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301B1 -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301B1
KR102231301B1 KR1020200096543A KR20200096543A KR102231301B1 KR 102231301 B1 KR102231301 B1 KR 102231301B1 KR 1020200096543 A KR1020200096543 A KR 1020200096543A KR 20200096543 A KR20200096543 A KR 20200096543A KR 102231301 B1 KR102231301 B1 KR 102231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information
function
ai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콤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콤라인
Priority to KR102020009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항구에 설치되어 상기 항구에 입항하는 선박과의 통신을 통해 선박으로부터 AIS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AIS 수신기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AIS 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선박과의 위성 통신을 통해 상기 선박으로부터 AIS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선박에 대한 AIS 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항구 내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박 대리점측과 연동을 통해 선박 라인 업 리스트를 제공받아 수집하는 제 3 기능과, 사용자 단말기에 선박 검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을 제공하며, 상기 검색창에 검색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수집한 AIS 원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선박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선박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된 지도 데이터와 상기 선박의 원시 AIS 데이터를 파싱한 파싱 데이터를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4 기능과, 상기 선박 라인 업 리스트 내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항구에 입항할 선박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 5 기능을 포함하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a service of ship}
본 발명은 선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선주와 화주에 의해 발행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가간 또는 대륙 간의 물류는 해상을 이용하여 많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해상운송은 선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화주 사용자는 선박회사(선사)와의 계약을 통하여 화물을 선적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해운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적절한 선사와 선박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공개특허 제10-2002-0030482호에서는 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해운정보 제공 및 운송계약 중개방법을 제안하였는 바, 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적으로 선주나 화주로부터 선박정보와 화물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선주나 화주의 요구에 따라 선박/화물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경매/역경매를 통하여 선주나 화주에게 자신이 원하는 선박/화물 제공자와 직접 운송 계약을 체결할 수 있게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해운정보 제공 및 운송계약 중개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운정보 제공 및 운송계약 중개 시스템에 적용되는 해운정보 제공 및 운송계약 중개 방법에 있어서, 선주로부터 선박 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적으로 제1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단계; 화주로부터 화물 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적으로 제2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선주의 요구에 따라 상기 선주의 요구에 부합하는 화물 정보를 상기 제2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선주에게 실시간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선주로부터 운송계약의 청약이 있으면 상기 청약을 상대방 화주에게 전달하고, 상기 청약에 대한 상기 상대방 화주의 승낙에 따라 계약을 체결하여 상기 선주와 상기 상대방 화주에게 계약체결사실 및 계약 내용을 전송하는 제3단계: 및 상기 화주의 요구에 따라 상기 화주의 요구에 부합하는 선박 정보를 상기 제1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화주에게 실시간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화주로부터 운송계약의 청약이 있으면 상기 청약을 상대방 선주에게 전달하고, 상기 청약에 대한 상기 상대방선주의 승낙에 따라 계약을 체결하여 상기 화주와 상기 상대방선주에게 계약체결사실 및 계약 내용을 전송하는 제4단계로 구성된 중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633645호에서는 선박 운항에 관한 각종 정보들을 수집하여 다양한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베이스화시키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들을 조합및 최적화하여 제공하는 선박운항정보 통합 관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박 서버로부터 선박 운항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화 단계; 정보 제공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선박 운항 정보들을 수신하여 통합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정보 제공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선박의 현재 이동경로 정보와 과거 이동경로 정보를 획득하는 이동경로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정보 제공부가 상기 이동경로 송신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현재 이동경로와 상기 과거 이동경로를 비교하여 