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850B1 -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유래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 - Google Patents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유래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850B1
KR102446850B1 KR1020210107982A KR20210107982A KR102446850B1 KR 102446850 B1 KR102446850 B1 KR 102446850B1 KR 1020210107982 A KR1020210107982 A KR 1020210107982A KR 20210107982 A KR20210107982 A KR 20210107982A KR 102446850 B1 KR102446850 B1 KR 102446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parts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미란
Original Assignee
강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미란 filed Critical 강미란
Priority to KR1020210107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유래 추출물로 제조된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유효성분으로 천연물 오일을 함유하여 안전하고, 외용으로 적용하여 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도나 여성 청결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유래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External skin preparation of natural extracts containing Copaiba resin extract}
본 발명은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유래 추출물로 제조된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유효성분으로 천연물 오일을 함유하여 안전하고, 외용으로 적용하여 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도나 여성 청결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질은 외음부와 자궁의 연결 통로로 여성의 몸에서 가장 습기가 많고 따뜻한 곳이다. 여성의 질은 질염의 주원인인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이므로 그로 인한 질환의 발병 가능성이 높다. 또한 그 주변부인 Y존으로도 불리는 사타구니도 습기가 많고 따뜻하므로, 여성들의 속옷이나 움직임이 편하지 못한 복장 등에 의해 통기성이 부족하게 되면 균 감염이나 염증이 발생하기 쉽다.
질염은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칸디다성 질염(Candida vaginitis), 트리코모나스 질염(Trichomonas vaginitis), 위축성 질염(Atrophic vaginitis) 등이 보고되어 있고, 가장 흔한 질환은 세균성 질염으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의해 발병하며, 세균성 질염과 함께 흔한 칸디다성 질염은 진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균에 의해 발병한다.
질염이나 사타구니 염증과 같은 여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항생제, 진균제, 원충제, 항염증약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내성의 위험이 있고, 자극적이므로 자유로이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여성 청결제로 포비돈이나 글로코에스테르, 글로코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은 냄새가 역하거나 사용 후 물로 세척해야 하므로 사용하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성분을 함유하여 안전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을 고안하였다.
일 양상은, 코파이바(copaiba) 추출물, 및 아르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코파이바 추출물, 및 아르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코파이바 추출물, 및 아르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코파이바 추출물, 및 아르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여성 위생 관리용”은 여성 청결제 또는 여성 위생 관리 소홀로 인해 발병할 수 있는 여성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여성 질환은 질염 또는 사타구니 염증을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여성 청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를 들어, 항균, 항염, 가려움, 통증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코파이바(Copaiba)는 코파이바 나무의 수지에서 추출된 것으로, 염증완화, 진통 효과 및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낸다. 코파이바 추출물은 칸나비노이드를 80 w/w% 이상 함유하는 것으로서, 상기 칸나비노이드는 구체적으로 베타-카리오필렌(beta-kariofilen)일 수 있다. 상기 코파이바 추출물은 수증기증류법에 의한 에센셜 오일일 수 있다.
아르간(argan) 오일은 아르간 열매의 씨앗으로부터 오일 성분을 추출한 것으로, 스쿠알렌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독소의 제거, 피부 보습, 재생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코파이바 추출물, 및 아르간 오일은 각각 어느 정도의 보습,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갖지만 놀랍게도 이들을 혼합하는 경우 현저히 우수한 보습, 항염 및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항균 및 항염증 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에서 코파이바 추출물, 및 아르간 오일은 순도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추출물로서 1: 1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의 유효성분으로 달맞이꽃 종자, 라벤더, 티트리, 클라리세이지(clary sage), 프랑킨센스(Frankincense), 미르(Commiphora Myrrha), 네롤리(Neroli), 장미, 제라늄(Geranium), 일랑일랑(Ylang Ylang), 자스민, 호호바, 아카시아 꽃, 캐모마일, 베티버(vetiver) 또는 이들의 조합의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달맞이꽃 추출물은 달맞이꽃의 종자로부터 오일 성분을 추출한 종자유로서, 피부 보습 및 재생 뿐 아니라 여성 질환에서 항염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호호바 오일은 호호바 열매의 씨앗로부터 오일 성분을 추출한 것으로서, 보습 및 항 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라벤더, 클라리세이지, 네롤리, 장미, 제라늄, 일랑일랑, 자스민, 아카시아 꽃, 및 캐모마일은 꽃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이거나 상기 에센셜 오일로부터 수용성 물질만 분리한 꽃수(floral water)일 수 있다.
상기 티트리는 잎과 줄기의 추출물로, 수증기증류법에 의한 에센셜 오일일 수 있다.
상기 베티버는 뿌리의 추출물로, 수증기증류법에 의한 에센셜 오일일 수 있다.
상기 프랑킨센스는 보스웰라 카르테리(Boswellia Carteri) 나무의 수지 추출물로, 수증기증류법에 의한 에센셜 오일일 수 있다.
상기 미르는 콤미포라 미르(Commiphora Myrrha)의 수지 추출물로, 착즙 오일 또는 수증기증류법에 의한 에센셜 오일일 수 있다.
