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631B1 -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631B1
KR101583631B1 KR1020150017384A KR20150017384A KR101583631B1 KR 101583631 B1 KR101583631 B1 KR 101583631B1 KR 1020150017384 A KR1020150017384 A KR 1020150017384A KR 20150017384 A KR20150017384 A KR 20150017384A KR 101583631 B1 KR101583631 B1 KR 101583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rina
facility
management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남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1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리나 항만의 시설물을 관리함에 있어서 시설물의 이용 현황을 시스템화하고 관제를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및 u-센서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이하, USN으로 약칭함)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마리나 항만의 시설물 정보, 선박 정보를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통합결제, 문서관리, 예약, 관리를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주파수 식별장치)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마리나 관리부, 상기 AIS 및 RFID를 활용하여 상기 마리나 항만을 모니터링하고 CCTV를 이용하여 마리나 항만 주변을 감시하며 u-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오염을 관측하는 마리나 관제부, 실시간으로 상기 마리나 관리부 및 상기 마니라 관제부와 통신하며, 대응하는 객체의 RFID를 판독하는 단말기 및 상기 마니라 관리부, 마리나 관제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마리나 항만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MARINA PORT}
본 발명은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리나 항만의 시설물을 관리함에 있어서 시설물의 이용 현황을 시스템화하고 관제를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u-센서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이하, USN으로 약칭함) 및 무선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리나 항만은 요트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선박을 위한 계류시설과 수역시설을 갖추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해양레저시설을 갖춘 구역을 말한다. 마리나 항만이라는 용어는 '해변의 산책길'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2010년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부산 수영, 통영, 진해, 사천, 제주 중문 등 마리나 항만으로 11곳이 가동 중에 있다.
한편, 해양레저스포츠 및 관련 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마리나항만의 조성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 2009년 12월부터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해양과 인접한 지역을 대상으로 배후인구, 숙박 및 상업시설 등 주변 시설과 개발계획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거점형, 레포츠형, 리조트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 특성화하여 2019년까지 전국에 마리나 항만시설을 43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마리나 항만에서는 시설의 상태, 유지보수 및 레저보트의 계류, 임대, 물 공급, 유류 공급, 전기의 공급, 오폐수 처리, 수리 및 부품교체 등의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리나 항만은 복합형 마리나의 개발 및 전환이 선호됨에 따라 복합시설의 서비스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리나 항만은 해양 레저 시설을 갖추었으므로 오염 등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선진국의 경우, 주변 해양생태계의 온전한 보존을 위하여 기술적으로 오염을 통제하고 지속적인 환경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강화하여 마리나 항만을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마리나 항만의 효율적 운영 및 소비자 지향적 서비스지원이 가능한 IT기반의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주변 마리나 항만의 안전 및 치안관련 기관등과의 정보망 공유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술적 우위 선점 및 수출경쟁력을 확보할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리나 항만 관리를 위한 운용 정보 및 마리나 항만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마리나 항만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지원하는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USN 및 무선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마리나 항만을 지원하고, 환경관리, 및 대응하는 서비스제공이 가능한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은, 마리나 항만의 시설물 정보, 선박 정보를 AIS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통합결제, 문서관리, 예약, 관리 등을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주파수 식별장치)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마리나 관리부; 