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662B1 -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662B1
KR102087662B1 KR1020180070760A KR20180070760A KR102087662B1 KR 102087662 B1 KR102087662 B1 KR 102087662B1 KR 1020180070760 A KR1020180070760 A KR 1020180070760A KR 20180070760 A KR20180070760 A KR 20180070760A KR 102087662 B1 KR102087662 B1 KR 102087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obstructive pulmonary
compound
cop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156A (ko
Inventor
양세란
이주연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0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662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6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의 만성폐쇄성 폐질환 치료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mprising 4-[[4-[3-(Cyclopropylmethoxy)-4-(difluoromethoxy)phenyl]-2-thiazolyl]amino]-phenol compound}
본 발명은 CG500354로 알려진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의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치료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만성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폐의 비정상적인 염증반응으로 기도가 좁아지는 폐질환 중 하나이다.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주로 유해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특히 흡연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40세 이상 만성폐쇄성 폐질환 유병률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또한 전 세계적으로도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유일하게 유병률과 사망률이 증가하는 질환으로, 2020년에는 세계적으로 3번째 사망원인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흡연은 폐조직 내 강력한 자극물질로 작용하여, 다양한 전염증인자, 성장인자, 산화물질 및 화학주성인자들의 생성을 증가시키며, 염증성 신호전달체계를 활성화시켜 호중구 및 대식세포를 비롯한 많은 염증세포의 유주를 촉진시켜 폐염증을 더욱 악화시키게 된다. 담배연기 및 염증세포들에서 유래된 메탈로프로테나제(metalloproteinase)와 같은 단백분해 효소가 활성화되어 폐 간질조직 내 구성물을 파괴하게 된다. 이는 결국 폐조직의 비정상적인 변화, 이를테면 기도벽의 비후, 폐섬유화를 야기하여 폐기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질병의 주요 원인인 폐 염증의 개선을 중점에 두고 다양한 물질들의 개발이 이뤄져 오고 있다. 그 중, 천식치료와 유사하게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염증개선을 위한 스테로이드 제제 및 항생제의 치료는 매우 매력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제제 및 항생제의 경우, 면역억제 및 면역관용 등으로 인한 많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치료를 필요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므로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보다 근본적으로 만성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CG500354로 알려진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은 cAMP/PKA 신호 경로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다형성교아종(Glioblastoma multiforme)의 성장억제와 신경분화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세포주기 및 신경분화 조절기전을 통해 다형성교아종을 억제할 수 있다는 기능이 알려져 있을 뿐, 다른 약리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4863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CG500354로 알려진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의 만성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 타입 4D(PDE4D)의 억제활성; 폐 세포의 세포사멸 억제활성; 또는 ROS(활성산소종), NO(산화질소)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활성; c-AMP/CREB/PKA의 활성 촉진; 또는 NF-κB 및 MAPKs의 활성억제;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조성물에 0.1~5uM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은 만성폐쇄성기관지염, 만성세기관지염 또는 폐기종(Emphysema)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 타입 4D(PDE4D)의 억제활성; 폐 세포의 세포사멸 억제활성; 또는 ROS(활성산소종), NO(산화질소)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활성; c-AMP/CREB/PKA의 활성 촉진; 또는 NF-κB 및 MAPKs의 활성억제; 효과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은 만성폐쇄성기관지염, 만성세기관지염 또는 폐기종(Emphysem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은 담배연기와 같은 폐 세포 손상물질로부터 폐 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ROS(활성산소종), NO(산화질소)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활성이 우수하며, c-AMP/CREB/PKA의 활성 촉진과 NF-κB 및 MAPKs의 