어부 및 모바일 레이어부로 구성되는 IOT 플랫폼과; 상기 IOT 플랫폼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IOT 플랫폼 데이터베이스;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빅데이터 관련 의사결정 내용, 통합관제 내용, 업무운영 포털 내용, 서비스 유틸리티 내용을 포함하는 서비스 레이어부와; 상황제어 미들웨어, 종합모니터링 관제모듈, 검색기능 모듈, 통합로그 관리모듈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제어 레이어부와; 서버, 모바일, 디바이스, 임베디드, 센서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미들웨어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전송 레이어부와; 단말연계 미들웨어, 현장장치 미들웨어, 외부연계모듈, 2D 또는 3D인 지리 정보 시스템(GIS)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레이어부와; 모바일 통합관제, 모바일 시설제어, 모바일 상황처리, 모바일 지리 정보 시스템(GIS)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모바일 레이어부;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류 관리자 단말기(또는 서버) 또는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는 물류위치정보, 물류현황정보, 재고현황정보, 각종 통계정보를 화면상에 나타나게 하는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과, 물류현황정보, 출고현황정보, 재고현황정보, 각종 통계정보를 화면상에 나타나게 하는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류 관리자 단말기(또는 서버)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 테블릿 PC를 포함하고, 상기 또는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 CCTV, 캠코더, 드론을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로 제품의 형태와 크기와 같은 각 생산 제품 정보와, 물류창고 정보, 야적장 정보 및 차량 내부의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실제(Physical)와 가상(Cyber) 시스템간의 연동하고 영상 데이터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분석하여 물류 추적, 물류 현황, 재고 현황의 각종 정보 및 통계 정보를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정확한 물류 현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통합 모니터링 관제를 통해 물류 현황, 운송 정보, 판매 현황, 상품 판매 현황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수량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운송하여 유통 비용 및 분실 위험의 절감을 통해 고객서비스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에서 CCTV, 각종 캠코더, 드론,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으로 촬영하여 수집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영상저장서버로부터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재고현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재고현황을 통한 재고관리를 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생산, 유통, 판매 및 재고관리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통합 관리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각종 통계정보를 각종 업무시스템에 활용하여 기업의 전사적인 물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중에서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중에서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은 영상저장서버(100), CCTV(110), 각종 캠코더(120), 드론(130), 차량용 캠코더(140), 구글 안경과 센서의 조합(150),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 IOT 통합플랫폼(210), IOT 플랫폼(220), 서비스 레이어부(221), 제어 레이어부(222), 전송 레이어부(223), 인터페이스 레이어부(224), 모바일 레이어부(225), IOT 플랫폼 데이터베이스(230), 물류 관리자 단말기(300),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400),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10, 410),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20, 420), 시뮬레이터(500) 등으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은 바코드와 상품형태 및 상품정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영상저장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CCTV(110)와; 바코드와 상품형태 및 상품정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영상저장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각종 캠코더(120)와; 물류창고와 야적장을 촬영한 물류창고정보 및 야적장정보를 영상저장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드론(130)과; 제품의 바코드에 센서를 접촉시켜 촬영한 제품의 형태와 크기 정보를 영상저장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150)과; 상기 CCTV(110), 각종 캠코더(120), 드론(130), 구글 안경과 센서의 조합(150)으로부터 전송받은 상품정보, 물류창고정보 및 야적장정보 관련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능과, 각종 물류정보 관련 실시간 영상분석 데이터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영상저장서버(100)와; GPS 정보 및 물류현황정보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차량용 캠코더(140)와; 상기 영상저장서버(100)로부터 각종 물류정보 관련 실시간 영상분석 데이터를 전송받고, 차량용 캠코더(140)로부터 GPS 정보 및 물류현황정보 전송받은 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물류 추적, 물류 현황, 재고 현황의 각종 정보와, 운송정보와, 상품판매정보 및 통계정보를 물류 관리자 단말기(300)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4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갖으며, IOT 통합 플랫폼(210)을 포함하는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와;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와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10, 410)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20, 420)이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로부터 GPS 정보, 운송정보, 판매정보, 재고정보, 물류창고정보, 야적장정보, 물류현황정보, 통계정보를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10, 410)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20, 420)과 실시간 동기화하여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물류 관리자 단말기(또는 서버)(300)와;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로부터 GPS 정보, 운송정보, 판매정보, 재고정보, 물류창고정보, 야적장정보, 물류현황정보, 통계정보를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10, 410)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20, 420)과 실시간 동기화하여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기능과, 창고비용과 결제 및 이동경로가 표시되는 기능을 갖는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400)와; 상기 CCTV(110), 각종 캠코더(120), 드론(130), 구글 안경과 센서의 조합(150)으로부터 영상정보가 입력되어 출발한 시간과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400)로부터의 이동경로로부터 제품의 도착시간의 정보를 시뮬레이션하여 예정시간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시뮬레이터(500); 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CCTV(110)는 바코드와 상품형태 및 상품정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영상저장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각종 캠코더(120)는 바코드와 상품형태 및 상품정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영상저장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드론(130)은 물류창고와 야적장을 촬영한 물류창고정보 및 야적장정보를 영상저장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구글 안경과 센서의 조합(150)은 제품의 바코드에 센서를 접촉시켜 촬영한 제품의 형태와 크기 정보를 영상저장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으며, 구글 안경이 센서와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것이다.
