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578A -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578A
KR20240026578A KR1020220104587A KR20220104587A KR20240026578A KR 20240026578 A KR20240026578 A KR 20240026578A KR 1020220104587 A KR1020220104587 A KR 1020220104587A KR 20220104587 A KR20220104587 A KR 20220104587A KR 20240026578 A KR20240026578 A KR 20240026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ip
ais
safety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선웅
임종천
강현지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4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6578A/ko
Publication of KR2024002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5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9/00Arrangements of nautical instruments or navigational a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은, (a) 선박으로부터 상기 선박에 대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정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선박에 대한 해역 환경 정보 및 상기 선박이 위치한 항구에 설치된 IoT 센서를 통해 수집된 상기 선박에 대한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IS 정보, 해역 환경 정보 및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데이터 출력 단말에게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pparatus for ship safety control using AIS data}
본 발명은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IS 정보를 활용한 발전소 연료 부두 선박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료 부두 근처는 연료 선박, 어선 등이 혼재되어 통항하므로 선박 충돌 사고 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어, 항로 내 선박 운항의 관제와 접안 시 안전 관리가 필요하다.
이 경우, 선박의 운항 관제 시 사람 또는 조직이 직접 감시하여 안전 관리를 수행하는 것은 한계가 존재한다.
기존 상용 시스템은 해상 선박에 대한 정보나 관측 장비로 계측된 정보만을 제공하는 등 시스템 별 제공하는 정보가 제한적이어서, 안전 목적의 해역 관제 시 필요한 정보를 별도로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이러한 부두 선박의 안전 관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나 미흡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45299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IS 정보, 해역 환경 정보 및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은, (a) 선박에 대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정보, 상기 선박에 대한 해역 환경 정보 및 상기 선박이 위치한 항구에 설치된 IoT 센서를 통해 수집된 상기 선박에 대한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IS 정보, 해역 환경 정보 및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데이터 출력 단말에게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AIS 정보는, 상기 선박의 AIS 정보 및 상기 선박과 임계값 이하의 거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AI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선박의 AIS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AIS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 충돌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관제 단말, 웹서비스 단말 및 모바일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충돌 가능성이 임계값 이상인 선박에 대한 경고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장치는, 선박에 대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정보, 상기 선박에 대한 해역 환경 정보 및 상기 선박이 위치한 항구에 설치된 IoT 센서를 통해 수집된 상기 선박에 대한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AIS 정보, 해역 환경 정보 및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데이터 출력 단말에게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AIS 정보는, 상기 선박의 AIS 정보 및 상기 선박과 임계값 이하의 거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AI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박의 AIS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AIS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 충돌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관제 단말, 웹서비스 단말 및 모바일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충돌 가능성이 임계값 이상인 선박에 대한 경고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될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및 기상 정보 등을 종합하여 해역 내의 안전도와 부두의 접안 안전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AIS 정보를 활용하여 항적 예측을 통해 항로 상 선박 간의 충돌, 부두와 선박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에 개시된 장치, 방법, 제법 및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개시된 구조 및 기능상의 특징들은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개시된 용어 및 문장들은 개시된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선박 안전 관제 시스템(100)은 IoT 센서(110), 항구 서버(120), 외부 서버(130), 안전 관제 서버(140), 모바일 단말(150), 웹서비스 단말(160) 및 관제 단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이 위치한 항구에 설치된 IoT 센서(110)는 항구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항구 서버(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항구 서버(120)는 IoT 센서(110)로부터 수집한 항구 환경 정보를 안전 관제 서버(14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서버(120)는 선박에 대한 해역 환경 정보를 안전 관제 서버(14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선박으로부터 선박에 대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AIS 정보, 항구 환경 정보 및 해역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종합하여 해역 내의 안전도와 부두의 접안 안전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연료 부두에 정박한 선박의 AIS 정보를 수신하여 AIS 정보(예: 대지침로 및 대지속도 등)를 통해 선박의 진로를 예측하고, 실시간으로 선박의 항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항적 예측을 통해 항로 상 선박 간의 충돌, 부두와 선박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미리 저장된 선박 관련 법규 및 선박 관련 정보를 활용하여 선박 운항 및 접안의 안전도를 수치화하여 모바일 단말(150), 웹서비스 단말(160) 및 관제 단말(170)에게 제공하고 위험 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선박으로부터 수신한 선박의 AIS 정보뿐만 아니라, 외부 서버(130)로부터 해당 지역의 풍속, 풍향, 날씨 등 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항해 및 접안 안전도를 산출하여 선박 관제에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환경 정보는 ‘해역 환경 정보’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갖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집된 과거의 정보는 조회 및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계산된 선박의 항적 및 충돌 가능성을 통계로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의 충돌이 예상되거나 항행 안전 척도 상 위험이 예측되는 경우, 안전 관제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50), 웹서비스 단말(160) 및 관제 단말(1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위험 경고를 전달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미리 정의된 선박안전법, 해운법 등 선박의 운항과 관련한 법규와 해역에 알맞은 해역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항행안전도와 