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529B1 -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529B1
KR101397529B1 KR1020140005535A KR20140005535A KR101397529B1 KR 101397529 B1 KR101397529 B1 KR 101397529B1 KR 1020140005535 A KR1020140005535 A KR 1020140005535A KR 20140005535 A KR20140005535 A KR 20140005535A KR 101397529 B1 KR101397529 B1 KR 101397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rina
smart device
mooring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길
남경태
최수영
이영근
Original Assignee
(주) 지씨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씨에스씨 filed Critical (주) 지씨에스씨
Priority to KR102014000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 G08G3/02Anti-colli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형선박의 운항자가 보유하며 GPS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GPS신호를 분석하여 개별항해정보를 획득하는 운항자 스마트 기기와; 육상의 마리나 관제센터에 구비되어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로부터 개별항해정보를 획득하여 설정된 계류장 가상 진입구역 내에 운항자가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계류장 내 도크(Dock) 정보를 분석하여 계류가능한 도크에 관한 계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리나 관제 센터에서 각 요트 및 레저보트의 위치, 속도, 방향 등의 개별항해정보를 수집하여 모니터링이 불가능했던 요트나 레저보트와 같은 소형선박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소형선박의 안전항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운항자가 마리나 계류장에 진입할 시 자동적으로 운항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계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요트 및 레저보트를 계류 하기 위한 일련의 시간이 필요 없이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지정된 도크에 계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련의 계류 서비스제공을 위한 인력을 감축하여 계류장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 {A Supporting System Of Marina Automatic Mooring Information Using Mobile Network}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마리나 관제센터에서 위치 정보 및 선박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없는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으로부터 스마트 기기를 통해 자신의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마리나 관제센터로 전달하고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마리나 관제 센터에서는 계류장에 진입구역이란 가상구역을 설정하여 요트나 레저보트가 계류장 가상 구역에 진입 시 자동으로 계류 가능한 도크(Dock) 번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요트 및 레저보트의 운항자는 마리나 관제센터와의 지속적인 연락 없이도 손쉽게 마리나 계류장에 요트 및 레저보트를 정박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대단위의 화물이나 승객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어업을 위해 사용되는 운송수단이다.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여가시간의 활용도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해양레저 및 해양스포츠분야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해양 레저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전국적인 마리나 운영 및 건설 추진 계획과 해양레저 인구의 증가 및 산업부분과 더불어 요트나 레저보트의 안전항해 및 관제 지원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AIS 장비의 설치가 필수적이지만, 이는 주로 대형 선박에 설치 운영되며, AIS 장비가 없는 요트 및 소형 선박은 대형 선박에 비해 눈에 잘 띄지 않을뿐더러 ECDIS(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화면상에서 레이더 정보로만 표시되므로, 요트 및 소형 선박 운항자가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마리나(marina)는 통상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의 정박시설과 계류장, 해안의 산책길, 상점 식당가 및 숙박시설 등을 갖춘 항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호주 등의 선진국 사이에서 마리나 항의 운영실태는 고급 해양레포츠의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가 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에서도 마리나 항의 건설 및 운용이 확산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마리나는 요트나 레저보트의 빈번한 출입 및 정박 등으로 인한 관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요트나 레저보트의 항해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계류를 자동으로 안내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전무(全無)하다.
