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700B1 - 콜릿 척을 구비한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콜릿 척을 구비한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700B1
KR102086700B1 KR1020157003839A KR20157003839A KR102086700B1 KR 102086700 B1 KR102086700 B1 KR 102086700B1 KR 1020157003839 A KR1020157003839 A KR 1020157003839A KR 20157003839 A KR20157003839 A KR 20157003839A KR 102086700 B1 KR102086700 B1 KR 102086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chuck
head
circumferential surface
rear end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0927A (ko
Inventor
세이지 야마우라
카즈히데 코스기
Original Assignee
나가노 오토메이션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노 오토메이션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노 오토메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2Details of th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7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7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through the spindle
    • B23B31/2073Axially fixed cam, mov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23B2231/2078Jaw carriers, i.e. components retaining the collet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72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콜릿 척(50)과, 콜릿 척이 삽입되는 중공부(21)를 포함하는 헤드(20)와, 콜릿 척의 선단을 개폐하는 슬리브(30)를 갖는 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콜릿 척은, 후단(58)과, 원통형의 제1 외주면(57)과, 제1 외주면의 일부가 링형으로 함몰되어, 후단 측이 제1 테이퍼드면(56)이 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헤드는, 콜릿 척의 후단이 맞닿는 제1 베이스면(28)과, 콜릿 척의 제1 외주면과 접촉하는 원통형의 제1 내주면(24)과, 제1 내주면으로부터 헤드의 외주면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관통공으로서, 제2 테이퍼드면(46)을 구비한 복수의 로드형상 부재(42)가 각각 끼워 넣어지면, 콜릿 척의 오목부의 제1 테이퍼드면에 제2 테이퍼드면이 맞닿는 것에 의해 콜릿 척의 후단이 제1 베이스면에 맞닿아 콜릿 척이 헤드에 고정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콜릿 척을 구비한 가공 장치{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COLLET CHUCK}
본 발명은, 콜릿 척(collet chuck)를 구비한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개 제2000-218414호 공보에, 기존의 부품을 이용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부품교환이나 개변(改變)으로 콜릿 척을 작업성 좋게 교환할 수 있는 콜릿 척 조인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회전가능한 원통형의 스핀들 본체에, 가공물(workpiece)을 유지할 수 있는 콜릿 척을 개폐가능하게 끼워 넣어 구성되는 이 콜릿 척 조인트 장치에 있어서는, 스핀들 본체 내에 진퇴운동가능하게 감입(嵌入)된 드로퍼(dropper)와, 상기 드로퍼에 연계하여 진퇴운동하는 조인트부와, 일단이 조인트부에 연계하여 상기 조인트부 측으로 바이어스(bias)되어 있고 타단(他端)이 콜릿 척의 개구부에 연계하여 진퇴운동하는 테이퍼드(tapered) 볼트를 구비하며, 콜릿 척은, 조인트부에 연계하는 테이퍼드 볼트의 상기 조인트부 측으로의 바이어스를 해제하고, 상기 조인트부와의 연계를 해제하여, 개구부로부터 테이퍼드 볼트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 스핀들 본체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개 제2000-218414호
한층 더 효율적으로 단시간에 교환이 가능한 콜릿 척을 장착한 가공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선단(先端) 측에서 가공물을 파지(把持)하는 콜릿 척과, 주축에 연결되는 헤드(head)로서, 콜릿 척이 삽입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헤드와, 콜릿 척의 선단을 개폐하는 슬리브(sleeve)를 갖는 가공 장치이다. 콜릿 척은, 후단과, 후단 측에 설치된 원통형의 제1 외주면, 제1 외주면의 일부가 링형으로 함몰되어 후단 측이 제1 테이퍼드면이 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헤드는, 중공부에 삽입된 콜릿 척의 후단이 맞닿는 제1 베이스면(基面)과, 중공부에 삽입된 콜릿 척의 제1 외주면과 접촉하는 원통형의 제1 내주면과, 제1 내주면으로부터 헤드의 외주면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관통공으로서, 제2 테이퍼드면을 구비한 복수의 로드형상(rod-shaped) 부재를 각각 끼워 넣으면, 중공부에 삽입된 콜릿 척의 오목부의 제1 테이퍼드면에 제2 테이퍼드면이 맞닿는 것에 의해 콜릿 척의 후단이 제1 베이스면에 맞닿아 콜릿 척이 헤드에 고정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다.