접안안전도를 산출하여 관제 단말(170)에게 수치 지표를 제공하여 관제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수치해도를 기반으로 전자 해도를 구현하여 정확성을 보장하며, 수심 등 해도 상 표현 요소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50)을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충돌 위험 및 항해 안전 알림을 전송하고 정보를 제공하며, 모바일 단말(150)에 상태 정보 저장 기능과 서버 제출 기능을 탑재하여 AIS 신호 단절 시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5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를 포함하고, 웹서비스 단말(160)과 관제 단말(170)은 데스크탑 PC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데이터 수집 단계(210)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AIS 정보 및 외부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전처리하고 선박 정보를 이용해 항로를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설치된 수신기(AIS)를 통하여 선박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선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항구에 설치된 IoT 센서(110)로부터 풍향, 풍속 등 항적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항구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외부 서버(130)(예: 공공 데이터 포털 서버)의 REST API를 통하여 풍향, 풍속, 기상 예보, 항행 경보를 포함하는 해역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연료 부두 인근 해역의 선박으로부터 AIS 정보를, 공공 데이터 포털에서 해역 전반의 해역 환경 정보를, IoT 센서(110)를 통해 연료 부두의 항구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집된 정보에는 선박의 정적 정보와 운항과 관련된 동적 정보, 풍향, 풍속 기상, 파고, 조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수집된 정보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관제 서버(140)는 수집된 정보에 대해 중복값 제거, 결측치 및 불일치 데이터 보정, 정규화(Scaler 등) 및 수치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방법을 적용하여 수집된 정보에 대한 테이블 설계 및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수집된 정보, 예를 들어, 선박 위치 데이터, 공공 데이터, 센서 데이터의 이력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단계(220)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수집된 정보에 기반하여 선박과 관련된 안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전 정보는 선박 및 중요 시설의 위치, 항해 안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관제 서버(140)는 생성된 안전 정보를 모바일 단말(150), 웹서비스 단말(160) 및 관제 단말(17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출력 단계(230)에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안전 관제 서버(140)로부터 수신한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해도 및 선박의 위치 정보와 항해 안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모바일 단말(150), 웹서비스 단말(160) 및 관제 단말(1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스피커(speak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출력 장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는 데이터 출력 단말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전자 해도 및 항행 안전 정보와 등록한 선박의 위치를 표시하며, 인근 선박과 충돌이 예상되거나 항행 안전 기준을 초과하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항행 안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통항선 별 실시간 현황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선종 별, 통항선 별 통항 통계를 혼잡도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출력 단말은 통항 허용 선박과 금지 선박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안전 관리자를 통해 통항선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출력 단말은 통항선으로 진입·이탈한 선박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항적 시뮬레이션 결과 충돌 가능성이 높은 선박은 별도로 표시 및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지도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연안 정보도 및 수치 해도를 이용한 지도를 생성 및 표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전자 해도 확대, 축소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전자 해도 상 표시되는 범례 선택적 표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수집된 공공 데이터 및 IoT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관제 구역 인근 선박의 위치 정보(AIS) 및 전체 선박 정보(선박번호, 선수 방위, 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항행 경보 지역 표출 및 항행 금지 구역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선박 선택 시에 AIS 동적 및 정적 정보와 수집된 과거 항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과거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관제 해역 내 진입한 선박에 대한 정적 정보 및 날짜별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과거 해역 환경 정보(예: 공공데이터) 및 항구 환경 정보(예: IoT 센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목록을 출력 및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시스템 관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안전 관리(풍속 경계선)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계정 관리 및 계정 별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연료 선박 운항 스케줄 입력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회원 가입 및 정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선박 및 선주 정보 등 사용자 정보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등록된 선주의 인근 선박 위치 정보 및 마스킹된 선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지도 확대, 축소 기능 지원, 수집된 공공 데이터 및 IoT 센서 데이터를 표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연료선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항행 경보(해상 사격 및 선박 침몰 등 항해 안전 정보) 지역 표출 및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항행 금지 구역 표시 및 등록된 선박의 진입 위험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충돌 예상 및 항행 안전 척도 상 위험 예측 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출력 단말은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항행 이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단말은 관제 해역으로 진입한 선박의 위치 정보를 이력으로 관리 및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의 각 단계는 도 1의 안전 관제 서버(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S301 단계는, 선박에 대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정보, 선박에 대한 해역 환경 정보 및 선박이 위치한 항구에 설치된 IoT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선박에 대한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AIS 정보는 선박의 AIS 정보 및 선박과 임계값 이하의 거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AI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03 단계는, AIS 정보, 해역 환경 정보 및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의 AIS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AIS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 충돌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S305 단계는,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웹서비스 단말(150), 모바일 단말(160) 