상기 추가의 유효성분은 피부 진정 및 염증 효과를 갖는 것으로서, 코파이바, 및 아르간 오일의 보습, 항균, 및 항염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아르간 오일, 호호바 오일, 달맞이꽃 종자유,코파이바 에센셜 오일,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이 추가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아르간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달맞이꽃 종자유의 혼합물 6 중량부; 및 코파이바 에센셜 오일,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혼합물 4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르간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달맞이꽃 종자유는 1:1: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코파이바 에센셜 오일,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1: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각 유효성분의 성분비는 효능 뿐아니라, 사용감, 적절한 휘발성 발휘, 및 제형화에도 중요할 수 있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에서 각 천연물들은 추출물로서 포함된다. 용어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개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상기 알코올은 60 내지 90% 농도(v/v)의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천연물을 에센셜 오일로 추출하는 경우, 증류법, 압착법, 앙플라쥐, 담금법, 용매추출법 등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천연물들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오일, 에센셜 오일, 또는 물 추출물로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들의 혼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들의 혼합물이 전체 조성물에서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유효성분의 약효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피부를 자극할 수 있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외용제 또는 좌훈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외용”은 환부인 피부에 직접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용어 “좌훈”은 더운 물에 적절양을 첨가한 후 유효성분을 수증기와 함께 증발시켜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외용제나 좌훈용으로 사용시 유효성분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적절히 휘발되어 적용 부위 및 주변 부위까지 약효가 발효될 수 있도록 적절한 용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매는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리콜, 1,2-헥산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판테놀, 정제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한 천연물 원료를 유효성분으로 하므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우수한 항균성, 항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므로, 질염이나 사타구니 염증의 원인이 되는 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냉, 가려움, 및 악취와 같은 질염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일 양상에 따른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적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훈증 또는 좌훈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질염과 같은 여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 흔히 처방되는 질정과 같은 제형에 비해 사용 거부감이 적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의 제조
코파이바 에센셜 오일, 아르간 씨드 오일, 호호바 오일, 달맞이꽃 종자유,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모두 순도 99.9% 인 것을 사용하였다.
프로판디올 10중량부, 부틸렌글리콜 10중량부, 1,2-헥산디올 10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10중량부, 판테놀 1중량부, 및 EDTA-Na2 0.01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전체 100중량부가 되도록 용매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용매 혼합물에 하기의 표 1의 조성으로 천연물 오일을 혼합하여 총 100g의 실시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g)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6 7
코파이바 수지 2 4 4 - 4 4 - - -
라벤더 2 - - 4 - - 4 4 4
아르간 종자 2 6 - 2 - - 6 3 -
호호바 종자 2 - 3 2 6 - - - 3
달맞이꽃 종자 2 - 3 2 - 6 - 3 3
시험예 1: 세포 안전성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 세포 독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DF(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를 96-well 플레이트에 1×104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 CO2 에서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고,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각 실시예 및 비교예를 100, 50, 및 25 ㎍/㎕의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다시 인큐베이션 하였다. 그런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를 5 mg/mL 농도로 처리하고 37℃, 5 % CO2 에서 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후, DMSO(Dimethyl sulfoxide)를 100㎕ 씩 첨가하고, 10 분 동안 교반한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시험된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예 2: 항균력 평가
여성 질환 중 하나인 질염 발생 원인 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해, 디스크 확산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를 디스크 확산법 측정용 평판배지(Sabouraud Dextrose Agar. Difco. USA)에 100 ㎕씩 분주하여 도말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멸균된 8mm 페이퍼 디스크에 5mg/disc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하고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양성대조군으로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해서는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을 이용하고,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해서는 암피실린(Ampicillin)을 이용하였고, 각각 100㎍ /disk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각 실시예 및 약물을 처리한 후, 평판 배지를 28℃ 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육저지환(Clean Zone)의 크기(mm)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mm) 칸디다 알비칸스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양성대조군 36 35
실시예 1 31 32
실시예 2 27 26
비교예 1 19 19
비교예 2 20 20
비교예 3 19 21
비교예 4 15 14
비교예 5 13 16
비교예 6 14 16
비교예 7 10 11
그 결과, 실시예 1 및 2가 비교예 1 내지 7에 비해 현저히 넓은 생육저지환을 만들어 우수한 항균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항염증 효과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NO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RAW264.7 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1*103 세포/웰의 농도로 분주한 후, 10%(v/v) 우태아혈청(FBS), 100 units/㎖ 페니실린, 100 ㎍/㎖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그런 다음, 0.01 ㎍/ml의 LPS,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 각 웰에 25 ㎍/㎕의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50 ㎕의 상등액을 새로운 96 웰에 옮긴 후 NO(Nitric oxide) 측정 시약 (Griess Reagent) 50 ㎕를 처리하고,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NO 활성도(%)를 계산하여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NO 활성도(%)
정제수 20.56
LPS 120.38
실시예 1 38.23
실시예 2 47.56
비교예 1 90.32
비교예 2 70.67
비교예 3 88.95