활성억제 효과를 가짐으로써,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CG500354 화합물이 PDE4D의 특이적인 억제제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1a는 CG500354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1b는 담배연기추출물(CSE)에 따른 PDE4D의 발현을 CG500354 화합물 처리 시 감소한 결과를 웨스턴 블럿으로 나타낸 것이며, 1c는 1b의 PDE4D의 발현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마우스의 폐 상피 세포주(MLE-12)에서 담배연기추출물(CSE) 처리에 따른 세포 사멸을 CG500354 화합물이 억제함을 확인한 결과로서, 2a는 CSE에 노출된 세포에서 CG500354 화합물 처리 농도에 따른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고, 2b는 MTT 분석을 통한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며, 2c는 BAX 및 Bcl-2 의 발현수준을 웨스턴 블럿으로 확인한 것이며, 1d는 BAX /Bcl-2의 발현비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마우스의 폐 상피 세포주(MLE-12)에서 CG500354 화합물 처리에 따른 세포내 활성산소종(ROS), 산화질소(NO)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3a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및 TNF-a의 생성정도를 측정한 결과이고, 3b는 산화질소를 측정한 것이며, 3c는 DCF-DA 염색과 FACS 분석을 통한 ROS 생성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PDE4D의 특이적인 억제제 CG500354 화합물에 대한 c-AMP/CREB/PKA 신호경로 활성과 AKT의 인산화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으로, 4a는 MLE-12 세포주에 CSE을 노출한 경우, CG500354 화합물 전처리 여부에 따른 p-CREB, p-PKA 단백질들의 발현여부를 웨스턴 블럿으로 확인한 것이고, 4b는 이들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4c는 c-AMP의 수준을 ELISA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담배연기 추출물에 노출된 마우스 폐 상피세포인 MLE-12 세포에서 CG500354 화합물 처리에 따른 NF-κB 및 MAPKs의 신호경로를 차단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5a는 웨스턴블럿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5b는 웨스턴블럿 결과에 따른 단백질들의 발현양을 그래프로 정량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의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치료제로서의 신규 용도를 규명한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은 다형성교아종(Glioblastoma multiforme)의 성장억제와 세포주기 및 신경분화 조절기전을 통해 다형성교아종을 억제할 수 있음이 규명되었을 뿐, 이외의 다른 약리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의 신규 약리학적 용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은 CG500354 화합물로도 알려져 있으며,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60502017-pat00001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만성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비가역적인 기도의 폐색을 동반한다는 점에서 천식과 다르며 기도 및 폐실질 염증에 의한 세기관지 및 폐실질의 병리학적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폐쇄성 세기관지염 및 폐기종(폐실질 파괴)을 특징으로 한다. 만성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의 종류에는 만성폐쇄성 기관지염(Chronic obstructive bronchitis), 만성 세기관지염(Chronic bronchiolitis) 및 폐기종(Emphysema)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대상질환은 바람직하게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비가역적인 기도의 폐색을 동반하며 기도 및 폐실질 염증에 의한 세기관지 및 폐실질의 병리학적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병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CG500354 화합물이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CG500354 화합물은 PDE4의 아형인 PDE4D에 대한 억제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PDE4(phosphodiesterase4)는 사이클릭-AMP(c-AMP)의 AMP로의 전환을 억제하는 효소로서, PDE4 억제는 세포 내 c-AMP를 증가시키게 되며, c-AMP의 증가는 염증 매개체 및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감소시켜 항염증 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c-AMP는 항-세포사멸 기능을 가지며 세포 내 에너지 대사 및 증식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AMP, CREB / PKA와 관련된 메커니즘은 PDE4 억제제에 의해 활성화되고, 이러한 활성화에 의한 신호 전달은 Akt, NF-κB 또는 MAPKs의 인산화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PDE4의 억제는 Akt, NF-κB 또는 MAPKs으로 매개된 질환의 치료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PDE4는 N-말단 도메인에서 선택적인 스플라이싱에 의해 각 유형간에 차이가 있는 4가지 아형 A-D를 갖는다. 로플루미라스트(roflumilast) 화합물은 PDE4의 모든 유형을 광범위하게 억제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지만(Wittmann et al., 2013),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른 유형에 비해 B형 PDE4 유전자와 D 형을 특이적으로 조절한다고 밝혀졌다(Susuki-Miyata et al 2015).
