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917B1 -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917B1
KR101957917B1 KR1020180101219A KR20180101219A KR101957917B1 KR 101957917 B1 KR101957917 B1 KR 101957917B1 KR 1020180101219 A KR1020180101219 A KR 1020180101219A KR 20180101219 A KR20180101219 A KR 20180101219A KR 101957917 B1 KR101957917 B1 KR 101957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marina
information
terminal
managem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요트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요트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요트북
Priority to KR102018010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917B1/ko
Priority to PCT/KR2018/014051 priority patent/WO202004574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되며, 블록체인의 노드를 구성하는 선주 단말로부터 전력거래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거래요청에 대응하도록 전력을 판매하기 위한 계약에 선주 단말로부터 승인을 받고, 선주 단말의 선박으로 전력을 공급한 후 선주 단말로부터 선박에 전력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피드백받고, 선주 단말로부터 대금을 지불받아 정산을 완료하고, 전력의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의 분산장부에 저장하는 전력 자동거래부,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운항정보의 히스토리 로그를 적어도 하나의 선박 및 적어도 하나의 선박을 운행하는 선장의 식별부호와 매핑하여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운항정보 관리부,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정보를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하여 공유되도록 저장하는 선박정보 관리부, 및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 및 선박에 승선한 이용객의 이용객 단말로부터 결제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결제요청자가 이용하는 종류의 통화, 마리나 항만이 위치한 국가의 통화, 통합화폐와 각 통화 간의 환율과 현재시세에 기초하여 결제요청을 처리하는 통합화폐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SERVER AND SYSTEM FOR PROVDING MARINA OPER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BLOCKCHAIN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본 발명은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IoT 및 블록체인으로 투명한 전력직거래를 제공하고, ICT 기반으로 입출항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최근 7-8년간 국가주도아래 마리나(Marina)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였고, 지역관광 활성화의 대안으로 문화관광이 대두되면서 각 해양도시는 해양문화관광도시 만들기 및 해양문화관광벨트화 사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마리나라는 공간은 해양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공간으로 관광의 핵심 컨텐츠로 개발할 수 있는 공간이면서, 대중관광에서 탈피한 지역문화를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국내에서는 마리나는 마리나 항만이라는 용어로 정의되고 있으며, 마리나법에 의하면 마리나항만이란 유람, 스포츠 도는 여가용으로 제공 및 이용하는 선박의 출입 및 보관, 사람의 승하선을 위한 시설과 이를 이용하는 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을 갖춘 곳으로 사람과 승하선을 위한 기반시설과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시설을 총칭한다.
이때, 마리나 항만의 시설을 관리하는 통합관리 시스템은 시설물의 이용현황을 시스템화하고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U-센서 네트워크, 및 무선통신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83631호(2016년01월08일 공고)에는, 마리나 항만의 시설물 정보, 선박 정보를 AIS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통합결제, 문서관리, 예약, 관리를 RFID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AIS 및 RFID를 활용하여 마리나 항만을 모니터링하고 CCTV를 이용하여 마리나 항만 주변을 감시하며 u-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오염을 관측하고, 마리나 관제부 및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마리나 항만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지원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현재까지 국내의 마리나는 많은 성장을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 계류기능 위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국제 수준의 종합 서비스를 갖춘 마리나 항만은 없는 실정이다. 