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429B1 -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 - Google Patents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0429B1 KR102090429B1 KR1020190136799A KR20190136799A KR102090429B1 KR 102090429 B1 KR102090429 B1 KR 102090429B1 KR 1020190136799 A KR1020190136799 A KR 1020190136799A KR 20190136799 A KR20190136799 A KR 20190136799A KR 102090429 B1 KR102090429 B1 KR 1020904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container
- pack
- frame
- extension part
- curva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47—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the tubular container being provided on its internal surfaces with press buttons or the like for maintaining the container in compressed st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9—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는, 수용 대상을 토출할 수 있는 유출구; 상기 유출구를 중심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유출구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튜브 용기의 상부 골격을 이루다가 하부로 절곡 연장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부에서 상기 튜브 용기의 저면 주변에 이르도록 곡률지게 연장된 확장 프레임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수용 대상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팩(pack); 상기 팩과 상기 프레임을 실링 처리하는 실링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을 3개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 형성함으로써 튜브 용기의 체적에 변화를 줄 수 있어 튜브 용기의 안정적인 기립이 가능함과 더불어 오목하게 함입된 부위의 곡률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튜브 용기의 파지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을 3개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 형성함으로써 튜브 용기의 체적에 변화를 줄 수 있어 튜브 용기의 안정적인 기립이 가능함과 더불어 오목하게 함입된 부위의 곡률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튜브 용기의 파지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 용기의 상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의 단부에 튜브 용기의 저면까지 연장되는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여 튜브 용기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튜브 용기의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튜브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튜브 용기는 일반적으로 액체 또는 겔(gel)상태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로서 사용과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이러한 튜브 용기의 종류에는 아이스크림, 예를 들어 쭈쭈바와 같이 프레임 없이 팩으로만 이루어진 튜브 용기와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이 구비된 튜브 용기가 존재한다.
여기서 프레임을 구비한 튜브 용기는 일반적으로 튜브 용기는 수용된 물질이 토출되는 토출구와 튜브 용기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및 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튜브 용기에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팩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프레임은 보통 튜브 용기의 상부에만 형성된다. 이렇게 튜브 용기의 상부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만 구비된 튜브 용기는 튜브 용기의 보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튜브 용기에 수용된 물질을 토출시키기 위하여 압력을 가했을 때 튜브 용기가 찌그러져 튜브 용기의 형상을 보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튜브 용기의 형상을 보존하면서 수용된 물질을 토출시킬 수 있는 튜브 용기가 개발되었는데 국내 공개 특허 2003-0066897인 '냉각튜브가 장착될 수 있는 음료수 팩'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용기의 상부에 냉각튜브를 삽입할 수 있는 냉각 튜브 주입구를 형성하고, 음료수를 편리하게 마시거나 스트로를 이용하여 음용할 수 있는 음용주입구가 형성된다고 한다. 또한 공지된 특허는 음용주입구에 뚜껑이 조립되도록 나사부가 구비되고 음용주입구의 하부에는 음용튜브가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튜브의 내부에는 스트로가 고정되도록 형성된다고 한다. 이렇게 스트로를 장착함으로써 종래의 스트로가 없는 용기로 음료수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 두 손으로 용기를 잡고 치켜 올려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스트로를 통하여 내용물을 편리하게 흡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한다.
이 기술은 스트로를 통해 수용된 물질을 쉽게 토출시킬 수 있지만 수용된 물질이 겔 상태의 물질인 경우 스트로를 통해 토출시키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수용된 물질이 얼마 남지 않았을 경우 튜브 용기에 압력을 가할 수밖에 없다. 또한 공지된 기술은 튜브 용기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이 구비되지 않아 튜브 용기의 형상 유지가 어렵고 보관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존속한다.