선박의 운항 상태에 따라 정상군, 관심군, 위험군으로 분류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부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선박 정보와 상기 선박에 선적된 화물에 대한 재고량 정보를 획득하는 재고량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재고량 정보 획득 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선박 정보와 상기 재고량 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정상군, 관심군, 위험군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가 관심군 또는 위험군인 경우, 상기 선박 운항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현재 예상 도착일보다 빠른 도착일을 보장할 수 있는 대체 운송수단과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금액이 최소로 발생하는 대체 운송수단을 포함하는 대체 운송수단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정상군, 관심군, 위험군으로 분류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정보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 간격으로 업데이트되어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단말 장치에 표시되되, 상기 분류된 정보가 관심군 또는 위험군일 경우 위험 알람 정보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3-0107962호에서는 송장번호(컨테이너의 봉인(Seal) 번호와 컨테이너 번호) 입력시, 입력된 송장번호에 매핑된 물류의 출발시간과 위치 그리고 도착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받아 볼 수 있도록 하여, 화물의 운송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함으로써 막힘없는 물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제공자들도 배송의 원활함에 대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안심하고 물품을 배송할 수 있도록 하며, 수요자와 제공자의 상호 실시간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최적화된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선박 물류 추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송장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송장번호에 매핑된 물류가 탑재된 선박의 위치를 추적하여 얻은 해당 선박의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LBS(Location Based Service)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전송받은 선박의 위치 정보를 맵 매핑시켜 해당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LBS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송장번호에 매핑된 물류가 탑재된 선박의 운항속도, 도착지 정보,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전송받은 선박의 운항속도, 도착지 정보,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해 상기 송장번호에 매핑된 물류의 도착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송장번호에 매핑된 물류의 도착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LBS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송장번호에 매핑된 물류가 탑재된 선박의 출발일과 도착예정일을 전송받아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입력받은 송장번호에 매핑된 물류의 배송 상태를 배송중, 배송예정, 배송완료 상태로 분류 설정하고, 상기 LBS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송장번호에 매핑된 물류의 현재 배송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상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선택하여 알려주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송장번호 입력시 자동으로 상기 LBS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입력된 송장번호에 매핑된 물류명, 출발항구, 도착항구, 출발일, 도착일, 선박 종류 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물류의 배송 정보로 알려주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모두 선박의 운항정보, 물류추적에 관련된 기술로서, 선박의 입출항 정보를 사용자 즉, 화주에게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선적의 지연 및 운송 비용이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화물을 선적하기 위한 계약된 선박이 항구에 도착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그만큼 선적 지연이 발생하고, 선적 지연에 따른 항구에서의 대기 비용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1)공개특허 제10-2002-0030482호 (특허문헌2)등록특허 제10-1633645호 (특허문헌3)공개특허 제10-2013-0107962호
본 발명은 다양한 루트를 통해 수집한 선박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주 및 화주에 의해 발행된 전자 선하증권 및 선주와 화주간의 계약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주, 화주 및 중개인간의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 관련 운임, 중개 수수료 등을 암호화 화폐를 기반으로 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되는 거래 명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항구에 설치되어 상기 항구에 입항하는 선박과의 통신을 통해 선박으로부터 AIS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AIS 수신기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AIS 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선박과의 위성 통신을 통해 상기 선박으로부터 AIS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선박에 대한 AIS 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항구 내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박 대리점측과 연동을 통해 선박 라인 업 리스트를 제공받아 수집하는 제 3 기능과, 사용자 단말기에 선박 검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을 제공하며, 상기 검색창에 검색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수집한 