한국은 2010년 마리나 항만 기본계획을 고시 후 전국에 43개의 항만을 대상으로 마리나를 개발하여 고부가가치 해양레저산업 육성 및 연관 산업과 유기적으로 체계를 구축하여 이를 국가의 전략기간산업으로 육성하고자 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마리나 운영 시스템을 일원화할 수 있는 전력거래나 운영 시스템이 부재하고, 해외 관광객이 시설을 이용할 때 환전이나 카드 결제의 문제가 발생하며, 서류 작성과 발급 절차가 용이하지 않고 입항 및 출항 서비스가 통합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리나 항만의 운영 시스템을 일원화하면서 선주와 전력공급처 간의 직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며, 선주 간의 실시간 선적 조회 및 접근 채널을 마련하며, 입출항시 작성해야 하는 선박의 서류 절차를 간소화하고, 의사소통의 다채널을 지원하며, 마리나 시설의 이용정산과정을 투명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선박보수 및 유지관리시 발생하는 대기시간을 줄이며, 마리나 부대시설 이용시마다 출입허가요청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소지해야 해야 하는 카드를 없앰으로써 사고발생을 방지하고, 요트 이용객을 위한 관광정보를 제공하며 환전 및 카드결제 문제를 통합화폐 결제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의 노드를 구성하는 선주 단말로부터 전력거래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거래요청에 대응하도록 전력을 판매하기 위한 계약에 선주 단말로부터 승인을 받고, 선주 단말의 선박으로 전력을 공급한 후 선주 단말로부터 선박에 전력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피드백받고, 선주 단말로부터 대금을 지불받아 정산을 완료하고, 전력의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의 분산장부에 저장하는 전력 자동거래부,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운항정보의 히스토리 로그를 적어도 하나의 선박 및 적어도 하나의 선박을 운행하는 선장의 식별부호와 매핑하여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운항정보 관리부,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정보를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하여 공유되도록 저장하는 선박정보 관리부, 및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 및 선박에 승선한 이용객의 이용객 단말로부터 결제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결제요청자가 이용하는 종류의 통화, 마리나 항만이 위치한 국가의 통화, 통합화폐와 각 통화 간의 환율과 현재시세에 기초하여 결제요청을 처리하는 통합화폐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블록체인의 노드를 구성하고 선박 및 선박에 승선한 이용객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선박에 필요한 자원에 대한 계측량을 수신하여 결제하는 선주 단말, 선주 단말로부터 전력거래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거래요청에 대응하도록 전력을 판매하기 위한 계약에 선주 단말로부터 승인을 받고, 선주 단말의 선박으로 전력을 공급한 후 선주 단말로부터 선박에 전력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피드백받고, 선주 단말로부터 대금을 지불받아 정산을 완료하고, 전력의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의 분산장부에 저장하는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관광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마리나 항만의 시설을 이용하는 요금을 통합화폐 또는 가상화폐로 지불하고, 구매 내역을 포함한 이용객 정보를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로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송하는 이용객 단말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마리나 항만의 운영 시스템을 일원화하면서 선주와 전력공급처 간의 직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며, 선주 간의 실시간 선적 조회 및 접근 채널을 마련하며, 입출항시 작성해야 하는 선박의 서류 절차를 간소화하고, 의사소통의 다채널을 지원하며, 마리나 시설의 이용정산과정을 투명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선박보수 및 유지관리시 발생하는 대기시간을 줄이며, 마리나 부대시설 이용시마다 출입허가요청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소지해야 해야 하는 카드를 없앰으로써 사고발생을 방지하고, 요트 이용객을 위한 관광정보를 제공하며 환전 및 카드결제 문제를 통합화폐 결제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여행상품예매와 연계된 일 실시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 및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 및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선주 단말(100), 이용객 단말(400),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은,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항만 이용신청, 항구의 입출항 체크인과 체크아웃, 전력 및 수도를 포함한 자원 이용료의 실시간 계측결과에 기반한 요금 정산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은 요트나 선박을 보유한 선주의 단말일 수 있다. 해외의 경우 자격 또는 자격증의 형태이거나 관련된 자격제도가 없거나 로그북(운항기록)을 작성함으로써 운항능력을 평가받지만, 한국의 경우 시험제도 및 교육이수를 통하여 면허를 국가에서 관리하는 유일한 형태로 제도화되어 있다. 다만, 면허제도로는 선장의 요트 운항능력을 확인할 수 없음으로 고객은 투어를 예약할 때 선장의 운항수준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검색 및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입출항의 정보(운항 히스토리)를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을 이용함으로써 신뢰할만한 항해능력 데이터를 얻는데 목적을 둔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선장 단말(100)의 선장은 로그북을 소지 또는 수기로 작성하는 형태가 아니라 자동으로 운항 데이터가 기록되고 블록체인 내에서 공유되도록 분산 관리되므로 자격을 증명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로그북은 수기로 작성되는 요트운항일지, 요트 렌탈 등 요트운항능력을 증빙해야 할 때의 중요 자료 또는 증거로 사용되는 장부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블록체인으로 각 노드를 연결하고 마리나 항만과 선주 간의 전력 직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직거래의 요금정산을 IoT 실시간 계측을 이용하여 투명하게 근거 및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블록체인과 스마트미터를 이용하여 자동화된 