상기 영상저장서버(100)는 상기 CCTV(110), 각종 캠코더(120), 드론(130)으로부터 전송받은 상품정보, 물류창고정보 및 야적장정보 관련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능과, 각종 물류정보 관련 실시간 영상분석 데이터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차량용 캠코더(140)는 GPS 정보 및 물류현황정보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는 상기 영상저장서버(100)로부터 각종 물류정보 관련 실시간 영상분석 데이터를 전송받고, 차량용 캠코더(140)로부터 GPS 정보 및 물류현황정보 전송받은 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물류 추적, 물류 현황, 재고 현황의 각종 정보와, 운송정보와, 상품판매정보 및 통계정보를 물류 관리자 단말기(300)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4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갖으며, IOT 통합 플랫폼(210)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IoT(internet of things)는 사물인터넷을 통한 연동방식이나 메시지 같은 방식으로도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세탁기나 보일러가 상태이상을 감지 미리 등록된 고객의 스마트기기와 바로 연동되거나, 상권정보 내용을 문자 메시지로 보내게 되면 소비자는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고 그 내용이나 버튼을 터치함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인 것이다.
또한, 상기 IOT 통합플랫폼(210)는 서비스 레이어부(221)와, 제어 레이어부(222)와, 전송 레이어부(223)와, 인터페이스 레이어부(224) 및 모바일 레이어부(225)로 구성되는 IOT 플랫폼(220)과, 상기 IOT 플랫폼(220)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IOT 플랫폼 데이터베이스(230)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IOT 플랫폼(220)의 서비스 레이어부(221)는 빅데이터 관련 의사결정 내용, 통합관제 내용, 업무운영 포털 내용, 서비스 유틸리티 내용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IOT 플랫폼(220)의 제어 레이어부(222)는 상황제어 미들웨어, 종합모니터링 관제모듈, 검색기능 모듈, 통합로그 관리모듈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IOT 플랫폼(220)의 전송 레이어부(223)는 서버, 모바일, 디바이스, 임베디드, 센서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미들웨어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IOT 플랫폼(220)의 인터페이스 레이어부(224)는 단말연계 미들웨어, 현장장치 미들웨어, 외부연계모듈, 2D 또는 3D인 지리 정보 시스템(GIS)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IOT 플랫폼(220)의 모바일 레이어부(225)는 모바일 통합관제, 모바일 시설제어, 모바일 상황처리, 모바일 지리 정보 시스템(GIS) 관련 내용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IOT 플랫폼(220)의 서비스 레이어부(221)의 의사결정(빅데이터) 내용은 통신미들웨어로부터 수집된 정보(데이터)들을 분석 및 가공을 통해 수치화하고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각종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모듈이고, 통합관제 내용은 각각의 CCTV 영상을 통합하여 관제 화면에 표출하는 것이며, 업무운영 포털 내용은 웹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고, 서비스 유틸리티 내용은 웹에서 제공하기 서비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인 것이다.
상기 IOT 플랫폼(220)의 제어 레이어부(222)의 상황제어 미들웨어는 CCTV의 영상을 분석하여 교통사고와 같은 돌발 상황을 접수(등록), 전파(타 기관)하는 상황 처리 모듈이고, 통합모니터링 관제모듈은 IoT 플랫폼의 모든 기능들을 모니터링하는 모듈이며, 검색기능 모듈은 포털에서 제공하는 검색 기능 모듈이고, 통합로그관리 모듈은 IoT 플랫폼의 각 서비스 레이별 모듈들의 로그 관리 모듈인 것이다.
상기 IOT 플랫폼(220)의 전송 레이어부(223)의 통신 미들웨어는 Server, Mobile, Device, 임베디드, 센서 등과의 데이터 통신(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모듈이다.
상기 IOT 플랫폼(220)의 인터페이스 레이어부(224)의 단말연계 미들웨어는 Server, Mobile, Device, 임베디드 등의 기기 내부에 설치되는 모듈이고, 현장장치미들웨어는 CCTV 등과 같은 장비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듈이며, 외부연계모듈은 타 시스템(공공기관)의 시스템 서버에 설치되는 연계 모듈이고, GIS(2D, 3D)는 V-World로부터 GIS Base-Map을 수신하는 모듈이다.
