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053B1 -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053B1
KR102001053B1 KR1020170086009A KR20170086009A KR102001053B1 KR 102001053 B1 KR102001053 B1 KR 102001053B1 KR 1020170086009 A KR1020170086009 A KR 1020170086009A KR 20170086009 A KR20170086009 A KR 20170086009A KR 102001053 B1 KR102001053 B1 KR 102001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speed
information
ship
sp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412A (ko
Inventor
최미순
Original Assignee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053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52Determining veloc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마리나 계류장에서 각 선박에 설치되는 것으로, GPS 통신망을 이용하여 선박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GPS 센서부,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이용하여 상기 GPS 센서부가 각각 설치된 선박의 속도와 위치정보를 함께 검출하고, 각 선박에 할당한 선박 아이디(ID)를 통해 계류장의 임의의 범위에 해당하는 과속 단속 구역 내에서 선박이 규정 속도 이상으로 운항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며, 규정 속도를 위반한 선박에 대하여 선박 아이디로 검출하여 해당 선박 정보를 검출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에서 검출된 과속 정보를 조종사에게 안내하여 과속 여부를 안내하고 속도를 저감하라는 경고 신호와 현재 속도 및 과속 단속 구역과 단속 범위 이탈 지역 정보를 제공받는 선박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Speeding system of a marine vessel}
본 발명은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마리나 계류장에서 항해 선박을 계류장 근접 범위에서 과속 운항을 검출 및 단속하여 안정적인 계류장 운영을 달성하기 위한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리나 항만은 요트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선박을 위한 계류시설과 수역시설을 갖추고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해양레저시설을 갖춘 구역을 말한다. 마리나(Marina)는 요트나 레저용 보트의 정박시설, 계류장, 상점 및 숙박시설을 두루 갖춘 항구를 기반으로 건설된 항만시설이다. 이러한 마리나 시설 또는 마리나의 제반 시설은 선진국 사이에서 고급 해양레포츠의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로 운영되고 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도 항구가 위치한 시군구 지역과의 협의 하에 마리나 항의 건설 및 운용이 크게 증가하였고, 점차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이에 비례하여 마리나(Marina)를 통하여 해양 레저를 즐기려는 고객의 수요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마리나 항만'이라는 용어는 '해변의 산책길'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2010년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부산 수영, 통영, 진해, 사천, 제주 중문 등 마리나 항만으로 11곳이 가동 중에 있다. 해양레저스포츠 및 관련 산업 활성화를 목표로 '마리나 항만의 조성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 2009년 12월부터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해양과 인접한 지역을 대상으로 배후인구, 숙박 및 상업시설 등 주변 시설과 개발계획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거점형, 레포츠형, 리조트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 특성화하여 2019년까지 전국에 마리나 항만시설을 43곳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마리나 항만에서는 시설의 상태, 유지보수 및 레저보트의 계류, 임대, 물 공급, 유류 공급, 전기의 공급, 오폐수 처리, 수리 및 부품교체 등의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리나 항만은 복합형 마리나의 개발 및 전환이 선호됨에 따라 복합시설의 서비스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리나 항만은 해양 레저 시설을 갖추었으므로 오염 등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선진국의 경우, 주변 해양생태계의 온전한 보존을 위하여 기술적으로 오염을 통제하고 지속적인 환경관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강화하여 마리나 항만을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마리나 항만의 효율적 운영 및 소비자 지향적 서비스지원이 가능한 IT기반의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주변 마리나 항만의 안전 및 치안관련 기관등과의 정보망 공유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술적 우위 선점 및 수출경쟁력을 확보할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도 최근 마리나 사업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즉, 마리나를 이용하는 레저 선박의 이용자들 역시 증가되고 있으며, 레저 선박에 대하여 해박한 지식을 가진 이용자부터 처음 이용하는 초보자까지 그 수요 및 고객층이 다양하게 산재하고 있다.