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고, 요트관광 통합 에이전트 모델과 통합된 IT 플랫폼을 제공하고, 관광상품에 대한 마켓 플레이스를 제공하고, 지역 관광 상품과 연동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O2O(Online to Offline) 플랫폼 시장을 위해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선박 및 선박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구축하고 패턴을 추출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선박의 선박 데이터 및 운항 데이터를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저장함으로써 위변조로 인한 범죄나 사기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암호화 화폐, 및 가상화폐를 포함한 통합화폐 결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항만을 통하여 유입된 외국인의 환전문제나 결제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선박에 승선한 이용객의 정보를 이용하여 ICT 플랫폼에서 간편 입국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고,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와 연동하여 이용객의 생체정보 또는 QR 코드 등을 이용하여 입출항절차를 간소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와 통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는 삭제될 수 있고,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의 역할을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분리되어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은,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은,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에서 여행상품을 선택 및 결제하고, 선박에 승선하여 외국 또는 내국에서 입항하려는 여행객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은, 생체정보나 QR 코드를 통하여 입항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이용객의 단말일 수 있고, 마리나 항만 근처의 관광 정보를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은 마리나 항만의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원하는 종류의 통화로 실시간 환전 시세에 근거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는,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선박, 선주 및 이용객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수집된 정보를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달하고, 선박의 입항 및 출항의 절차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는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구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는,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요트 또는 선박 상품을 판매 및 이용객을 모집하여 예약을 실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는, 선주 단말(100) 또는 선박 단말(미도시)와 연계하여 여행객(이용객)의 정보를 전송하고, 이후 입항 절차에서 ICT 기반의 체크인 및 체크아웃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력 자동 거래부(310), 운항정보 관리부(320), 선박정보 관리부(330), 통합화폐 관리부(340), ICT 입출항 관리부(350), 선박관리 제공부(360), 이용객 편의제공부(370), 요금 계산부(380) 및 출입관리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 및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로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 및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는,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이용객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 및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자동거래부(310)는, 블록체인의 노드를 구성하는 선주 단말(100)로부터 전력거래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거래요청에 대응하도록 전력을 판매하기 위한 계약에 선주 단말(100)로부터 승인을 받고, 선주 단말(100)의 선박으로 전력을 공급한 후 선주 단말(100)로부터 선박에 전력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피드백받고, 선주 단말(100)로부터 대금을 지불받아 정산을 완료하고, 전력의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의 분산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이나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퍼블릭 블록체인의 제한적인 확장성 및 높은 가치변동성 등의 한계점으로 인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퍼블릭 블록체인을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하나의 중앙기관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만을 네트워크에 참여시켜서 분산원장 데이터를 공유하고 검증하는 시스템인데,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는 네트워크 내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고 검증하는 권한을 차등적으로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으며, 소스의 노드가 거래를 확정하는 형식이므로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블록 분기 및 블록 재조정으로 인한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다. 