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622B1 -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622B1
KR102090622B1 KR1020180128742A KR20180128742A KR102090622B1 KR 102090622 B1 KR102090622 B1 KR 102090622B1 KR 1020180128742 A KR1020180128742 A KR 1020180128742A KR 20180128742 A KR20180128742 A KR 20180128742A KR 102090622 B1 KR102090622 B1 KR 10209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mica
licorice
ange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미
Original Assignee
박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미 filed Critical 박정미
Priority to KR102018012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여성 청결제를 질 내부에 삽입하면, 질 내부의 노폐물이 배출되고, 질 노폐물 배출을 통한 질 내부의 청결한 상태 유지에 의해 질염, 냉 대하 및 자궁관련 질환이 예방되고, 질산 냄새가 감소하고, 가려움증이 완화되며, 질 수축에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Feminine cleanser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질은 외음부와 자궁의 연결 통로로 여성의 몸에서 가장 습기가 많고 따뜻한 곳이다. 따라서 질염의 주 원인인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이므로 그로 인한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질 내부에 많은 유산균이 서식하면서 질 내부를 약산성으로 만들어 병원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지만, 항생제 장기복용이나 피임약 장기복용, 탐폰이나 루프사용 또는 임신이나 출산, 수유, 폐경 등으로 여성 호르몬의 균형 변화 등의 이유로 질 내부의 균형이 깨어질 때 질 내에서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성장이 통상적으로 억제되는 기회감염성 병원체의 증식이 일어나 질염이 발병할 수 있다.
또한, 질 내부에서 생성되는 분비물, 생리 후 완벽히 빠져나오지 못한 생리혈 및 자궁조직 찌꺼기, 신장의 기능 약화로 인해 미처 거르지 못한 소변의 불순물 및 질 내벽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편평세포가 질 내부의 약 6000여 개의 주름 속에 쌓여 냉, 냄새 또는 염증을 포함하는 다양한 여성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여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청결제(질세정제), 외음부 세정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질염을 예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부용 세정제로는 지방산류 또는 증류된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등을 설폰화하고 완화제, 점증제, 영양제, 기포제, 유기 살균제 등을 합성한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적 질 세정제는 장기간 사용시 세정효과가 저하되고 잡균이 제거되는 대신 진균이 증가하며, 악취 및 불쾌한 냄새 제거 효과가 저해되는 등 한계가 있으며, 재발이 잘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질염의 일반적인 치료제로는 니스타틴(nystatin), 암포테리신B(amphotericin B)와 같은 폴리엔(Polyene)계 약물, 케토코나졸(ketoconazole)과 같은 아졸(Azole)계 약물, 미코나졸(miconazole)과 같은 이미다졸(imidazole)계 약물 및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플루코나졸(fluconazole)과 같은 트리아졸(triazole)계 약물이 있으나, 이러한 항생제는 충분치 못한 양을 투여했을 경우에는 병균은 죽지 않고 내성으로 인하여 오히려 차후 치료에 더 큰 어려움을 낳는다.
