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897B1 -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897B1
KR101829897B1 KR1020170012243A KR20170012243A KR101829897B1 KR 101829897 B1 KR101829897 B1 KR 101829897B1 KR 1020170012243 A KR1020170012243 A KR 1020170012243A KR 20170012243 A KR20170012243 A KR 20170012243A KR 101829897 B1 KR101829897 B1 KR 10182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ed oil
cleansing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록
한병석
김경민
김정환
김수영
강지미
방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01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8Sulfon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및 치아씨오일, 및 비르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A FEMININE CLEANSER COMPOSITION COMPRISING ROES DAMASCENA FLOWER OIL}
본 발명은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질은 외음부와 자궁의 연결 통로로 여성의 몸에서 가장 습기가 많고 따뜻한 곳이다. 여성의 질은 질염의 주원인인 세균이나 곰팡이가 서식하기 적합한 환경이므로 그로 인한 질환의 발병 가능성이 높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질 내부에 많은 유산균이 서식하며 질 내부를 약산성으로 만들어 병원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지만, 항생제 장기복용이나 피임약 장기복용, 탐폰이나 루프사용 또는 임신이나 출산, 수유, 폐경 등으로 여성 호르몬의 균형 변화 등의 이유로 질 내부의 균형이 깨어질 때 질 내에서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성장이 통상적으로 억제되는 기회감염성 병원체의 증식이 일어나 질염이 발병할 수 있다.
질염은 세균성 질염(bacterial vaginosis), 칸디다성 질염(Candida vaginitis), 트리코모나스 질염(Trichomonas vaginitis), 위축성 질염(Atrophic vaginitis) 등이 보고되어 있다.
가장 흔한 질환은 세균성 질염으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에 의해 발병하며, 세균성 질염과 함께 흔한 칸디다성 질염은 진균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균에 의해 발병한다.
여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청결제(질세정제), 외음부 세정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질염을 예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부용 세정제로는 지방산류 또는 증류된 라우릴알코올(lauryl alcohol) 등을 설폰화하고 완화제, 점증제, 영양제, 기포제, 유기 살균제 등을 합성한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적 질 세정제는 장기간 사용시 세정효과가 저하되고 잡균은 제거되는 대신 진균이 증가하며, 악취 및 불쾌한 냄새 제거 효과가 저해되는 등 한계가 있다.
또한 질염의 일반적인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니스타틴(nystatin), 암포테리 B(amphotericin B)과 같은 폴리엔(Polyene)계 약물, 케토코나졸(ketoconazole) 과 같은 아졸(Azole)계 약물, 미코나졸(miconazole)과 같은 이미다졸(imidazole)계 약물 및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플루코나졸(fluconazole)과 같은 트리아졸(triazole)계 약물이 있으나, 항생제에 대한 내성으로 인하여 차후 치료에 더 큰 어려움이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 세정 및 이상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약물이 제시되고 있으나 사용의 부위가 외부 물질에 대한 가장 민감한 점막 부위임을 염두한 자극성이 없는 세정제, 청결제 또는 약물의 제시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극성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청결제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화장품 업계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다수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EWG 1 등급에 해당하는 천연 성분만을 담아 민감한 피부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기능성이 우수한 여성용 청결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053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45709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적고 항염 및 항균 활성이 우수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및 치아씨오일, 및 비르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은 발효오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오일은 슈도지마 츄쿠밴시스(Pseudozyma tsukubaensis)를 접종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퀘세틴(quercetin), 루틴(rutin), 및 타우린(taurin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리씨열매오일, 석류씨오일, 고수씨오일, 및 드럼스틱씨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상기 리씨열매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석류씨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고수씨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드럼스틱씨오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우수한 항염, 항균 활성을 가지고 외음부 질세정, 냉, 가려움 및 악취제거에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여성용 질세정 성분에 비해 질염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의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에 