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771B1 - 무선으로 전송된 입력전력의 주파수 변화에 적응하는 동기식 정류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으로 전송된 입력전력의 주파수 변화에 적응하는 동기식 정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771B1
KR102087771B1 KR1020180012461A KR20180012461A KR102087771B1 KR 102087771 B1 KR102087771 B1 KR 102087771B1 KR 1020180012461 A KR1020180012461 A KR 1020180012461A KR 20180012461 A KR20180012461 A KR 20180012461A KR 102087771 B1 KR102087771 B1 KR 102087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signal
value
switch
outpu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029A (ko
Inventor
김학윤
김주권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to KR102018001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77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3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Abstract

유도전류 제공소자의 일단자에 연결된 제1스위치,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의 타단자에 연결된 제2스위치, 및 상기 일단자의 전압인 제1입력전압을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1구동신호 및 상기 제2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2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출력값을 출력하는 제1지연증감기, 제2출력값을 출력하는 제2지연증감기, 및 지연 발생부를 포함하는 동기식 정류장치를 공개한다.

Description

무선으로 전송된 입력전력의 주파수 변화에 적응하는 동기식 정류장치{Synchronous rectifier adaptive to the frequency variation of wirelessly transferred input power}
본 발명은 무선 수신장치의 정류기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무선전력 수신 칩의 입력전력 주파수 변화에 대처 능력을 갖는 정류기의 스위칭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동기식 정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시스템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무선 시스템(100)은 무선 송신장치(110)와 무선 수신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장치(110)는 송신 제어부(111), Tx 코일(114)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구성(112, 113), 및 상기 Tx 코일(11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신장치에는 DC 전원(115)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Tx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값은 피드백 값(IFEEDBACK)으로서 상기 송신 제어부(111)에 제공될 수 있다.
Tx 코일(114)에 전류가 흐르면, 무선 수신장치(120)의 Rx코일(124)에 유도전류가 흐를 수 있다.
무선 수신장치(120)는 정류기(121), 전압 레귤레이터(122), Rx 통신 및 제어부(123), Rx 코일(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기(121)는 입력되는 AC 전력을 DC 전압으로 변환해주는 회로이다.
전압 레귤레이터(122)는 선형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압 레귤레이터(122)에서 출력되는 전압(VOUT)은 휴대형 장치(130)에 제공될 수 있다.
Rx 통신 및 제어부(123)는 Rx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정류기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비동기식 정류기(121)를 도 2와 같이 구성한 경우, 제어가 용이하고 동기화 제어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상기 비동기식 정류기의 경우, 효율이 낮고 포워드(forward) 문턱전압이 낮은 다이오드 공정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또한, 일반적인 반도체 공정으로 제작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정류기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동기식 정류기(221)를 도 3과 같이 구성한 경우,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입력되는 전력 주파수에 맞춰서 스위칭을 제어해야 하며, 입력 전력의 주파수가 무선전송 표준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업계의 서로 다른 표준에 따라 100KHz~300KHz, 6.78MHz, 또는 3.28MHz 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동기식 정류기에서 PM1 및 PM2는 PMOS로 구현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NMOS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전류 방향에 따른 동기식 정류기의 제어 및 전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유도전류가 노드 AC2에서 노드 AC1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b)는 유도전류가 노드 AC1에서 노드 AC2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도 4의 동기식 정류기의 전류(IAC1) 및 각 스위치(NM1, PM1, NM2, PM2)의 제어신호(LG1, HG1, LG2, HG2)의 이상적인 타이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도전류가 노드 AC2에서 노드 AC1 방향으로 흐를 경우, 스위치(PM1, NM1)가 온 상태로 제어되고 스위치(PM2, NM2)는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즉, 전류(IAC1)는 트랜지스터(PM1, NM1)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유도전류가 노드 AC1에서 노드 AC2 방향으로 흐를 경우, 스위치(PM2, NM2)가 온 상태로 제어되고 스위치(PM1, NM1)는 오프 상태로 제어된다. 즉, 전류는 트랜지스터(PM2, NM2)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기식 정류기의 각 스위치를 입력되는 AC 전류의 위상에 맞춰 효율적으로 동기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무선전력 수신칩의 효율향상을 위해 입력 전력의 주파수 변화에 대처능력을 갖는 정류기의 동기식 스위칭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동기식 정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기식 정류장치는, 유도전류 제공소자(LRX)의 일단자(NAC1)에 연결된 제1스위치(PM1),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LRX)의 타단자(NAC2)에 연결된 제2스위치(NM1), 및 상기 일단자의 전압인 제1입력전압(VAC1)을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1구동신호(HG1) 및 상기 제2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2구동신호(LG1)를 생성하는 제어부(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제1출력값(SDLY)을 출력하는 제1지연증감기(23), 제2출력값(LDLY)을 출력하는 제2지연증감기(24), 및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는 지연 발생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1클럭(CLK)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인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연 발생부는, 상기 제1지연증감기의 제1출력값 및 상기 