이에, 기존에는 요트 및 레저보트가 마리나 계류장에 정박한 후 마리나 관제센터에서 일련의 계류 정보 서비스를 운항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요트 및 레저보트를 계류하기 위한 일련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계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력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마리나 관제센터에서 위치 정보 및 선박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없는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의 운항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계류장 가상 진입구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감시하여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이 계류장 가상 진입구역에 진입 시 자동으로 계류 가능한 도크(Dock) 번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손쉽게 마리나 계류장에 요트 및 레저보트를 정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소형선박의 운항자가 보유하며 GPS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GPS신호를 분석하여 개별항해정보를 획득하는 운항자 스마트 기기와; 육상의 마리나 관제센터에 구비되어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로부터 개별항해정보를 획득하여 설정된 계류장 가상 진입구역 내에 운항자가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계류장 내 도크(Dock) 정보를 분석하여 계류가능한 도크에 관한 계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소형선박은 요트 또는 레저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별항해정보는 운항자 구별을 위한 아이디(ID)가 부여되며, 운항자 스마트 기기의 위치, 속도,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개별항해정보는 수집 서버로 수집되어 마리나 관제용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리나 관제 센터에서 각 요트 및 레저보트의 위치, 속도, 방향 등의 개별항해정보를 수집하여 모니터링이 불가능했던 요트나 레저보트와 같은 소형선박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소형선박의 안전항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운항자가 마리나 계류장에 진입할 시 자동적으로 운항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에 이동통신망을 통해 계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요트 및 레저보트를 계류하기 위한 일련의 시간이 필요 없이 편리하고도 신속하게 지정된 도크에 계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련의 계류 서비스제공을 위한 인력을 감축하여 계류장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리나 가상 진입구역에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이 진입 여부의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레이더 및 AIS 장비가 없어 마리나 관제센터에서 위치 정보 및 선박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없는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1)의 운항자의 스마트 기기(100)에서 개별항해정보를 수집하여 계류장 가상 진입구역으로의 진입 여부를 감시하여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1)이 계류장 가상 진입구역에 진입 시 마리나 관제센터(200)에서 자동으로 계류 가능한 도크(Dock) 번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별도의 안내 없이도 손쉽게 마리나 계류장에 요트 및 레저보트를 정박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1)의 운항자가 보유하며 GPS 센서(110)를 통해 감지되는 GPS신호를 분석하여 개별항해정보를 획득하는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와, 육상의 마리나 관제센터(200)에 구비되어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개별항해정보를 획득하여 설정된 계류장 가상 진입구역 내에 운항자가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계류장 내 도크(Dock) 정보를 분석하여 계류가능한 도크에 관한 계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하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1)은 운항자가 그 선박의 운항을 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운항자가 보유하고 있는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는 스마트폰은 물론이고 태블릿PC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지만, 운항자가 상시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에는 일 예로 마리나 계류안내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으며, 미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마리나 관제센터(200)에서 운영하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로부터 마리나 계류안내 프로그램 어플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와 마리나 관제센터(200)에서 운영하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원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에 구비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는 GPS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GPS신호를 수신하는 GPS 센서(110)가 내장되어 GPS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의 개별항해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개별항해정보는 운항자 구별을 위한 아이디(ID)가 부여되며,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의 위치, 속도,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개별항해정보 추출을 위한 GPS 센서(110)는 GPS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GPS 정보는 위/경도 좌표 정보(111), 자이로 센서 정보(112), 3축 센서 정보(113), 속도 정보(114), 각도 정보(115), 고도 정보(116), 오차범위 정보(117)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위/경도 좌표 정보(111), 속도 정보(114), 각도 정보(115), 고도 정보(116), 오차범위 정보(117)는 해상환경에 관한 정보에 해당하며, 자이로 센서 정보(112), 3축 센서 정보(113)는 파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에 해당한다.
좀 더 설명하면 GPS정보 중 3축 센서 정보(113)와 자이로 센서 정보(112)를 이용하면 GPS 정보가 송신된 현재 선박이 위치하는 해수면 상태인 파고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에서 추출되는 개별항해정보는 마리나 관제센터(200)에서 운영하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로 전송되며, 이 경우 상기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는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수신되는 개별항해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가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1)의 현재 위치 정보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설정된 계류장 가상 진입구역 내에 소형선박(1)에 진입한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개별항해정보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로 직접 수집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에서 개별항해정보를 직접 수집하는 경우 도크정보의 관리 및 전체적인 시스템 관리로 인한 연산 처리 지연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의 개별항해정보는 수집 서버(220)로 수집되어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로 전송하여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즉,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를 통해 수집된 요트 및 레저보트와 같은 소형선박(1)의 개별항해정보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집 서버(220)로 전송되고, 수집 서버(220)에서는 각 선박의 스마트 기기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통합 처리하여 가공된 정보를 마리나 관제 센터(200)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로 보내게 된다. 마리나 관제 센터(200)에서 수집 서버(2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자해도 상에 요트 및 레저보트의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마리나 관제 센터(200)의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에서는 마리나 계류장에 일정의 가상 진입구역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설정하는 가상 진입구역은 다각형으로 구성하여 모든 계류장 영역을 커버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후, 요트 및 레저보트와 같은 소형선박(1)의 운항자가 보유하고 있는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된 개별항해정보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된 마리나 가상 진입 구역 내에 수신된 위치정보가 포함되는지 판단하게 되고, 가상 진입 구역 내부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정박가능한 Dock 및 일련의 정보를 포함하는 계류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각 요트 및 레저보트 운항자의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과정을 설명한다.