따라서 튜브 용기의 사용 시 튜브 용기의 형상을 보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고 파지하기 쉬운 신규하고 진보한 튜브 용기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튜브 용기의 상부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의 단부에 튜브 용기의 저면까지 곡률 연장된 확장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여 튜브 용기의 형상을 보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튜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확장 프레임을 다단 곡률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튜브 용기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입된 부위를 제공하여 튜브 용기의 파지력을 한층 더 강화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장 프레임의 곡률에 따라 확장 프레임의 직경을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확장 프레임이 압력에 의해 파절되는 것을 방지하여 튜브 용기의 형상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확장 프레임의 단면에 오목하게 함입된 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는, 수용 대상을 토출할 수 있는 유출구; 상기 유출구를 중심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유출구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튜브 용기의 상부 골격을 이루다가 하부로 절곡 연장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부에서 상기 튜브 용기의 저면 주변에 이르도록 곡률지게 연장된 확장 프레임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수용 대상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팩(pack); 상기 팩과 상기 프레임을 실링 처리하는 실링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부에서 상기 팩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된 제 1 연장 파트와, 상기 제 1 연장 파트의 단부에서 상기 팩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된 제 2 연장 파트 및, 상기 제 2 연장 파트의 단부에서 상기 팩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된 제 3 연장 파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 연장 파트는, 제 1 곡률 반경으로 상기 팩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장 파트는, 상기 제 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제 2 곡률 반경으로 상기 팩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 3 연장 파트는, 상기 제 1 곡률 반경보다 큰 제 3 곡률 반경으로 상기 팩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에 의하면,
1) 튜브 용기의 상부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확장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여 튜브 용기의 저면 주변까지 연장함으로써 튜브 용기의 형상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확장 프레임을 라운딩지도록 구현하여 오목하게 함입된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튜브 용기의 파지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2)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을 3개의 곡률을 갖도록 연장 형성함으로써 튜브 용기의 체적에 변화를 줄 수 있어 튜브 용기의 안정적인 기립이 가능함과 더불어 오목하게 함입된 부위의 곡률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튜브 용기의 파지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으며,
3)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의 두께에 변화를 주어 압력에 의해 확장 프레임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의 단면의 일부분을 오목하게 함입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 압력이 가해져도 튜브 용기의 형상이 보존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의 또 다른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을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의 단면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에 라운딩 브릿지가 구비된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프레임의 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링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의 또 다른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을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의 단면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에 라운딩 브릿지가 구비된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프레임의 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링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튜브 용기(1)는 액체 또는 겔(gel) 상태의 물질(이하 수용 대상이라 명한다)을 수용할 수 있는 튜브 용기(1), 특히 프레임을 구비한 튜브 용기(1)에 관한 것으로,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유출구(100)와 프레임(200), 팩(300) 및 실링재(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출구(100)는 튜브 용기(1)의 내에 저장된 수용 대상을 토출시키는 부분으로 수용 대상을 일정량 토출할 수 있는 충분한 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 대상이란 섭취 가능한 음식, 예를 들어 음료, 젤리와 같은 액체 또는 겔 상태의 음식이나 또는 기능성 화장품 물질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튜브 용기(1)에 저장된 수용 대상은 사용자가 튜브 용기(1)로 가하는 압력에 의해 유출구(100)를 통해 토출되는데 공지된 유출구와 비슷한바 이에 대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유출구(100)는 구강에 삽입되거나 피부에 도포하기 위하여 피부에 접촉될 수 있는바, 유출구(100)의 모서리를 라운딩처리하여 피부에 이물감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출구(100)는 주로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레임(200)은 튜브 용기(1)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골격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튜브 용기(1)의 상부 골격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210)과 튜브 용기(1)의 하부 골격을 형성하는 확장 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임(200)은 유출구(100)를 중심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어 튜브 용기(1)가 일정 체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미관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10)은 공지된 튜브 용기의 프레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210)은 유출구(100)의 양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었다가 절곡되어 다시 하부를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구조를 구비한다. 