이 가공 장치에 있어서는, 반경 방향으로 열린 관통공에, 콜릿 척의 오목부의 테이퍼드면(제1 테이퍼드면)과 접하도록, 선단 또는 그에 가까운 개소(箇所)가 테이퍼드면(제2 테이퍼드면)이 된 로드형상 부재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콜릿 척을 헤드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로드형상 부재를 뽑는 것에 의해 콜릿 척을 헤드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콜릿 척의 후단 측의 제1 외주면의 외경을 슬리브의 내경보다 작게 하는 것에 의해, 로드형상 부재를 떼어내거나 부착하는 것만으로, 콜릿 척을 간단하게 헤드에 대해 탈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콜릿 척의 교환을 간단하게 단시간에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로드형상 부재는 헤드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어도 좋고, 핀 등의 잠금용의 부재를 이용하여 헤드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이 가공 장치에 있어서는, 측면이 테이퍼드된 링형의 홈(오목부)과, 홈에 들어가는 부분이 테이퍼드면이 된 로드형상 부재(스토퍼(stopper))를 조합하여 헤드에 콜릿 척을 고정한다. 따라서, 로드형상 부재를 관통공에 넣을 때 헤드와 콜릿 척간의 위치 정렬은 실질적으로 불필요하다. 또한, 테이퍼드면끼리의 조합으로 콜릿 척의 후단을 헤드의 제1 베이스면에 눌러 붙여 콜릿 척을 헤드에 고정한다. 이 때문에, 콜릿 척의 후단 전체 둘레와, 제1 베이스면의 전체 둘레가 기본적으로 가압된 상태로 콜릿 척이 주축과 함께 회전하여, 콜릿 척의 회전에 덜그럭거림(백래시)이 발생할 가능성은 적다. 게다가, 콜릿 척의 회전에 의해 느슨해질 것 같은 기구가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 중에 콜릿 척은 헤드에 완전하게 고정된다. 이 때문에, 이 가공 장치에 의해, 정밀도가 높은 가공을 안정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상이한 양태의 하나는, 선단 측에서 가공물을 파지하는 콜릿 척으로서, 후단과, 후단 측에 설치된 원통형의 제1 외주면과, 제1 외주면의 일부가 링형으로 함몰되어 후단 측이 제1 테이퍼드면이 된 오목부를 갖는 콜릿 척이다. 콜릿 척은, 선단의 외경보다 제1 외주면의 외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하나는, 주축에 연결되는 헤드이다. 이 헤드는, 콜릿 척이 삽입되는 중공부와, 콜릿 척의 선단을 개폐하는 슬리브와, 중공부에 콜릿 척을 삽입했을 때 콜릿 척의 후단이 맞닿는 제1 베이스면과, 중공부에 콜릿 척을 삽입했을 때 콜릿 척의 후단 측의 원통형의 제1 외주면과 접촉하는 원통형의 제1 내주면과, 제1 내주면으로부터 헤드의 외주면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관통공으로서, 제2 테이퍼드면을 구비한 복수의 로드형상 부재를 각각 끼워 넣으면, 중공부에 삽입된 콜릿 척의 오목부의 후단 측의 제1 테이퍼드면에 제2 테이퍼드면이 맞닿는 것에 의해 콜릿 척의 후단이 제1 베이스면에 맞닿아 콜릿 척이 헤드에 고정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다. 이 헤드와 상술된 콜릿 척을 갖고, 헤드의 중공부에 콜릿 척이 삽입된 가공 장치도 본건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가공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가공 장치의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헤드로부터 콜릿 척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콜릿 척을 구비한 가공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다. 가공 장치(1)는 전형적으로는 선반이며, 가공물(5)을 파지하여 선회시키는 선회 유닛(19)과, 파지된 가공물(5)을 가공하는 툴이 탑재된 툴 홀더(18)를 포함한다. 선회 유닛(19)은, 주축대(17)와, 주축대(1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축선(12)을 따라 관통공(13)이 설치된 주축(10)과, 주축(10)을 회전구동하는 모터(15)를 포함한다. 관통공(13)은 가공물(5)의 공급로로서 기능한다. 선회 유닛(19)은, 공급로(13)로 연결되어(연통되어), 공급로(13)를 통해 공급된 가공물(5)을 파지하는 척(콜릿 척)(50)과, 콜릿 척(50)을 지지하고 주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헤드(20)를 더 포함한다. 가공 장치(1)는, 가공물(워크피스(workpiece), 부재)(5)을, 공급로(12)를 통해 가공 장치(1)의 콜릿 척(50)과 반대쪽으로부터 공급하는 공급 유닛(16)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헤드 부분의 구성을 단면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콜릿 척(50)을 가공 장치(1)로부터 떼어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가공 장치(1)는, 주축(10)의 한쪽의 끝에 부착되어, 주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헤드(20)와, 헤드(20)에 수납된 콜릿 척(50)을 포함한다. 가공 장치(1)는, 축(13)을 따라 주축(10)을 관통하는 공급로(12)를 형성하는 중공의 공급용 슬리브(11)를 더 포함한다. 공급로(12)는 콜릿 척(50)에 도달한다. 가공 장치(1)에서는, 콜릿 척(50)에 의해 파지되는 가공물(워크피스, 부재)을 공급로(12)를 통해 가공 장치(1)의 콜릿 척(50)과 반대쪽으로부터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공물을 콜릿 척(50)의 선단 측으로부터 공급해도 좋다.