이와 같이 질 세정 및 이상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약물이 제시되고 있으나 사용 부위가 외부 물질에 대하여 매우 민감한 점막 부위라는 것을 염두에 둔 자극성이 없는 세정제, 청결제 또는 약물의 제시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극성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을 이용한 청결제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제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여성 청결제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651530호에 한련초 추출물, 황칠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고장초 추출물, 산죽 추출물, 사자발 추출물, 비파 추출물 등의 약초추출물이 포함되어 약초의 기능성이 부여된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운모,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상백피 및 꿀을 혼합하여 숙성한 후, 환의 형태로 성형하고 표면에 금박을 두른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1) 운모를 가열한 후 식초에 침지시켜 식히는 단계를 1~5회 반복한 후 분말화하고,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및 상백피를 각각 증숙한 후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운모,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및 상백피 분말과 꿀을 혼합한 후 반죽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반죽을 숙성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숙성된 반죽을 환의 형태로 성형한 후, 금박을 두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여성 청결제가 질 내부 노폐물의 배출을 도와 질염, 냉 대하 및 자궁관련 질환 예방, 질산 냄새 감소, 가려움 완화 및 질 수축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운모를 가열한 후 식초에 침지시켜 식히는 단계를 1~5회 반복한 후 분말화하고,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및 상백피를 각각 증숙한 후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운모,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및 상백피 분말과 꿀을 혼합한 후 반죽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반죽을 숙성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숙성된 반죽을 환의 형태로 성형한 후, 금박을 두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여성 청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운모,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상백피 및 꿀을 혼합하여 숙성한 후, 환의 형태로 성형하고 표면에 금박을 두른 여성 청결제를 질 내부에 삽입하면, 질 내부의 노폐물이 배출되고, 질 노폐물 배출을 통한 질 내부의 청결한 상태 유지에 의해 질염, 냉 대하 및 자궁관련 질환이 예방되고, 질산 냄새가 감소하고, 가려움증이 완화되며 질 수축에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성 청결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여성 청결제를 사용한 여성 20인으로부터 배출된 질 내부 노폐물을 확인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1) 운모는 가열한 후 식초에 침지시켜 식히는 단계를 1~5회 반복한 후 분말화하고,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및 상백피는 각각 증숙한 후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운모,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및 상백피 분말과 꿀을 혼합한 후 반죽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반죽을 숙성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숙성된 반죽을 환의 형태로 성형한 후, 금박을 두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운모는 층상 규산염광물 중 하나로 화강암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조암광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견운모인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1)의 가열은 1000~130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13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의 증숙은 100~200℃에서 10~60분 동안 진행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에서 30분 동안 증숙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의 식초는 천연유래 물질을 초산 발효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탱자 및 솔잎을 포함하여 제조하는 초산 발효물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2)의 혼합은 운모 분말 5~10 중량%, 당귀 분말 10~30 중량%, 감초 분말 5~20 중량%, 천궁 분말 10~30 중량%, 의이인 분말 5~20 중량%, 상백피 분말 5~20 중량% 및 꿀 15~30 중량%를 혼합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운모 분말 8 중량%, 당귀 분말 20 중량%, 감초 분말 10 중량%, 천궁 분말 20 중량%, 의이인 분말 10 중량%, 상백피 분말 10 중량% 및 꿀 22 중량%를 혼합하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3)의 숙성은 15~35℃에서 24~72시간 동안 숙성시킬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에서 48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여성 청결제의 제조방법은
1) 견운모를 1000~130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탱자 및 솔잎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초에 침지시켜 식히는 단계를 3회 반복한 후 분말화하고,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및 상백피를 각각 100~200℃에서 10~60분 동안 증숙한 후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견운모,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및 상백피 분말과 꿀을 운모 분말 5~10 중량%, 당귀 분말 10~30 중량%, 감초 분말 5~20 중량%, 천궁 분말 10~30 중량%, 의이인 분말 5~20 중량%, 상백피 분말 5~20 중량% 및 꿀 15~30 중량%로 혼합한 후 반죽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반죽을 15~35℃에서 24~72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숙성된 반죽을 환의 형태로 성형한 후, 금박을 두르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단계 4)의 금박은 순도 99.99%의 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여성 청결제를 제공한다.