제2지연증감기의 제2출력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전압을 기초로 상기 제1클럭을 생성하는 클럭발생부(22), 및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스타트 펄스를 발생시키는 스타트 펄스 발생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 발생부는 상기 스타트 펄스의 발생시점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력값 및 제2출력값은 각각 복수 비트의 값(예컨대, 4bit)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1클럭(CLK)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1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인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1만큼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1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1만큼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값은 상기 제1값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값은 상기 제2출력값이 가질 수 있는 최대값(예컨대, "F")이고, 상기 제1값은 상기 제2출력값이 가질 수 있는 최소값(예컨대, "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위치는 PMOS이고 상기 제2스위치는 NMOS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 발생부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1시점은, 상기 지연 발생부에 의하여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2시점보다 앞설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스위치는 NMOS이고 상기 제2스위치는 NMOS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 발생부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1시점은, 상기 지연 발생부에 의하여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2시점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기식 정류장치는,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의 상기 타단자(NAC2)에 연결된 제3스위치(PM2),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의 상기 일단자(NAC1)에 연결된 제4스위치(NM2), 및 상기 타단자의 전압인 제2입력전압(VAC2)을 기초로 상기 제3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3구동신호(HG2) 및 상기 제4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4구동신호(LG2)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제어부는, 제3출력값을 출력하는 제3지연증감기, 제4출력값을 출력하는 제4지연증감기, 및 상기 제2입력전압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3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4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는 지연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지연증감기는, 상기 제2입력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2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4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3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4구동신호가 인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3출력값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지연증감기는, 상기 제3출력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4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3출력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4출력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 발생부는, 제3지연증감기의 제3출력값 및 상기 제4지연증감기의 제4출력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3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4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유도전류 제공소자, 동기식 정류장치, 및 상기 동기식 정류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레귤레이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기식 정류장치는,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LRX)의 일단자(NAC1)에 연결된 제1스위치(PM1),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LRX)의 타단자(NAC2)에 연결된 제2스위치(NM1), 및 상기 일단자의 전압인 제1입력전압(VAC1)을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1구동신호(HG1) 및 상기 제2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2구동신호(LG1)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제1출력값을 출력하는 제1지연증감기, 제2출력값을 출력하는 제2지연증감기, 및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는 지연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인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연 발생부는, 제1지연증감기의 제1출력값 및 상기 제2지연증감기의 제2출력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동기식 정류기(1)에 포함된 제1스위치(NM1) 및 제2스위치(PM1)를 제어하는 동기식 제어장치(2)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기식 제어장치는, 상기 정류기의 입력전압(VAC1)의 상승에지마다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게이트_온_펄스(gate_on_pulse) 신호를 생성하는, 시작 펄스 발생기(21); 상기 입력전압의 하강에지를 검출하여 클럭신호(CLK)를 생성하는, 증감기 클럭 발생기(22); 제1출력신호(SDLY)를 출력하는 작은 지연 증감기(23)로서,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1스위치(LG1)를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LG1)의 레벨에 따라 상기 클럭신호의 다음 사이클에서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을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 제2출력신호(LDLY)를 출력하는 큰 지연 증감기(24)로서,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가 미리 결정된 제1값("0")을 미리 결정된 제1횟수(예컨대, 4회)만큼 연속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가 미리 결정된 제2값("F")을 미리 결정된 제2횟수(예컨대, 4회)만큼 연속하여 출력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출력신호의 값을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큰 지연 증감기; 및 상기 게이트_온_펄스 신호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 및 상기 제2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신호를 모두 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키고, 소정의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제어신호 및 상기 제2제어신호를 인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키는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 