또는 후술할 도 3과 같이 상부 프레임(210)은 유출구(100)의 양 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었다가 튜브 용기(1)의 저면을 향해 튜브 용기(1)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딩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부 프레임(210)은 어느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상부 프레임(210)에서는 유출구(100)의 양측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부분을 제 1 연장부(211)라 하고, 제 1 연장부(211)의 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절곡 연장된 부분을 제 2 연장부(212)라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연장부(211)는 튜브 용기(1)의 폭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물질의 양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연장부(212)는 제 1 연장부(211)와 더불어 튜브 용기(1)의 상부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제 1 연장부(211)와 절곡진 형태로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 2 연장부(212)는 튜브 용기(1)의 측면 상부의 일 지점, 예를 들어 튜브 용기(1)의 높이를 기준으로 상부 1/4 내지 1/6 지점까지 연장된 것이 보편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연장부(212)는 직선 또는 곡선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여 튜브 용기(1)가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는 골격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상부 프레임(210)의 절곡 부위가 쉽사리 변형 또는 파절되지 않도록 상부 프레임(210)의 경계 부위를 잇는 브릿지(213)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역시 공지의 구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210)만을 구비한 공지의 튜브 용기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제 2 연장부(212)가 튜브 용기(1)의 전체 높이 중 상부 1/4 내지 1/6 지점까지만 연장된 수준에 그치고 제 2 연장부(212)의 단부 하측인 튜브 용기(1)의 측면 대부분 부위에는 프레임(200)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튜브 용기(1)의 전반적인 지지력이 떨어지며 프레임(200)이 구비되지 않은 튜브 용기(1)의 측면 부위에 압력을 가했을 때 튜브 용기(1)가 쉽게 찌그러져 형상 유지가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책상 등의 바닥에 세워 놓았을 때 넘어지는 등의 문제가 따랐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튜브 용기(1)는 상술한 상부 프레임(210)을 구비한 상태에서 확장 프레임(220)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확장 프레임(220)은 상부 프레임(210)의 제 2 연장부(212)의 말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튜브 용기(1)의 하부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확장 프레임(220)은 튜브 용기(1)의 저면 주변 부위에 이르도록 연장될 수 있는데, 이때 튜브 용기(1)의 저면 주변 부위라 함은 튜브 용기(1)의 전체 높이 중 상부를 시작점으로 2/3 내지 5/6의 하방 지점까지 이르는 부위를 말한다. 다시 말해 튜브 용기(1)의 측 부의 저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된 지점(저면 기준으로 상측 높이를 향해 1/6 내지 1/3 지점)에 확장 프레임(220)의 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확장 프레임(220)에 의하여 튜브 용기(1), 특히 튜브 용기(1)의 측면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어 튜브 용기(1)의 형상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보존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튜브 용기(1)의 형상을 보존하기 위하여 확장 프레임(220)을 튜브 용기(1)의 측면에 연장 형성하는 경우 확장 프레임(220)이 튜브 용기(1)의 저면, 즉 튜브 용기(1)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것이 효과적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후술할 팩(300) 자체가 튜브 용기(1)의 바닥면으로서의 기능을 가져 튜브 용기(1)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튜브 용기(1)에 저장된 수용 대상 자체가 중력 방향, 즉 튜브 용기의 하측에 위치하여 이 수용 대상으로 인해 튜브 용기(1)의 형상 보존이 됨으로 굳이 튜브 용기(1)의 바닥면까지 확장 프레임(220)을 연장 형성하지 않아도 충분히 튜브 용기(1)의 안정적인 형상 유지가 가능하다.
더불어, 확장 프레임(220)은 일자로 연장되는 것은 물론 곡률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확장 프레임(220)에 대한 곡률 형상의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정단면도와 같이 확장 프레임(220)을 튜브 용기(1)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곡률지게 형성함으로써 튜브 용기(1)의 무게 중심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튜브 용기(1)의 기립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반대로 확장 프레임(220)을 튜브 용기(1)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입된 형태로 곡률지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튜브 용기(1)에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수월하게 튜브 용기(1)를 파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확장 프레임(220)의 곡률진 방향에 따라 튜브 용기(1) 각각의 장점을 얻을 수 있는데 이를 하나로 합친 형태, 즉 다단 절곡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장점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다단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확장 프레임(2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확장 프레임(220)은 튜브 용기(1)의 저면 부위까지 프레임(200)을 연장시킴으로써 튜브 용기(1)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확장 프레임(220)을 곡률진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튜브 용기(1)를 