AIS 원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선박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선박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된 지도 데이터와 상기 선박의 원시 AIS 데이터를 파싱한 파싱 데이터를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4 기능과, 상기 선박 라인 업 리스트 내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항구에 입항할 선박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 5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박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된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또는 선박의 고유 식별 정보가 태깅되어 외부의 동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업로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선박에 대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4 기능은 상기 수집된 AIS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박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선박의 움직임을 기초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서 상기 선박에 대한 이미지를 이동시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기능은 이메일을 이용하여 상기 선박 대리점측으로부터 상기 항구에 입항할 선박, 선석, 선박도착예정일자, 선박접안예정일자, 화물명, 선작/하역화물량, 출항예정일자, 갱신일자 및 선박상세제원을 포함한 상기 선박 라인 업 리스트를 수신하며, 상기 제 5 기능은 상기 선박 라인 업 리스트를 분석을 통해 상기 항구에 현재 입항된 선박과 미래에 입항될 선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주, 화주, 용선주, 중개사, 선박 관련 사용자의 단말기들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되며, 선주 또는 화주로부터 단말기를 통해 전자 선하증권 또는 계약서 발행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선주 또는 화주의 단말기 내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된 암호화 전자 지갑의 식별 ID를 이용하여 전자 선하증권 또는 계약서에 대응되는 디지털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기록시키는 제 6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화주, 중개사 및 선주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화주, 중개사 및 선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임의의 화주 또는 선주의 단말기를 통해 화물 또는 선박 오퍼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오퍼를 처리하기 위한 선박 또는 화물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임의의 화주 또는 선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 7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7 기능은 상기 선택용 인터페이스로 1 순위로 선택할 수 있는 실제 선박을 보유한 선박회사 정보, 2 순위로 선택할 수 있는 용선주의 정보 및 3 순위로 선택할 수 있는 선주측 및 화주측의 중개사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1순위, 2순위 및 3순위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통해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7 기능은 화물의 오퍼 요청을 위한 화물명, 화물량, 선박 종류 및 선박 크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임의의 화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임의의 화주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 설정된 오퍼 기준 양식에 적용하여 화물 항해 용선 오퍼 양식 및 선박 용선 오퍼 양식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박회사 및 중개사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 생성된 화물 항해 용선 오퍼 양식 및 선박 용선 오퍼 양식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7 기능은 화물의 패킹 리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임의의 화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패킹 리스트를 이용하여 화물의 최대 무게 및 길이를 산출하여 상기 선박회사 및 중개사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화물 오퍼 요청이 임의의 화주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주군의 정보를 이용하여 견적을 요청하며, 상기 견적 요청에 따라 선주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해상운임 및 계약조건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수신한 해상운임 및 계약조건을 상기 임의의 화주의 단말기 내 암호화 전자 지갑의 식별 ID로 암호화한 후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발행하는 제 8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해상운임 또는 중개 수수료의 송금을 암호화 화폐를 이용하여 결제하거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현금 결제 방법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9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각 항구의 AIS 수신기로부터 바다 낚시배, 여객선 등의 AIS 데이터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고, 바다 낚시배, 여객선 등의 현재 위치를 삼각형 또는 기타 다각형 형상으로 단말의 지도 상에 표시하되, 단말의 특정 표시 위치, 예컨대 단말의 왼쪽 또는 오른쪽 표시 위치에 선박의 제원정보, 바다 날씨, 바다 낚시배 또는 여객선의 현재 조업 상황 등이 동영상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은 유투브 등과 같은 인터넷 동영상 매체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다양한 루트를 통해 수집한 선박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선박의 실시간 상태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선주 및 화주에 의해 발행된 전자 선하증권 및 선주와 화주간의 계약서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자 선하증권 및 계약서에 