및 상기 제2출력신호의 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는,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구동 지연시간 차이(TD)만큼 상기 제2스위치의 상기 제2제어신호를 상기 제1제어신호보다 먼저 상기 액티브 상태로부터 인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는,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서, 상기 제1제어신호가 액티브 상태이면, 상기 클럭신호의 다음 사이클에서 미리 결정된 제3값(예컨대, "1")만큼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SDLY)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스위치의 신호가 인액티브 상태이면, 상기 클럭신호의 다음 사이클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제3값만큼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SDLY)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할 때에는 상기 제1제어신호를 미리 결정된 제1시간폭(예컨대, 1ns)만큼 액티브 상태를 더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출력신호의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할 때에는 상기 제1제어신호를 미리 결정된 제2시간폭만큼(예컨대, 8ns) 액티브 상태를 더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시간폭은 상기 제2시간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전력 수신칩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기식 정류기를 사용하면서도 입력 전력의 주파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력 전력의 주파수 변화에 대처능력을 갖는 정류기의 동기식 스위칭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시스템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정류기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정류기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 전류 방향에 따른 동기식 정류기의 제어 및 전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의 동기식 정류기의 전류 및 각 스위치의 제어신호의 이상적인 타이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기의 회로 및 정류기의 각 스위치에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제어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도 7a의 제어신호의 온/오프 신호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전류 및 전압, 게이트_온_펄스, 클럭, 제어신호, 및 출력신호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류기의 회로 및 정류기의 각 스위치에 신호를 제공하는 동기식 제어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정류기(1)는 4개의 트랜지스터(PM1, NM1, PM2, NM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PM1)의 소스 단자는 정류기의 출력단자일 수 있다. 트랜지스터(PM1)의 소스 단자는 트랜지스터(PM2)의 소스 단자와 서로 연결 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PM1)의 드레인 단자는 Rx 코일(124)의 일 단자(NAC1)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PM2)의 드레인 단자는 Rx 코일의 타 단자(NAC2)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LG1)의 드레인 단자는 트랜지스터(PM2)의 드레인 단자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트랜지스터(LG1)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타 단자(NAC2)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LG1)의 소스 단자는 기준전압(예컨대, GND)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LG2)의 드레인 단자는 트랜지스터(PM1)의 드레인 단자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LG2)의 소스 단자는 상기 기준전압(예컨대, GND)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트랜지스터(NM2)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Rx 코일의 일 단자(NAC1)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각 트랜지스터는 스위치로 지칭될 수 있다.
제1동기식 제어기(Synchronous Controller)(2, 201)의 입력단자는 Rx 코일(124)의 일 단자(NAC1)과 연결되어 상기 일 단자(NAC1)의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1동기식 제어기(2, 201)의 각 출력단자는 스위치(PM1, NM1)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스위치(PM1, NM1)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HG1, LG1)를 출력할 수 있다.
제2동기식 제어기(2, 202)의 입력단자는 Rx 코일(124)의 타 단자(NAC2)와 연결되어 상기 타 단자(NAC2)의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2동기식 제어기(2, 202)의 각 출력단자는 스위치(PM2, NM2)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스위치(PM2, NM2)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HG2, LG2)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제어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도 7a의 제어신호(HG1, LG1)의 온/오프 신호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NAC1)를 통해 흐르는 전류(IAC1) 및 노드(NAC1)에서의 전압(VAC1), 게이트_온_펄스(gate_on_pulse), 클럭(CLK), 제어신호(LG1, HG1), 및 출력신호(SDLY, LDLY)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7a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기식 제어기(2)는 시작 펄스 발생기(Start Pulse 발생기)(21), 증감기 클럭 발생기(22), 작은 지연 증감기(23), 큰 지연 증감기(24),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Falling Delay 발생기)(25)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작 펄스 발생기(21)는 노드(AC1)의 전압(VAC1)을 입력받아 노드(NAC1)의 전압(VAC1)의 상승 에지(rising edge)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노드(NAC1)의 전압(VAC1)의 상승 에지부터 약 10ns 동안 지속되는 펄스(게이트_온_펄스, gate_on_pulse)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노드(NAC1)의 전류(IAC1)의 파형은 도 8의 (a)와 같으며, 노드(NAC1)의 전압(VAC1)의 파형은 도 8의 (b)와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_온_펄스(gate_on_pulse)는 도 8의 (c)와 같을 수 있다. 상기 게이트-온-펄스의 기본 주파수는 무선전송전력의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증감기 클럭 발생기(22)는 노드(NAC1)의 전압(VAC1)을 입력받아 노드(NAC1)의 전압(VAC1)의 하강 에지(falling edge)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노드(AC1)의 전압(VAC1)을 클럭신호(CLK)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증감기 클럭 발생기(22)를 거침으로써 상기 전압(VAC1)의 상승/하강 딜레이(slope)가 작아질 수 있다.