에너지 블록체인의 유형은 전력거래를 중심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수도 사용 등 전반시설이나 자원을 사용하는 거래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블록체인 환경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IoT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올려 모든 사용자가 이를 증명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Zero-Knowledge proof가 프리컴파일 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계정 정보나 데이터 등이 공개 되지 않도록 익명성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이때, 센서를 활용하여 생산하는 IoT 데이터는 대부분 사용자가 설치하고 운용하는 자원제약 특성의 IoT 네트워크에서 발생될 수 있다. 자원이 제한된 상황에서 통신범위를 늘리는 방법에 따라, 다중홉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Zigbee, Wi-SUN 등과 단일홉의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LPWA(Sigfox, LoRaWAN 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만, 밀집된 지역에서 다양한 유형의 대규모 데이터가 공존하는 경우는 서비스의 중요도에 따라서 우선순위를 관리할 수 있는 제한된 수준의 QoS 제어기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대규모 IoT 데이터 수집을 위해, 차별적, 상황적응적인 데이터 수집 기술을 적용한 Massive IoT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다.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자원제약이 없는 네트워크 요소에 DLT를 적용할 수 있으며, IoT 전용망 기술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LPWA IoT 네트워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력이나 상수도 등과 같은 자원과 시설이용에 따른 이용목록 및 이용량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장부 기반의 명세로 인하여 사용측과 공급측 간의 데이터 차이로 발생하는 다툼이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운항정보 관리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운항정보의 히스토리 로그를 적어도 하나의 선박 및 적어도 하나의 선박을 운행하는 선장의 식별부호와 매핑하여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선박정보 관리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정보를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하여 공유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운항정보는, 항해장비, 통신장비, 해도나 수로서지, 기상정보수신기, 기상센서, INS(통합항해 시스템), AMS(알람모니터링시스템), EMS(엔진모니터링시스템), Motion & Attitude Sensor, Ballast Water Management/Treatment System, Loading Computer, Stowage Planning System, Hull Stress Monitoring System, Emission Monitoring System 등 다양한 센서와 PLC, Device 및 System으로부터 수집 및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선박의 운항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는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선박을 운항하지 않더라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정적인(static) 정보와, 운항 위치와 시점에 따라 수시로 변하는 동적인(dynamic) 정보로 대별될 수 있다. 선명이나 IMO Call Sign, 제원, 감항성, 복원력, 항해통신장비, 안전장비, 엔진, 추진기, 발전기, 시설 및 기자재의 인벤토리 등이 정적인 정보로서 한 항차의 항해 중에는 거의 변하지 않는 정보이다. 항차마다 변하는 정보로는 승무원, 화물, 출항지, 목적지, 경유지, 항로계획, 수로 및 해도정보 등이 있고, 위치, 속력, RPM, 방위, 항적, 변치, 통항, 조타 등의 항해정보나 충돌, 좌초, 구조 등의 이벤트정보가 있다. 화물의 적재에 관한 것으로 흘수, TRIM, 무게중심, Stability, 선박평형 수 등의 적재정보가 있다. 풍향, 풍속, 해류, 해속, 조류, 조석, 기온, 수온, 파향, 파고, 태풍이나 해일 등의 기상 정보가 있으며, Rolling, Pitching, Yawing, Twist, Attitude, Hull Stress 등의 선박운동정보 등이 있다.
선박운항 데이터는 이처럼 선박의 전 생명주기에 걸쳐 수집 및 획득한다면, 대용량의 데이터가 생성되고, 다양한 센서로부터 정형화되거나 비정형화된 데이터가 다양한 포맷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간과 위치에 따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된다. 즉 선박운항데이터는 근본적으로 Volume(대용량), Variety(다양성), Velocity(속도)의 특성을 내재하고 있는데, 선대를 관리하고, 연료절감을 통한 최적 경제운항을 하며, 탄소배출을 모니터링하고, 선박평형 수의 살균 정화를 감시하고, 원격으로 선박을 정비하고, 용선계약의 근거자료로 삼고, 운항 수지를 분석하여 선박의 용선과 자선을 최적화하고, 선박 펀드 조성을 용이하게 하고, Eco-ship 설계 등에 이용될 수 있고, 대양별 선호 항로와 선박별, 항차별 소요 기간 및 총 항적마일을 구할 수도 있다. 또는 황천항해시의 항해 속도와 연료소비량을 구별하여 산출하고, 피항 경로의 경제적 효율과 안전도를 비교하며, 시리즈 선박의 운항 효율을 비교할 수 있다.
통합화폐 관리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100) 및 선박에 승선한 이용객의 이용객 단말(400)로부터 결제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결제요청자가 이용하는 종류의 통화, 마리나 항만이 위치한 국가의 통화, 통합화폐와 각 통화 간의 환율과 현재시세에 기초하여 결제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전력 자동거래부(310)의 거래 객체는 전력을 포함한 수도, 계류 및 시설이용을 포함한 마리나 항만과 선주 단말(100) 간의 거래를 포함할 수 있는데, 통합화폐는 가상화폐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거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퍼블릭 또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분산장부에 저장되어 무결성이 검증될 수 있다.