안정적으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으며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팩(300, pack)은 상술한 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튜브 용기(1)에 수용 대상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팩(300)은 1장으로 이루어져 양 단부를 실링 처리하거나 2장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호 적층시킨 다음 적층된 둘레 영역을 압착하거나 후술할 실링재를 매개로 실링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팩(300)의 저면을 압착하여 튜브 용기(1)의 하부를 납작하게 형성하거나 아니면 일정 면적을 가진 바닥면을 팩(300)의 하부에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때 팩(300)의 바닥면은 함입부와 둘레부를 구비하여 튜브 용기(1)가 바닥에 세워지는 것을 가능한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팩(300)의 바닥면에서 함입부는 튜브 용기(1)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입된 부위로서 튜브 용기(1)의 측부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입부의 중앙 부위에는 튜브 용기(1)의 폭 방향으로 얇은 선의 형태로 함입된 홈이 형성됨으로써 튜브 용기(1)가 납작하게 접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둘레부는 함입부의 둘레면을 따라 팩(300)의 측부와 연결되는 부위로서 함입부가 수용 대상의 저장 공간으로 함입된 것에 대응하여 둘레부는 바닥을 지지하는 역할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둘레부가 바닥에 접촉함으로써 튜브 용기를 바닥에 안정적으로 기립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팩(300)은 성형 및 가공이 쉽고 내충격성이 강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튜브 용기(1)는 상술한 팩(300) 자체 또는 팩(300)과 프레임(200)을 실링 처리할 수 있는 실링재(400)를 구비한다. 실링재(400)는 팩(300)과 프레임(200)에 직접 접착되거나 아니면 팩(300)의 접촉 부위(팩이 한 장인 경우 팩의 양 단부, 팩이 두 장으로 적층되는 경우 양 자의 둘레 부위)에 접착되어 이 실링 대상을 실링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재(400)는 일정한 접착력을 가진 성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공지된 성분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되 본 발명의 실링재(400)는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특정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확장 프레임(220)은 다단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다단 절곡된 형태의 확장 프레임(220)은 제 1 연장 파트(221)와 제 2 연장 파트(222) 및 제 3 연장 파트(2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연장 파트(221)는 상부 프레임(210)의 단부에서 팩(30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된 것으로 상부 프레임(210)의 단부와 제 1 연장 파트(221)의 연결 부위는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챔퍼(chamfer) 처리하여 튜브 용기(1)의 파지 시 이물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 2 연장 파트(222)는 제 1 연장 파트(221)의 단부에서 팩(300)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입 연장된 부위이고 제 3 연장 파트(223)는 제 2 연장 파트(222)의 단부에서 팩(30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된 부위이다.
이러한 제 1 연장 파트(221)는 팩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됨으로써 튜브 용기(1)의 상부에 대한 형상 보존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 2 연장 파트(222)가 팩(300)의 내측으로 함입됨에 따라 줄어든 튜브 용기(1)의 체적을 보강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연장 파트(222)는 튜브 용기(1)에 팩(300)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함입된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튜브 용기(1)를 쉽게 파지할 수 있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고, 제 3 연장 파트(223)는 튜브 용기(1)의 저면의 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튜브 용기(1)의 무게 중심을 튜브 용기(1)의 하부로 이동시켜 튜브 용기(1)가 쉽사리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제 1,2,3 연장 파트(221,222,223)는 다양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a)는 제 1 연장 파트(221)가 상술한 3개의 연장 파트 중에서 가장 큰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제 1 연장 파트(221)가 구비된 팩(300)의 부위는 가장 큰 체적을 가질 수 있어 다른 부분에 비해 많은 양의 수용 대상의 수용이 가능하다.
도 2(b)는 제 2 연장 파트(222)가 가장 큰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제 2 연장 파트(222)가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긴 높이를 가질 수 있어 튜브 용기(1)에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넓어지는바 다시 말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다른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제 3 연장 파트(223)가 가장 큰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제 3 연장 파트(223)가 구비된 튜브 용기(1)의 저면은 튜브 용기(1)에서 가장 큰 체적을 갖게 되는데 이로써 튜브 용기(1)의 저면에 보다 많은 양의 수용 대상을 저장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튜브 용기(1)의 하부 체적이 커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기립 상태를 보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의 또 다른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술한 도 2의 확장 프레임(220)의 제 1,2,3 연장 파트(221,222,223)를 특화 시킨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 2(c)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튜브 용기(1)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 연장 파트(221)는 제 1 곡률 반경으로 팩(30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 연장되고 제 2 연장 파트(222)는 제 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제 2 곡률 반경으로 팩(300)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되며 제 3 연장 파트(223)는 제 1 곡률 반경보다 큰 제 3 곡률 반경으로 팩(30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연장된다.