상기 AIS 및 RFID를 활용하여 상기 마리나 항만을 모니터링하고 CCTV를 이용하여 마리나 항만 주변을 감시하며 u-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오염을 관측하는 마리나 관제부; 상기 마리나 관리부 및 상기 마니라 관제부와 통신하며, 대응하는 객체의 RFID를 판독하는 단말기; 및 상기 마니라 관리부, 마리나 관제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마리나 관제부는, 마리나 항만의 안전 및 치안관련 기관과의 정보망이 연결되어 상기 마리나 항만의 안전 및 치안관련 기관을 통해 상기 CCTV의 내용을 확인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AIS 및 무선통신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입출항 정보 및 RFID를 이용한 시설물 정보, 결제 정보, 문서 관리 정보, 예약 관리 정보, 이용 선박의 부품 관리 이력, 재고 관리 정보 및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온라인 수질 환경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마리나 관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선박의 AIS에 대응하는 결재 정보 및 상기 RFID에 의해 체크된 교체된 부품 정보 및 서비스 사용 정보를 체크하여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정보는 상기 마리나 관리부를 통해 결제하며,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력 사항을 조회시 결제 사항을 출력하는 전자상거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리나 관리부는, 상기 시설물의 이력 및 시설물의 용도, 시설물에 사용된 부품에 관한 정보, 상기 시설물이 보유한 장비 정보, 상기 시설물에 사용된 부품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이 보유한 장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RF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시설물의 이력을 관리하고 상기 단말기로 상기 시설물 정보를 전송하는 시설물 관리부; 상기 시설물 사용자의 사용내역, 대여 내역 및 구입 내역을 기록하고 대응하여 계산하는 통합 결제부; 모든 문서들에 분류하여 분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문서관리부; 및 예약 사용자의 정보 및 대응하는 선박, 장비, 포트의 정보에 따라 예약 관리하고 과금하는 예약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마리나 관제부는, 상기 선박의 AIS와 통신하는 해안기지국용 AIS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기지국을 구비하여 AIS 및 무선 기지국을 이용하여 해당 선박의 이력을 관리하고 상기 V-Pass를 이용하여 해당 선박의 출입항을 신고하며, 위성으로 선박의 위치 추적을 수행하고 VTS(Vessel Traffic Service)를 이용하여 선박 대 육상 간의 통항을 관제하는 입출항 관리부; 및 상기 마리나 항만에 설치된 다수의 CCTV를 이용하여 상기 항만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며, 수중 센서를 이용하여 수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는, 선박, 시설물, 장비 등의 이력 및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 사용자가 사용하는 선박에 붙은 RFID 태그와 동일한 정보의 RFID 태그 정보를 포함하며 출입증을 대체하는 보안된 암호를 포함하는 RFID 태그; 상기 마리나 항만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기지국 및 관제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하는 통신부; 정보 요청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요청 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단말기에 RFID 판독, 통신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한 표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은 마리나 항만 관리를 위한 운용 정보 및 마리나 항만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마리나 항만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은 u-센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마리나 항만을 지원하고, 환경관리 및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마리나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마리나 관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은 마리나 관리부(110), 마리나 관제부(120), 단말기(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전자상거래부(150)를 포함한다.
마리나 관리부(110)는 마리나 항만의 시설물, 예컨대 계류장 등을 관리한다. 또한, 마니라 관리부(110)는 전자상거래부를 포함하는 통합결제, 문서관리, 예약, 관리 등을 수행한다. 마리나 관리부(110)는 u-마리나 플랫폼을 이용하여 구축한다. u-마리나 플랫폼은 원거리에서는 AIS를 이용하여 입출항하는 선박 및 선박이 사용하는 시설물, 예컨대 계류장을 관리며, 그거리의 입출항 관리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관리한다. 예컨대, 원거리의 선박에는 AIS를 이용하여 입출항을 관리하며, 근거리의 입출항관리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의 위치를 관리하여 위하여 무선통신을 서비스하는 2개 이상의 기지국이 설치될 수 있다. 마리나 관리부(110)는 선박 및 계류장 등을 관리시에는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또는 기지국을 이용하여 관리하고, 통합결제, 문서관리, 예약, 관리 등을 관리시에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주파수 식별장치)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마리나 관리부(110)는 관리된 이력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또한, 마리나 관리부(110)는 유류 공급, 전기의 공급, 오폐수 처리, 수리 및 부품교체 등의 서비스를 지원한다.