ICT 입출항 관리부(350)는,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로부터 QR 코드, 고유식별코드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식별되는 선박, 선주 및 이용객에 대한 세관, 입국관리 및 검역을 포함하는 입출항 절차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승객 체크인(Passenger check-in), 수하물 체크인(Baggage check-in), 보안검색대(Security check-point), 라운지 출입(Lounge access), 탑승(Boarding), 도착(Post-flight) 등 6개의 분야를 ICT 기반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 이외에도 바코드나 NFC 태그, RFID를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탑승권에 QR 코드 등의 식별코드를 인쇄하고, 셀프서비스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체크인을 하면 승객은 NFC 탑승권을 받게 되며 이 탑승권 데이터는 NFC가 탑재된 휴대폰에 보안성을 갖추어 저장될 수 있다. 신속한 승객 이동으로 항만의 혼잡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하물 체크인도 NFC를 이용하게 되면 수하물 접수를 간소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하물 추가 비용 지불 등에도 신속하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적용 방법은 체크인한 승객이 키오스크(Kiosk)로 가면 NFC로 인하여 승객 신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면 수하물 태그를 쉽게 인쇄할 수 있다. 이후 수하물에 태그를 붙이고 지정된 수하물 처리 지역으로 가서 수하물을 위탁할 수 있다. 만약 수하물 위탁 시 추가비용이 발생하면 NFC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지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안검색에 NFC를 적용하는 것인데, 먼저 보안검색대 진입 승객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한데 NFC를 이용한 시스템을 설치하면 승객의 신원확인을 할 수 있고, 검색대에 설치된 스캐너에 NFC정보를 스캔하면 승객이 일반, 상용고객라인, 패스트 라인으로 갈지를 결정, 이에 따라 해당 검색대로 이동하면 된다. 물론,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매체 및 방법으로 ICT 기반 출입국 절차가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선박관리 제공부(360)는, 선주 단말(100)로 계류, 임대, 유류, 전기공급, 수리 및 부품교체를 포함한 선박관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해상예보, GPS 정보, 및 운항기록을 포함한 선박안전관리 정보를 제공하며, 선주 단말(100)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선주 단말(100) 간의 커뮤니티 플랫폼을 제공하여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용객 편의제공부(370)는, 이용객 단말(400)로 마리나 항만의 주변 관광, 음식, 및 쇼핑을 포함한 관광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객 단말(400)의 설정 언어로 관광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언어를 변환하고, 이용객 단말(400)의 국가에서 사용하는 통화, 마리나 항만이 위치한 국가에서 사용하는 통화 간 실시간 환율에 기반하여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요금 계산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선박에 공급된 전력 및 수도를 포함하는 공급 자원을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실시간 계측하여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측정된 공급 자원의 양 및 단가에 기반하여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출입관리부(390)는, 선박의 마리나 항만 출입을 NFC 기반 태그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승객을 NFC 기반의 태그로 구분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 다른 매체나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선주 단말(100)은 선박에 승선한 여행객인 이용객의 정보를 선박여행상품을 판매하는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용객의 정보는 인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정보인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체정보는, 얼굴 이미지, 지문, 홍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입출항 관리 및 여행상품의 예약관련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출원번호 제2017-0015381호 및 제2018-0031499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로부터 이용객 단말(400)의 정보를 수집하고, 선주 단말(100, 또는 선박 단말)로 예약인원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b) 선주 단말(100)에서 입항예보서를 입력하는 등의 입항예고를 하고 확인을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로 받는 경우 출항을 하게 되는데, (c), (d) 운행정보나 선박정보는 선박 단말(미도시)이나 선주 단말(100)에서 수집하여 블록체인의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공유하게 된다. 그리고, (e) ICT 기반으로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용객의 간편출입국절차를 이용객 단말(400)을 통하여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로그를 저장하여 운항 경력의 증빙자료로 이용하도록 운항 정보를 저장하고 로그 데이터를 기록하며, 선박의 정보의 저장을 통해 관리를 쉽게하며 선박 정보의 위변조 불가능하도록 하여 범죄에 이용 방지하도록 선박 정보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블록체인을 통해 전세계의 마리나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통화인 통일된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ICT 기반의 융합형 마리나 시스템으로, 블록체인을 에너지 직접거래에 이용하고, 스마트 통합결제 시스템 및 서류발급의 간소화를 제공하며, QR코드나 지문 인식을 통하여 즉각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출입국 절차인 세관, 입국관리 및 검역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실시간 요트 계류장 입항 및 선석 예약 관리를 통한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하여 선주들을 위한 통합 선박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계류,임대,유류,전기공급,수리 및 부품교체를 포함하는 선박 관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해상날씨예보, 운항위험정보 제공, GPS 위치 및 운항기록을 포함하는 선박 안전 관리 기능을 포함하며, 선주간 실시간 채팅 및 정보공유를 가능케하도록 플랫폼 이용자 간의 커뮤니티 및 메신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마리나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계류장과 멤버쉽을 제공하여 일체형으로 이용객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마리나 주변의 관광, 음식 및 쇼핑을 포함한 데이터를 제공하며,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한 고객의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해외 이용객들을 위하여 글로벌 버전을 개발하고, 영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등의 글로벌버전과 함께 국가별 언어 서비스나 번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용객 단말(400)은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에 여행상품을 예약 및 결제하면(S4100),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600)에서 예약이 확정되며(S4200), 선주 단말(100)로 정보가 전달되게 된다(S4300). 