및 관제 단말(17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충돌 가능성이 임계값 이상인 선박에 대한 경고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장치(4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의 선박 안전 관제 장치(400)는 도 1의 안전 관제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선박 안전 관제 장치(400)는 통신부(410), 제어부(420) 및 저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선박에 대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정보, 선박에 대한 해역 환경 정보 및 선박이 위치한 항구에 설치된 IoT 센서(110)를 통해 수집된 선박에 대한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410)는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420)는 AIS 정보, 해역 환경 정보 및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4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안전 관제 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410)는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정보, 해역 환경 정보 및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4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430)는 제어부(4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장치(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장치(300)는 도 3에 설명된 구성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도 3에 설명된 구성들보다 많은 구성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또는 별도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도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고,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선박 안전 관제 시스템
110: IoT 센서
120: 항구 서버
130: 외부 서버
140: 안전 관제 서버
150: 모바일 단말
160: 웹서비스 단말
170: 관제 단말
210: 데이터 수집 단계
220: 데이터 처리 단계
230: 데이터 출력 단계
400: 선박 안전 관제 장치
410: 통신부
420: 제어부
430: 저장부

Claims (10)

  1. (a) 선박에 대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정보, 상기 선박에 대한 해역 환경 정보 및 상기 선박이 위치한 항구에 설치된 IoT 센서를 통해 수집된 상기 선박에 대한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IS 정보, 해역 환경 정보 및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데이터 출력 단말에게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IS 정보는, 상기 선박의 AIS 정보 및 상기 선박과 임계값 이하의 거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AIS 정보를 포함하는,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선박의 AIS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AIS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 충돌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관제 단말, 웹서비스 단말 및 모바일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충돌 가능성이 임계값 이상인 선박에 대한 경고 알림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6. 선박에 대한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정보, 상기 선박에 대한 해역 환경 정보 및 상기 선박이 위치한 항구에 설치된 IoT 센서를 통해 수집된 상기 선박에 대한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AIS 정보, 해역 환경 정보 및 항구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데이터 출력 단말에게 상기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송신하는,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IS 정보는, 상기 선박의 AIS 정보 및 상기 선박과 임계값 이하의 거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AIS 정보를 포함하는,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박의 AIS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박의 AIS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 충돌 정보를 산출하는,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를 관제 단말, 웹서비스 단말 및 모바일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송신하는,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산출된 선박에 대한 안전 정보에 기반하여 충돌 가능성이 임계값 이상인 선박에 대한 경고 알림을 송신하는,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장치.
KR1020220104587A 2022-08-22 2022-08-22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 KR20240026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587A KR20240026578A (ko) 2022-08-22 2022-08-22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587A KR20240026578A (ko) 2022-08-22 2022-08-22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578A true KR20240026578A (ko) 2024-02-29

Family

ID=9004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587A KR20240026578A (ko) 2022-08-22 2022-08-22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65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994B1 (ko) 2013-05-06 2014-10-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선박의 안전접안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994B1 (ko) 2013-05-06 2014-10-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선박의 안전접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114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nd continuous monitoring, proactive warning and control of one or more independently operated vessels
US20140180566A1 (en) Complex event processing for moving objects
Zaman et al. Risk of navigation for marine traffic in the Malacca Strait using AIS
CN106845875A (zh) Lng船舶远程监督系统
KR101288953B1 (ko) 레저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799012B1 (ko) 선박 안전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선박 안전 관리 장치 및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CN109144060A (zh) 一种船舶航线的危险识别方法及系统
KR20060107475A (ko) 항로표지 관리 시스템
CN203520648U (zh) 一种改进的桥梁防撞监控系统
KR100807822B1 (ko) 항만 및 협수로를 위한 전자 선박인도방법 및 시스템
CN206757690U (zh) Lng船舶远程监督系统
Arunvijay et al. Design of border alert system for fishermen using GPS
KR102031212B1 (ko) 사물인터넷 무선통신장치를 탑재한 임베디드 방식의 선박 자율 운영시스템
KR102001054B1 (ko) 레이저 센서 기반에서 마리나 계류장 레저 선박의 충돌감지 장치
Zaman et al. Development of risk based collision (RBC) model for tanker ship using AIS data in the Malacca Straits
CN202009384U (zh) 一种用于海底管线维护的船舶监控与管理系统
KR101813242B1 (ko) 해양교통시설의 상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dwing Noaa’s physical oceanographic real-time system (ports®)
KR20240026578A (ko) Ais 정보를 활용한 선박 안전 관제 방법 및 장치
KR102142381B1 (ko) 선박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2632312B1 (ko) 해상풍력 발전단지 내 해상활동 관리 및 감시 시스템
Kao et al. A Marine GIS-based Alert System to Prevent Vessels Collision with Offshore Platforms
KR20160116138A (ko) 선박 항해기록의 백업장치 및 방법
CN113077659B (zh) 一种基于多源数据融合的桥梁防船撞智能预警方法及系统
KR20130002566A (ko) 해상교통 안전관리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