따라서, 레저선박의 효율적인 운영과 실시간 관리감독 시스템, 선박 이용 고객의 예약 시스템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서비스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마리나 항만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요지는 선박의 안전한 운행으로 사고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KR 10-1372259호 KR 10-1397529호 KR 10-1583631호 KR 10-2012-007124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리나 계류장내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레저 선박의 과속 운행으로 해안 충돌 사고가 일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과속 금지 구역 내에서 과속 선박을 실시간으로 단속하여 사전 경고 및 조종사 운항 정보 관리 등 안전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계류장과 선박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리나 계류장에서 각 선박에 설치되는 것으로, GPS 통신망을 이용하여 선박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GPS 센서부,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이용하여 상기 GPS 센서부가 각각 설치된 선박의 속도와 위치정보를 함께 검출하고, 각 선박에 할당한 선박 아이디(ID;식별코드)를 통해 계류장의 임의의 범위에 해당하는 과속 단속 구역 내에서 선박이 규정 속도 이상으로 운항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며, 규정 속도를 위반한 선박에 대하여 선박 아이디로 검출하여 해당 선박 정보를 검출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에서 검출된 과속 정보를 조종사에게 안내하여 과속 여부를 안내하고 속도를 저감하라는 경고 신호와 현재 속도 및 과속 단속 구역과 단속 범위 이탈 지역 정보를 제공받는 선박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는, 계류장의 임의의 범위 내에서 규정 속도 이상으로 운항하는 선박에 대하여 해당 선박을 조정하는 조종사가 휴대한 휴대용 단말기로 경보 메세지를 발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는, 선박의 고유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선박ID와 과속 선박의 속도 정보와 해당 선박의 과거 과속 정보와 해당 선박의 조종사ID를 저장하며, 저장된 이력정보를 통해 실시간 관리된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는 과속 선박 정보가 검출되었을 경우 출항 또는 입항을 위해 해당 구역(과속 금지 구역)에 위치하는 선박의 선박 단말기로 안전 경고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는 위치정보서비스를 기반으로 과속 선박과 가장 근접한 위치의 선박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경보 메시지를 발송한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는, 해양 경찰, 긴급 구조대를 포함하는 구조 기관에 해당하는 유관기관 서버를 포함하고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마리나 계류장에서 선박의 항해 안정성을 위하여 임의의 구간으로 지정된 과속 금지 구역 내에서 선박의 과속 여부를 실시간으로 단속하고 모니터링 함으로써 계류장 부근의 선박 사고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계류장 관리와 선박 운항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선박과 조종사의 이력을 종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선박의 과속 이력과 조종사의 과속 이력을 종합 관리하여 위험 리스트의 경우 사전에 해당 계류장의 선박 이용을 금지시키는 등 사전 조치를 통해서 계류장의 안정성을 한층 더 도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에서 관제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에서 조종사로 경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계류장에서 과속 금지 구역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은, 마리나 계류장에서 각 선박에 설치되는 것으로, GPS 통신망을 이용하여 선박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GPS 센서부,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이용하여 상기 GPS 센서부가 각각 설치된 선박의 속도와 위치정보를 함께 검출하고, 각 선박에 할당한 선박 아이디(ID)를 통해 계류장의 임의의 범위에 해당하는 과속 단속 구역 내에서 선박이 규정 속도 이상으로 운항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며, 규정 속도를 위반한 선박에 대하여 선박 아이디로 검출하여 해당 선박 정보를 검출하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에서 검출된 과속 정보를 조종사에게 안내하여 과속 여부를 안내하고 속도를 저감하라는 경고 신호와 현재 속도 및 과속 단속 구역과 단속 범위 이탈 지역 정보를 제공받는 선박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은, 계류장에 정박하는 해당 선박의 입/출항에 따른 충돌 사고와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보호하기 위하여 계류장의 임의의 구역에 해당하는 "과속 금지 구역" 내에서 지정된 속도 이상으로 운항하는 선박에 대하여 경고 메시지(ex. 속도를 줄이세요!)와 경고 신호를 관제서버(100)에서 발송하고 해당 선박의 과속을 단속하여 계류장의 입/출항 운항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계류장의 선박 과속 단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속 방지 시스템은 계류장을 선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관제서버(100)와 상기 관제서버에서 선박의 속도 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선박에 설치되는 GPS 센서부(120)와 선박용 단말기(130)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위치기반서비스(LBS)를 통해서 각 선박의 속도정보와 위치를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제서버(100)는 각 계류장에 설치되어 선박 운항 전반적인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하나의 시스템에 해당하며, 상기 선박(110)에 설치되는 GPS 센서부(모듈 ; 120)를 통해 위치정보와 속도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는 위치기반서비스(LBS) 기반으로 동작한다.
계류장에 정박하는 모든 선박은 각각에 할당된 선박ID(식별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선박ID를 통해 선박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에 따라 선박의 과속 정보를 감시하기 위하여 선박에 설치된 혠 센서부(120)를 통해 위치기반서비스(LBS)기반으로 선박의 과속 정보를 파악하게 된다. 계류장에 정박하는 많은 수의 선박은 계류장에서 일정 거리이상 출항되기 전에는 계류장 임의의 구역에 대하여 과속 금지 구역으로 지정한다. 상기 과속 금지 구역 내에서는 선박의 충돌 사고 방지를 위하여 지정된 저속으로 운항을 규정하는데, 이것을 위반하고 운항하는 선박에 대해서는 경고조치 및 운항 금지 조치를 내릴 수 있다.