상기 여성 청결제는 질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질 내부 노폐물을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노폐물의 배출로 인해 질 내부의 청결을 유지하여 질염, 냉 대하를 예방하고, 자궁근종 또는 자궁암을 포함하는 자궁관련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질산 냄새를 감소시키고, 가려움증을 완화하며, 질을 수축시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여성 청결제는 약제용, 세정제용, 화장료용, 물티슈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제용은 질 내 삽입을 위한 고형제제로서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고, 삽입 이외의 처치를 위한 형태로서 크림, 연고, 로션, 드레싱용액, 분무제, 기타 도포제 등으로 제형화 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정제용은 스프레이형, 액상형, 젤형, 분말, 고형의 비누, 폼 타입 등으로 제형화 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액상 제형은 부직포 또는 펄프에 도포하여 물티슈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용은 종래의 일반적 화장료 제형인 로션, 화장수, 크림, 에센스, 에어로졸, 파우더, 오일 또는 미스트 등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용 여성 청결제 조성물은 상기한 천연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 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1. 여성 청결제의 제조
견운모를 1000~13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탱자 및 솔잎을 포함하여 초산 발효시킨 식초에 담궈 식히기를 총 3회 반복한 후 10㎛ 크기로 분말화하였다.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상백피는 각각 150℃에서 30분 동안 증숙한 후 건조시킨 다음 200 메시로 분말화하였다.
그 후 상기 견운모 분말 8 중량%, 당귀 분말 20 중량%, 감초 분말 10 중량%, 천궁 분말 20 중량%, 의이인 분말 10 중량%, 상백피 분말 10 중량%를 꿀 22 중량%와 혼합하여 반죽하고, 30℃에서 48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숙성된 반죽을 환의 형태로 제조한 다음 순도 99.99%의 금박을 둘러 여성 청결제(이하, 황후궁)로 사용하였다.
한편, 황후궁과 비교실험을 위한 여성 청결제(비교예)는 꿀 22 중량%에 증숙한 당귀 분말 39 중량% 및 증숙한 천궁 분말 39 중량%로 혼합한 후 숙성시킨 다음, 숙성된 반죽을 환의 형태로 제조한 후 순도 99.99%의 금박을 둘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관능검사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황후궁의 여성 청결제로서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평소 질 분비물이 많고, 가려움 증상이 있는 여성 총 40명(제조예 1의 황후궁 사용 그룹 20명 및 제조예 1의 비교예 사용 그룹 20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은 질 노폐물의 배출 정도, 질염 개선효과, 냉 대하 감소 정도, 질산 냄새 감소 정도, 가려움증 완화 정도 및 질 수축 효과에 대하여 굉장히 좋으면 9점, 매우 나쁘면 1점으로 평가하는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여성 청결제(황후궁 또는 비교예)는 깨끗한 물로 외음부를 씻어준 후 3~5일 마다 하루 한 개의 여성 청결제를 잠자기 전에 질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하였으며, 한달 동안 사용 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황후궁 사용 이후 질 노폐물이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하기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에 비해 황후궁 사용 후 질 노폐물 배출 효과, 질염 개선효과, 냉 대하 감소효과, 질산 냄새 감소효과, 가려움증 완화효과 및 질 수축효과가 현저하였다. 황후궁의 질염 개선효과, 냉 대하 감소효과, 질산 냄새 감소효과, 가려움증 완화효과 및 질 수축효과는 질 노폐물 배출에 따른 것으로, 이를 통한 질 청결 유지를 통해 자궁암 또는 자궁근종을 예방할 수 있다.
황후궁 비교예
질 노폐물의 배출 8.60±0.50 5.95±1.00
질염 개선 8.70±0.47 6.05±0.89
냉 대하 감소 8.80±0.41 6.10±0.97
질산 냄새 감소 8.75±0.44 6.00±0.97
가려움증 완화 8.55±0.51 6.15±0.87
질 수축 8.85±0.37 5.85±1.09

Claims (6)

1) 운모는 가열한 후 식초에 침지시켜 식히는 단계를 1~5회 반복한 후 분말화하고,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및 상백피는 각각 증숙한 후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분말화한 운모, 당귀, 감초, 천궁, 의이인 및 상백피 분말을 꿀과 혼합하여 반죽하되, 운모 분말 5~10 중량%, 당귀 분말 10~30 중량%, 감초 분말 5~20 중량%, 천궁 분말 10~30 중량%, 의이인 분말 5~20 중량%, 상백피 분말 5~20 중량% 및 꿀 15~3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한 후 반죽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반죽을 15~35℃에서 24~72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숙성된 반죽을 환의 형태로 성형한 후, 금박을 두르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운모는 견운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가열은 1000~130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이고, 상기 단계 1)의 증숙은 100~200℃에서 10~60분 동안 증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식초는 탱자 및 솔잎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초산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의 제조방법.