헤드(20)는 전체가 원기둥형으로, 회전축(중심축)(13)을 따라 콜릿 척(50)을 수납하는 중공부(21)와, 헤드(20)의 선단(29)에 위치하도록 중공부(21)에 수납된 슬리브(30)를 포함한다. 슬리브(30)는, 중공부(21)에 수납된 콜릿 척(50)의 선단(59) 측에서 선단(59)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드부(51)를 가이드하는 것에 의해 콜릿 척(50)을 개폐한다. 슬리브(30)의 내주면(31)은 헤드(20)의 선단(29) 측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드형이다. 콜릿 척(50)의 테이퍼드부(51)의 외주면(52)을 따라 내주면(31)이 슬라이딩하도록 슬리브(30)를 앞뒤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콜릿 척(50)의 테이퍼드부(51)의 내주면(53)이 변형되어, 가공물을 파지하거나 떼어 놓거나(클램핑(clamp)하거나 언클램핑(unclamp)하거나) 할 수 있다.
콜릿 척(50)은 전체가 원통형으로 내부는 중공이며, 선단(59) 측에 테이퍼드부(51)를 포함한다. 콜릿 척(50)은, 후단(58) 측에, 원통형의 제1 외주면(57)과, 제1 외주면(57)의 일부가 링형으로 함몰되어 후단(58) 측이 후단(58)을 향해 외측으로 넓어지는 제1 테이퍼드면(56)이 된 오목부(55)를 포함한다. 제1 외주면(57)은, 중공부(21)에 콜릿 척(50)을 삽입할 때 중공부(21)의 내면(제1 내주면)(24)에 맞닿아, 콜릿 척(50)의 중심축(54)과 헤드(20)의 중심축, 즉, 주축(10)의 중심축(13)을 일치시키는 기준이 되는 면(제1 기준 외주면, 기준 외면, 베이스 외면)이다. 콜릿 척(50)을 중공부(21)에 셋팅(삽입, 수납)하면, 콜릿 척(50)의 후단(58)이 재료 공급용의 슬리브(11)의 선단(11a)에 면(面)하여, 공급로(12)를 통해 공급되는 가공물을 콜릿 척(50)의 내부로 원활하게 인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헤드(20)는, 게다가, 중공부(21)에 있어서, 중공부(21)에 수납 또는 삽입된 콜릿 척(50)의 후단(58)이 맞닿는 제1 베이스면(저면(底面), 단면(端面))(28)과, 중공부(21)에 있어서 콜릿 척(50)의 축정렬의 기준이 되는 제1 외주면(57)과 접촉하는 원통형의 제1 내주면(제1 기준 내주면)(24)과, 고정 기구(40)를 포함한다. 콜릿 척(50)을 중공부(21)에 수납하거나 삽입하는 경우에, 콜릿 척(50)의 제1 외주면(57)이 중공부(21)의 제1 내주면(24)과 접촉한다. 콜릿 척(50)의 제1 외주면(57)을 중공부(21)의 제1 내주면(24)에 접한 상태로 제1 내주면(24)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이들 면(57 및 24)을 기준으로 하여, 콜릿 척(50)의 중심축(54)을 주축(10)의 중심축(13)에 일치시킨 상태로 콜릿 척(50)을 헤드(20)에 셋팅할 수 있다.