한편, PDE4D에 대한 특이적인 억제는 알츠하이머와 관련된 뇌질환과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었을 뿐, PDE4D의 특이적 억제가 만성폐쇄성 폐질환과 관련성이 있음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자들은 CG500354 화합물이 PDE4D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기존 다른 PDE4 억제제들에 비해 CG500354 화합물의 PDE4D 억제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담배연기 추출물(CSE)과 같은 폐 손상 유발 물질을 폐 상피세포에 처리한 후, 폐 세포의 세포사멸을 본 발명의 CG500354 화합물이 억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 폐 손상 유발 물질에 의한 세포 사멸을 CG500354 화합물이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ROS(활성산소종), NO(산화질소)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흡연으로 인한 기도의 폐쇄성 변화와 폐기종성 폐실질 파괴로 인한 탄성반동(elastic recoil)의 감소는 만성 기류 제한을 유발하여 이른바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흡연은 기도와 폐실질에 염증을 일으키며, 폐의 염증으로 발생된 많은 종류의 산화물질(oxidant), 단백분해효소(protease), 사이토카인(cytokine)이 폐기종성 폐실질의 파괴, 폐혈관 재형성, 폐고혈압 등의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증상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TNF-α, IL-6와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들은 폐혈관 순환에서부터 폐포로까지 호중구의 트래피킹(trafficking)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모두 염증과 관련된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들로서,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경우, 호중구 수가 증가하며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이 분비된다. 이러한 분비 물질은 기도에 염증을 유발하게 되고, 근육벽이 두꺼워지며, 점액 분비가 증가하여 기관지 폐쇄가 나타난다. 기관지가 폐쇄되면 폐포는 확장되고 손상되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능력이 손상을 받게 되며, 호흡부전발생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이들 염증성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은 COPD를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발현이 증가됨이 밝혀져, 만성폐쇄성 폐질환과의 원인 요소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포스포디에스터라제 타입 4D(PDE4D)의 억제활성; 폐 세포의 세포사멸 억제활성; 또는 ROS(활성산소종), NO(산화질소)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활성; c-AMP/CREB/PKA의 활성 촉진; 또는 NF-κB 및 MAPKs의 활성억제;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CG500354 화합물은 만성폐쇄성 폐질환 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이로 인해 점차 기류 제한이 진행되어 폐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곤란을 유발하게 되는 호흡기 질환을 말한다.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주된 증상은 만성적인 기침 또는 만성적인 가래(객담)을 비롯하여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베타항진제, 항콜린제, 메틸잔틴계 등의 기관지 확장제 또는 부신피질 호르몬 흡입제 등이 대표적인 치료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만성폐쇄성 폐질환은 바람직하게는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또는 폐기종(emphysem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이란, 2년 연속, 1년에 3개월 이상 가래가 있고 기침이 지속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흡연, 대기오염, 직업적 노출 등의 자극에 의한 기관지 손상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주요 증상으로는 만성 기침, 가래, 운동시 호흡곤란 등이 있다. 또한,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특징인 급성 악화가 있을 수 있으며, 이때에는 수시간에서 수일 사이 호흡곤란이 빠르게 악화되고 가래의 양이 늘어나거나 가래의 성상이 점액성에서 화농성으로 변하면서 진한 노란색이나 푸르스름한 색을 띄게 되고 점도가 높아져 뱉어내기 힘들어진다.
본 발명에서 용어, "폐기종(emphysema)"이란, 종말 세기관지(terminal bronchiole) 원위부 공기공간(airspace)의 파괴로 인하여 비정상적이며 영구적인 말초 기도 및 폐포의 확장상태를 의미한다. 유해 입자와 가스의 흡입에 의하여 발생하며, 임상적으로 가장 의미있는 위험인자는 흡연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만성적인 기침과 가래, 호흡곤란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공인된 만성폐쇄성폐질환 억제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물체를 상당히 자극하지 않고 투여 활성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약학적 조성물에 0.001 내지 1500 ㎍/ml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0 ㎍/ml으로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본 발명의 CG500354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COPD의 예방 또는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 투여하여 COPD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체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만성폐쇄성 폐질환 의심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개체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체는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만성폐쇄성 폐질환 억제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도 만성폐쇄성 폐질환 억제활성에 방해가 되지 않는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성 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건강기능성 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에 포함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원료 조성물 중 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음료의 형태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감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과 같은 당알콜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04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3g일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시료