마리나 관제센터(200)에서 위치 정보 및 선박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없는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1)의 운항자는 스마트 기기(100)의 마리나 계류안내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이에 따라 운항자의 스마트 기기(100)는 GPS 센서(110)를 통해 감지되는 GPS신호를 분석하여 위치, 속도, 방향 등의 개별항해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무선으로 원격지의 수집 서버(22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집 서버(220)는 개별항해정보를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는 개별항해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가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1)의 현재 위치 정보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설정된 계류장 가상 진입구역 내에 소형선박(1)에 진입한 것인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는 개별항해정보를 분석한 위치 정보가 설정된 마리나 가상 진입 구역 내에 존재하면 현재 스마트 기기(100)가 구비된 요트나 레저보트 등의 소형선박(1)이 가상 진입 구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정박가능한 Dock에 관한 계류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각 요트 및 레저보트 운항자의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에서 계류정보를 요트 및 레저보트 운항자의 스마트 기기(100)로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수집 서버(220)를 거쳐 요트 및 레저보트 운항자의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함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 소형선박 100: 운항자 스마트 기기
110: GPS 센서 200: 마리나 관제센터
210: 마리나 관제용 서버 220: 수집 서버

Claims (5)

  1. 소형선박(1)의 운항자가 보유하며 GPS 센서(110)를 통해 감지되는 GPS신호를 분석하여 개별항해정보를 획득하는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와; 육상의 마리나 관제센터(200)에 구비되어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개별항해정보를 획득하여 설정된 계류장 가상 진입구역 내에 운항자가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계류장 내 도크(Dock) 정보를 분석하여 계류가능한 도크에 관한 계류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로 전송하는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로 구성되되,
    상기 소형선박(1)은 요트 또는 레저보트이고, 상기 운항자 스마트기기(100)는 스마트폰이며,
    상기 개별항해정보는 운항자 구별을 위한 아이디(ID)가 부여되며,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의 위치, 속도,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항자 스마트 기기(100)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개별항해정보는 수집 서버(220)로 수집되어 마리나 관제용 서버(21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05535A 2014-01-16 2014-01-16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397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535A KR101397529B1 (ko) 2014-01-16 2014-01-16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535A KR101397529B1 (ko) 2014-01-16 2014-01-16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529B1 true KR101397529B1 (ko) 2014-05-21

Family

ID=5089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535A KR101397529B1 (ko) 2014-01-16 2014-01-16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52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056A (ko) 2017-02-28 2018-09-05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 선박의 실시간 관리감독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01009A (ko) 2017-03-03 2018-09-12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선박 예약 시스템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경보 발생 시스템
KR20190005412A (ko) 2017-07-06 2019-01-16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KR20190005413A (ko) 2017-07-06 2019-01-16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레이저 센서 기반에서 마리나 계류장 레저 선박의 충돌감지 장치
KR20190107497A (ko) 2018-03-12 2019-09-20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장의 출입 통제 및 보안 시스템
US10739141B2 (en) 2013-09-03 2020-08-11 Fugro Chance, Inc. Interactive remote guidance system for seaborne vessels