과속 금지 구역은 GPS 센서부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선박이 금지 구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선박의 속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선박이 과속 금지 구역 내에서 과속 운항을 하게 될 경우 상기 관제서버(100)는 과속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선박ID에 따라 선박에 위치한 선박용 단말기(130)로 경고 신호를 발생한다. 경고 신호에는 현재 속도 정보와 즉각 속도를 저감시키라는 메시지를 함께 발송한다. 경고에 대한 조치로는 해당 계류장에서 지정된 규정에 따라 조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차 경고, 2차 경고 후 복귀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경고 횟수에 따라 해당 선박과 조종사의 과속 정보를 관제서버(100)는 저장 및 관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항해 중인 모든 선박에 대한 운항 정보를 관리하는데, 입항 선박, 출항 선박의 식별아이디와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임의의 선박이 과속 운항을 정보가 검출되었을 경우 주변에 위치한 선박의 정보를 통해 '주의신호'를 안내하여 준다. 여기서 '주의신호'라 하면, 임의의 선박이 과속 운항 중이니 우회 운항, 운항 정지 또는 우회 경로 제공 등과 같은 주의신호를 통해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에서 관제서버의 구성도이다.
상기 관제서버(100)는 계류장 이용 선박에 관한 일체 정보를 관리감독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특징인 과속 정보를 관리하기 위하여 선박ID 정보에 따라 과속 이력을 통합 관리하고 선박뿐만 아니라 해당 선박을 조종하는 조종사의 ID정보를 통해 조종사의 이력정보도 통합 관리한다. 이러한 이력 정보를 통해 출항 금지, 조종사의 선박 운항 금지 등과 같은 내부 규정에 따라 특별 조치를 이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전국 계류장의 관제서버와 통합 공유 관리를 통해서 관리함으로써 과속으로 인한 게류장의 충돌 사고와 같은 위험요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에서 조종사로 경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선박에는 자체적으로 설치된 선박용 단말기(130) 외 조종사의 휴대용 단말기(휴대용 전화)로 경고 메시지를 동시에 발송한다. 계류장 이용자는 사전에 개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하여 해당 선박과 함께 조정사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때 조종사의 휴대전화번호를 사전에 저장하며 운항 선박에 과속 신호가 검출되면 선박용 단말기와 조종사의 단말기(200)로 함께 경고 신호를 발송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계류장의 사고 조치에 대한 신속성을 위하여 관제서버(100)는 유관기관 서버(300)와 접속한다. 상기 유관기관 서버라 하면, 해양 경찰, 소방당국, 안전처 등 중앙 기관이나 자치단체 기관에 해당하며, 사고 발생 시 상기 유관기관 서버(300)로 실시간 전송하여 사고 대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계류장에서 과속 금지 구역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장에는 각 구역마다 해당 선박이 정박하게 되며, 출항 및 입항 선박이 계류장 주변에 수시로 운행 중이다. 계류장에서 임의의 거리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과속 금지 구역(ex. 반경 2km)으로 지정하고 상기 과속 금지 구역 내에서는 일정 속도 이하로 운항을 규정한다. 상기 관제서버(100)는 해당 범위 내에서 선박의 과속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또한, 계류장의 임의의 반경 내에서는 선박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이동경로를 제공하게 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선박의 과속 정보를 검출하였을 경우 해당 선박 부근에 운항중인 선박에 대하여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우회 안내, 우회 경로 안내, 정지 안내 등 안내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레저 선박이 정박한 계류장에서 출항 및 입항을 위한 선박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과속 금지 구역으로 설정된 계류장 구역 내에서 임의의 속도 이상으로 운항하는 선박을 실시간을 모니터링하고 과속 선박에 대해서는 경고 메시지 전송과 함께 조종사의 이력정보를 관리하여 과속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관리하여 계류장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박 운항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관제서버
110 : 선박
120 : GPS 센서부
130 : 선박용 단말기
200 : 조종사 단말기
300 : 유관서버

Claims (6)

  1. 마리나 계류장에서 각 선박에 설치되는 것으로, GPS 통신망을 이용하여 선박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GPS 센서부;
    위치기반서비스(LBS)를 이용하여 상기 GPS 센서부가 각각 설치된 선박의 속도와 위치정보를 함께 검출하고, 각 선박에 할당한 선박 아이디(ID)를 통해 계류장의 임의의 범위에 해당하는 과속 단속 구역 내에서 선박이 규정 속도 이상으로 운항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규정 속도를 위반한 선박에 대하여 선박 아이디로 검출하여 해당 선박 정보를 검출하고, 경고 횟수에 따라 해당 선박과 조종사의 과속 정보를 저장 및 관리는 관제서버; 및
    상기 관제서버에서 검출된 과속 정보를 조종사에게 안내하여 과속 여부를 안내하고 속도를 저감하라는 경고 신호와 현재 속도 및 과속 단속 구역과 단속 범위 이탈 지역 정보를 제공받는 선박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계류장의 임의의 범위 내에서 규정 속도 이상으로 운항하는 선박에 대하여 해당 선박을 조정하는 조종사가 휴대한 휴대용 단말기로 경보 메세지를 발송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선박의 고유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선박ID와 과속 선박의 속도 정보와 해당 선박의 과거 과속 정보와 해당 선박의 조종사ID를 저장하며, 저장된 이력정보를 통해 실시간 관리되고,