CG500354 화합물(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은 from Crystal Genomics(한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화합물은 DMSO가 1% 미만이 되도록 배지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일차 항체들로서, p-NF-kB (#3033), p-CREB(#9198), p-ERK1/2 (#4370), ERK1/2 (#4695), p-JNK1/2 (#4668), JNK1/2 (#9252), p-p38 (#4511) and p38 (#9212), β-actin (#3700)에 대한 항체는 Cell Signaling Technology사 (Beverly, MA, USA)로부터 구입해서 사용하였고, p-PKA (sc-32968), p-Akt (sc-8312), Akt(sc-7985), Bcl-2 (sc-492) 및 BAX (sc-7480)은 Santa Cruz Biotechnology사(Santa Cruz, CA,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방법
세포배양 및 처리
MLE-12 세포는 한국 세포주 은행 (KCLB)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1 % 페니실린/스트렙토 마이신(P / S), 2% 소태아혈청(FBS; Hyclone, UT, USA), 인슐린 (0.005 mg/mL), 소듐 셀레니트 (30 nM), β-estradiol (10 nM) 및 hydrocortisone (10 nM)이 첨가된 DME F-12 배지(Hyclone, UT, USA)에서 배양하였으며, 37 ℃가 유지되고 5% 이산화탄소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주에 대한 CG500354 처리는 세포가 70% 정도로 찬 상태에서 0, 0.1, 1 및 3 μM 농도로 각각 처리한 다음, 0.6%의 CSE(cigarette smoke extract)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CSE (cigarette smoke extract)
CSE(cigarette smoke extract)는 Lee et al (Lee et al., 2016)이 제시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담배 3R4F는 켄터키 담배 연구 개발 센터에서 입수하여 사용하였다. 10 % CSE는 연동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10 ㎖ 무 혈청 배지에서 3R4F 중 하나로 제조한 후, 추출 용액을 0.22 ㎛ 필터로 여과하였고 이때 CSE는 당일의 신선한 것을 사용하였다. CSE를 혈청 배양 배지에 희석시켜 세포에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력 어세이
MLE-12 세포를 12시간 동안 70%의 세포포화도(confluency)에서 18시간 동안 배양 한 다음, CG500354 화합물(0, 0.1, 1 및 3 μM)을 24시간 전 처리하였고, 이후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0.6 % CSE로 교체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에 100ul의 MTT (3- (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스탁용액(5mg / ml) (Sigma, MO, USA)을 37 ℃에서 2~4 시간 동안 처리한 후, MTT 용액을 제거하였다. 즉시 DMSO를 첨가하여 포르마잔 결정을 용해시켰다. DMSO로 용해된 포르마잔 결정을 96웰 플레이트로 옮기고 540nm에서 platEpoch(BioTek, VT, USA) 마이크로 플레이트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웨스턴 블럿팅
MLE-12 세포를 100mm 배양접시에 분주하고 CSE에 노출시키기 전에 CG500354로 전처리 하였다. RIPA 완충액을 세포용해에 사용하였으며, 전체 세포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BCA 분석을 수행하여 총 단백질 (25 μg)을 5X SDS 샘플 버퍼와 섞었다. 샘플 버퍼가 있는 정량된 단백질을 8-15 % SDS 아크릴아미드 겔에서 전기영동 한 후, 0.45mm의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BIO-RAD, CA, USA, 162-0115)으로 단백질들을 이동시켰다. 이후 멤브레인을 5 % 탈지유를 함유한 TBST(0.05 % Tween 20을 갖는 TBS)로 1 시간 동안 블로킹시켰다. 1 차 항체를 TBST(1 : 1000 ~ 5000) 용액으로 희석한 후, 실온에서 4 시간 또는 4 ℃에서 밤새 반응시켰으며, 이후 polyclonal 항 마우스 / 토끼 HRP- 접합 이차 항체 (1 : 1000-4000)를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멤브레인을 ECL 검출 용액에 반응시켜 단백질 밴드를 검출하였다.
세포 내에서의 ROS 분석
세포내 ROS의 분석은 FACS 분석법을 사용하여 DCF-DA(dichlorofluorescin diacetate)에 의해 검출하였다. 즉, MLE-12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세포를 DCF-DA 염색용액 (1% FBS를 10μM 함유한 PBS)으로 30 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고 FACS 튜브에 수집한 다음, FL-1 채널에서 Accuri-C6 유동 세포 계측법 (BD biosciences, CA, USA)을 사용하여 ROS 수준을 측정하였다.
산화질소 분석
산화질소(NO)는 그리이스(griess) 분석으로 수행하였는데, 나트륨 아질산염 (NaNO2)을 96 웰에 처리하여 표준곡선(0-100 μM)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산화질소 측정을 위한 실험군들의 분석은 각 실험군의 세포 배양액 50 μL를 96 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50μL의 그리이스 시약(Sigma-aldrich, MO, USA, G4410)을 첨가한 후, 540 nm에서 platEpoch (BioTek, VT, USA) 마이크로 플레이트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산화질소 수준을 검출하였다.