이때, 선주 단말(100)은 여행객 정보 등을 저장하고(S4400),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에 입항요청을 하게 되며(S4500), 승인을 받는 경우(S4600), 선박정보 및 운항정보를 저장하여 블록체인에 공유되도록 한다(S4700). 이때,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선주 단말(100)에서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로 전력이나 수도 등의 자원을 요청하고 공급받는 경우(S4800, S4810),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공급량을 IoT 센서를 통하여 체크하고(S4820), 선주 단말(100)에서 결제를 하는 경우 구매내역을 블록체인 노드에 저장하며(S4900), 이용객의 정보를 마리나 관제용 서버(500)로 전달하여 ICT 기반 입출항의 절차가 진행되도록 한다(S4910). 한편,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NFC 기반으로 입출항을 체크하고 선주의 선박이 출항을 하는 경우 이를 기록하게 된다(S49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마리나 항만과 선주 간의 직접 전력거래의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수수료를 절감하고, 블록체인, 스마트미터, 마리나 운영 시스템 및 요트 플랫폼이 결합된 자동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며, 요트관광 통합 에이전트 모델과 IT 플랫폼을 융합함으로써 요트 사업자나 비사업자를 타겟으로 한 선박 통합관리 시스템과 IT 기반의 마리나 운영시스템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할 수 있으며, 이후 마리나 창업자들을 위하여 체계적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맞춤형 지원으로 신규 가입자를 확대할 수 있으며, 해외 마리나 이용 고객유치를 위하여 요트 관광상품을 연계할 수 있고, 조선 침체 이후 새로운 4차산업 융합 비즈니스로 신 해양강국산업의 차세대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여행상품예매와 연계된 일 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박여행상품 판매 플랫폼이 구현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때, 전국 계류장 선석 확인 및 이용에 대한 실시간 채팅 기능을 제공하고, 실시간 결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내외국인에게 편리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국내 최초로 한국의 마리나 관광상품 마켓 플레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전국의 계류장 선석 확인 및 이용에 대한 실시간 채팅 채널을 제공하고, 지역의 관광상품을 소개하면서 음식, 쇼핑, 헬스케어, MICE 산업으로 확장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한류 관광 콘텐츠 개발로 체류형 요트 관광객의 유치나 확대가 가능해진다.
또한, 4차 산업혁명 O2O 플랫폼 시장 트렌드에 발맞춰 고도화된 마리나 통합 관리 시스템 시장을 선점할 수 있으며, O2O 플랫폼으로 비즈니스 시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고, 트렌드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즉, 새로운 시설 투자가 아닌 기존 인프라의 프로세스를 개선하거나 활성화하는 IT 융합형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로 사업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단계적인 서비스가 개발 및 확장되는 형태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기적인 업그레이드로 수정 및 보완 사항을 반영하는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프라이빗 블록체인인 블록체인의 노드를 구성하는 선주 단말로부터 전력거래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거래요청에 대응하도록 전력을 판매하기 위한 계약에 상기 선주 단말로부터 승인을 받고, 상기 선주 단말의 선박으로 전력을 공급한 후 상기 선주 단말로부터 상기 선박에 전력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피드백받고, 상기 선주 단말로부터 대금을 지불받아 정산을 완료하고, 상기 전력의 거래 내역을 상기 블록체인의 분산장부에 저장하는 전력 자동거래부;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운항정보의 히스토리 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박을 운행하는 선장의 식별부호와 매핑하여 상기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운항정보 관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의 각 노드에 분산하여 공유되도록 저장하는 선박정보 관리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주 단말 및 상기 선박에 승선한 이용객의 이용객 단말로부터 결제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용객 단말이 이용하는 종류의 통화, 마리나 항만이 위치한 국가의 통화, 통합화폐와 상기 각 통화 간의 환율과 현재시세에 기초하여 상기 결제요청을 처리하는 통합화폐 관리부;
    상기 선주 단말로 계류, 임대, 유류, 전기공급, 수리 및 부품교체를 포함한 선박관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해상기상예보, GPS 정보, 및 운항기록을 포함한 선박안전관리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선주 단말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선주 단말 간의 커뮤니티 플랫폼을 제공하여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선박관리 제공부;
    상기 이용객 단말로 상기 마리나 항만의 주변 관광, 음식, 및 쇼핑을 포함한 관광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이용객 단말의 설정 언어로 상기 관광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언어를 변환하고, 상기 이용객 단말의 국가에서 사용하는 통화, 상기 마리나 항만이 위치한 국가에서 사용하는 통화 간 실시간 환율에 기반하여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용객 편의제공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박에 공급된 전력 및 수도를 포함하는 공급 자원을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실시간 계측하여 상기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측정된 공급 자원의 양 및 단가에 기반하여 요금을 계산하는 요금 계산부;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자동거래부의 거래 객체는 상기 전력을 포함한 수도, 계류 및 시설이용을 포함한 마리나 항만과 상기 선주 단말 간의 거래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화폐는 가상화폐를 포함하는 것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되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로부터 QR 코드, 고유식별코드 및 생체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식별되는 선박, 선주 및 이용객에 대한 세관, 입국관리 및 검역을 포함하는 입출항 절차를 관리하는 ICT 입출항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상기 마리나 항만 출입을 NFC 기반 태그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및 확인하는 출입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주 단말은 상기 선박에 승선한 여행객인 이용객의 정보를 선박여행상품을 판매하는 선박여행상품 판매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상기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이용객의 정보는 인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의 정보인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9.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프라이빗 블록체인인 블록체인의 노드를 구성하고 선박 및 선박에 승선한 이용객의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선박에 필요한 자원에 대한 계측량을 수신하여 결제하는 선주 단말;