고정 기구(40)는, 기준이 되는 제1 내주면(24)으로부터 헤드(20)의 외주면(27)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관통공(41)과, 복수의 관통공(41)에 각각 끼워 넣어지는 로드형상의 스토퍼(로드형상 부재)(42)를 포함한다. 복수의 관통공(41)으로서는, 3개 또는 4개 이상의 관통공(41)이 중심축(13)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120도 피치(pitch)로 3개의 관통공(41)을 배치하거나, 90도 피치로 4개의 관통공(41)을 배치할 수 있다. 관통공(41)의 수는 5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1 내주면(24)의 주위에 배치되는 로드형상의 스토퍼(42)는, 선단(43)에 선단(43)을 향해 좁아지는 제2 테이퍼드면(46)을 포함한다. 제2 테이퍼드면(46)의 각도는, 콜릿 척(50)의 오목부(55)의 제1 테이퍼드면(56)의 각도와 공통되거나 대응하는 각도이다.
복수의 로드형상의 스토퍼(42)를 헤드(20)의 외주면(27)으로부터 복수의 개소의 관통공(41)에 삽입하면, 선단(43)의 제2 테이퍼드면(46)이 중공부(21)에 수납(삽입)된 콜릿 척(50)의 오목부(55)의 제1 테이퍼드면(56)에 맞닿는다. 스토퍼(42)를 중심축(13)의 방향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스토퍼(42)의 선단의 제2 테이퍼드면 (46)과 콜릿 척(50)의 오목부(55)의 제1 테이퍼드면(56)의 사이에서, 콜릿 척(50)을 중공부(21)의 뒤쪽으로 누르는 힘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콜릿 척(50)의 후단(58)은 중공부(21)의 제1 베이스면(저면, 단면)(28)에 눌려 콜릿 척(50)을 헤드(20)에 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스토퍼(42)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콜릿 척(50)을 헤드(20)와 함께 안정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스토퍼(42)의 일부에 수나사부(48)가 설치되어 있어, 관통공(41)의 외측에 설치된 너트부(47)를 통해 육각 렌치 등으로 나사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콜릿 척(50)을, 그 후단(58)을 헤드(20)의 제1 베이스면(28)에 누른 상태로 헤드(20)에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42)를 고정하는 방법은 나사에 한정되지 않고, 핀을 이용한 잠금 기구 등이어도 좋다.
이 가공 장치(1)에 있어서는, 측면(56)이 테이퍼 형상인 링형의 홈(오목부)(55)과, 홈(55)에 들어가는 부분이 테이퍼드면(46)이 된 로드형상 부재(스토퍼)(42)를 조합하여 헤드(20)에 콜릿 척(50)을 고정한다. 따라서, 스토퍼(42)를 관통공(41)에 넣을 때, 헤드(20)와 콜릿 척(50)의 원주 방향의 위치정렬은 불필요하다.
또한, 테이퍼드면끼리(46 및 56)의 조합으로, 콜릿 척(50)의 후단(58)을 헤드(10)의 제1 베이스면(28)에 눌러 붙여 콜릿 척(50)을 헤드(20)에 고정한다. 이 때문에, 콜릿 척(50)의 후단(58)의 전체 둘레와, 헤드(20)의 제1 베이스면(28)의 전체 둘레가 가압(접합)된 상태로 콜릿 척(50)은 주축(10)과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콜릿 척(50)의 회전에 덜그럭거림이 발생하기 어렵다. 게다가, 콜릿 척(50)의 회전에 의해 느슨해질 것 같은 기구가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 중에 콜릿 척(50)은 헤드(20)에 완전하게 고정된다. 이 때문에, 이 가공 장치(1)에 의해, 정밀도가 높은 가공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헤드(20)는, 그 후방에서, 공급용 슬리브(11)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구동 링(35)과, 구동 링(35) 및 슬리브(3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36)를 포함한다. 개폐용의 슬리브(30)는, 중공부(21)와 연결되며, 헤드(20)의 선단(전방)(29)에 개구(開口)된 오목부(26)에 수납되어, 오목부(26)의 내주면(26a)과 슬리브(30)의 외주면(30a)이 접촉하면서 슬라이딩한다. 공급용 슬리브(11)를 드로워(drawer)로서 축(13)을 따라 앞뒤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슬리브(30)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어, 콜릿 척(50)의 테이퍼드부(51)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시의 가공 장치(1)에 있어서는, 콜릿 척(50)의 수납부인 헤드(20)에 설치된 중공부(21)에 콜릿 척(50)을 삽입할 때, 중공부(21)의 제1 내주면(24)에 콜릿 척(50)의 제1 외주면(57)이 접하도록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콜릿 척(50)의 중심축(54)과 주축(10)의 중심축(13)을 맞출 수 있다. 게다가, 관통공(41)을 통해 로드형상의 스토퍼(42)를 반경 방향으로 중심축(13)을 향해 삽입하는 것에 의해, 콜릿 척(50)을 중공부(21)의 후단의 베이스면(28)에 눌러 붙여 콜릿 척(50)을 헤드(2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콜릿 척(50)을 떼어낼 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로드형상의 스토퍼(42)를 관통공(41)으로부터 떼어내거나, 혹은 스토퍼(42)의 선단(43)이 중공부(21)의 내주면(제1 내주면)(24)으로부터 후퇴할 때까지 스토퍼(42)를 외주면(27)의 방향으로 빼내는 것에 의해, 콜릿 척(50)을 헤드(20)의 중공부(21)로부터 매우 간단하게 떼어낼 수 있다. 따라서, 가공 장치(1)에서 척킹하는(클램핑하는) 가공물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 등에, 콜릿 척(50)을 간단하게 단시간에 교환할 수 있다.