작은 지연 증감기(23)는 4비트의 출력신호(SDLY)를 출력할 수 있다. 작은 지연 증감기(23)는 클럭신호(CLK)의 하강 에지에서, 스위치(NM1)의 제어신호(LG1)가 아직 "H" 상태이면, 출력신호(SDLY)의 값을 "1" 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결과를 다음 사이클에 반영할 수 있다. 클럭신호(CLK)의 하강 에지에서, 스위치(NM1)의 제어신호(LG1)가 "L" 상태이면, 출력신호(SDLY)의 값을 "1" 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결과를 다음 사이클에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의 T2 시점에서, 클럭신호(CLK)가 하강 에지에서 스위치(NM1)의 제어신호(LG1)가 아직 "H" 상태이므로 출력을 "1" 만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23)는 "F"에서 "1"만큼 감소된 "E"를 나타내는 출력신호(SDLY)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의 T1 시점에서, 클럭신호(CLK)가 하강 에지에서 스위치(NM1)의 제어신호(LG1)가 "L" 상태이므로 출력을 "1" 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23)는 "C"에서 "1"만큼 증가된 "D"를 나타내는 출력신호(SDLY)를 출력할 수 있다.
큰 지연 증감기(24)는 클럭신호(CLK)와 작은 지연 증감기(23)의 출력신호(SDLY)를 입력받아 4비트의 출력신호(LDLY)를 출력할 수 있다. 큰 지연 증감기(24)는 작은 지연 증감기(23)가 "0"을 4회 연속 출력하면 큰 지연 증감기(24)의 출력을 "1" 감소시키고, 작은 지연 증감기(23)가 4회 연속 "F"를 출력하면 큰 지연 증감기(24)의 출력을 "1"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시구간(TA)에서, 작은 지연 증감기(23)가 4회 연속 "F"를 출력하였으므로 T3시점에서 큰 지연 증감기(24)의 출력이 "1"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25)는 시작 펄스 발생기(21)의 출력신호인 게이트_온_펄스(gate_on_pulse), 작은 지연 증감기(23)의 출력신호(SDLY), 및 큰 지연 증감기(24)의 출력신호(LDLY)를 입력받아 스위치(PM1, NM1)의 제어신호(HG1, LG1)를 출력할 수 있다.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25)는 작은 지연 증감기(23)의 출력신호(SDLY)를 이용하여 하강 딜레이(delay)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25)는 큰 지연 증감기(24)의 출력신호(LDLY)를 이용하여 하강 딜레이를 큰 폭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큰 지연 증감기(24)의 출력이 "1" 비트 변화한 출력값인 경우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25)는 8ns 지연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지연 증감기(24)의 출력이 "1" 비트 변화한 출력값인 경우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25)는 1ns 지연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게이트_온_펄스에 동기화되어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25)의 스위치(NM1)에 대한 출력신호(LG1)와 스위치(PM1)에 대한 출력신호(HG1)는 동시에 인에이블(enable, 이네이블)될 수 있다. 이때, 스위치(PM1)에 대한 출력신호(HG1)의 지연시간은 결정된 스위치(NM1)에 대한 출력신호(LG1)의 지연시간보다 스위치(PM1)의 구동 지연시간만큼 작게 제어할 수 있다. 즉, 통상 스위치(PM1)의 천이시간이 스위치(NM1)의 천이시간보다 느리기 때문에 구동 지연시간 차이(TD)만큼 먼저 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상태변화 지연시간(FD) 중 시구간(TB) 및 시구간(TC)는 각각 큰 지연증감기(24) 및 작은 지연 증감기(2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신호(LG1)와 출력신호(HG1)가 이네이블된다는 것은 스위치(NM1)와 스위치(PM1)가 온 상태로 되는 값을 갖도록 상태전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25)의 스위치(NM1)에 대한 출력신호(LG1)는 작은 지연 증감기(23)의 입력신호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NM1)에 대한 출력신호(LG1) 및 스위치(PM1)에 대한 출력신호(HG1)가 안정화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참조번호 A와 같이 안정화될 수 있다.