ELISA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준은 ELISA 키트(R&D 시스템, TNF-α: DY410 및 IL-6 :DY406)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항체와 샘플들은 Maxisorp Nunc-immuno 모듈 마이크로 플레이트(Thermo Scientific, MA, USA, 469949)에서 2시간 이상(적어도 18 시간) 동안 코팅하였다. 각 단계는 키트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황산용액 (Sigma-aldrich, MO, USA, 35276)은 반응 중단을 위해 사용하였다. 흡광도는 platEpoch (BioTek, VT, USA) 마이크로 플레이트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통계처리
모든 데이터는 GraphPad prism 5 소프트웨어(GraphPad Software, La Jolla, CA, USA)로 평균 ± 표준 오차로 표기하였다. 각 결과는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OVA)으로 테스트 한 후 Bonferroni의 다중 비교 테스트(Multiple Comparison Test)를 3 회 이상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그래프 패드 프리즘 (GraphPad prism) 프로그램에 의해 p <0.05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결정하였다.
< 실시예 1>
CG500354 화합물의 PDE4D 억제 활성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CG500354 화합물이 PDE4의 아형인 PDE4D에 대한 억제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CG500354를 각 농도별(0, 1, 3uM) 마우스 폐 상피세포주인 MLE-12 세포에 24시간 처리한 후, 0.6%의 담배연기 추출물(CSE)을 주입한 후, 상기 세포주 내에서 CG500354 처리에 따른 PDE4D 억제 활성이 있는지를 웨스턴 블럿팅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담배연기 추출물(CSE) 처리 시 MLE-12 세포에서 증가된 PDE4D의 발현을 본 발명의 CG500354 화합물 처리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PDE4D의 발현감소 정도는 CG500354 화합물의 처리 농도 의존적임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2>
CG500354 화합물의 CSE로 유도되는 폐 상피 세포의 아폽토시스 억제 활성 분석
담배연기 추출물(CSE)에 오래 노출되게 되면 폐 상피세포가 손상되고 결국 세포 사멸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CG500354 화합물이 CSE에 의한 폐 상피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CG500354 화합물을 마우스 폐 상피세포인 MLE-12 세포주에 농도별로 각각 처리한 후, 담배연기 추출물(CSE)을 처리한 다음,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MLE-12 세포는 CSE의 처리에 의해 50% 이상의 세포가 사멸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CG500354 화합물을 전처리한 세포군에서는 세포사멸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a 및 2b 참조). 또한, 세포사멸 표지자인 Bcl-2 및 BAX의 발현수준을 웨스턴 블럿을 통해 확인한 결과, 세포사멸 억제자인 Bcl-2에 대한 프로-아톱토시스 단백질인 BAX의 발현비(BAX / Bcl-2)는 CG500354 화합물 처리 농도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c 및 2d 참조). 즉 이러한 결과는 CG500354 화합물 처리에 의해 BAX 발현은 감소되고 반면 세포사멸 억제자인 Bcl-2의 발현은 증가하여, 궁극적으로 폐 상피세포의 세포사멸을 억제함으로써 폐 세포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 실시예 3>
CG500354 화합물 처리에 따른 폐 상피 세포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 분석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은 ROS(활성산소종), NO(산화질소) 및 염증 반응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 원인들이 질환의 상태를 더욱 악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CG500354 화합물이 COPD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마우스 폐 상피 세포주(MLE-12)에서 ROS(활성산소종), NO(산화질소) 및 염증 반응과 같은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CG500354 화합물을 마우스 폐 상피세포인 MLE-12 세포주에 농도별로 각각 처리한 후, 담배연기 추출물(CSE)을 처리한 다음, ROS(활성산소종), NO(산화질소)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CSE 처리로 세포 내에서 증가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및 TNF-a의 생성이 CG500354 화합물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ROS(활성산소종) 및 NO(산화질소)의 수준도 CG500354 화합물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3b 및 3c 참조).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CG500354 화합물이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원인이 되는 ROS(활성산소종), NO(산화질소) 및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4>
CG500354 화합물의 c-AMP/ CREB / PKA 신호전달 활성화 및 AKT 활성 억제 분석
앞서 실시예 1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CG500354 화합물은 PDE4의 아형인 PDE4D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PDE4의 억제는 세포 내의 대사 및 세포 죽음 확산과 관련된 2차 메신저인 cyclic-AMP(c-AMP)의 상향 조절을 통해 PKA/CREB 신호를 활성화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담배연기 추출물에 노출된 세포에서 c-AMP/CREB/PKA의 신호전달 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CREB/PKA 활성분석은 p-CREB와 p-PKA 발현수준을 웨스턴 블랏팅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a 및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SE의 처리에 의해 폐 상피 세포가 손상된 경우, p-CREB 및 p-PKA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PDE4D 억제제인 CG500354 화합물을 처리한 경우, p-CREB 및 p-PKA의 발현감소가 다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AMP 수준을 ELISA로 분석한 결과,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CG500354 처리에 의해 cAMP이 다소 감소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발현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CG500354 화합물이 c-AMP의 기본 메커니즘인 CREB/PKA를 활성화시킨 다음, Akt의 활성을 억제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5>
CG500354 화합물의 CSE 매개 NF - κB MAPK 신호전달 경로 억제효과 분석
PDE4D 저해를 통한 COPD 진행에 있어서 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이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NF-κB 및 MAPK 신호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담배연기 추출물에 노출된 세포에서 CG500354 화합물 처리 여부에 따른 ERK1/2, JNK1/2 및 p38의 발현수준 및 인산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CG500354 화합물 처리 시, NF-κB 및 MAPKs의 신호경로를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마우스 폐 상피세포인 MLE-12 세포에서 염증 또는 세포사멸과 관련된 NF-κB 및 MAPK를 CG500354 화합물이 효과적으로 억제함에 따라 폐 세포손상 또는 폐 세포의 사멸을 억제함을 통해 만성폐쇄성 폐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5 참조).