적용된 천연 원료는 EWG 1 등급에 해당하는 원료로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없고 민감한 피부에도 안심하고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및 치아씨오일, 및 비르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여성의 질에 외부로부터 침입한 세균에 의해 감염이 되어 나타나는 증상인 분비물, 가려움, 냄새 등을 예방하고 불쾌함을 감소 또는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냉대하증, 염증과 가려움증은 물론 상기 세균 감염 또는 염증으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불임증, 자궁근종, 자궁암 등 각종 부인병의 원인을 해소하는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화학적 제제를 최소화하고 천연 유래의 성분으로 화학적 제제를 대체하여 우수한 항염, 항균 효과와 함께 피부에 대한 저자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은 여성 청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항균, 항염, 피부 상태 개선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EWG 1 등급 성분만을 함유하므로 기능성과 안전성을 모두 충족하고 있으며, 유해성이 없어 민감한 피부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EWG 등급은 미국의 비영리 환경 시민단체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에서 발표하는 화장품 성분 유해 등급으로서 EWG는 화장품 성분의 유해성에 대해 면밀한 조사를 진행해 성분 유해도를 1등급에서 10등급까지 구분하고 있으며, 1등급 및 2등급을 안전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상기 “다마스크장미(Rosa damascena)”는 로즈 터키시 장미과의 식물이다. 전초, 꽃, 잎, 수피, 가지, 과실 또는 뿌리 등을 그대로 또는 분쇄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마스크 장미꽃오일(Rosa Damascena Flower Oil)은 다마스크 장미꽃에서 추출한 휘발성 오일로서 향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며, 올리바늄과 마찬가지로 천연에서 추출됨에 따라 화학 향료가 주는 피부 자극과 화학 물질의 피부 축적을 최소화하여 보다 산뜻하고 상쾌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치아(Salvia hispanica)”는 차조기(Perilla Frutescens)과 민트(Mint)속에 속하는 사루비아의 일종으로서 1년생 아열대 식물이며, 멕시코가 원산지이다. 상기 치아씨는 32%가 식물성 지방으로 되어 있고 콜레스테롤이 없는 천연 건강식품으로서 칼슘, 인, 마그네슘, 칼륨, 철분, 아연 및 구리 등 미네랄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상기 “비르(Sclerocarya Birrea)”는 아프리카 지역의 자생나무 마룰라의 열매로서, 종자는 다량의 올레산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미세한 입자로 인해 피부 흡수가 빠르다. 상기 비르씨의 풍부한 유효성분은 주름 개선 효과와 함께 항염, 항균 작용을 하며 민감성, 트러블성 피부를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상기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은 발효오일일 수 있다. 상기 발효오일은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화안정성이 우수하며, 발효로 인하여 소수성 물질의 분자량이 작아지므로 피부에 대한 침투가 용이하다
상기 발효오일은 슈도지마 츄쿠밴시스(Pseudozyma tsukubaensis)를 접종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슈도지마 츄쿠밴시는 오일 등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발효시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의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산화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퀘세틴(quercetin), 루틴(rutin), 및 타우린(taurin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퀘세틴(quercetin)은 과일, 채소, 다양한 식물에 풍부하게 함유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polyphenolic flavonoid)에 속하는 자연화합물이며, 항산화, 항암, 항바이러스, 심혈관계질환의 억제 및 항알레르기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루틴(rutin)은 콩과(Leguminosae) 식물인 회화나무(Sophora japonica)의 꽃봉오리 또는 마디풀과(Polygonaceae)의 식물인 메밀(Fagopyrum esculentum) 등에서 추출되는 물질로, 모세혈관을 강화시키는 효과와 함께 피부 밝기 개선으로 인한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타우린(taurine)은 2-이미노에테인술폰산(2-aminoethanesulfonic acid)이라고 불리며,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의 세포와 조직에 존재하는 유황을 함유하는 아민이다. 상기 타우린은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지 않고 대부분의 동물조직과 생체액에서 유리아미노산의 형태로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식품조직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거나 미량 존재하고 있다. 상기 타우린은 포유류의 뇌, 심장, 간, 신장 등의 장기와 골격근육, 혈구세포 등에 고농도로 존재하며, 세포외액에 비하여 세포내액에 매우 높은 농도로 존재하고, 피부보호, 활성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리씨열매오일, 석류씨오일, 고수씨오일, 및 드럼스틱씨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씨열매오일은 리씨열매에서 얻은 오일 성분으로, 리씨는 월경 불순 치료, 천식 완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상기 석류씨오일은 석류씨를 압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석류는 당질, 유기산 등 다양한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어 고혈압, 동맥경화 예방 및 부인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상기 고수씨오일은 고수씨를 압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고수는 항균성이 있어 보존제로 활용되고 있으며, 종자오일은 방향제로도 활용되었다.