마리나 관제부(120)는 선박의 입출항을 지원하며, AIS/RFID를 활용한 마리나 항만을 모니터링한다. 마리나 관제부(120)는 고배율 CCTV(Closed-circuit television)를 이용하여 마리나 항만 주변을 감시할 수 있다. 마리나 관제부(120)는 USN을 이용하여 주변 해양생태계의 온전한 보존을 위하여 기술적으로 오염을 관측하고 관측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여 통합 관리한다. 또한, 마리나 관제부(120)는 주변 마리나 항만의 안전 및 치안관련 기관 등과의 정보망을 연결하여 공유한다. 예컨대, 주변 경찰서에 전용망을 연결하여 치안상 위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경찰서에 알려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경찰서의 관리자가 일정한 확인 절차를 수행한 이후에 마리나 항만에 설치된 CCTV 정보에 접속하여 CCTV가 녹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단말기(130)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또는 휴대폰으로 지칭되는 통신 가능한 개인 휴대 단말기일 수 있으며, 전용 단말기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130)는 실시간으로 마리나 관리부(110) 및 마리나 관제부(120)와 통신 가능하며, RFID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30)에 구성된 RFID 관리부는 사용자가 소유한 선박 또는 요트에 대한 AIS 정보 및 요트의 부품들에 대한 통합적인 FRID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해당 태크 정보를 읽어서 사용가 소유한 선박 또는 요트의 이력 및 각 부품에 대한 이력을 판단하여 교체 시기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해당 개인의 선박 또는 요트에 대한 정보는 AIS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USN 기반으로 입력된 AIS를 이용하여 마니라 관리부(110)로부터 입력된 선박 입출항 정보 등을 저장하고, RFID를 이용한 시설물 정보, 결제 정보, 문서 관리 정보, 예약 관리 정보, 이용 선박의 부품 관리 이력, 재고 관리 정보 등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마리나 관제부(120)로부터 입력된 관제 정보, 주변 해양생태계의 오염 관측 정보,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온라인 수질 환경 관리 정보 등을 저장한다. 테이터베이스(140)는 통합적으로 객체지향적으로 설계되어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AIS 또는 단말기(13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가 소유한 선박 또는 요트에 대한 AIS 정보 및 요트의 부품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입항한 상태인 경우면, FRID를 통해 입력받아 저장한다.
전자상거래부(150)는 마리나 관리부(110)와 연결되어 해당 선박의 AIS에 대응하는 결재 정보 등을 저장한다. 입항 기간, 대여 기간, RFID에 의해 체크된 교체된 부품 정보 및 기타 서비스 사용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체크하여 계산하고 이와 같은 계산된 정보는 마리나 관리부(110)에 의해 통합적으로 결제된다.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정보는 대응하는 단말기 및 AIS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여 저장되며, 이후 이력 사항을 조회시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마리나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리나 관리부(110)는 시설물 관리부(112), 통합 결제부(114), 문서관리부(116), 예약관리부(118)를 포함한다.
시설물 관리부(112)는 시설물의 이력 및 시설물의 용도, 시설물에 사용된 부품에 관한 정보 및 시설물이 보유한 장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시설물 관리부(112)는 시설물의 이력, 시설물의 용도 정보, 시설물에 사용된 부품에 관한 정보 및 시설물이 보유한 장비 등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검색할 수 있으며, 또는 시설물에 부착된 RFID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즉, 시설물 관리부(112)는 시설물의 이력 및 시설물의 용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 또는 해당 시설물에 부착된 RFID 중 어느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정보가 중첩되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의 이력에서 최근의 정보로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된 정보들은 최신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며, 이력 관리에 이용된다. 예컨대, 시설물에 부착된 RFID를 판독하여 장비의 이력이 관리된다. 또한, 장비의 입고 및 퇴고시에 해당 장비에 부착된 RFID를 읽어 해당 장비의 입고 및 퇴고 정보가 해당 장비의 RFID 및 해당 시설물에 부착된 RFID에 기록되며 정보가 변경되면 해당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40)에 기록될 수 있다. 예컨대, 대여 요트인 경우면, 요트의 RFID에 부착된 정보를 판독하여 요트 전체를 하나의 장비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소유한 요트인 경우에는 AIS 통신 또는 단말기와 기지국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을 통해 해당 요트에 대한 고정 정보 및 변동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입항시에 사용자에게 단말기(130)를 부여하거나,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130)에 해당 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통해 결제 정보 등을 기록 및 판독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기록된 장비의 내구 수명이 다한 경우, 시설물 관리부(112)는 장비의 수명이 다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지된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130)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시설물에 공급된 유류의 공급량 선박의 운행기록에 따른 현재 잔량, 공급되는 전기의 전력량, 해당 시설물에서 발생한 해당 오폐수 처리의 이력 사항 등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130)에 공급될 수 있다.