이제까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 타입 4D(PDE4D)의 억제활성; 폐 세포의 세포사멸 억제활성; 또는 ROS(활성산소종), NO(산화질소)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활성; c-AMP/CREB/PKA의 활성 촉진; 또는 NF-κB 및 MAPKs의 활성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상기 조성물에 0.1~5μM의 농도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은 만성폐쇄성기관지염, 만성세기관지염 또는 폐기종(Emphyse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 타입 4D(PDE4D)의 억제활성; 폐 세포의 세포사멸 억제활성; 또는 ROS(활성산소종), NO(산화질소)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활성; c-AMP/CREB/PKA의 활성 촉진; 또는 NF-κB 및 MAPKs의 활성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은 만성폐쇄성기관지염, 만성세기관지염 또는 폐기종(Emphyse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20180070760A 2018-06-20 2018-06-20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7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60A KR102087662B1 (ko) 2018-06-20 2018-06-20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60A KR102087662B1 (ko) 2018-06-20 2018-06-20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56A KR20190143156A (ko) 2019-12-30
KR102087662B1 true KR102087662B1 (ko) 2020-03-11

Family

ID=6910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60A KR102087662B1 (ko) 2018-06-20 2018-06-20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6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0630A1 (en) * 2005-05-20 2006-11-30 Smith Charles D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eas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2413B2 (en) 2005-05-17 2012-07-17 Novartis Ag Methods for synthesizing heterocyclic compounds
KR100820935B1 (ko) * 2006-08-18 2008-04-10 한국화학연구원 싸이아졸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0630A1 (en) * 2005-05-20 2006-11-30 Smith Charles D Method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ease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PHARMACOLOGICAL SCIENCES 114(3), 304~310
PLOS ONE. 2014 FEB 5;9(2):E88168
SCI REP. 2014; 4: 554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56A (ko) 201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029B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56850B1 (ko) 스퍼미딘을 포함하는 급성 폐손상 또는 폐섬유화증 치료용 조성물
KR20100137223A (ko) 참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및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2875823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containing phyllostachys nigra munro var. henosis stap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087662B1 (ko) 4-[[4-[3-(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2-티아졸릴]아미노]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5894B1 (ko) p-coumaric acid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약학조성물
KR20200092119A (ko) 생약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성 염증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65141B1 (ko) 스컬캅플라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21738A (ko) 장수만리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0585B1 (ko)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184663B1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억제 효능을 갖는 조성물
KR102279105B1 (ko) 대추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1062B1 (ko) Fps-zm1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030456A (ko)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7661B1 (ko) Gebr―7b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4586B1 (ko) 스틸벤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420573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meliora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or immune diseases comprising gancaonin n as active ingredient
EP4248957A1 (en) Method f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hrough co-administration of curcumin derivative and tgf-? receptor inhibitor
KR102317591B1 (ko) 보이즌베리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EP285989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wounds or revitalizing skin comprising euphorbia kansui extracts or fractions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102623896B1 (ko)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당전이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12236A (ko) 부티르산 나트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 글루코즈로 유도된 염증 억제용 조성물
KR102063779B1 (ko) 선녀배(Dudleya Brittonii)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72872B1 (ko) 머루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억제 효능을 갖는 조성물
WO2012111934A2 (ko) 데카스퍼뮴 프루티코숨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