    상기 관제서버는 과속 선박 정보가 검출되었을 경우 출항 또는 입항을 위해 해당 구역(과속 금지 구역)에 위치하는 선박의 상기 선박 단말기로 안전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위치정보서비스를 기반으로 과속 선박과 가장 근접한 위치의 선박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경보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관제서버는 해양 경찰, 긴급 구조대를 포함하는 구조 기관에 해당하는 유관기관 서버를 포함하고 사고 발생 시 사고 발생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86009A 2017-07-06 2017-07-06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KR102001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09A KR102001053B1 (ko) 2017-07-06 2017-07-06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009A KR102001053B1 (ko) 2017-07-06 2017-07-06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12A KR20190005412A (ko) 2019-01-16
KR102001053B1 true KR102001053B1 (ko) 2019-09-24

Family

ID=6528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009A KR102001053B1 (ko) 2017-07-06 2017-07-06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0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8296A (ja) * 2011-07-29 2013-02-07 Ship & Ocean Foundation 船舶用航行支援装置
KR101343068B1 (ko) * 2012-10-22 2013-12-19 (주)일우인터내셔날 레이저 측정 장치를 이용한 선박 접안 유도 시스템 및 선박 접안 유도 방법
KR101372259B1 (ko) 2012-12-13 2014-03-11 (주) 지씨에스씨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관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583631B1 (ko) 2015-02-04 2016-01-08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126A (ko) * 2007-07-25 2009-02-02 조병완 적정 접안 속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218072B2 (ja) * 2009-01-07 2013-06-26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出港管理システム、処理方法、入出港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839124B1 (ko) 2010-12-22 2018-03-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박 안전 운항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31961A (ko) * 2012-05-25 2013-12-04 (주)지엠티 선박자동식별장치를 활용한 선박간 지능적 충돌예측정보 제공방법
KR101397529B1 (ko) 2014-01-16 2014-05-21 (주) 지씨에스씨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8296A (ja) * 2011-07-29 2013-02-07 Ship & Ocean Foundation 船舶用航行支援装置
KR101343068B1 (ko) * 2012-10-22 2013-12-19 (주)일우인터내셔날 레이저 측정 장치를 이용한 선박 접안 유도 시스템 및 선박 접안 유도 방법
KR101372259B1 (ko) 2012-12-13 2014-03-11 (주) 지씨에스씨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관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583631B1 (ko) 2015-02-04 2016-01-08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마리나 항만 통합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412A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115B1 (ko) Ais 양방향통신을 이용한 여객선운항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29464B1 (ko) 선박의 해양사고 예측 시스템
Ringbom et al. Unmanned ships and the international regulatory framework
CN100576284C (zh) 航道运输调度方法
KR102151876B1 (ko) 해상교통관제 이벤트 자동 탐지 시스템
KR102001054B1 (ko) 레이저 센서 기반에서 마리나 계류장 레저 선박의 충돌감지 장치
KR20180099056A (ko) 마리나 계류 선박의 실시간 관리감독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24206B1 (ko) 해상 교통 경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01053B1 (ko)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KR102142381B1 (ko) 선박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183A (ko)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대피지원시스템
KR102415979B1 (ko) 주의 선박의 안전거리 침입 경고 방법
KR102052161B1 (ko) 마리나 계류장의 출입 통제 및 보안 시스템
Kim et al. Survey on the Korean VMSs for fishing vessels and challenges for monitoring the high-risk ships
KR20130002566A (ko)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
Young What are vessel traffic services, and what can they really do?
Johnsen et al. Hazards and Risks of Automated Passenger Ferry Operations in Norway
Povel et al. Collision risk analyses for offshore wind energy installations
Alweera et al. Location Tracking, Messaging, and Monitoring System for Lightweight Boats Using LoRa Technology ‘Safe Ride’
CLUB et al. Risk Focus: Loss of power
KR20180101009A (ko) 마리나 선박 예약 시스템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경보 발생 시스템
Weeks Strategic, practical and operational considerations for traffic routes
KR20240026578A (ko)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
Wang et al. 24. Improving Emergency Supply System to Ensure Port City Safety
Osnin et al. 22. Integrated Vessel Traffic Management System (VTMIS) for Port Security in Malay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