상기 IOT 플랫폼(220)의 모바일 레이어부(225)의 모바일 통합관제는 각각의 CCTV 영상을 통합하여 모바일에서 관제 화면을 표출하는 것이고, 모바일 시설제어는 모바일을 이용하여 CCTV의 이상 유무 및 제어하는 모듈이며, 모바일 상황처리는 CCTV의 영상을 분석하여 교통사고와 같은 돌발 상황을 모바일로 접수(등록), 전파(타 기관)하는 상황 처리하는 모듈이고, 모바일 GIS는 모바일에서 V-World로부터 GIS Base-Map을 수신하는 모듈이다.
상기 물류 관리자 단말기(또는 서버)(300)는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와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10, 410)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20, 420)이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로부터 GPS 정보, 운송정보, 판매정보, 재고정보, 물류창고정보, 야적장정보, 물류현황정보, 통계정보를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10, 410)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20, 420)과 실시간 동기화하여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400)는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200)로부터 GPS 정보, 운송정보, 판매정보, 재고정보, 물류창고정보, 야적장정보, 물류현황정보, 통계정보를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10, 410)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20, 420)과 실시간 동기화하여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기능과, 창고비용과 결제 및 이동경로가 표시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시뮬레이터(500)는 상기 CCTV(110), 각종 캠코더(120), 드론(130), 구글 안경과 센서의 조합(150)으로부터 영상정보가 입력되어 출발한 시간과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400)로부터의 이동경로로부터 제품의 도착시간의 정보를 시뮬레이션하여 예정시간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10, 410)은 물류위치정보, 물류현황정보, 재고현황정보, 각종 통계정보를 화면상에 나타나게 하는 것이고, 상기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320, 420)은 물류현황정보, 출고현황정보, 재고현황정보, 각종 통계정보를 화면상에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물류 관리자 단말기(또는 서버)(300)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 테블릿 PC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400)는 휴대폰,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은 각종 물류정보를 제공하는 분야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영상저장서버 110 : CCTV
120 : 각종 캠코더 130 : 드론
140 : 차량용 캠코더 150 : 구글 안경과 센서의 조합
200 :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 210 : IOT 통합플랫폼
220 : IOT 플랫폼 221 : 서비스 레이어부
222 : 제어 레이어부 223 : 전송 레이어부
224 : 인터페이스 레이어부 225 : 모바일 레이어부
230 : IOT 플랫폼 데이터베이스 300 : 물류 관리자 단말기
400 :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
310, 410 :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
320, 420 :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
500 : 시뮬레이터

Claims (5)

  1.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에 있어서,
    바코드와 상품형태 및 상품정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영상저장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CCTV와;
    바코드와 상품형태 및 상품정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영상저장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각종 캠코더와;
    물류창고와 야적장을 촬영한 물류창고정보 및 야적장정보를 영상저장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드론과;
    제품의 바코드에 센서를 접촉시켜 촬영한 제품의 형태와 크기 정보를 영상저장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구글 안경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되는 센서의 조합(150)과;
    상기 CCTV, 각종 캠코더, 드론으로부터 전송받은 상품정보, 물류창고정보 및 야적장정보 관련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기능과, 각종 물류정보 관련 실시간 영상분석 데이터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영상저장서버와;
    GPS 정보 및 물류현황정보를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차량용 캠코더와;
    상기 영상저장서버로부터 각종 물류정보 관련 실시간 영상분석 데이터를 전송받고, 차량용 캠코더로부터 GPS 정보 및 물류현황정보 전송받은 후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물류 추적, 물류 현황, 재고 현황의 각종 정보와, 운송정보와, 상품판매정보 및 통계정보를 물류 관리자 단말기와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갖으며, IOT 통합플랫폼을 포함하는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와;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와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로부터 GPS 정보, 운송정보, 판매정보, 재고정보, 물류창고정보, 야적장정보, 물류현황정보, 통계정보를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과 실시간 동기화하여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기능을 갖는 물류 관리자 단말기(또는 서버)와;
    상기 CPS 통합관제 관리서버로부터 GPS 정보, 운송정보, 판매정보, 재고정보, 물류창고정보, 야적장정보, 물류현황정보, 통계정보를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과 실시간 동기화하여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기능과, 창고비용과 결제 및 이동경로가 표시되는 기능을 갖는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와;