KR20210065344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아이제이엑스콤 선박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WO2022227127A1 (zh) * 2021-04-28 2022-11-03 海南云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游艇班次信息更新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5899A (ja) * 1997-12-05 1999-07-02 Hino Motors Ltd 小型船舶の監視用ソフトウェアが記録された媒体
JP2003141238A (ja) * 2001-10-29 2003-05-16 Kanto Koun Kk ボートパーク運営システム
KR20110065878A (ko) * 2009-12-10 2011-06-16 주식회사 포인트 원격 계류 관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5899A (ja) * 1997-12-05 1999-07-02 Hino Motors Ltd 小型船舶の監視用ソフトウェアが記録された媒体
JP2003141238A (ja) * 2001-10-29 2003-05-16 Kanto Koun Kk ボートパーク運営システム
KR20110065878A (ko) * 2009-12-10 2011-06-16 주식회사 포인트 원격 계류 관제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9141B2 (en) 2013-09-03 2020-08-11 Fugro Chance, Inc. Interactive remote guidance system for seaborne vessels
US10746553B2 (en) 2013-09-03 2020-08-18 Fugro Chance, Inc. Interactive remote guidance system for seaborne vessels
US10775176B2 (en) 2013-09-03 2020-09-15 Fugro Chance, Inc. Interactive remote guidance system for seaborne vessels
US10859381B2 (en) 2013-09-03 2020-12-08 Fugro Usa Marine, Inc. Interactive remote guidance system for seaborne vessels
KR20180099056A (ko) 2017-02-28 2018-09-05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 선박의 실시간 관리감독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01009A (ko) 2017-03-03 2018-09-12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선박 예약 시스템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경보 발생 시스템
KR20190005412A (ko) 2017-07-06 2019-01-16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장에서 근접 선박의 과속 방지 시스템
KR20190005413A (ko) 2017-07-06 2019-01-16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레이저 센서 기반에서 마리나 계류장 레저 선박의 충돌감지 장치
KR20190107497A (ko) 2018-03-12 2019-09-20 세한대학교기술지주회사 주식회사 마리나 계류장의 출입 통제 및 보안 시스템
KR20210065344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아이제이엑스콤 선박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KR102350743B1 (ko) * 2019-11-27 2022-01-14 주식회사 아이제이엑스콤 선박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실시간 모니터링 방법
WO2022227127A1 (zh) * 2021-04-28 2022-11-03 海南云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游艇班次信息更新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529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마리나 자동 계류 정보 제공 시스템
EP3905221A1 (en) Ship movement-sharing navigation assistance system
KR101288953B1 (ko) 레저 선박용 블랙박스 시스템
KR20170102992A (ko) 선박 보조 도킹 방법과 시스템
JP2018019359A (ja) 船舶監視装置
KR102007849B1 (ko)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3d 라이다를 이용한 선박 입출항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7581A (ko) 조난 신호 탐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3555B1 (ko) 해상교통관제에서 레이더 심벌과 ais 심벌 통합 장치
KR20140078020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해상환경 실시간 감시 시스템
KR20110009983A (ko) 선박용 충돌 회피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충돌 회피 방법
KR102151876B1 (ko) 해상교통관제 이벤트 자동 탐지 시스템
JP2024061732A (ja) 通信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1866283B1 (ko) 와이파이통신을 이용한 ais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소형선박용 무선중계시스템
KR20180042655A (ko) 선박 응급상황 대응 시스템
CN105263798B (zh) 导航装置以及部件寿命通知方法
KR20140115684A (ko) 선박용 융합형 선박위치 자동 발신시스템
KR101882417B1 (ko) 선박의 음성 경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9283528B (zh) 航海信息显示装置、航海信息显示方法及记录介质
KR101155602B1 (ko) 선박용 충돌회피 시스템을 위한 항해 장비 시뮬레이터
KR20140137233A (ko) 3차원 공간계를 이용한 선박 견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473735B1 (ko) 부표형 수중 음향 측정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531593B1 (ko) 3d 모델을 기반으로 한 해상교통관제장치
JP2007293384A (ja) 落水検知装置及び落水検知装置用サーバ
KR20200041183A (ko)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대피지원시스템
CN103886418B (zh) 一种引航员海上作业监控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