상술한 제 1,2,3 연장 파트(221,222,223)의 곡률 차이에 따른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연장 파트(222)가 가장 작은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이유는 팩(300)의 내측을 향해 함입된 부위가 클수록 튜브 용기(1) 자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해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용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제공하여 파지의 용이성을 동시에 담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3 연장 파트(223)가 가장 큰 곡률반경으로 형성된 것은 튜브 용기(1)에 앞서 언급한 제 2 연장 파트(222)의 함입 부위가 발생한 만큼 튜브 용기(1)의 내구성 저하 및 구조적으로 취약해진 점을 보강하기 위함과 동시에 튜브 용기(1)의 하부 부위를 상대적으로 넓은 체적을 가지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튜브 용기(1)의 무게 중심이 가급적 튜브 용기(1)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튜브 용기(1)가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기립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제 1 연장 파트(221)는 상부 프레임(210) 및 제 2 연장 파트(222)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 3 연장 파트(223)보다 작은 체적을 이루어짐으로 결과적으로 튜브 용기(1)가 전체적으로 피라미드 형상을 가지게 할 수 있도록 제 2 연장 파트(222)의 곡률반경보다는 크되 제 3 연장 파트(223)의 곡률반경보다는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정리하면 이와 같이 각 연장 파트 별로 차등적인 곡률반경을 가진 튜브 용기(1)는 상술한 세부적인 이유에 따라 도 2에서 언급한 튜브 용기(1)보다 구조적 안정성을 더욱 강화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튜브 용기(1)의 확장 프레임(220)의 제 1,2,3 연장 파트(221,222,223)는 각각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연장 파트(221)는 일정 직경을 이루며 팩(30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연장되는데 이때 제 1 연장 파트(221)는 상부 프레임(210)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거나 아니면 다른 직경을 가질 수도 있으나 상부 프레임과(210)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부 프레임(210)과 같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연장 파트(222)는 제 1 연장 파트(221)의 단부에서 일단 제 1 연장 파트(221)와 같은 직경으로 연장되다가 제 3 연장 파트(223)를 향할수록 점점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테이퍼 처리될 수 있고 제 3 연장 파트(223)는 제 2 연장 파트(222)의 단부보다 작되 제 1 연장 파트(2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제 1,2,3 연장 파트(221,222,223)의 직경에 따른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연장 파트(221)는 가장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튜브 용기(1)의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 수용 대상의 무게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어 두께를 얇게 처리할 수 있다.
다음 제 2 연장 파트(222)는 팩(30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입된 부위이자 더 나아가 사용자의 파지력이 부가되는 부위로서 튜브 용기(1) 전체 부위 중 가장 구조적 안정성이 취약한 부위라 할 수 있기 때문에 튜브 용기(1)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조적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 2 연장 파트(222)를 제 1,3 연장 파트(221,223)에 비하여 가장 큰 직경으로 형성한 것이다. 더불어, 제 2 연장 파트(222)를 동일 두께가 아니라 제 3 연장 파트(223)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테이퍼 처리한 이유는 제 2 연장 파트(222)의 상부보다 하부에 하중이 더욱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특별히 제 2 연장 파트(222)의 하부 부위에서 피로도가 증가하거나 하중이 누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제 2 연장 파트(222)가 형성된 팩(300) 부위가 하방으로 일부 주저앉거나 찌그러지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 3 연장 파트(223)는 튜브 용기(1)의 저면에 위치하여 튜브 용기(1)의 수용 대상을 모두 비운 상태가 아닌 이상 수용 대상이 항시 수용된 부위이기 때문에 수용 대상의 존재에 힘을 입어 굳이 제 2 연장 파트(222)만큼 두꺼운 직경으로 처리하지 않아도 무방하되 하중이 쏠리는 부위인 만큼 제 1 연장 파트(221)보다는 두껍게 처리하여 튜브 용기(1) 전체적인 내구성을 보장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4에 따른 튜브 용기(1)의 구조에 의해 튜브 용기(1)의 구조적 안정성 및 형상 보존력을 강화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의 확장 프레임의 단면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확장 프레임(220)의 단면은 원형의 형상으로 일부분이 오목하게 함입된 오목부(224)가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5(a)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오목부(224)는 확장 프레임(220)의 단면을 기준으로 팩(300)의 내측을 향한 영역에 형성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팩(300)의 내측 영역에서 팩(300)의 외측 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된 부분을 의미한다.