대한 보안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웹 상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웹 상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10),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10)는 선주, 화주, 중개사, 선박 관련 서비스 종사자, 일반 사용자 등이 운용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통신 기능,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및 선박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주는 선박을 소유한 회사, 선박의 적재 공간을 임대하여 소정의 대가를 지불하는 선박 회사(용선사, 용선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주는 화물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이며, 중개사는 선주와 화주 사이에 중개하는 사용자(선박 및 화물 대리점 사용자를 포함함)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말기(10)는 선박 관련 서비스, 예컨대 선박 정보, 전자 상거래 서비스, 전자 선하증권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의 연동되는 수단으로서, 선주, 화주, 중개사 등에 의해 운용되는 기기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서버 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AIS 기지국(12)은 선박들이 송출하는 AIS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AIS 기지국(12)은 각 항구에 설치되어 선박에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부터 VHF 형태로 송신한 AIS 원시 데이터를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AIS 기지국(12)과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IP 기반의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박의 현재 위치를 삼각형 모양으로 이미지 표현하여 제공하고, 선박의 정보, 예컨대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을 제공한 후 검색창에서 선박의 이름을 클릭하였을 때 우측에 창이 뜨면서 선박에 대한 세부 정보, 예컨대 선박 제원(partiqular), 소유자(owner), 운영자(operaton) 등의 명세가 제공되며, 현재위치(current position)를 클릭하였을 때 빨간색으로 선박의 현재 위치를 볼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복수의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구현되는 웹 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단말기(1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박이 어떤 지역에 위치 해 있는지 더 정확히 파악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줌인(zoon in), 줌아웃(zoom out) 등과 같은 조작용 인터페이스를 복수의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세계 각 항구의 설치된 AIS 기지국(110)로부터 AIS 윈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선박의 현재위치(POSITION), 도착예상일자(ETA), 목적지(DESTINATION), 넓이(BEAM), 침로(COURSE), 흘수(DRAUGT), 네비게이션(NAVITIGATION) 등으로 파싱하여 이미지로 구현한 후 이를 복수의 단말기(10)의 웹 사이트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세계 항구에 선박들이 입항하여 수초에서 수분마다 발신하는 VHF 형태의 AIS 윈시 데이터를 항구의 AIS 기지국(12) 또는 위성(미도시됨)을 통해 수신하며, 수신한 AIS 원시 데이터들을 파싱(분석)하여 선박이름(VESSEL), 선박고유번호(MMSI), 목적지(DESTINATION), 적재톤수(DWT), 형태(TYPE), 길이(LENGTH), 넓이(BEAM), 도착예상일자(ETA), 흘수(DRAFT), 업데이트일자(UPDATE DATE), 선박상세제원(VIEW) 정보를 복수의 단말기(10)의 웹 사이트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AIS 기지국(12)과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간의 통신은 인터넷 IP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성과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간의 통신은 위성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항구의 선박 대리점이 인터넷 메일로 보내오는 텍스트 형태의 선박 라인 업 리스트(VESSEL LINE UP LIST)들을 BERTH(선석), VESSEL(선박), ETA(선박도착예정일자), ETB(선박접안예정일자), CARGO NAME(화물명), CARGO QTY(선작/하역화물량), ETD(출항예정일자), UPDATE DATE(갱신일자), MORE INFO(기타정보 : 선박상세제원) 등으로 분석(파싱)하여 복수의 단말기(10)의 웹 사이트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박 라인업 리스트를 일자 및 화물명을 기반으로 선박 라인업 리스트를 자동으로 갱신하고, 해당 항구에 선박들의 도착예정일자, 선박 일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박 라인업 리스트를 일자 및 화물명을 기반으로 관리하며, 특정 항구에 대한 선택 정보가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선박 라인업 리스트의 분석을 통해 특정 항구에 선박들의 도착예정일자, 선박 일자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웹 사이트 상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 표시된 지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선박은 삼각형 혹은 원형 등 파란색 등으로 이미지화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AIS 원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2-3초 단위로 선박의 위치는 갱신되며, 이미지화된 선박들이 이동하는 움직임은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변화될 수 있다. 