삭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여성 청결제.
KR1020180128742A 2018-10-26 2018-10-26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742A KR102090622B1 (ko) 2018-10-26 2018-10-26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742A KR102090622B1 (ko) 2018-10-26 2018-10-26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622B1 true KR102090622B1 (ko) 2020-03-18

Family

ID=6999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742A KR102090622B1 (ko) 2018-10-26 2018-10-26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6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286B1 (ko) * 2020-07-31 2021-02-05 정소영 질염의 치료 및 자궁경부이형성증의 예방용 한약 조성물
KR102376074B1 (ko) * 2021-08-19 2022-03-18 제이엔씨벤자롱주식회사 보습과 살균효과를 제공하는 피부 청결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응용제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068A (ko) * 1999-09-29 2001-04-06 강권중 죽염과 운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정제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101168225B1 (ko) * 2012-03-12 2012-07-30 (주) 씨엔텍 복합 생약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796423B1 (ko) * 2017-06-22 2017-12-01 정소용 질염을 일으키는 특정 바이러스와 감염균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항바이러스 및 항균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841137B1 (ko) * 2017-01-26 2018-03-23 주식회사 에코마인 여성 청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2699A (ko) * 2017-02-10 2018-08-20 이창재 한약재 조성물을 이용한 여성 청결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068A (ko) * 1999-09-29 2001-04-06 강권중 죽염과 운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질정제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101168225B1 (ko) * 2012-03-12 2012-07-30 (주) 씨엔텍 복합 생약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841137B1 (ko) * 2017-01-26 2018-03-23 주식회사 에코마인 여성 청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2699A (ko) * 2017-02-10 2018-08-20 이창재 한약재 조성물을 이용한 여성 청결제 제조방법
KR101796423B1 (ko) * 2017-06-22 2017-12-01 정소용 질염을 일으키는 특정 바이러스와 감염균을 억제시킬 수 있는 항바이러스 및 항균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286B1 (ko) * 2020-07-31 2021-02-05 정소영 질염의 치료 및 자궁경부이형성증의 예방용 한약 조성물
KR102376074B1 (ko) * 2021-08-19 2022-03-18 제이엔씨벤자롱주식회사 보습과 살균효과를 제공하는 피부 청결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응용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CA2640124C (en) Compositions for vaginal use
KR101651530B1 (ko)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102090622B1 (ko) 여성 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5718A (ko) 쇠비름 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
US10478463B2 (en) External-use medicament for cleaning and care of the ovaries, vagina, and vulva
KR20210119188A (ko) 여성 외음부 세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69297B1 (ko) 여성 청결제 조성물
US20050037033A1 (en) Microb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s and use
KR102287951B1 (ko) 여성 질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3101B1 (ko)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US8475852B2 (en) Topical therapeautic composition and palliative treatment method
KR102115668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여드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566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외용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20210074820A (ko) 선택적 항균활성을 갖는 질세정제
KR102224920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KR102228690B1 (ko) 우수한 항균효과 및 가려움완화에 도움을 주는 저자극 외음부 세정제 조성물
KR20190099727A (ko) 생식기 팩
US8741360B2 (en) Topical therapeutic composition and palliative treatment method
KR102293019B1 (ko) 백장미를 이용한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그 청결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46850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유래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
JP7130259B2 (ja) 女性膣洗浄・抗老化・免疫力向上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375798A (zh) 一种消炎杀菌片剂及其制备方法
KR102413425B1 (ko)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충진 앰플
KR20220109172A (ko) 녹차를 이용한 질 세정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질 세정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