이렇게 오목부(224)가 확장 프레임(220)의 내측 영역에 구비됨으로써 튜브 용기(1)가 탄력적으로 형상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 확장 프레임(220)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팩(300)이 확장 프레임(220)의 외측 영역을 감싸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바 도 5(a)와 같이 확장 프레임(220)에서 팩(300)의 내측 영역이 함입, 즉 오목부(224)가 형성될 경우 오목부(224) 주변의 확장 프레임(220) 양 부위가 외측으로 펼쳐지려는 성질을 갖게 된다. 즉, 확장 프레임(220)의 오목부 주변 양측 부위가 각각 팩(300)을 압박하게 되면 팩(300)에 응력이 발생되는데 이 응력에 의해 팩(300)이 외측으로 밀려 팽팽한 상태를 가지면서 결과적으로 튜브 용기(1)가 형상 보존을 유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5(b)를 참조하면 확장 프레임(220)에 구비된 오목부(224)의 주변 부위에는 라운딩 돌출부(225)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라운딩 돌출부(225)는 오목부(224)의 단부 주변의 확장 프레임(220) 부위에서 오목부(224)의 함입이 시작되는 부위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것이다.
이러한 라운딩 돌출부(225)는 상술한 오목부(224)의 기능을 보다 더 강화시키거나 팩에서 응력이 발생되는 부위를 보다 특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라운딩 돌출부(225)가 오목부(224)의 단부 주변에 위치함으로써 오목부(224)가 펼쳐지려는 성질을 갖는 오목부(224)의 부위를 오목부(224) 주변 단부 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이 부위가 펼쳐지면서 팩(300)을 압박하면 해당 압박력이 작용하는 팩(300)의 영역은 줄어들 수는 있으나 압박력의 세기는 강화되어 압박된 팩(300) 부위에 발생된 응력을 더욱 증강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압박이 작용된 팩(300)의 팽팽한 상태를 보강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 프레임(220)의 구조 변형을 통한 도 5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여 팩(300)의 팽팽한 상태를 보강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를 하는 등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튜브 용기(1)가 가급적 원 상태의 형상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용기에 라운딩 브릿지가 구비된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확장 프레임(220) 역시 상부 프레임(210)과 마찬가지로 브릿지(213)를 구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확장 프레임(220)에 구비된 브릿지를 라운딩 브릿지(226)라 한다. 이러한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확장 프레임(220)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운딩 브릿지(226)는 제 3 연장 파트(223)의 내측 부위에서 서로 이격된 2개의 지점을 잇는 것으로서 제 4 곡률 반경으로 팩(30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라운딩 브릿지(226)는 제 3 연장 파트(223)의 내측 부위에 형성되는바 제 4 곡률 반경은 제 3 곡률 반경보다 큰 것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라운딩 브릿지(226)는 제 3 연장 파트(223)의 내측 부위에 라운딩진 형태로 제 3 연장 파트(22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있어 제 3 연장 파트(223)가 압력을 받아 찌그러져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이 라운딩 브릿지의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밀리면서 수월하게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제 3 연장 파트(223)의 내측에 구비된 라운딩 브릿지(226)에 의하여 튜브 용기 중에서 가장 큰 체적을 가진 제 3 연장 파트(223)를 탄력적으로 본래 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튜브 용기(1)의 형상 유지력을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튜브 용기 100: 유출구
200: 프레임 210: 상부 프레임
211: 제 1 연장부 212: 제 2 연장부
213: 브릿지 220: 확장 프레임
221: 제 1 연장 파트 222: 제 2 연장 파트
223: 제 3 연장 파트 224: 오목부
225: 라운딩 돌출부 226: 라운딩 브릿지
300: 팩 400: 실링재
200: 프레임 210: 상부 프레임
211: 제 1 연장부 212: 제 2 연장부
213: 브릿지 220: 확장 프레임
221: 제 1 연장 파트 222: 제 2 연장 파트
223: 제 3 연장 파트 224: 오목부
225: 라운딩 돌출부 226: 라운딩 브릿지
300: 팩 400: 실링재
Claims (12)
-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로서,
수용 대상을 토출할 수 있는 유출구;
상기 유출구를 중심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유출구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부에서 상기 튜브 용기의 저면 주변에 이르도록 곡률지게 연장된 확장 프레임을 구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수용 대상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팩(pack);
상기 팩과 상기 프레임을 실링 처리하는 실링재;를 포함하되,
상기 확장 프레임의 단면은,
원형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팩의 내측 영역이 상기 팩의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파인 오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단부에서 상기 팩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된 제 1 연장 파트와,
상기 제 1 연장 파트의 단부에서 상기 팩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된 제 2 연장 파트 및,
상기 제 2 연장 파트의 단부에서 상기 팩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된 제 3 연장 파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 파트는,