게다가, 콜릿 척(50)의 후단(후방)(58)의 제1 외주면(57)의 직경(외경)(R2)을 선단(전방)(59)의 테이퍼드부(51)의 최소 외경(R1)보다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외주면(57)의 외경(R2)을 슬리브(30)의 최소 내경(r1)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30)를 떼어내지 않아도, 헤드(20)에 대해 콜릿 척(50)을 탈부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층 더 단시간에 콜릿 척(50)을 교환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에서는 드로우 백형(drawback type)의 콜릿 척을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정지형 콜릿, 푸시형(push type) 콜릿 등의 다른 타입의 콜릿 척이어도 좋다.

Claims (7)

  1. 선단(先端) 측에서 가공물을 파지(把持)하는 콜릿 척(collet chuck)과,
    주축에 연결되는 헤드(head)로서, 상기 콜릿 척이 삽입되는 중공부(中空部)를 포함하는 헤드와,
    상기 콜릿 척의 선단을 개폐하는 슬리브(sleeve)를 갖고,
    상기 콜릿 척은,
    후단(後端)과,
    상기 후단 측에 설치된 원통형의 제1 외주면과,
    상기 제1 외주면의 일부가 링형으로 함몰되어, 상기 후단 측이 제1 테이퍼드면이 된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콜릿 척의 상기 후단이 맞닿는 제1 베이스면(基面)과,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콜릿 척의 상기 제1 외주면과 접촉하는 원통형의 제1 내주면과,
    상기 제1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헤드의 외주면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관통공으로서, 제2 테이퍼드면을 구비한 복수의 로드형상 부재를 각각 끼워 넣으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콜릿 척의 상기 오목부의 상기 제1 테이퍼드면에 상기 제2 테이퍼드면이 맞닿는 것에 의해 상기 콜릿 척의 상기 후단이 상기 제1 베이스면에 맞닿아 상기 콜릿 척이 상기 헤드에 고정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 척의 상기 제1 외주면의 외경은 상기 슬리브의 내경보다 작은, 가공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 나사로 고정되는(screwed)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로드형상 부재를 갖는, 가공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7003839A 2012-08-17 2013-08-15 콜릿 척을 구비한 가공 장치 KR102086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1177 2012-08-17
JP2012181177 2012-08-17
PCT/JP2013/004869 WO2014027466A1 (ja) 2012-08-17 2013-08-15 コレットチャックを備えた加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927A KR20150040927A (ko) 2015-04-15
KR102086700B1 true KR102086700B1 (ko) 2020-03-09

Family

ID=5068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839A KR102086700B1 (ko) 2012-08-17 2013-08-15 콜릿 척을 구비한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234927B2 (ko)
KR (1) KR102086700B1 (ko)
CN (1) CN104619445B (ko)
HK (1) HK1210096A1 (ko)
TW (1) TWI621486B (ko)
WO (1) WO20140274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8042B (zh) * 2015-08-06 2020-05-26 株式会社富士 卡盘装置
JP6590704B2 (ja) * 2016-01-12 2019-10-16 株式会社中電工 先端工具連結構造
KR101966196B1 (ko) 2016-04-28 2019-04-08 셰플러코리아(유) 베어링 궤도륜 가공 척킹 시스템
CN105798346B (zh) * 2016-05-03 2018-07-27 江南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圆形棒料夹紧装置
CN108778587B (zh) 2016-09-06 2020-09-25 别格大昭和株式会社 工具用夹头、工具保持方法以及工具拆卸方法
JP7190863B2 (ja) * 2018-10-16 2022-12-16 マツダ株式会社 コレットチャック装置
CN110181287B (zh) * 2019-06-25 2024-05-14 广东鼎泰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五站式铣刀加工机