도 7a는 도 6에서 도시한 제1동기식 제어기를 기준으로 동기식 제어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제2동기식 제어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은 상기 제1동기식 제어기의 블록 다이어그램과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7a에서의 제1동기식 제어기의 입력단자의 전압(VAC1), 및 제어신호(HG1, LG1)는 전압(VAC2), 및 제어신호(HG2, LG2)로 대체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기식 정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기식 정류장치는 제1스위치(PM1), 제2스위치(NM1), 및 제어부(2, 2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PM1)는 유도전류 제공소자(LRX)의 일단자(NAC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스위치(NM1)는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LRX)의 타단자(NAC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는 상술한 Rx 코일일 수 있다.
제어부(2, 201)는 상기 일단자의 전압인 제1입력전압(VAC1)을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1구동신호(HG1) 및 상기 제2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2구동신호(LG1)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 201)는, 제1출력값(SDLY)을 출력하는 제1지연증감기(23), 제2출력값(LDLY)을 출력하는 제2지연증감기(24), 및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는 지연 발생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연증감기는 상술한 작은 지연 증감기(23)일 수 있고, 상기 제2지연증감기는 상술한 큰 지연 증감기(24)일 수 있으며, 상기 지연 발생부는 상술한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연증감기(23)는,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1클럭(CLK)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H")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SDLY)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인액티브 레벨("L")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SDLY)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력값은 상술한 제1출력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연증감기(24)는, 상기 제1출력값(SDLY)이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LDLY)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출력값(SDLY)이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LDLY)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 발생부(25)는, 상기 제1지연증감기(23)의 제1출력값(SDLY) 및 상기 제2지연증감기(24)의 제2출력값(LDLY)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TB+TC)을 기초로, 상기 제1구동신호(HG1)를 액티브 레벨("L")로부터 인액티브 레벨("H")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H")로부터 인액티브 레벨("L")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 201)는, 상기 제1입력전압(VAC1)을 기초로 상기 제1클럭(CLK)을 생성하는 클럭발생부(22) 및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스타트 펄스(gate_on_pulse)를 발생시키는 스타트 펄스 발생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럭발생부는 상술한 증감기 클럭 발생기일 수 있으며, 상기 스타트 펄스 발생부는 상술한 시작 펄스 발생기일 수 있다.
상기 지연 발생부(25)는 상기 스타트 펄스(gate_on_pulse)의 발생시점(TS)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HG1)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LG1)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력값(SDLY) 및 제2출력값(LDLY)은 각각 복수 비트의 값(예컨대, 4bit)을 가지며, 상기 제1지연증감기(23)는, 상기 제1입력전압(VAC1)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1클럭(CLK)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LG1)가 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SDLY)을 1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제1클럭(CLK)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LG1)가 인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SDLY)을 1만큼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지연증감기(24)는, 상기 제1출력값(SDLY)이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LDLY)을 1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제1출력값(SDLY)이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LDLY)을 1만큼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값은 상기 제1값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값은 상기 제2출력값이 가질 수 있는 최대값(예컨대, "F")이고, 상기 제1값은 상기 제2출력값이 가질 수 있는 최소값(예컨대, "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위치(PM1)는 PMOS이고 상기 제2스위치(NM1)는 NMOS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 발생부(25)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HG1)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1시점은, 상기 지연 발생부(25)에 의하여 상기 제2구동신호(LG1)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2시점보다 앞설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스위치(PM1)는 NMOS이고 상기 제2스위치(NM1)는 NMOS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 발생부(25)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HG1)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1시점은, 상기 지연 발생부(25)에 의하여 상기 제2구동신호(LG1)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2시점과 동일할 수 있다.
동기식 정류장치는, 제3스위치(PM2), 제4스위치(NM2), 및 제2제어부(2, 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스위치(PM2)는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LRX)의 상기 타단자(NAC2)에 연결되며, 제4스위치(NM2)는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LRX)의 상기 일단자(NAC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제어부(2, 202)는, 상기 타단자(NAC2)의 전압인 제2입력전압(VAC2)을 기초로 상기 제3스위치(PM2)의 구동신호인 제3구동신호(HG2) 및 상기 제4스위치(NM2)의 구동신호인 제4구동신호(LG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 202)는, 제3출력값을 출력하는 제3지연증감기, 제4출력값을 출력하는 제4지연증감기, 및 상기 제2입력전압(VAC2)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3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4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는 지연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지연증감기는, 상기 제2입력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2클럭(CLK)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4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3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4구동신호가 인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3출력값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지연증감기는, 상기 제3출력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4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3출력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4출력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 발생부는, 제3지연증감기의 제3출력값 및 상기 제4지연증감기의 제4출력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3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4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유도전류 제공소자(LRX), 동기식 정류장치, 및 상기 동기식 정류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레귤레이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기식 정류장치는, 제1스위치(PM1), 제2스위치(NM1), 및 제어부(2, 2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PM1)는 유도전류 제공소자(LRX)의 일단자(NAC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스위치(NM1)는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LRX)의 타단자(NAC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는 상술한 Rx 코일일 수 있다.