즉,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선박의 위치 정보는 지도 형태로 제공되며, 선박들의 실시간 데이터(예컨대 선박의 위치 변화, 움직임 등)가 구현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구에 설치되어 항구에 입항하는 선박과의 통신을 통해 선박으로부터 AIS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AIS 수신기(12)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AIS 원시 데이터를 수집함과 더불어 선박과의 위성 통신을 통해 선박으로부터 AIS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여 선박에 대한 AIS 데이터를 수집하며, 항구 내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박 대리점측과 연동을 통해 선박 라인 업 리스트를 제공받아 수집하는 수집 서버(110), 선박 검색을 요청한 단말기(10)에 선박 검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을 제공하며, 검색창에 검색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수집한 AIS 원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선박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선박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된 지도 데이터와 선박의 AIS 원시 데이터를 파싱한 파싱 데이터를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더불어 선박 라인 업 리스트 내 데이터를 파싱하여 항구에 입항할 선박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선박 정보 제공 서버(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박 정보 제공 서버(120)는 수집된 AIS 원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박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측정한 선박의 움직임을 기초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서 선박에 대한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선박 정보 제공 서버(120)는 이메일을 이용하여 선박 대리점측으로부터 항구에 입항할 선박, 선석, 선박도착예정일자, 선박접안예정일자, 화물명, 선적/하역화물량, 출항예정일자, 갱신일자 및 선박상세제원 등을 포함한 선박 라인 업 리스트를 수신하며, 선박 라인 업 리스트를 분석을 통해 항구에 현재 입항된 선박과 미래에 입항될 선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전자 선하증권 발행, 전자 상거래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단말기(10) 및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는 식별 ID를 구비한 암호화 전자 지갑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블록체인(block-chain)이라 함은, 네트워크 통신상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를 안전하게 기록하고 저장하는 기술이다. 디지털 정보는 각 블록에 기록되는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인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체인들은 P2P 네트워크(복수의 단말기(10)로 구성된 네트워크) 상에 분산 저장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단말기(10) 및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암호화 전자 지갑을 구비한 노드들로 동작하여 전자 상거래 서비스 중 하나인 송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명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퍼블릭 블록체인이거나 특정 조직, 예컨대 선박 관련 사업자 등에서만 적용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또는 컨소시음 블록체인이어도 무방하다.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선주 또는 화주로부터 단말기를 통해 전자 선하증권 또는 계약서 발행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선주 또는 화주의 단말기(10) 내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된 암호화 전자 지갑의 식별 ID를 이용하여 전자 선하증권 또는 계약서에 대응되는 디지털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각 단말기(10)에 전송하여 기록시키는 정보 저장 서버(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화주, 중개사 및 선주(용선주를 포함함)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화주, 중개사 및 선주의 단말기(10)에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시키고, 임의의 화주 또는 선사의 단말기(10)를 통해 화물 또는 선박 오퍼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2)에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오퍼를 처리하기 위한 선박 또는 화물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용 인터페이스를 임의의 화주 또는 선사의 단말기(10)에 제공하여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상거래 서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 상거래 서버(140)는 선택용 인터페이스로 1 순위로 선택할 수 있는 실제 선박을 보유한 선주 정보, 2 순위로 선택할 수 있는 용선주의 정보 및 3 순위로 선택할 수 있는 선주측 및 화주측의 중개사 정보를 제공하며, 1순위, 2순위 및 3순위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통해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상거래 서버(140)는 화물의 오퍼 요청한 화주의 단말기(10)에 화물 오퍼 요청을 위한 화물명, 화물량, 선박 종류 및 선박 크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화주의 단말기(10)에 제공하며, 화주의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 설정된 오퍼 기준 양식에 적용하여 화물 항해 용선 오퍼 양식 및 선박 용선 오퍼 양식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선주 및 중개사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생성된 화물 항해 용선 오퍼 양식 및 선박 용선 오퍼 양식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서버(140)는 화물의 패킹 리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화주의 단말기(10)에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패킹 리스트를 이용하여 화물의 최대 무게 및 길이를 자동 산출하여 선주 및 중개사의 단말기(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상거래 서버(140)는 화물 오퍼 요청이 화주의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선주의 정보를 이용하여 견적을 요청하며, 견적 요청에 따라 선주의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해상운임 및 계약조건을 수신함에 따라 수신한 해상운임 및 계약조건을 화주의 단말기 내 암호화 전자 지갑의 식별 ID로 암호화한 후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식별 ID를 갖는 암호화 전자 지갑을 소유한 화주만이 해상 운임 및 계약 조건을 열람할 수 있다.