    상기 선주 단말로부터 전력거래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거래요청에 대응하도록 전력을 판매하기 위한 계약에 상기 선주 단말로부터 승인을 받고, 상기 선주 단말의 선박으로 전력을 공급한 후 상기 선주 단말로부터 상기 선박에 전력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피드백받고, 상기 선주 단말로부터 대금을 지불받아 정산을 완료하고, 상기 전력의 거래 내역을 상기 블록체인의 분산장부에 저장하는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상기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관광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마리나 항만의 시설을 이용하는 요금을 통합화폐 또는 가상화폐로 지불하고, 구매 내역을 포함한 이용객 정보를 상기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로 백그라운드 모드로 전송하는 이용객 단말;
    를 포함하고,
    상기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선주 단말로 계류, 임대, 유류, 전기공급, 수리 및 부품교체를 포함한 선박관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해상기상예보, GPS 정보, 및 운항기록을 포함한 선박안전관리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선주 단말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선주 단말 간의 커뮤니티 플랫폼을 제공하여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선박관리 제공부, 상기 이용객 단말로 상기 마리나 항만의 주변 관광, 음식, 및 쇼핑을 포함한 관광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이용객 단말의 설정 언어로 상기 관광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언어를 변환하고, 상기 이용객 단말의 국가에서 사용하는 통화, 상기 마리나 항만이 위치한 국가에서 사용하는 통화 간 실시간 환율에 기반하여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용객 편의제공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박에 공급된 전력 및 수도를 포함하는 공급 자원을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으로 실시간 계측하여 상기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측정된 공급 자원의 양 및 단가에 기반하여 요금을 계산하는 요금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인,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80101219A 2018-08-28 2018-08-28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KR101957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19A KR101957917B1 (ko) 2018-08-28 2018-08-28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PCT/KR2018/014051 WO2020045746A1 (ko) 2018-08-28 2018-11-16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19A KR101957917B1 (ko) 2018-08-28 2018-08-28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917B1 true KR101957917B1 (ko) 2019-03-15

Family

ID=6576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219A KR101957917B1 (ko) 2018-08-28 2018-08-28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7917B1 (ko)
WO (1) WO2020045746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6476A (zh) * 2019-05-30 2019-08-2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反暴力破解方法及装置
KR102086966B1 (ko) * 2019-09-06 2020-03-09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블록체인 기반의 운행기록 분석과 안전운전 판단을 실행하는 dtg 단말기 및 방법
KR102103553B1 (ko) * 2019-08-07 2020-06-01 주식회사 요트북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이력 및 등록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KR102233468B1 (ko) * 2019-11-25 2021-03-29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항만 인프라 보안성 강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허브 플랫폼
KR20210093634A (ko) * 2020-01-20 2021-07-28 주식회사 지엔아이티 딥 러닝 기반 전자 신분증을 이용한 승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762612A (zh) * 2021-08-31 2021-12-07 北京交通大学 一种电动汽车充电站的分时运维成本测算方法及装置
KR20220108595A (ko) * 2021-01-27 2022-08-0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요트 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580087B2 (en) 2019-12-13 2023-02-14 Hyundai Motor Company Blockchain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8718A (zh) * 2020-09-07 2020-12-18 紫光云(南京)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与区块链的电力管理系统
CN112330297A (zh) * 2020-11-18 2021-02-05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驳船靠泊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898600B (zh) * 2022-07-13 2022-10-21 安胜(天津)飞行模拟系统有限公司 基于区块链技术架构的uam四维航迹分享和管理方法
CN115577215B (zh) * 2022-12-07 2023-03-24 亿海蓝(北京)数据技术股份公司 实时功率估算方法、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和芯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490A (ko) * 2000-02-16 2000-05-06 서문훈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고유번호에 의한 가상화폐의발급 및 유통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100873047B1 (ko) * 2008-05-23 2008-12-11 (주) 대동종합건설 실시간 관광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83631B1 (ko) * 2015-02-04 2016-01-08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JP2017123202A (ja) * 2017-04-13 2017-07-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旅行者向け決済支援システムおよび旅行者向け決済支援方法