제어부(2, 201)는 상기 일단자의 전압인 제1입력전압(VAC1)을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1구동신호(HG1) 및 상기 제2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2구동신호(LG1)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 201)는, 제1출력값(SDLY)을 출력하는 제1지연증감기(23), 제2출력값(LDLY)을 출력하는 제2지연증감기(24), 및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는 지연 발생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연증감기는 상술한 작은 지연 증감기일 수 있고, 상기 제2지연증감기는 상술한 큰 지연 증감기일 수 있으며, 상기 지연 발생부는 상술한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연증감기(23)는,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1클럭(CLK)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H")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SDLY)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인액티브 레벨("L")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SDLY)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력값은 상술한 제1출력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연증감기(24)는, 상기 제1출력값(SDLY)이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LDLY)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출력값(SDLY)이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LDLY)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연 발생부(25)는, 상기 제1지연증감기(23)의 제1출력값(SDLY) 및 상기 제2지연증감기(24)의 제2출력값(LDLY)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TB+TC)을 기초로, 상기 제1구동신호(HG1)를 액티브 레벨("L")로부터 인액티브 레벨("H")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H")로부터 인액티브 레벨("L")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동기식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동기식 제어장치는, 동기식 정류기(1)에 포함된 제1스위치(NM1) 및 제2스위치(PM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기식 제어장치는, 시작 펄스 발생기(21), 증감기 클럭 발생기(22), 작은 지연 증감기(23), 큰 지연 증감기(24), 및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25)를 포함할 수 있다.
시작 펄스 발생기(21)는, 상기 정류기의 입력전압(VAC1)의 상승에지마다 상기 제1스위치(NM1) 및 상기 제2스위치(PM1)를 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게이트_온_펄스(gate_on_pulse)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증감기 클럭 발생기(22)는, 상기 입력전압의 하강에지를 검출하여 클럭신호(CLK)를 생성할 수 있다.
작은 지연 증감기(23)는 제1출력신호(SDLY)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작은 지연 증감기(23)는 상기 클럭신호(CLK)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1스위치(NM1)를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LG1)의 레벨에 따라 상기 클럭신호의 다음 사이클에서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을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큰 지연 증감기(24)는 제2출력신호(LDLY)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큰 지연 증감기(24)는,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23)가 미리 결정된 제1값("0")을 미리 결정된 제1횟수(예컨대, 4회)만큼 연속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23)가 미리 결정된 제2값("F")을 미리 결정된 제2횟수(예컨대, 4회)만큼 연속하여 출력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출력신호의 값을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25)는, 게이트_온_펄스 신호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스위치(NM1)를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LG1) 및 상기 제2스위치(PM1)를 제어하는 제2제어신호(HG1)를 모두 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키고, 소정의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제어신호(LG1) 및 상기 제2제어신호(HG1)를 인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제1출력신호(SDLY)의 값 및 상기 제2출력신호(LDLY)의 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25)는, 상기 제1스위치(NM1)와 제2스위치(PM1)의 구동 지연시간 차이(TD)만큼 상기 제2스위치(PM1)의 상기 제2제어신호(HG1)를 상기 제1제어신호(LG1)보다 먼저 상기 액티브 상태로부터 인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23)는,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서, 상기 제1제어신호가 액티브 상태이면, 상기 클럭신호(CLK)의 다음 사이클에서 미리 결정된 제3값(예컨대, "1")만큼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SDLY)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스위치의 신호가 인액티브 상태이면, 상기 클럭신호(CLK)의 다음 사이클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제3값만큼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SDLY)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SDLY)이 증가 또는 감소할 때에는 상기 제1제어신호(LG1)를 미리 결정된 제1시간폭(예컨대, 1ns)만큼 액티브 상태를 더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출력신호의 값(LDLY)이 증가 또는 감소할 때에는 상기 제1제어신호(LG1)를 미리 결정된 제2시간폭만큼(예컨대, 8ns) 액티브 상태를 더 유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시간폭은 상기 제2시간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2)

  1. 유도전류 제공소자의 일단자에 연결된 제1스위치;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의 타단자에 연결된 제2스위치; 및
    상기 일단자의 전압인 제1입력전압을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1구동신호 및 상기 제2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2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출력값을 출력하는 제1지연증감기;
    제2출력값을 출력하는 제2지연증감기; 및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는 지연 발생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인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지연 발생부는, 상기 제1지연증감기의 제1출력값 및 상기 제2지연증감기의 제2출력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동기식 정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전압을 기초로 상기 제1클럭을 생성하는 클럭발생부; 및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스타트 펄스를 발생시키는 스타트 펄스 발생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연 발생부는 상기 스타트 펄스의 발생시점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동기식 정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값 및 제2출력값은 각각 복수 비트의 값을 가지며,
    상기 제1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1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인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1만큼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1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1만큼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값은 상기 제1값보다 큰,
    동기식 정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값은 상기 제2출력값이 가질 수 있는 최대값이고,
    상기 제1값은 상기 제2출력값이 가질 수 있는 최소값인,
    동기식 정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는 PMOS이고 상기 제2스위치는 NMOS이며,