통합 결제부(114)는 시설물 사용자의 사용내역, 대여 내역 및 구입 내역을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통합 결제부(114)는 시설물의 이용 정보 및 대여 정보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140) 및 단말기(13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구입한 물품 및 시설물에 사용된 부품에 관한 정보 및 시설물이 보유한 장비 등은 각각의 시설물의 부품 및 장비에 부착된 RFID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140)에 기록된 정보와 FRID에 기록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130)에 입력된 내용을 추가적으로 판독하여 기록이 누락된 것을 보완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시설물 관리부(112)는 수리 및 부품교체 등의 서비스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된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며, 시설물, 장비, 선박 등의 이력 관리에 이용된다. 예컨대, 데이터베이스(140)를 통해 시설물에 비치된 장비의 이력이 관리되며, 해당 장비의 내구 수명이 다한 경우, 시설물 관리부(112)는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지된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기(130) 및 대응하는 RFID 태그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마리나 관리부(110)에 접속하여 해당 정보를 요청하거나, 또는 해당 정보가 기록된 FRID 태그로부터 해당 정보를 판독하는 과정일 수 있다.
문서관리부(116)는 모든 문서들에 프라이머리키(Primary Key)를 부여하여 구분하고 해당 문서들을 프라이머리키 및 다른 키들에 의해 관계지향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각각의 개별적인 문서에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이를 프라이머리키로 설정한다. 설정된 플라이머리키에 의해 구분된 문서들은 공문서, 양식문서, 연구문서, 발표문서 등의 인덱스로 구분하고 데이터베이스(140)에 보관하도록 한다. 문서관리부(116)는 필요한 경우 검색하여 단말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양식문서 중 입출항 허가서를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제공받아 이를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기입하고 이를 마리나 관리부(110)에 무선통신 또는 UBN을 통해 제공하여 입항허가를 받을 수 있다.
예약관리부(118)는 예약 사용자의 정보 및 대응하는 선박(소유 선박 또는 대여 선박), 장비, 포트 등의 정보를 관리한다. 즉, 예약관리부(118)는 시설물 관리부(112)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사용할 시설물(112)의 정보를 대응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하는 예약정보를 기록하며, 예약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과금 정보에 대응하여 과금을 계산한다. 이와 같이 과금된 정보는 전술한 통합결제부(114)를 통해 기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마리나 관제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리나 관제부(120)는 입출항 관리부(122) 및 모니터링부(124)로 구성된다.
입출항 관리부(122)는 선박의 입출항을 지원한다. 입출항 관리부(122)는 입항한 선박 AIS와 통신하는 해안기지국용 AIS를 구비하며, AIS를 이용하여 해당 선박의 이력을 관리한다. 입출항 관리부(122)는 해안기지국용 AIS를 이용하여 입항한 선박의 AIS 정보를 기록하고, V-pass(어선위치발신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선박의 출입항신고 및 위성으로 선박의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선박용 고정 무전기와 AIS 통신을 이용하여 일반 및 비상 교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을 구비한다. 또한, 입출항 관리부(122)는 근거리 선박의 경우, 2개 이상의 기지국을 통해 단말기와 통신하여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의 선박의 위치 및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24)는 마리나 항만에 설치된 다수의 CCTV를 포함하고, 수질의 오염을 감지하기 위항 수중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모니터링부(124)는 유관기관과 비상망을 갖추어 정보를 연계할 수 있다. 여기서, 유관기관은 항만청, 근방의 경찰서, 소방서 등일 수 있다. 모니터링부(124)는 CCTV를 이용하여 항만 주변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며, 운용자의 판단에 의해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유관기관에 비상망을 이용하여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수중 센서는 수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이를 외부의 표지판을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단말기(130)로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입출항 관리부(122)는 AIS에서 사용하는 선박 대 선박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충돌회피를 구현하고, 연안국이 어떤 선박 및 그 선박의 화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입출항 관리부(122)는 VTS(Vessel Traffic Service)을 선박 대 육상간의 통항관제를 위한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입출항 관리부(122)는 AIS를 이용하여 선박으로부터의 정보를 요구되는 정밀도와 주기로 다른 선박 및 권한 있는 주관청(competent authority)에 자동적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입출항 관리부(122)는 선박의 AIS 또는 단말기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하는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이력을 기록하고 기록된 이력 정보 정보들은 마리나 관리부(110)의 시설물 관리부(112), 통합 결제부(114), 문서관리부(116) 및 예약관리부(118)에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130)는 RFID 리더(131), RFID 태그(132), 통신부(133), 표시부(134) 및 입력부(135)를 포함한다. RFID 리더(131)는 선박, 시설물, 장비 등의 이력 및 정보를 판독한다. 