    상기 CCTV, 각종 캠코더, 드론, 구글 안경과 센서의 조합으로부터 영상정보가 입력되어 출발한 시간과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로부터의 이동경로로부터 제품의 도착시간의 정보를 시뮬레이션하여 예정시간을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시뮬레이터;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통합플랫폼은 서비스 레이어부와, 제어 레이어부와, 전송 레이어부와, 인터페이스 레이어부 및 모바일 레이어부로 구성되는 IOT 플랫폼과; 상기 IOT 플랫폼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IOT 플랫폼 데이터베이스;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IOT 플랫폼은 빅데이터 관련 의사결정 내용, 통합관제 내용, 업무운영 포털 내용, 서비스 유틸리티 내용을 포함하는 서비스 레이어부와; 상황제어 미들웨어, 종합모니터링 관제모듈, 검색기능 모듈, 통합로그 관리모듈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제어 레이어부와; 서버, 모바일, 디바이스, 임베디드, 센서들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미들웨어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전송 레이어부와; 단말연계 미들웨어, 현장장치 미들웨어, 외부연계모듈, 2D 또는 3D인 지리 정보 시스템(GIS)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레이어부와; 모바일 통합관제, 모바일 시설제어, 모바일 상황처리, 모바일 지리 정보 시스템(GIS)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모바일 레이어부;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관리자 단말기(또는 서버) 또는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는 물류위치정보, 물류현황정보, 재고현황정보, 각종 통계정보를 화면상에 나타나게 하는 3D GIS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과, 물류현황정보, 출고현황정보, 재고현황정보, 각종 통계정보를 화면상에 나타나게 하는 3D CAD 기반의 가상시뮬레이션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관리자 단말기(또는 서버)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 테블릿 PC를 포함하고, 상기 또는 모바일 통합관제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활용한 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KR1020160056835A 2016-05-10 2016-05-10 영상분석을 활용한 가상 실제(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KR20170126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835A KR20170126602A (ko) 2016-05-10 2016-05-10 영상분석을 활용한 가상 실제(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835A KR20170126602A (ko) 2016-05-10 2016-05-10 영상분석을 활용한 가상 실제(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602A true KR20170126602A (ko) 2017-11-20

Family

ID=6080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835A KR20170126602A (ko) 2016-05-10 2016-05-10 영상분석을 활용한 가상 실제(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66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579B1 (ko) * 2019-11-14 2020-07-02 울산과학기술원 브레이크벌크화물 검수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6478A (ko) * 2021-01-22 2022-07-29 피피에스 주식회사 Cps(cyber physical system)에 연결된 용량미달 불량품 식별 시스템 및 방법
CN116050957A (zh) * 2023-02-23 2023-05-02 南京未来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结合图像识别和人员定位的仓储物流管理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579B1 (ko) * 2019-11-14 2020-07-02 울산과학기술원 브레이크벌크화물 검수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6478A (ko) * 2021-01-22 2022-07-29 피피에스 주식회사 Cps(cyber physical system)에 연결된 용량미달 불량품 식별 시스템 및 방법
CN116050957A (zh) * 2023-02-23 2023-05-02 南京未来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结合图像识别和人员定位的仓储物流管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 et al. Review of RFID and IoT integration in supply chain management
Harish et al. Log-flock: A blockchain-enabled platform for digital asset valuation and risk assessment in E-commerce logistics financing
Harris et al. ICT in multimodal transport and technological trends: Unleashing potential for the future
KR102007914B1 (ko) Qr 코드 스캔 기능과 rfid 리더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글래스를 사용한 비콘 id 기반 위치 관리를 제공하는 창고 관리 시스템
US201600423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gistics data
US202300889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load optimization for vehicles
US201500463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shipped objects
KR20190016015A (ko) Qr 코드 스캔 기능과 rfid 리더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글래스를 사용한 창고 관리 시스템
US20160171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reight management
Luo et al. Physical Internet-enabled customised furniture delivery in the metropolitan areas: digitalisation, optimisation and case study
Rejeb et al. 5G networks in the value chain
CN111527509A (zh) 跟踪系统和方法
KR102231301B1 (ko)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70126602A (ko) 영상분석을 활용한 가상 실제(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Aydınocak Internet of things (IoT) in marketing logistics
Pagano et al. Technologies i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logistics
Heinbach et al. Designing a shared freight service intelligence platform for transport stakeholders using mobile telematics
Wang et al. The application of real time tracking technologies in freight transport
Verma et al. Digital transformation: impact of 5G technology in supply chain industry
Dubgorn et al. Analysis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their application in modern companies
Piest et al. Demonstrating the architecture for situation-aware logistics using smart returnable assets
Osmolski et al. Logistics 4.0–Digitalization of the Supply Chains
KR20210067250A (ko) 화물 정보 제공 시스템
Liotine et al. Technology Trends in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KR101029303B1 (ko) 위치 정보 및 실시간 메신저를 이용한 영업 관리 서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