전자 상거래 서버(140)는 해상운임, 중개 수수료 등의 송금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발행된 토큰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화주가 계약한 선주에게 해상 운임, 중개 수수료 등을 송금하고자 하는 경우 화주는 단말기(10) 내 암호화 전자 지갑에 충전된 암호화 화폐를 이용하여 선주에게 해상 운임, 중개 수수료를 송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금에 대응되는 거래 명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될 수 있다.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결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전자 상거래 서버(14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체하고자 하는 암호화 화폐의 개수(거래 금액에 대응되는 암호화 화폐의 개수)를 입력함에 따라 암호화 화폐의 이체와 관련된 거래 명세를 생성한 후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기록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결제 요청한 암호화 화폐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말기(10)들을 이용하여 암호화 화폐가 저장된 암호화 전자 지갑의 식별 ID에 대한 유효성을 체크한 후 이에 대응하는 유효성 확인 결과를 제공받아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 서버(15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말기(10)들 중 라이트 노드를 통해 풀 노드에 암호화 전자 지갑의 식별 ID가 유효성에 대한 확인을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 즉 유효성 확인 결과를 라이트 노드로부터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라이트 노드는 풀 노드로부터 암호화 전자 지갑의 식별 ID의 상태를 포함하고 있는 메클트리의 브랜치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메클트리의 브랜치 정보와 전체 브랜치에 있는 해시들을 비교해서 식별 ID에 대한 유효성 확인 결과를 전자 상거래 서버(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비스는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현금 결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현금 결제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전자 상거래 서버(140)는 복수의 암호화 화폐 거래 시스템(미도시됨)에 접속하여 특정 암호화 화폐에 대한 시세 정보를 수신하며, 복수의 암호화 화폐 거래 시스템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시세 정보 중 가장 높은 시세 정보로 암호화 화폐가 거래되는 암호화 화폐 거래 시스템을 선택한 후 가장 높은 시세 정보를 기반으로 해상 운임, 중개 수수료에 대응하는 특정 암호화 화폐의 개수를 결정하며, 결정된 개수를 선택된 암호화 화폐 거래 시스템에서 현금화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해상 운임, 중개 수수료를 선주에게 이체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동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선박으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으로 수신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선박의 고유 식별 정보, 예컨대 선박의 고유 이름 등에 매칭시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영상 데이터는 선박의 선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거나, 선박 내 탑승중인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주에 의해 촬영 또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선박의 고유 식별 정보와 함께 수신되어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단말기(10) 상에서 특정 선박이 클릭됨에 따라 현재의 선박의 위치가 표출된 지도, 선박의 제원정보 및 바다 날씨뿐만 아니라 선박의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된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특정 선박이 클릭됨에 따라 선박의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의 동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됨)에 업로딩된 영상 검색을 통해 검색된 영상을 단말기(10)에 서비스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박의 선주 또는 선박에 탑승한 사용자는 선박의 고유 식별 정보를 태깅한 동영상 데이터를 외부의 동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업로딩될 수 있다.
즉, 동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160)는 외부의 동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기(10) 상에서 선택된 선박의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검색을 실시하며, 영상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단말기(10)에 서비스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0 : 단말기
12 : AIS 기지국
100 :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110 : 수집 서버
120 : 선박 정보 제공 서버
130 : 정보 저장 서버
140 : 전자 상거래 서버
150 : 인증 서버
160 : 동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6)

  1. 항구에 설치되어 상기 항구에 입항하는 선박과의 통신을 통해 선박으로부터 AIS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AIS 수신기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AIS 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선박과의 위성 통신을 통해 상기 선박으로부터 AIS 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위성과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선박에 대한 AIS 원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항구 내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박 대리점측과 연동을 통해 선박 라인 업 리스트를 제공받아 수집하는 제 3 기능과,
    사용자 단말기에 선박 검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을 제공하며, 상기 검색창에 검색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수집한 AIS 원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선박의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선박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된 지도 데이터와 상기 선박의 원시 AIS 데이터를 파싱한 파싱 데이터를 포함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4 기능과,