예컨대, 선박에 부착된 RFID 태그를 판독하여 해당 선박의 고유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선착장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여 해당 선착장의 고유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130)에 부착된 RFID 태그(132)는 출입증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단말기(130) 사용자가 소유한 선박에 붙은 RFID 태그와 동일한 정보의 RFID 태그(132) 정보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출입증을 대체할 수 있는 보안된 암호를 포함한다. 즉, RFID 태그(132)는 단말기(130)사용자의 고유정보 및 암호화된 출입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출입증으로 사용되는 정보는 마리나 항만에서 제공하며, 인가된 사용자 및 선박에 제공된다.
통신부(133)는 마리나 항만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위성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130) 사용자가 타 사용자와의 통신, 관제센터와의 통신을 제공한다. 예컨대, 통신부(133)는 USN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구현하며, USN은 마리나 항만 영역내의 무선 인터넷, 와이브로, HSDPA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는 무선통신은 LTE를 포함하는 2G 내지 4G의 무선 통신을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34)는 사용자의 입력부(135)를 통한 조작에 의해 정보 요청을 입력 받은 경우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선박의 정보를 RFID 리더(131)를 이용하여 판독한 후에 해당 정보 표시를 입력하는 명령을 입력받으면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단말기(130)는 마리나 항만에 사용되는 전용 단말기(13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일반적인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 등에 해당 기능을 추가한 형태의 단말기일 수도 있다. 만약, 스마트폰이 단말기(130)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RFID 대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Blue tooth)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판독 및 제공할 수 있으며, 암호화된 출입정보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대체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마리나 관리부 112 : 시설물 관리부
114 : 통합 결제부 116 : 문서관리부
118 : 예약관리부 120 : 마리나 관제부
122 : 입출항 관리부 124: 모니터링부
130 : 단말기 131 : RFID 리더
132 : RFID 태그 133 : 통신부
134 : 표시부 135 : 입력부
140 : 데이터베이스 150 : 전자상거래부

Claims (7)

  1. 마리나 항만의 시설물 정보, 선박 정보를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주파수 식별장치)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통합결제부, RFID를 이용하여 예약을 관리하는 예약관리부, RFID를 이용하여 문서를 관리하는 문서관리부 및 시설물을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부를 구비하는 마리나 관리부;
    상기 AIS 및 RFID를 활용하여 상기 마리나 항만을 모니터링하고 CCTV를 이용하여 마리나 항만 주변을 감시하며 u-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오염을 관측하는 마리나 관제부;
    상기 마리나 관리부 및 상기 마리나 관제부와 통신하며, 대응하는 객체의 RFID를 판독하는 단말기; 및
    상기 마리나 관리부, 마리나 관제부 및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리나 관제부는,
    마리나 항만의 안전 및 치안관련 기관과 정보망이 연결되어 상기 마리나 항만의 안전 및 치안관련 기관을 통해 상기 CCTV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AIS 및 무선통신시스템을 이용한 선박 입출항 정보 및 RFID를 이용한 시설물 정보, 결제 정보, 문서 관리 정보, 예약 관리 정보, 이용 선박의 부품 관리 이력, 재고 관리 정보 및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온라인 수실 환경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리나 관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선박의 AIS에 대응하는 결재 정보 및 상기 RFID에 의해 체크된 교체된 부품 정보 및 서비스 사용 정보를 체크하여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정보는 상기 마리나 관리부를 통해 결제하며, 상기 결제와 관련된 이력 사항을 조회시 결제 사항을 출력하는 전자상거래부를 더 포함하는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관리부는, 상기 시설물의 이력 및 시설물의 용도, 시설물에 사용된 부품에 관한 정보, 상기 시설물이 보유한 장비 정보, 상기 시설물에 사용된 부품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시설물이 보유한 장비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RF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시설물의 이력을 관리하고 상기 단말기로 상기 시설물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통합 결제부는, 상기 시설물 사용자의 사용내역, 대여 내역 및 구입 내역을 기록하고 대응하여 계산하며;