    상기 지연 발생부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1시점은, 상기 지연 발생부에 의하여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2시점보다 앞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정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는 NMOS이고 상기 제2스위치는 NMOS이며,
    상기 지연 발생부에 의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1시점은, 상기 지연 발생부에 의하여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되는 제2시점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정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의 상기 타단자에 연결된 제3스위치;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의 상기 일단자에 연결된 제4스위치; 및
    상기 타단자의 전압인 제2입력전압을 기초로 상기 제3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3구동신호 및 상기 제4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4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제어부는,
    제3출력값을 출력하는 제3지연증감기;
    제4출력값을 출력하는 제4지연증감기; 및
    상기 제2입력전압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3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4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는 지연 발생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3지연증감기는, 상기 제2입력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2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4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3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2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4구동신호가 인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3출력값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4지연증감기는, 상기 제3출력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4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3출력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4출력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지연 발생부는, 제3지연증감기의 제3출력값 및 상기 제4지연증감기의 제4출력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3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4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동기식 정류장치.
  8. 유도전류 제공소자;
    동기식 정류장치; 및
    상기 동기식 정류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레귤레이션하는 전압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식 정류장치는,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의 일단자에 연결된 제1스위치;
    상기 유도전류 제공소자의 타단자에 연결된 제2스위치; 및
    상기 일단자의 전압인 제1입력전압을 기초로 상기 제1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1구동신호 및 상기 제2스위치의 구동신호인 제2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1출력값을 출력하는 제1지연증감기;
    제2출력값을 출력하는 제2지연증감기; 및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시점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인액티브 레벨로부터 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는 지연 발생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입력전압의 상승에지 및 하강에지에 동기화된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클럭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2구동신호가 인액티브 레벨인 경우 상기 제1출력값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지연증감기는,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제1출력값이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복수 회 연속적으로 출력하면 상기 제2출력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지연 발생부는, 제1지연증감기의 제1출력값 및 상기 제2지연증감기의 제2출력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며, 상기 제2구동신호를 액티브 레벨로부터 인액티브 레벨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9. 동기식 정류기에 포함된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제어하는 동기식 제어장치로서,
    상기 정류기의 입력전압의 상승에지마다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를 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게이트_온_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시작 펄스 발생기;
    상기 입력전압의 하강에지를 검출하여 클럭신호를 생성하는, 증감기 클럭 발생기;
    제1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작은 지연 증감기로서,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 시점에서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클럭신호의 다음 사이클에서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을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
    제2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큰 지연 증감기로서,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가 미리 결정된 제1값을 미리 결정된 제1횟수만큼 연속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가 미리 결정된 제2값을 미리 결정된 제2횟수만큼 연속하여 출력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2출력신호의 값을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큰 지연 증감기; 및
    상기 게이트_온_펄스 신호에 동기화하여 상기 제1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 및 상기 제2스위치를 제어하는 제2제어신호를 모두 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키고, 소정의 지연시간을 기초로 상기 제1제어신호 및 상기 제2제어신호를 인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키는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
    를 포함하며,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 및 상기 제2출력신호의 값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식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 지연 발생기는,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의 구동 지연시간 차이만큼 상기 제2스위치의 상기 제2제어신호를 상기 제1제어신호보다 먼저 상기 액티브 상태로부터 인액티브 상태로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는,
    동기식 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지연 증감기는,
    상기 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서, 상기 제1제어신호가 액티브 상태이면, 상기 클럭신호의 다음 사이클에서 미리 결정된 제3값만큼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스위치의 신호가 인액티브 상태이면, 상기 클럭신호의 다음 사이클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제3값만큼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을 증가시키도록 되어 있는,
    동기식 제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제1출력신호의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할 때에는 상기 제1제어신호를 미리 결정된 제1시간폭만큼 액티브 상태를 더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출력신호의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할 때에는 상기 제1제어신호를 미리 결정된 제2시간폭만큼 액티브 상태를 더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시간폭은 상기 제2시간폭보다 작은,
    동기식 제어장치.