KR101848896B1 (ko) * 2016-10-19 2018-04-13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선불형 전력 판매 및 전력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490A (ko) * 2000-02-16 2000-05-06 서문훈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고유번호에 의한 가상화폐의발급 및 유통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매체
KR100873047B1 (ko) * 2008-05-23 2008-12-11 (주) 대동종합건설 실시간 관광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83631B1 (ko) * 2015-02-04 2016-01-08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KR101848896B1 (ko) * 2016-10-19 2018-04-13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선불형 전력 판매 및 전력 사용 방법
JP2017123202A (ja) * 2017-04-13 2017-07-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旅行者向け決済支援システムおよび旅行者向け決済支援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6476A (zh) * 2019-05-30 2019-08-2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反暴力破解方法及装置
CN110166476B (zh) * 2019-05-30 2021-09-1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反暴力破解方法及装置
KR102103553B1 (ko) * 2019-08-07 2020-06-01 주식회사 요트북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이력 및 등록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KR102086966B1 (ko) * 2019-09-06 2020-03-09 주식회사 퀀텀게이트 블록체인 기반의 운행기록 분석과 안전운전 판단을 실행하는 dtg 단말기 및 방법
KR102233468B1 (ko) * 2019-11-25 2021-03-29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항만 인프라 보안성 강화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보안 허브 플랫폼
US11580087B2 (en) 2019-12-13 2023-02-14 Hyundai Motor Company Blockchain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10093634A (ko) * 2020-01-20 2021-07-28 주식회사 지엔아이티 딥 러닝 기반 전자 신분증을 이용한 승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27186B1 (ko) * 2020-01-20 2021-11-17 주식회사 지엔아이티 딥 러닝 기반 전자 신분증을 이용한 승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08595A (ko) * 2021-01-27 2022-08-0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요트 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3250B1 (ko) 2021-01-27 2023-05-15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요트 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762612A (zh) * 2021-08-31 2021-12-07 北京交通大学 一种电动汽车充电站的分时运维成本测算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5746A1 (ko)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917B1 (ko)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Heilig et al. Information systems in seaports: a categorization and overview
KR102103553B1 (ko)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이력 및 등록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Yau et al. Towards smart port infrastructures: Enhancing port activitie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CN104885110B (zh) 用于物品的递送的系统和方法
Wang et al. E-Logistics: Managing your digital supply chains for competitive advantage
CN106605242A (zh) 监控运载货物的构思
Giannopoulos Towards a European ITS for freight transport and logistics: results of current EU funded research and prospects for the future
Prause et al. Secure and sustainable supply chain management: Integrated ICT-systems for green transport corridors
Nchimbi et al. MAGITS: A mobile-based information sharing framework for integrating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n agro-goods e-commerce in developing countries
CN109472947A (zh) 物品封存和物品解封的方法和装置
Helmold et al. Digitalization in Air Transportation and Reflections on SCRM
KR102402417B1 (ko) 물류배송 서비스에서 수하물 운반을 위해 여객 운송수단의 승객과 수하물 정보를 매칭시키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Chatterjee Centre for railway information systems (cris)-the Automated Railway Management System: A case study
Mitropoulos et al. Transportation planning for ferry services by using a continuous approximation model: the case of the Aegean Islands, Greece
Pavlyuk et al. A discrete choice model for a preferred transportation mode
Tsamboulas et al. Development of motorways of the sea in the Adriatic region
Nadrljanski et al. Maritime Processes and Communications Management
Agustiono Integrat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Model for Passengers’ Convenience and Safety
Kapidani Intelligent use of maritime info-communication systems in developing environments
Horscroft Public Service Delivery in Pacific Outer Islands: Challenges and Innovations
Aliuddin et al. Asset Tracking Solution Based On Iot
Rista et al. The Integration of Albanian Seaports Towards Smart Ports.
Kizos et al. A policy tool for island transport cost inequality: Explora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Transport Equivalent Threshold on Greek islands
Maltezo et al. Integrated Port e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