    상기 문서관리부는 모든 문서들을 분류하고 분류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예약관리부는 예약 사용자의 정보 및 대응하는 선박, 장비, 포트의 정보에 따라 예약 관리하고 과금하는 것인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리나 관제부는,
    상기 선박의 AIS와 통신하는 해안기지국용 AIS를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지국을 구비하여 AIS 및 기지국을 이용하여 선박의 이력을 관리하고 선박패스(V-Pass)를 이용하여 해당 선박의 출입항신고 및 위성으로 선박의 위치 추적을 수행하고 VTS(Vessel Traffic Service)를 이용하여 선박 대 육상 간의 통항을 관제하는 입출항 관리부; 및
    상기 마리나 항만에 설치된 다수의 CCTV를 이용하여 상기 항만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며, 수중 센서를 이용하여 수질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인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선박, 시설물, 장비의 이력 및 정보를 판독하는 RFID 리더;
    사용자가 사용하는 선박에 붙은 RFID 태그와 동일한 정보의 RFID 태그 정보를 포함하며 출입증을 대체하는 보안된 암호를 포함하는 RFID 태그;
    상기 마리나 항만에서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기지국 및 관제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통신하는 통신부;
    정보 요청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요청 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단말기에 RFID 판독, 통신 및 상기 표시부를 통한 표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인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50017384A 2015-02-04 2015-02-04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KR101583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384A KR101583631B1 (ko) 2015-02-04 2015-02-04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7384A KR101583631B1 (ko) 2015-02-04 2015-02-04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631B1 true KR101583631B1 (ko) 2016-01-08

Family

ID=55170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7384A KR101583631B1 (ko) 2015-02-04 2015-02-04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63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7498A (zh) * 2016-12-24 2017-05-10 天津达元吉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船舶综合管理系统
KR20180099056A (ko) 2017-02-28 2018-09-05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 선박의 실시간 관리감독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01009A (ko) 2017-03-03 2018-09-12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선박 예약 시스템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경보 발생 시스템
KR20190005412A (ko) 2017-07-06 2019-01-16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KR20190005413A (ko) 2017-07-06 2019-01-16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레이저 센서 기반에서 마리나 계류장 레저 선박의 충돌감지 장치
KR101957917B1 (ko) * 2018-08-28 2019-03-15 주식회사 요트북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CN109660760A (zh) * 2018-12-12 2019-04-19 中电科(宁波)海洋电子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内河航道的船舶抓拍方法及系统
KR20190107497A (ko) 2018-03-12 2019-09-20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장의 출입 통제 및 보안 시스템
WO2019182228A1 (ko) * 2018-03-19 2019-09-26 주식회사 요트북 요트 이용객 단말 및 요트 선주 단말과 연동하는 마리나 이용관리 시스템
KR102103553B1 (ko) * 2019-08-07 2020-06-01 주식회사 요트북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이력 및 등록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KR102137380B1 (ko) * 2019-11-05 2020-07-24 에이원커뮤니케이션즈코리아(주) 스마트 항만 관리 시스템
CN113361884A (zh) * 2021-05-27 2021-09-07 中科智城(广州)信息科技有限公司 港口内外调度一体化平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404A (ko) * 2009-10-06 2011-04-13 한국해양연구원 항만 통합 보안 감시 운영 시스템
KR101372259B1 (ko) * 2012-12-13 2014-03-11 (주) 지씨에스씨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관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40120957A (ko) * 2013-03-29 2014-10-15 김남수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7404A (ko) * 2009-10-06 2011-04-13 한국해양연구원 항만 통합 보안 감시 운영 시스템
KR101372259B1 (ko) * 2012-12-13 2014-03-11 (주) 지씨에스씨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관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40120957A (ko) * 2013-03-29 2014-10-15 김남수 계류 선박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매거진, marina & yacht, 2013년, vol. 8, 2013.09.02.