상기 “드럼스틱나무씨(Moringa pterygosperma seed)”는 드럼스틱나무의 씨앗으로, 드림스틱나무보다는 모링가나무로 더 많이 불려지고 있다. 드럼스틱 나무는 모링가과, 모링가속의 식물로 학명이 유래한 타밀어로는 Murunggai라고도 한다. 모링가는 콩과식물로 나뭇잎과 열매는 물론 나무 전체를 식용으로 하는 열대성 나무이며, 다량의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 등 90가지 이상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드림스틱나무씨에 포함되어 있는 수용성 단백질은 물에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성 단백질들이 피부에 적용될 경우 피부에 있는 오염물질을 정화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해주는 디톡스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베타카로틴, 루틴 등의 카로티노이드 성분, 비타민 및 무기질 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칙칙한 피부를 환하게 개선시켜 미백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상기 리씨열매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석류씨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고수씨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드럼스틱씨오일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의 혼합 비율의 편차가 큰 경우 각 오일에서 유래한 피부 개선 및 청결 효과가 적절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 및 최종 산물의 품질을 고려하여 혼합비율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상기 중량 범위에서 유효성분에서 유래한 최적의 피부 개선 및 청결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1 : 슈도지마 발효오일의 제조
포도당, 설탕, 물엿,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이 포함된 발효배지(포도당 1.5%(v/v), 설탕 1.5%(v/v), 물엿 1.5%(v/v), 효모 추출물 0.3%(v/v))를 이용하여 슈도지마 츄쿠밴시스(Pseudozyma tsukubaensis) 균주에 의한 발효오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배지(10 mL)에 슈도지마 츄쿠밴시스 건조체 10 mg을 첨가하여 전배양(pre-cultivation)하였다. 상기 발효용 배지와 동일한 조성의 배지에 건조 분쇄한 다마스크 장미꽃을 첨가하고 상기 전배양액을 접종하여 발효시켰다.
36.5℃에서 36시간 동안 슈도지마 츄쿠밴시스를 배양하였으며, 배양시 균주의 증식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포도당 및 설탕 함량을 제어하였다. 발효가 종료된 후 원심 분리 및 필터링을 거쳐 다마스크 장미꽃 발효시료를 수득하였으며, 압착방식으로 다마스크 장미꽃 발효오일을 착유하였다.
제조예 2 : 유산균 발효오일의 제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오일을 제조하되, 유산균(Lactobacillus casei)을 접종하여 발효오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항염 및 항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조성물 제조를 위한 오일 및 화합물 원료는 시중에서 구득하여 사용하였다.
[함량(중량부)]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 2 3 4 5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40 - - 40 40 40 40 40 - 120 60 60 60 60
다마스크장미꽃
발효오일(제조예 1)
- 40 - - - - - - 40 - - - - -
다마스크장미꽃
발효오일(제조예 2)
- - 40 - - - - - - - - - - -
치아씨오일 40 40 40 40 40 40 30 30 30 - 60 - - -
비르씨오일 40 40 40 40 40 40 30 30 30 - - 60 - -
퀘세틴 - - - 1.5 - 0.5 0.5 0.5 0.5 - - - 0.5 -
루틴 - - - - 1.5 0.5 0.5 0.5 0.5 - - - 0.5 -
타우린 - - - - - 0.5 0.5 0.5 0.5 - - - 0.5 -
리씨열매오일 - - - - - - 20 5 5 - - - - 15
석류씨오일 - - - - - - - 5 5 - - - - 15
고수씨오일 - - - - - - - 5 5 - - - - 15
드럼스틱씨오일 - - - - - - 5 5 - - - - 15
실험예 1 : 피부 안전성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가 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정제수에 현탁하여 농도별(100, 50, 25 μg/mL)로 조성한 후, 하기의 방법을 통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모스만(Mosmann)의 방법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HDF(Human Dermal Fibroblast) 세포를 96-well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 CO2 에서 24 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MTT를 5 mg/mL 농도로 처리하여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MSO(Dimethyl sulfoxide)를 100μL씩 투입하고, 10 분 동안 교반한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각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상기 결과는 상기 복합 조성물이 인체에 무해하며 안전성이 우수함을 시사한다.
실험예 2 : 항균력 평가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대상 균주로 질염 발생 원인 진균류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일반 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를 사용하였다.
전 배양된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를 디스크 확산법 측정용 평판배지(Sabouraud Dextrose Agar. Difco. USA)에 100 ㎕씩 분주하여 도말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에 5mg/disc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하고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양성 대조군으로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해서는 항진균제인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해서는 항생제인 앰피실린(Ampicillin)을 사용하였으며, 페이퍼디스크에100㎍ /disk의 농도로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평판배지를 28℃ 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육저지환(Clean Zone)의 크기(mm)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칸디다 알비칸스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양성 대조군 34 33
실시예 1 26 24
실시예 2 31 28
실시예 3 29 26
실시예 4 30 29
실시예 5 30 30
실시예 6 32 31
실시예 7 33 32
실시예 8 35 32
실시예 9 37 34
비교예 1 18 17
비교예 2 22 21
비교예 3 23 21
비교예 4 22 20
비교예 5 23 22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9의 조성물이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한 강한 생육저지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다마스크장미꽃 발효오일(실시예 2 및 3)이 적용된 경우, 및 퀘세틴, 루틴, 타우린(실시예 4 내지 6)이 적용된 경우 항진균 및 항균 효과가 더욱 증대되었다.