그 결과, 실시예 1 및 2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LPS에 의해 유발된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여성 질환 치료 효능 평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외용으로 사용하여 질염이나 사타구니의 피부 건강을 개선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0대에서 40대 사이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5명씩 군을 나누어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2의 조성물을 사타구니 주변에 바르거나, 물 1리터 당 10 내지 20 방울 떨어트린 후 좌훈 하는 방식으로 1일 1회 적용하도록 하고, 2주 후 사용감에 대해서 설문 조사하였다. 사용감에 대한 각 항목은 “전혀 그렇지 않다(1), 그렇지 않다(2), 보통이다(3), 그렇다(4), 매우 그렇다(5)”로 평가하도록 하고, 평균을 내어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문항 직접 적용 좌훈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2
냄새 나는 현상이 개선됨 4.6 4 3.4 4.6 3.8 3.2
피부결이 개선됨 4 3.2 2.6 4.4 4 2.8
건조 증상이 개선됨 4.2 3.6 2.8 3.8 3.4 2.8
피부당김, 가려움, 염증, 통증 등의 증상이 개선됨 4 3.8 3 4 3.8 3.2

Claims (1)

  1. 아르간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달맞이꽃 종자유의 혼합물 6 중량부;
    코파이바 에센셜 오일,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혼합물 4 중량부; 및
    티트리, 클라리세이지(clary sage), 프랑킨센스(Frankincense), 미르(Commiphora Myrrha), 네롤리(Neroli), 장미, 제라늄(Geranium), 일랑일랑(Ylang Ylang), 자스민, 호호바, 아카시아 꽃, 캐모마일, 베티버(vetiver) 또는 이들의 조합의 추출물을 혼합한 천연 유래 추출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르간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달맞이꽃 종자유는 1:1:1 중량부로 혼합된 것이고, 코파이바 에센셜 오일, 및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1:1 중량부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천연 유래 추출혼합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8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되고,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대한 항균력을 가지며, 사타구니 피부의 당김, 가려움, 염증 및 통증 완화를 위한 것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210107982A 2021-05-06 2021-08-17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유래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 KR102446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982A KR102446850B1 (ko) 2021-05-06 2021-08-17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유래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714A KR102292487B1 (ko) 2021-05-06 2021-05-06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KR1020210107982A KR102446850B1 (ko) 2021-05-06 2021-08-17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유래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14A Division KR102292487B1 (ko) 2021-05-06 2021-05-06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850B1 true KR102446850B1 (ko) 2022-09-26

Family

ID=774666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14A KR102292487B1 (ko) 2021-05-06 2021-05-06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KR1020210107982A KR102446850B1 (ko) 2021-05-06 2021-08-17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유래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714A KR102292487B1 (ko) 2021-05-06 2021-05-06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24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3586A (ja) * 2011-01-24 2014-02-13 アンテリオ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油組成物
KR20160038222A (ko) * 2014-09-30 2016-04-07 전라남도 천문동 살구씨오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1798198B1 (ko) * 2017-04-13 2017-11-15 주식회사 애드홈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식물성 오일 에멀젼의 제조방법
KR20180087765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렌틸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1951156B1 (ko) * 2018-09-07 2019-02-21 고가인 금화규가 함유된 비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화규 비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9870B2 (ja) * 1994-04-13 2002-09-03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及び浴用剤
KR100863616B1 (ko) * 2007-04-16 2008-10-15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코파이바발삼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3586A (ja) * 2011-01-24 2014-02-13 アンテリオ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油組成物
KR20160038222A (ko) * 2014-09-30 2016-04-07 전라남도 천문동 살구씨오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180087765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렌틸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1798198B1 (ko) * 2017-04-13 2017-11-15 주식회사 애드홈 초음파 처리를 이용한 식물성 오일 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1951156B1 (ko) * 2018-09-07 2019-02-21 고가인 금화규가 함유된 비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화규 비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ver blog, ‘Feminine cleanser, good aroma oil for secretion relief’, https://blog.naver.com/caramel32/221575328512 (2019.07.01.) *
네이버 블로그, ‘여성청결제, 분비물완화에 좋은 아로마 오일’, https://blog.naver.com/caramel32/221575328512 (2019.07.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487B1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780B1 (ko)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20120000880A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5718A (ko) 쇠비름 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
US20040101577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cne vulgaris and fabrication method
KR102345209B1 (ko) 살바이러스, 살균 효과 및 피부 보습 효과가 탁월한 소독제 조성물
KR20150032006A (ko) 히즈클린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진균성 클렌저 조성물
KR100875075B1 (ko) 피부소양증 완화용 식물추출 조성물
KR20120003236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US8383166B2 (en) Stable hydrophobic topical herbal formulationn
KR100879094B1 (ko) 천연 정유 성분 및 그의 하이드로졸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54748B1 (ko)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Z20996U1 (cs) Topický prípravek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72966A (ko) 나노캡슐화된 센텔라 추출물과 칼라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또는 피부염증 개선용 나노캡슐 조성물
KR102446850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유래 추출물의 피부 외용제
KR100870420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저자극 화장료 조성물
KR101501538B1 (ko) 손바닥선인장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5B1 (ko)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230008368A (ko) 긴병꽃풀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KR101829897B1 (ko)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20240021066A (ko) 천연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위생관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