    상기 선박 라인 업 리스트 내 데이터를 파싱하여 상기 항구에 입항할 선박들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 5 기능과,
    선주, 화주, 용선주, 중개사, 선박 관련 사용자의 단말기들로 구성된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되며, 선주 또는 화주로부터 단말기를 통해 전자 선하증권 또는 계약서 발행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선주 또는 화주의 단말기 내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된 암호화 전자 지갑의 식별 ID를 이용하여 전자 선하증권 또는 계약서에 대응되는 디지털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기록시키는 제 6 기능과,
    화주, 중개사 및 선주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화주, 중개사 및 선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임의의 화주 또는 선주의 단말기를 통해 화물 또는 선박 오퍼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오퍼를 처리하기 위한 선박 또는 화물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용 인터페이스를 상기 임의의 화주 또는 선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 7 기능을 포함하고,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 1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을 통해 수집된 AIS 원시 데이터를 선박의 현재위치(POSITION), 선박이름(VESSEL), 선박고유번호(MMSI), 목적지(DESTINATION), 적재톤수(DWT), 형태(TYPE), 길이(LENGTH), 넓이(BEAM), 도착예상일자(ETA), 흘수(DRAFT), 침로(COURSE), 네비게이션(NAVITIGATION), 업데이트일자(UPDATE DATE), 선박상세제원(VIEW)으로 파싱하여, 제공하며,
    상기 제 7 기능은, 상기 선택용 인터페이스로 1 순위로 선택할 수 있는 실제 선박을 보유한 선박회사 정보, 2 순위로 선택할 수 있는 용선주의 정보 및 3 순위로 선택할 수 있는 선주측 및 화주측의 중개사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1순위, 2순위 및 3순위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통해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 7 기능은, 화물의 오퍼 요청을 위한 화물명, 화물량, 선박 종류 및 선박 크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임의의 화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임의의 화주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 설정된 오퍼 기준 양식에 적용하여 화물 항해 용선 오퍼 양식 및 선박 용선 오퍼 양식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박회사 및 중개사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 생성된 화물 항해 용선 오퍼 양식 및 선박 용선 오퍼 양식을 전송하며,
    상기 제 7 기능은, 화물의 패킹 리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임의의 화주의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패킹 리스트를 이용하여 화물의 최대 무게 및 길이를 산출하여 상기 선박회사 및 중개사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화물 오퍼 요청이 임의의 화주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주군의 정보를 이용하여 견적을 요청하며, 상기 견적 요청에 따라 선주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해상운임 및 계약조건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수신한 해상운임 및 계약조건을 상기 임의의 화주의 단말기 내 암호화 전자 지갑의 식별 ID로 암호화한 후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발행하는 제 8 기능을 포함하며,
    해상운임 또는 중개 수수료의 송금을 암호화 화폐를 이용하여 결제하거나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현금 결제 방법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9 기능을 포함하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박의 고유 식별 정보와 매칭된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또는 선박의 고유 식별 정보가 태깅되어 외부의 동영상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업로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선택된 선박에 대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능은,
    이메일을 이용하여 상기 선박 대리점측으로부터 상기 항구에 입항할 선박, 선석, 선박도착예정일자, 선박접안예정일자, 화물명, 선작/하역화물량, 출항예정일자, 갱신일자 및 선박상세제원을 포함한 상기 선박 라인 업 리스트를 수신하며,
    상기 제 5 기능은,
    상기 선박 라인 업 리스트를 분석을 통해 상기 항구에 현재 입항된 선박과 미래에 입항될 선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제 4 기능은 상기 수집된 AIS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박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선박의 움직임을 기초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서 상기 선박에 대한 이미지를 이동시켜 변화시키고,
    각 항구의 AIS 수신기로부터 바다 낚시배, 여객선의 AIS 데이터를 인터넷 망을 통해 수신하고, 바다 낚시배, 여객선의 현재 위치를 삼각형 또는 기타 다각형 형상으로 단말의 지도 상에 표시하되, 단말의 왼쪽 또는 오른쪽 표시 위치에 선박의 제원정보, 바다 날씨, 바다 낚시배 또는 여객선의 현재 조업 상황이 동영상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동영상은 유투브를 포함하는 인터넷 동영상 매체를 통해 제공되는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0096543A 2020-08-03 2020-08-03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231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43A KR102231301B1 (ko) 2020-08-03 2020-08-03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43A KR102231301B1 (ko) 2020-08-03 2020-08-03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301B1 true KR102231301B1 (ko) 2021-03-23

Family

ID=7522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543A KR102231301B1 (ko) 2020-08-03 2020-08-03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3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67B1 (ko) * 2021-06-25 2022-03-17 주식회사 콤라인 데이터 기반의 선박정보 제공 방법