매거진, marina & yacht, 2013년, vol. 8, 2013.09.02. *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47498A (zh) * 2016-12-24 2017-05-10 天津达元吉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船舶综合管理系统
KR20180099056A (ko) 2017-02-28 2018-09-05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 선박의 실시간 관리감독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01009A (ko) 2017-03-03 2018-09-12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선박 예약 시스템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경보 발생 시스템
KR102001054B1 (ko) 2017-07-06 2019-07-30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레이저 센서 기반에서 마리나 계류장 레저 선박의 충돌감지 장치
KR20190005412A (ko) 2017-07-06 2019-01-16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KR20190005413A (ko) 2017-07-06 2019-01-16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레이저 센서 기반에서 마리나 계류장 레저 선박의 충돌감지 장치
KR102001053B1 (ko) 2017-07-06 2019-09-24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KR20190107497A (ko) 2018-03-12 2019-09-20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장의 출입 통제 및 보안 시스템
WO2019182228A1 (ko) * 2018-03-19 2019-09-26 주식회사 요트북 요트 이용객 단말 및 요트 선주 단말과 연동하는 마리나 이용관리 시스템
KR101957917B1 (ko) * 2018-08-28 2019-03-15 주식회사 요트북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WO2020045746A1 (ko) * 2018-08-28 2020-03-05 주식회사 요트북 블록체인 및 ict 기반 마리나 운영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CN109660760A (zh) * 2018-12-12 2019-04-19 中电科(宁波)海洋电子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内河航道的船舶抓拍方法及系统
CN109660760B (zh) * 2018-12-12 2020-10-30 中电科(宁波)海洋电子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内河航道的船舶抓拍方法及系统
KR102103553B1 (ko) * 2019-08-07 2020-06-01 주식회사 요트북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선박의 이력 및 등록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시스템
KR102137380B1 (ko) * 2019-11-05 2020-07-24 에이원커뮤니케이션즈코리아(주) 스마트 항만 관리 시스템
CN113361884A (zh) * 2021-05-27 2021-09-07 中科智城(广州)信息科技有限公司 港口内外调度一体化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631B1 (ko)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Harris et al. ICT in multimodal transport and technological trends: Unleashing potential for the future
US202000199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Supply Chain Information to a Consumer
US7978076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monitoring the movement of mobile items
CN102239709B (zh) 移动标签本地数据报告系统
CN205080660U (zh) 一种公共自行车管理系统
CN108960692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危险废物监管系统
US20080228346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vehicle assets
US200800401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and causing an action based on that information
US20180308045A1 (en) Mobile application with enhanced user interface for efficiently managing and assuring the safety, quality and security of goods stored within a truck, tractor or trailer and assessing user compliance with regulations and quality of performance
US11651641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quipment monitoring and access control
KR102178873B1 (ko) 근태 관리 시스템
CN104872973A (zh) 智能箱包安全管理方法、系统以及终端设备、智能箱包
KR20150098702A (ko)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한 순찰 관리 시스템
KR20180112415A (ko) 레저선박 운영에서 계류 선박 관리감독 및 실시간 예약 서비스 모듈
JP2006276971A (ja) 巡回業務管理システム、管理端末、読み取り端末、及び、巡回業務管理方法
KR20180099056A (ko) 마리나 계류 선박의 실시간 관리감독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000732A (ko)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US112793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nauthorized vehicle use
KR102010886B1 (ko)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가스용기 출납 모니터링시스템
Osmolski et al. Logistics 4.0–Digitalization of the Supply Chains
Savić et al. Blip: Identifying boats in a smart marina environment
CN107360534A (zh) 一种用于建立无线连接的方法与设备
WO2016159915A1 (en) Forklift tracking system
EP4210358A1 (en) A connected system for tracking of tagged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