CN113020643B (zh) * 2021-03-29 2022-05-03 成都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高精全接触面卡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437B2 (ko) * 1974-04-30 1978-04-21
JPS50141284U (ko) * 1974-05-08 1975-11-20
US4575293A (en) * 1984-07-12 1986-03-11 Mario Berti Machine tool holder having opposed ramp members
JP2839592B2 (ja) * 1989-11-17 1998-12-16 豊田工機株式会社 工作物支持装置
JPH09108917A (ja) * 1995-10-18 1997-04-28 Honda Motor Co Ltd コレットチャック及びワークドライブ装置
JPH09123005A (ja) * 1995-11-02 1997-05-13 Toyoda Mach Works Ltd コレットチャック装置
RU2109600C1 (ru) * 1995-11-02 1998-04-27 Московское авиацион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МИГ" Цанговый патрон для зажима фасонных деталей
US5855377A (en) * 1996-11-13 1999-01-05 Murphy; William G. Dead length collect chuck assembly
JP2000218414A (ja) 1999-02-02 2000-08-08 Shisutekku Kk コレットチャックジョイント装置
JP4273377B2 (ja) * 1999-10-15 2009-06-03 株式会社ツガミツール ドリルチャック及びチャック装置
JP2007331080A (ja) * 2006-06-16 2007-12-27 Masato Ishii コレットチャック
CN201410569Y (zh) * 2009-03-31 2010-02-24 皖东韵敏精密合金有限公司 一种杆件加工夹紧装置
US20100253016A1 (en) * 2009-04-01 2010-10-07 Hardinge, Inc. Collet adapter
CN202155550U (zh) * 2011-07-12 2012-03-07 南京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双锥弹簧夹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7466A1 (ja) 2014-02-20
HK1210096A1 (en) 2016-04-15
TWI621486B (zh) 2018-04-21
CN104619445A (zh) 2015-05-13
JP6234927B2 (ja) 2017-11-22
TW201412437A (zh) 2014-04-01
JPWO2014027466A1 (ja) 2016-07-25
CN104619445B (zh) 2016-10-19
KR20150040927A (ko)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700B1 (ko) 콜릿 척을 구비한 가공 장치
US8262072B2 (en) Work piece carrier for exactly positioning a work piece on a chuck and clamping apparatus with a chuck and a work piece carrier
CN100522100C (zh) 具有锁定机构的牙科用或外科用手持件
JP2011101916A (ja) 工作機械および工具ホルダ
EP3375563B1 (en) Machine tool
KR20180029917A (ko) 냉각수 공급 장치 및 공작 기계를 위해 냉각수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연삭 공구
CN110052872B (zh) 一种分度铣床夹具及其使用方法
JP4455500B2 (ja) 自動旋盤
JP4280253B2 (ja) ワーク回転装置
JP4765790B2 (ja) 砥石車の着脱構造
JP5317492B2 (ja) 部品の共通化を図った工具用スピンドル及びチャック用スピンドル
US91388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the tool alignment
EP3071354B1 (en) Draw-type to stationary-type collet adapter
JPH07308840A (ja) 旋盤の被加工物保持装置
JP2002144119A (ja) 工作機械のチャック装置
JP2009107037A (ja) 旋盤の主軸構造
CH659964A5 (fr) Dispositif d'echange d'une pince de serrage dans une machine-outil.
KR102085265B1 (ko) 콜렛 어답터
JP7383278B2 (ja) 加工機用ワークホルダー
CN213794304U (zh) 一种薄壁件用定位三爪卡盘
JP2014087899A (ja) 工作機械の主軸装置
US20020038585A1 (en) Method for machining a workpiece and chuck with a center pin for implementing it
JP2002103118A (ja) 複合加工装置
SU1017438A1 (ru) Токарный самоцентрирующий патрон
KR100724142B1 (ko) 마스터 스핀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