KR20230068219A (ko) 2021-11-10 2023-05-17 권영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6775753A (zh) * 2023-08-25 2023-09-19 北明成功软件(山东)有限公司 一种数据资产可视化方法及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482A (ko) 2000-10-18 2002-04-25 이형근 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해운정보 제공 및 운송계약 중개방법
KR20130107962A (ko) 2012-03-23 2013-10-02 윤희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선박 물류 추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13848B1 (ko) * 2014-04-17 2014-07-01 조양주 단말기 기반의 선박 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33645B1 (ko) 2014-11-19 2016-06-27 씨제이대한통운 (주) 선박 운항정보 통합 관리 서버 및 그 방법
KR20160112188A (ko) * 2015-03-18 2016-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별 항적 추출 및 전시 시스템
KR20170104209A (ko) * 2016-03-07 2017-09-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의 항적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12511A (ko) *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옵티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국제복합운송에서의 운송화물 상태 확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482A (ko) 2000-10-18 2002-04-25 이형근 통신망을 이용한 실시간 해운정보 제공 및 운송계약 중개방법
KR20130107962A (ko) 2012-03-23 2013-10-02 윤희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선박 물류 추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13848B1 (ko) * 2014-04-17 2014-07-01 조양주 단말기 기반의 선박 점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33645B1 (ko) 2014-11-19 2016-06-27 씨제이대한통운 (주) 선박 운항정보 통합 관리 서버 및 그 방법
KR20160112188A (ko) * 2015-03-18 2016-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별 항적 추출 및 전시 시스템
KR20170104209A (ko) * 2016-03-07 2017-09-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의 항적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00012511A (ko) *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옵티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국제복합운송에서의 운송화물 상태 확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67B1 (ko) * 2021-06-25 2022-03-17 주식회사 콤라인 데이터 기반의 선박정보 제공 방법
KR20230068219A (ko) 2021-11-10 2023-05-17 권영근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6775753A (zh) * 2023-08-25 2023-09-19 北明成功软件(山东)有限公司 一种数据资产可视化方法及系统
CN116775753B (zh) * 2023-08-25 2023-11-17 北明成功软件(山东)有限公司 一种数据资产可视化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301B1 (ko) 선박 관련 서비스 제공 장치
Harris et al. ICT in multimodal transport and technological trends: Unleashing potential for the future
US200902763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and causing an action based on that information
KR101957917B1 (ko)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US201602324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identification and pricing for waste removal and transport services
CN102467703A (zh) 基于云计算的物流管理方法、设备和系统
US20220274703A1 (en) Autonomous Inspection System within a Smart Self-Healing Node Centric Blockchain Network for Safety and Quality Management
KR101603229B1 (ko) 물품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CN108734231B (zh) 用于报关信息与货物监管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11527509A (zh) 跟踪系统和方法
US20100088021A1 (en) Collection methods and devices
JP7054952B2 (ja) 公開運賃市場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公開運賃市場の表示方法
EP1886203A1 (en) Management and analysis of cargo shipments
Giannopoulos Towards a European ITS for freight transport and logistics: results of current EU funded research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US201601041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managment of object transmission
US202303513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vehicle transportation
Nchimbi et al. MAGITS: A mobile-based information sharing framework for integrating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n agro-goods e-commerce in developing countries
KR20170126602A (ko) 영상분석을 활용한 가상 실제(cps) 물류 통합관제 시스템
US20210049547A1 (en) Method for Gas Station-Based Parcel Delivery Ser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me
US11285962B2 (en) Methods and systems of one-click registration of drivers in a load transport network
KR20210067250A (ko) 화물 정보 제공 시스템
Bakhtyar et al. Analysis of information synergy between e-Waybill solutions and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services
KR20210066108A (ko) 선박 정보 제공 시스템
US20220261749A1 (en) Methods and systems of digitized proof of delivery by drivers in a load transport network
Kunnari Track & Trace Solution for Road Cargo in Paper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