또한, 리씨열매오일, 석류씨오일, 고수씨오일, 드럼스틱씨오일을 혼합한 조성물(실시예 7 및 8)은 현저하게 우수한 생육저지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미생물 증식 억제력 평가
여성의 질 내에서도 증식하는 유산균으로 알려진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 질염 발생 원인균으로서 진균류인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일반 세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배지 내의 탁도 증가여부를 통하여 미생물 증식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액체배지감수성실험법(Broth Microdilution Susceptibility Tests)을 이용하여 항균활성 및 미생물을 50% 억제하는데 필요한 농도인 IC50(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값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균주의 세포 수가 2×105 cells/ml이 되도록 Sabouraud Dextrose 배지로 희석한 후 96-well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50 mg/ml 농도로 처리를 하였다. 그 후, 28℃ 에서 24 시간 배양하고 Microplate reader(BIO-RAD)를 사용하여 570nm 파장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하여 IC50값을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생존율(%)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칸디다 알비칸스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실시예 1 98 7.2 8.5
실시예 2 98 5.0 7.2
실시예 3 97 6.3 7.5
실시예 4 96 5.4 6.6
실시예 5 97 5.1 6.8
실시예 6 97 4.6 5.7
실시예 7 96 2.8 3.1
실시예 8 96 2.3 1.9
실시예 9 96 1.2 1.1
비교예 1 84 28.5 24.3
비교예 2 90 21.4 20.1
비교예 3 92 19.6 18.6
비교예 4 88 22.5 20.8
비교예 5 87 23.5 21.6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9의 조성물은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의 증식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칸디다 바실러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의 생장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특히, 다마스크장미꽃오일만이 적용된 비교예 1의 경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의 성장에 일부 영향을 미쳤으며 칸디다 알비칸스 및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에 대한 생장 저해 효과가 다소 미흡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의 조성물은 칸디다 바실러스 및 가드네렐라에 대한 증식을 억제하면서도 락토바실러스 카제이의 생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상기 결과는 실시예 1 내지 9의 조성물의 미생물 특이적 항균 효과로 인해 여성 청결제로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및
    치아씨오일, 및 비르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은 발효오일인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오일은 슈도지마 츄쿠밴시스(Pseudozyma tsukubaensis)를 접종하여 수득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퀘세틴(quercetin), 루틴(rutin), 및 타우린(taur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리씨열매오일, 석류씨오일, 고수씨오일, 및 드럼스틱씨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씨열매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석류씨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고수씨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드럼스틱씨오일 10 내지 3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20170012243A 2017-01-25 2017-01-25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829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43A KR101829897B1 (ko) 2017-01-25 2017-01-25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43A KR101829897B1 (ko) 2017-01-25 2017-01-25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897B1 true KR101829897B1 (ko) 2018-02-20

Family

ID=6139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243A KR101829897B1 (ko) 2017-01-25 2017-01-25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615A1 (ko) * 2021-03-05 2022-09-09 주식회사 자연인 로사 다마세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2014.09.26., http://lja1918.blog.me/220133041994
네이버블로그, 2016.04.25., http://blog.naver.com/cmjpss4048/220692684434
네이버블로그, 2016.09.05., http://blog.naver.com/ellykim750546/2208056524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6615A1 (ko) * 2021-03-05 2022-09-09 주식회사 자연인 로사 다마세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780B1 (ko) 다마스크 장미꽃오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0721421B1 (ko)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솔방울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580798A (zh) 一种全效眼霜及制备方法
KR20110108686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8687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124947A (ko)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40002A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8341B1 (ko) 비누풀, 유카, 퀼라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4822B1 (ko) 렌틸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20120003236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0179B1 (ko)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5495A (ko)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3B1 (ko) 해당화 추출물 및 곰보배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7B1 (ko) 다마스크 장미꽃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700872B1 (ko) 개똥쑥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4B1 (ko) 아티초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9888A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7526B1 (ko) 황칠나무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90424B1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81550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저자극 화장료 조성물
KR102061313B1 (ko) 보릿겨 및 허브 발효추출물 및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363028B1 (ko) 레몬밤, 베르가못, 박하잎, 한련초 및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용 조성물
KR102292487B1 (ko) 코파이바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위생 관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