KR1020180012461A 2018-01-31 2018-01-31 무선으로 전송된 입력전력의 주파수 변화에 적응하는 동기식 정류장치 KR102087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461A KR102087771B1 (ko) 2018-01-31 2018-01-31 무선으로 전송된 입력전력의 주파수 변화에 적응하는 동기식 정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461A KR102087771B1 (ko) 2018-01-31 2018-01-31 무선으로 전송된 입력전력의 주파수 변화에 적응하는 동기식 정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029A KR20190093029A (ko) 2019-08-08
KR102087771B1 true KR102087771B1 (ko) 2020-03-11

Family

ID=6761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461A KR102087771B1 (ko) 2018-01-31 2018-01-31 무선으로 전송된 입력전력의 주파수 변화에 적응하는 동기식 정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7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896B1 (ko) 2014-03-14 2015-07-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역전류 누설을 줄일 수 있는 능동형 정류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JP2016220351A (ja) 2015-05-18 2016-12-22 ローム株式会社 同期整流回路、その制御回路、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70025897A1 (en) * 2015-07-24 2017-01-26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output power using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
JP2018007328A (ja) 2016-06-28 2018-01-11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
KR101825142B1 (ko) 2016-09-29 2018-02-02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누설전류를 방지하는 능동형 정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896B1 (ko) 2014-03-14 2015-07-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역전류 누설을 줄일 수 있는 능동형 정류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JP2016220351A (ja) 2015-05-18 2016-12-22 ローム株式会社 同期整流回路、その制御回路、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70025897A1 (en) * 2015-07-24 2017-01-26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output power using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
JP2018007328A (ja) 2016-06-28 2018-01-11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
KR101825142B1 (ko) 2016-09-29 2018-02-02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누설전류를 방지하는 능동형 정류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ng-Yoon Lee, IEEE Power Electronics, vo31, is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029A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896B1 (ko) 역전류 누설을 줄일 수 있는 능동형 정류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EP3402070B1 (en) Class d audio amplifier with adjustable gate drive
US9653996B2 (en) Adaptive off time control scheme for semi-resonant and hybrid converters
JP6554317B2 (ja) 同期整流回路、その制御回路、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8306513B (zh) 同步整流管的关断控制电路及同步整流控制电路
US9712077B2 (en) Active rectifier and circuit for compensating for reverse current leakage using time delay scheme for zero reverse leakage current
US8659345B2 (en) Switch level circuit with dead time self-adapting control
US20160079878A1 (en) Constant on time (cot) control in isolated converter
US20160079875A1 (en) Constant on time cot control in isolated converter
US10651750B2 (en) Constant on-time (COT) control in isolated converter
US9985549B2 (en) Control of a dead time in a DC-DC converter
TW201025811A (e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digital synchronous switching converter
CN109690931B (zh) 功率转换装置、功率转换装置用控制装置及功率转换装置的控制方法
JP2024041944A (ja) 高解像度fet vdsゼロボルト交差タイミング検出方式
US9577542B2 (en) Constant on-time (COT) control in isolated converter
US8018263B2 (en) Pulse generating circuit and pulse width modulator
JP2017169268A (ja) 全波整流回路
KR102087771B1 (ko) 무선으로 전송된 입력전력의 주파수 변화에 적응하는 동기식 정류장치
JPH08213892A (ja) スルーレート制御駆動回路および電気信号発生方法
US20190097517A1 (en) Adaptive drive strength switching converter
US20170207702A1 (en) Feedback control circuit and method thereof
KR101600297B1 (ko) 발진회로 및 그를 이용한 전원장치
CN106936415A (zh) 一种低功耗应用延时电路
KR101961916B1 (ko) 정현파 전류구동 드라이브 ic의 전류소모 감소를 위한 데드타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5987083A (zh) 降低电磁辐射的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及隔离电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