제 1 곡률 반경으로 상기 팩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장 파트는,
상기 제 1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제 2 곡률 반경으로 상기 팩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 3 연장 파트는,
상기 제 1 곡률 반경보다 큰 제 3 곡률 반경으로 상기 팩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 파트는,
상기 제 1 연장 파트의 단부보다 큰 직경으로 연장이 시작되어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 처리되고,
상기 제 3 연장 파트는,
상기 제 2 연장 파트의 단부보다 작되 상기 제 1 연장 파트의 단부보다는 큰 직경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단부 주변의 상기 확장 프레임 부위에는,
상기 오목부의 오목 시작점 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딩 돌출된 라운딩 돌출부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프레임은,
상기 제 3 연장 파트의 내측 부위에서 서로 이격된 2개의 지점을 잇는 것으로, 상기 제 3 곡률 반경보다 큰 제 4 곡률 반경으로 상기 팩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 연장된 라운딩 브릿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 용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6799A KR102090429B1 (ko) | 2019-10-30 | 2019-10-30 |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6799A KR102090429B1 (ko) | 2019-10-30 | 2019-10-30 |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0429B1 true KR102090429B1 (ko) | 2020-03-17 |
Family
ID=7000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6799A KR102090429B1 (ko) | 2019-10-30 | 2019-10-30 |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042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3010014A1 (en) * | 1991-11-20 | 1993-05-2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Resilient squeeze bottle with an inner receptacle which inverts upon emptying |
JPH0737946U (ja) * | 1993-12-27 | 1995-07-14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チューブ容器 |
JP2016094601A (ja) * | 2014-11-11 | 2016-05-26 | エーエムエス−パテ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ポリアミド成形材料、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および使用目的 |
KR101741887B1 (ko) * | 2012-05-07 | 2017-05-30 |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 가요성 용기 |
-
2019
- 2019-10-30 KR KR1020190136799A patent/KR1020904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3010014A1 (en) * | 1991-11-20 | 1993-05-2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Resilient squeeze bottle with an inner receptacle which inverts upon emptying |
JPH0737946U (ja) * | 1993-12-27 | 1995-07-14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チューブ容器 |
KR101741887B1 (ko) * | 2012-05-07 | 2017-05-30 |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 가요성 용기 |
JP2016094601A (ja) * | 2014-11-11 | 2016-05-26 | エーエムエス−パテ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 ポリアミド成形材料、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および使用目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48091C (fr) | Bouteille en matiere plastique presentant une portion de prehension | |
JP5024666B2 (ja) |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および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のくびれ部 | |
JP4080212B2 (ja) | 合成樹脂製の薄肉ボトル容器 | |
WO2007026607A1 (ja) | 合成樹脂製角形壜体 | |
AU2006267001B2 (en) | Synthetic resin bottle body | |
JP4002941B1 (ja) | エアレスポンプ付流体容器 | |
WO2014087867A1 (ja) | 樹脂製容器 | |
MX2013000882A (es) | Manija para una botella de plastico. | |
JP2009536598A (ja) | 一体化された取手を持つボトルタイプのプラスチック容器 | |
CN105460346A (zh) | 容器 | |
JP4314945B2 (ja) | 容器 | |
JP4998768B2 (ja) | 合成樹脂製角型壜体 | |
KR20220066386A (ko) | 펄프 성형 접이식 스푼 | |
KR102090429B1 (ko) | 형상 보존 및 파지력을 강화한 튜브 용기 | |
JP2007168809A (ja) |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 | |
JP2007168807A (ja) | プラスチックボトル容器 | |
JP5477838B2 (ja) | 薄肉容器の支持体 | |
WO2003013977A1 (en) | Drink can lid with straw folded therein | |
JP2002293316A (ja) | ピンチグリップ式合成樹脂製容器 | |
KR200415000Y1 (ko) | 스퀴즈 용기 | |
JP6130158B2 (ja) | 合成樹脂製容器 | |
KR102336626B1 (ko) | 개량형 용기의 뚜껑구조 | |
JP2009286436A (ja) | ピンチグリップ式ボトル型容器 | |
KR20240018806A (ko) | 컵이나 잔 또는 머그 및 그것들의 뚜껑 | |
JPH11180428A (ja) | 合成樹脂製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